KR20070018912A -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912A
KR20070018912A KR1020067021632A KR20067021632A KR20070018912A KR 20070018912 A KR20070018912 A KR 20070018912A KR 1020067021632 A KR1020067021632 A KR 1020067021632A KR 20067021632 A KR20067021632 A KR 20067021632A KR 20070018912 A KR20070018912 A KR 20070018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s
support
solvent
polymer
por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챤드라세카란 마르갬
수 시아 장
비 엔 테이
Original Assignee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라피드-테크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라피드-테크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Priority to KR102006702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8912A/en
Publication of KR2007001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9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조직 재생 및 뼈 성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지지체(scafford)로서,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중합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것인 지지체가 개시된다.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되며, 모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고,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갖는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이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갖는다.As a scafford for one or more of tissue regeneration and bone growth,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and the polymers are disclosed having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is eluted by a solvent and all other polymers are inert to the solvent and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The support has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low porosity at the core of the support.

지지체, 조직공학, 조직 재생, 뼈 성장, 다공도, 용탈(침출), 압착 성형. Scaffolds, tissue engineering, tissue regeneration, bone growth, porosity, leaching, compression molding.

Description

조직 및 뼈를 위한 지지체에서 분급화된 세공 구조를 얻는 방법, 및 분급화된 세공 구조를 갖는 조직 및 뼈를 위한 지지체{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본 발명은 조직 및 뼈를 위한 지지체(scaffold)에서 분급화된 세공(graded pore) 구조를 얻는 방법, 및 분급화된 세공 구조를 갖는 조직 및 뼈를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한정적인 것은 아니나, 특히, 분급화된 세공 구조는 초기의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고 제어된 분해를 동반한 조직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btaining a graded pore structure in a scaffold for tissues and bones, and to a support for tissues and bones having a graded pore structure. In particular, but not limited to, the classified pore structure provides initial structural strength and enables tissue growth with controlled degradation.

조직 공학 기법은 일반적으로 초기 세포의 부착 및 뒤이은 조직 형성을 위해 3차원적 주형으로서 일시적인 지지체의 이용을 필요로 한다. 지지체가 신체에 의해 대사될 수 있는 능력은 지지체가 기능을 나타내는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새로운 세로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게 한다. Tissue engineering techniques generally require the use of a temporary support as a three-dimensional template for initial cell attachment and subsequent tissue formation. The ability of the support to be metabolized by the body allows the support to be gradually replaced by new longitudinals to form a functioning tissue.

섬유 접착(fibre bonding), 용재 주물(solvent casting)에서 미립자 용탈(particulate leaching)에 이르는 다수의 통상적인 기법들이 지지체를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쾌속 조형법(Rapid prototyping technology)은 또한 컴퓨터 제어 기술을 이용한 지지체의 설계 및 제조를 가능하게 했다. Many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design and manufacture supports, from fiber bonding, solvent casting to particulate leaching. Rapid prototyping technology has also made it possible to design and manufacture supports using computer controlled technology.

생분해성 폴리머는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면서 분해되어, 궁극적으로 신체에 외래 물질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지지체 형성용 물질(scaffolding material)로서 매력적인 후보이다. 염 용탈(salt leaching), 가스를 이용한 거품형성(gas foaming), 동결 유탁(emulsion freeze-drying), 3차원 프린팅 및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같은 일부 기법들이 조직 공학을 위한 고도의 다공성 폴리머 지지체를 생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뼈, 조직 및 기관을 위한 임상적으로 유용한 지지체를 개발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과제이다. Biodegradable polymers are attractive candidates for scaffolding material because they degrade as new tissues form and ultimately leave no foreign material in the body. Some techniques, such as salt leaching, gas foaming, emulsion freeze-dry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and phase separation, are highly porous polymer supports for tissue engineering. Was developed to generate. However, developing clinically useful scaffolds for bones, tissues and organs remains a challenge.

지지체는 조직 공학에서의 용도를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출 것이 기대된다:The support is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features for use in tissue engineering:

(i) 세포/조직 성장 및 영양분과 대사 폐기물의 수송을 위한 상호연결된 세공 네트워크를 갖춘 다공성 3차원 구조이다; (i) a porous three-dimensional structure with interconnected pore networks for cell / tissue growth and transport of nutrients and metabolic wastes;

(ii) 생체 외/생체 내에서 세포/조직 성장과 조화되는 제어가능한 분해 속도 및 재흡수 속도로 생분해성이거나 생체-재흡수성(bioresorbable)이어야 한다; (ii) be biodegradable or bioresorbable at a controllable degradation rate and resorption rate consistent with cell / tissue growth in vitro / in vivo;

(iii) 표면의 화학적 성질(surface chemistry)이 세포 부착, 증식 및 분화에 적합해야 한다; (iii) the surface chemistry of the surface should be suitable for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v) 이식 부위에서 조직의 기계적 특성에 조화되는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및 (iv) have suitable mechanical properties in harmony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tissue at the site of implantation; And

(v)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형성하기 위해 용이하게 가공되어야 한다. (v) Must be easily machined to form various shapes and sizes.

전술된 특성들 외에, 지지체는 조직재생 유도술(guided tissue regeneration)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3차원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기능적 으로 분급화된 특성들을 요구한다. 이들 중에서, 세공 크기, 다공도(porosity), 및 표면적(표면-대-용적 비율)이 조직공학용 지지체를 위해 중요한 파라미터들로 널리 인식된다. 세공 형상, 세공 벽 형태, 및 지지체형성 물질의 세공 간 상호연결성(interconnectivity)과 같은 다른 아키텍쳐 특성들도 또한 삼차원에서의 세포 접종, 이동, 성장, 물질 수송, 유전자 발현 및 새로운 조직 형성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제안된다. 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should be able to perform guided tissue regeneration. This requires functionally classified features throughout the three-dimensional network. Among these, pore size, porosity, and surface area (surface-to-volume ratio) are widely recognized as important parameters for tissue engineering supports. Other architectural properties such as pore shape, pore wall shape, and inter-pore interconnectivity of scaffolding materials are also important for cell inoculation, migration, growth, mass transport, gene expression and new tissue 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Is suggested.

4 종류의 생체 물질(biomaterial)이 조직 공학 응용을 위한 지지체 물질로서 실험적으로 및/또는 임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Four kinds of biomaterials have been experimentally and / or clinically studied as support 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i)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합성 유기 물질; (i) synthetic organic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aliphatic polyesters, polyethylene glycols;

(ii) 예를 들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트리칼슘포스페이트, 소석고(plaster of Paris), 유리 세라믹스와 같은 합성 무기 물질; (ii) synthetic inorganic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hydroxyapatite, tricalcium phosphate, plaster of Paris, glass ceramics;

(iii) 예를 들면, 콜라겐, 피브린 글루(fibrin glue), 하이알루론산(hyualuronic acid)과 같은 천연 유기 물질; 및 (iii) natural organic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collagen, fibrin glue, hyaluronic acid; And

(iv) 예를 들면, 코럴라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coralline hydroxyapatite)와 같은 천연 무기 물질. (iv) natural inorganic materials such as, for example, coralline hydroxyapatite.

일반적으로, 지지체는 인체 내에 이식되어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고도의 생체적합성(biocompatible) 물질로부터 제조되어야 한다. In general, the support should be made from a highly biocompatible material that is implanted into the human body and does not cause an immunorejection reaction.

현재의 공정 및 장비에 있어서의 기술적 제약들이 세공들의 원하는 상호연결성을 갖는 지지체 설계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심각한 제한을 가져온다. 공정 제약 의 간단한 예는 입체석판술(stereolithography)이다. 이는 원하는 구조를 얻기 위해 광경화성(photo-curable) 중합체를 필요로 하고, 도달가능한 최대 강도에 한계가 있다. 원하는 구조를 얻기 위한 3차원 프리팅 기술은 결합제(binder) 제제에 의존적이다. 염 용출 및 상 분리와 같은 방법들은 필요한 세공들의 상호연결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Technical constraints in current processes and equipment place serious limitations in achieving a support design with the desired interconnections of pores. A simple example of process constraints is stereolithography. This requires a photo-curable polymer to obtain the desired structure and is limited in the maximum strength attainable. Three-dimensional fritting techniques to obtain the desired structure are dependent on the binder formulation. Methods such as salt elution and phase separation are limited in forming the interconnections of the required pores.

현재의 조직 공학용 지지체들은 다공성 구조를 얻기 위해 쾌속 조형법 또는 가스를 이용한 거품형성/용매 용탈법을 이용한다.Current tissue engineering supports use rapid prototyping or gas bubbles / solvent dissolution to obtain a porous structure.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조직 재생 또는 뼈 성장용 지지체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중합체들은 상이한 생분해 속도(rate of bio-degradability)를 갖는다.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또는 제거)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중합체 중 나머지 중합체들은 해당 용매에 대해 불활성이거나, 해당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는 그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porosity)이고, 그 심부(core)에서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가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 support for tissue regeneration or bone growth is provided, wherein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Polymers have different rates of bio-degradability.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eluted (or removed) by a solvent and the remaining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inert to the solvent or have a lower solubility in that solvent. The support may have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its surface and low porosity at its core.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조직 재생 또는 뼈 성장용 지지체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또는 제거)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중합체 중 나머지 중합체들은 해당 용매에 대해 불활성이거나, 해당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support for tissue regeneration or bone growth is provided, wherein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eluted (or removed) by the solvent and the remaining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inert to the solvent or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at solvent.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조직 재생 또는 뼈 성장용 지지체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이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는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갖는다. 지지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또는 제거)될 수 있고,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나머지 중합체들은 해당 용매에 대해 불활성이거나, 해당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 속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support for tissue regeneration or bone growth is provided; The support has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low porosity at the core of the support. The support can be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with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support may be prepared from two or more polymers, wherein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eluted (or removed) by a solvent, and the remaining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may be It may be inert or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최종 양태에서, 조직 재생, 또는 뼈 성장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In a final aspect, a method of preparing a support for tissue regeneration or bone growth is provided; The method is:

(a) 둘 이상의 중합체들을 혼합(blending)하여 중합체 혼합물(polymer blend)를 형성하는 단계; (a) blending two or more polymers to form a polymer blend;

(b) 상기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성형(forming)하는 단계; (b) forming the support from the polymer mixture;

(c)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해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를 용탈시키고,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나머지 중합체들은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거나 또는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 속도를 갖는 것인 용탈 단계를 포함한다. (c) eluting the support with a solvent to remove the first polymer in the at least two polymers, and the remaining polymers in the at least two polymers are inert to the solvent or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A dissolution step.

중합체는 혼합 전에 분쇄(milling)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중합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용탈(leaching)은 지지체의 일부에 대해서만 일어날 수 있다. 그 부분은 지지체의 표면 또는 그 인접 부분일 수 있으나, 지지체의 심부일 수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합체는 보다 빠른 생분해 속도를 갖는다.The polymer may be milled before mixing. All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can have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Leaching can only occur for a portion of the support. The portion may be the surface of the support or an adjacent portion thereof, but may not be the core of the support. Preferably, the first polymer has a faster biodegradation rate.

성형은 압착 성형(compression moulding), 사출 성형(injection moulding), 쾌속 조형, 및 3차원 프린팅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압착 성형은 0 내지 20 Mpa의 압력, 및 25℃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용탈은 용매를 담은 초음파 수조(ultrasonic bath of the solvent)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범위의 온도이고, 바람직하게는 주파수는 1 KHz 내지 40 KHz 범위이며, 노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120분의 범위이다. 20 내지 500㎛ 범위에 있는 원하는 입자 크기를 형성하기 위해 둘 이상의 중합체들은 저온 밀(cryogenic mill)에서 분쇄되고 혼합되거나 또는 저온 밀에서 분쇄되고 혼합될 수 있다. Molding can be b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compress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rapid molding,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Press molding may be performed at a pressure of 0 to 20 Mpa, and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5 ° C to 80 ° C. Elution can be carried out in an ultrasonic bath of the solvent, the solvent is preferably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from 25 ° C. to 50 ° C., preferably at a frequency in the range from 1 KHz to 40 KHz and exposed. The tim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minutes to 120 minutes. Two or more polymers may be ground and mixed in a cryogenic mill or ground and mixed in a cold mill to form a desired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20 to 500 μm.

분쇄(milling)는 중합체에 대한 원하는 입자 크기 및 중합체의 종류에 의존적일 수 있는 사이클로 수행될 수 있다. 분쇄는 각각 1분인 15회 내지 30회 사이클의 범위에 있는 빈도로 수행될 수 있고, 밀착 속도(impaction rate)는 15회 밀착/초일 수 있다. Milling may be performed in cycles that may depend on the desired particle size for the polymer and the type of polymer. Grinding may be carried out at a frequency in the range of 15 to 30 cycles, each 1 minute, and the impact rate may be 15 closes / second.

모든 양태에서, 둘 이상의 중합체들은 폴리글리콜리드, 폴리-L-락티드, 폴리-DL-락티드, 폴리락티드 코-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부트레이트와 같은 순수한 합성 중합체; 또는 합성 중합체와 천연 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천연 중합체일 수 있다. 용매는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헥스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또는 알코올 또는 유사한 유기 용매일 수 있다. In all embodiments,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pure synthetic polymers such as polyglycolide, poly-L-lactide, poly-DL-lactide, polylactide co-glycolide, polycaprolactone, or polyhydroxybutate; Or a mixture of synthetic and natural polymers, or a natural polymer. The solvent may be acetone, dichloromethane, hexfluoroisopropanol, chloroform, or an alcohol or similar organic solvent.

두 개의 중합체가 60:40 내지 30:70 범위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Two polymers may be present in ratios ranging from 60:40 to 30:70.

본 발명이 용이하게 이해되고 실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이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고, 설명은 첨부된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understood and realiz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지지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다; 1 shows one embodiment of a support;

도 2는 도 1의 지지체의 수직 단면도(verrtical cross-sectional view)이다;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of FIG. 1; FIG.

도 3은 상이한 용매에 의한 용탈 후의 두 샘플의 공초점 이미지(cofocal image)이다; 3 is a cofocal image of two samples after elution with different solvents;

도 4는 상이한 용매에 의한 용탈 전, 및 후의 샘플의 광학적 이미지이다; 4 is an optical image of a sample before and after elution with different solvents;

도 5는 샘플의 다공도 프로파일 그래프이다; 및5 is a porosity profile graph of a sample; And

도 6은 지지체 제조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다. 6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the support preparation.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직 재생 및/또는 뼈 성장을 위한 지지체(10)의 일 구체예가 도시된다.1, 2 and 6, one embodiment of a support 10 for tissue regeneration and / or bone growth is shown.

지지체(10)가 조직을 근사하게 모방하고 이식물 내에서 일어나는 조직 재생/뼈 성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지체(10)는 분급화된 다공도를 포함한 분급화된 특성들을 갖는다. 이는 상이한 조직 및 세포들의 최적 내-성장(in-growth)을 얻는데 기여하며 이식물의 특정 부위에서 다양한 기계적 부하(mechanical load)를 견딜 수 있는 이식물의 능력을 강화한다. 세공들(12)의 분급화된 구조는 제어된 방식으로 성장 작용제들을 전달하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제어되고 유도된 골 형성 및 혈관 형성을 갖도록 지원한다. 상이한 분해 속도, 바람직하게는 조직, 뼈 및 혈관의 형성에 조화되는 분해 속도를 갖는 상이한 중합체의 중합체 혼합물이 이용된다. 이는 재생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지지체에 충분한 지지력(support) 및 강도를 제공한다. In order for the support 10 to mimic tissu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issue regeneration / bone growth that occurs in the implant, the support 10 has classified properties including classified porosity. This contributes to obtaining optimal in-growth of different tissues and cells and enhances the implant's ability to withstand various mechanical loads at specific sites of the implant. The classified structure of the pores 12 assists in delivering growth agents in a controlled manner. Thus, it supports to have controlled and induced bone formation and angiogenesis. Polymer mixtures of different polymers with different degradation rates, preferably with degradation rate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formation of tissues, bones and blood vessels, are used. This provides sufficient support and strength to the support to support the regeneration process.

세공들(12)은 분급화되어 성장이 표면으로부터 개시되도록 하고, 지지체(10)의 심부(14)는 조직 성장의 필요한 지지 및 지연(retardation)을 제공하여 혈관 형성이 심부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한다. The pores 12 are classified to allow growth to commence from the surface, and the core 14 of the support 10 provides the necessary support and retardation of tissue growth so that blood vessel formation can occur at the core.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구축될 지지체의 필요한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수의 종류의 중합체들이 이용될 수 있으나, 두 종류의 상이한 중합체가 이용되었다. 예를 들면, 세 종류 또는 네 종류의 중합체가 이용될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required number of polymer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required properties of the support to be constructed, but two different polymers are used. For example, three or four kinds of polymers may be used.

두 종류의 중합체들이 이용되는 경우, 그 두 종류의 중합체의 비율은 60:40 내지 30:7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정확한 비율은 구축될 지지체의 원하는 특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중합체는 천연 중합체 또는 합성 중합체일 수 있고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폴리 DL-락티드 및 폴리 L-락티드 포함), 폴리락티드-코-글리클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lutrate)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When two kinds of polymers are used, the ratio of the two kinds of polymers may be in the range of 60:40 to 30:70. Even in this case, the exact ratio will depend on the desired properties of the support to be built. The polymer may be a natural polymer or a synthetic polymer and may be polyglycolide, polylactide (including poly DL-lactide and poly L-lactide), polylactide-co-glyclide, polycaprolactone, and polyhydroxybutyrate (polyhydroxylutrat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지지체(10)을 제조하기 위해, 중합체를 선택하고, 적합한 비율로, 분말로 분쇄하고 중합체 혼합물(polymeric blend)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한다. 혼합된 분말은 일정한 크기로 체질하고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 후, 지지체는 2차 처리(secodnary processing)를 거친다. 분쇄는 저온 밀에서 수행되며, 혼합을 포함 할 수 있다. To prepare the support 10, the polymer is selected, in suitable proportions, ground into powder and mixed to form a polymeric blend. The mixed powder is sieved to a constant size and used to prepare the support. Subsequently, the support is subjected to secondary processing. Grinding is carried out in cold mills and may include mixing.

2차 처리는 중합체 혼합물에서 중합체 중 하나의 제어된 용탈(leaching)이다. 용탈은 용매(20),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의 이용에 의해 표면 다공도를 개선하나, 지지체(10)의 심부(14)에서 감소된 농도의 세공(12)을 갖게 할 수 있다. 제1 중합체와만 반응하고 나머지 중합체(들)과는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나머지 중합체(들)에 대해서는 제한된 또는 보다 둔화된 반응성을 갖는 용매를 이용하여, 용탈에 의해 주로 제 1 중합체만 제거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다른 중합체들은 그 용매에 대해 불활성이거나, 그 용매에 대해 보다 낮은 반응 속도를 갖거나, 또는 그 용매에 대해 보다 낮은 용해 속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용탈은 히터(16)의 이용 및/또는 초음파 테이블(18) 또는 초음파 파쇄기(ultrasonicator)를 이용한 초음파 교반(agitation)과 같은 교반에 의해 용탈용 용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Secondary treatment is controlled leaching of one of the polymers in the polymer mixture. Elution improves surface porosity by the use of a solvent 20, preferably an organic solvent, but can have a reduced concentration of pores 12 in the core 14 of the support 10. Only the first polymer is mainly removed by elution, using a solvent that reacts only with the first polymer and not with the remaining polymer (s) or with limited or slower reactivity to the remaining polymer (s). This requires that all other polymers be inert to the solvent, have a lower reaction rate for that solvent, or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for that solvent. Elution can be enhanc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lution solvent by agitation such as the use of a heater 16 and / or ultrasonic agitation using an ultrasonic table 18 or an ultrasonic ultrasonicator.

지지체의 상이한 영역에서 중합체들의 상이한 비율을 갖는 것에 의해, 용탈로부터 상이한 다공도가 초래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용탈 공정은 용탈이 지지체의 표면에서 보다 큰 정도로 이루어지고, 지지체(10)의 심부(14)에서는 보다 작은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용매가 담긴 용기에서 지지체(10)의 액침(immersion) 속도를 제어하고, 액침 시간을 제어하여 용매가 심부 부근에서 제1 중합체를 완전히 용해하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용해하게 할 수 있다. 용탈은 지지체(10)의 표면에서 시작되어 용탈에 의해 형성된 세공(12)을 통해 심부(14)를 향해 진행되므로, 용매 용기에서의 지속 시간, 온도 및 교반을 제 어하는 것에 의해, 심부(14)가 부분적으로만 용탈되거나, 또는 지지체(10)의 심부(14)에서는 용탈이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세공(12)은 지지체(10)의 표면(22)에서 지지체(10)의 심부로 가면서 수, 크기 및 연결성이 감소될 것이다. By having different proportions of polymer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support, different porosities will result from elution.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elution process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elution is made to a greater extent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at a smaller extent at the core 14 of the support 10. This may control the immersion rate of the support 10 and the immersion time in the vessel containing the solvent so that the solvent does not or completely dissolve the first polymer near the core. Elution begins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10 and proceeds toward the core 14 through the pores 12 formed by the elution, thereby controlling the duration, temperature, and agitation in the solvent vessel, thereby controlling the core 14. ) May be partially eluted or free from the core 14 of the support 10. In this manner, the pores 12 will decrease in number, size, and connectivity from the surface 22 of the support 10 to the core of the support 10.

다공도가 보다 높은 경우, 생분해 속도는 보다 빠르며, 다공도가 보다 낮을 경우, 생분해 속도는 보다 느릴 것이다. 조직/뼈 재생/성장이 보다 조기에 및 가장 빠르게 일어나는 곳인 표면(22)에서 보다 높은 다공도를 갖는 것에 의해, 지지체(10)는 재생/성장이 일어나면서 생분해될 것이다. 심부(14)에서의 보다 낮은 다공도로 인해, 지지체는 조직/뼈가 재생/성장할 때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여 총 강도(combined strength)는 비교적 일정할 것이다.The higher the porosity, the faster the biodegradation rate, and the lower the porosity, the slower the biodegradation rate will be. By having a higher porosity at the surface 22 where tissue / bone regeneration / growth occurs earlier and fastest, the support 10 will biodegrade as regeneration / growth occurs. Due to the lower porosity in the core 14, the support will maintain structural strength as the tissue / bone regenerates / grows so that the combined strength will be relatively constant.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를 갖는 것에 의해, 이는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빠르게 분해되는 중합체는 점진적으로 심부(14)를 행해 분해되고, 따라서, 조직/뼈 재생/성장을 강화한다. 용매에 의해 용탈되는 중합체는 보다 빠른/가장 빠른 생분해 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y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polymers with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this can be enhanced. In addition, polymers that decompose more quickly are degraded through the deeper portion 14, thus enhancing tissue / bone regeneration / growth. It is desirable that the polymer eluted by the solvent has a faster / fastest biodegradation rate.

일 실시예에서, 폴리글리콜리드 입자들, 폴리 L-락티드 입자들 및 폴리락티드 코-글리콜리드 입자들은 매 사이클당 1분씩 15회 내지 30회 사이클의 빈도로 분쇄하였다. 이용되는 정확한 사이클 수는 이용되는 중합체, 중합체의 입자 크기, 및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한다. 20-500㎛ 범위에 있는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다. 15회 밀착/초의 밀착 속도를 이용했다.In one embodiment, the polyglycolide particles, poly L-lactide particles and polylactide co-glycolide particles were ground at a frequency of 15 to 30 cycles, 1 minute per cycle. The exact number of cycles used depends on one or more of the polymer used, the particle size of the poly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Particle sizes in the range of 20-500 μm are preferred. A close contact speed of 15 closes / sec was used.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헥스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알코올, 또는 중합체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용해시키고, 다른 나머지 중합체들에 대해서는 불활성이거나, 또는 보다 낮은 용해 속도를 갖는 다른 적합한 유기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used is acetone, dichloromethane, hexfluoroisopropanol, chloroform, alcohol, or another suitable organic solvent that selectively dissolves one of the polymers and is inert to the other polymers or has a lower dissolution rate. Can be selected from.

지지체(10)의 제조는 예를 들면, 압착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적합한 결합제 시스템을 이용한 지지체의 3차원 프린팅과 같은 쾌속 조형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0 내지 20 MPa의 압력 및 25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의 압착 성형이 이용될 수 있다. The manufacture of the support 10 can be made by methods such as rapid molding, for example, by compress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or three-dimensional printing of the support using a suitable binder system. For example, compression molding at pressures of 0 to 20 MPa and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25 to 80 ° C. may be used.

용매는 지지체가 배치될 용기(bath)에 담길 수 있다. 용기 내의 용매의 온도는 25℃ 내지 5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용기는 1 KHz 내지 40 KHz 범위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초음파 용기일 수 있다. 용기에서 지지체의 노출 시간은 5분 내지 120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placed in a bath in which the support is to be placed.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in the vessel may be in the range of 25 ° C to 50 ° C. The vessel may be an ultrasonic vessel using a frequency in the range of 1 KHz to 40 KHz. The exposure time of the support in the vessel may be in the range of 5 minutes to 120 minutes.

도 3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세공들 간에는 양호한 상호연결성, 및 세공의 양호한 3차원 네트워크가 있다. 이용된 중합체는:As is apparent from FIG. 3, there is good interconnection between the pores, and a good three-dimensional network of pores. The polymers used are:

(a)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탈된 50:50 비의 폴리글리콜리드 및 폴리락티드 코-글리콜리드; 및 (a) polyglycolide and polylactide co-glycolide in a 50:50 ratio eluted with dichloromethane; And

(b) 아세톤으로 용탈된 50:50 비의 폴리글리콜리드 및 폴리히드록시부트레이트였다. (b) polyglycolide and polyhydroxybutrate in a 50:50 ratio eluted with acetone.

도 4는 (a)는 전술된 샘플의 용탈 전; (b)는 디클로로메탄에서의 용탈 후; 및 (c)는 아세톤에서의 용탈 후의 샘플를 나타내고, 표면 세공의 균일한 분포 및 그들간의 상호연결성을 보여준다. 4 is (a) before elution of the aforementioned sample; (b) after elution in dichloromethane; And (c) shows the sample after elution in acetone, show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surface pores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도 4(d)는 10㎛ 미만의 범위에 있는 세공 크기의 미세 세공(micropore)을 갖 는 심부에서 다공도 분포를 보여준다. 4 (d) shows the porosity distribution in the cores with pore size micropores in the range of less than 10 μm.

도 5는 폴리 L-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샘플에서 이를 2차 처리를 거치게 한 후에 수득된 두 개의 다공도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다공도 측정은 10 ㎛를 초과하는 세공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표면 조도계(profilomet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FIG. 5 shows two porosity profiles obtained after undergoing secondary treatment in poly L-lactide / polyglycolide samples. Porosity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a surface profilometer with a pore size resolution of greater than 10 μm.

전술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설계, 구조 또는 작동의 세부사항에 있어서 다수의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or modifications in the details of design, construction or opera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Claims (31)

조직 재생 및 뼈 성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지지체(scafford)로서,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중합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것인 지지체. A scafford for one or more of tissue regeneration and bone growth, wherein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and the polymers have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조직 재생 및 뼈 성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지지체로서,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되며,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고,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갖는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As a support for one or more of tissue regeneration and bone growth,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a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is eluted by a solvent, and all other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A support that is inert a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rs having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조직 재생 및 뼈 성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지지체로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이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갖는 것인 지지체. A support for one or more of tissue regeneration and bone growth, wherein the support has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low porosity at the depth of the sup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지지체. The support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having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되며,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고,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갖는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is made from two or more polymers, a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is eluted by a solvent, and all other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inert to the solvent, And a support having a low dissolution r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되며,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고,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갖는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is eluted by a solvent, and all other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rs that are inert to the solvent and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The support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는 용매에 의해 용탈되며,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다른 중합체는 상기 용매에 불활성이고, 상기 용매에서 보다 낮은 용해속도를 갖는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mer of the two or more polymers is eluted by a solvent, and all other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rs that are inert to the solvent and have a lower dissolution rate in the solvent. The support selected.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이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갖는 것인 지지체. The support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has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low porosity at the core of the support.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는 천연 중합체, 천연 중합체 및 합성 중합체의 혼합물, 합성 중합체,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 L-락티드, 폴리 DL-락티드, 폴리락티드 코-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The method of claim 1, 2 or 4 to 8, wherein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natural polymers, mixtures of natural polymers and synthetic polymers, synthetic polymers, polyglycolides, polylactides, A suppor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L-lactide, poly DL-lactide, polylactide co-glycolide, poly-caprolactone, and polyhydroxybutyrate. 제2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 및 무기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8. A suppo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5, 6, or 7, wherein said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ganic solvents and inorganic solven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헥스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및 알코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지체. The support of claim 10, wherein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e, dichloromethane, hexfluoroisopropanol, chloroform, and alcohol.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중합체가 60:40 내지 30:70의 범위에 있는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지지체. The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2 or 4 to 9, wherein the two polymers are present in a ratio in the range of 60:40 to 30:70. 조직 재생 및 뼈 성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A method of making a support for at least one of tissue regeneration and bone growth; The method is: (a) 둘 이상의 중합체들을 혼합(blending)하여 중합체 혼합물(polymer blend)를 형성하는 단계;(a) blending two or more polymers to form a polymer blend; (b) 상기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성형(forming)하는 단계; (b) forming the support from the polymer mixture; (c)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제1 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해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를 용탈시키고,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 중 나머지 중합체들은 상기 용 매에 불활성인 것인 용탈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c) eluting the support with a solvent to remove a first polymer of the at least two polymers, wherein the remaining polymers of the at least two polymers are inert to the solv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모든 중합체는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ll polymers of the two or more polymers have different biodegradation rates.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두 중합체가 60:40 내지 30:70의 범위에 있는 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or 14, wherein the two polymers are present in a ratio in the range of 60:40 to 30:70.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는 천연 중합체, 천연 중합체 및 합성 중합체의 혼합물, 합성 중합체,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 L-락티드, 폴리 DL-락티드, 폴리락티드 코-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natural polymers, mixtures of natural polymers and synthetic polymers, synthetic polymers, polyglycolide, polylactide, poly L-lactide, poly DL- Lactide, polylactide co-glycolide, poly-caprolactone, and polyhydroxybutyrate.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헥스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및 알코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e, dichloromethane, hexfluoroisopropanol, chloroform, and alcohol.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은 압착 성형, 사출 성형, 쾌속 조형, 및 3차원 프린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18.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17, wherein the molding is performed b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ress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rapid molding,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성형은 0 내지 20 Mpa 범위의 압력, 및 25℃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ress molding is performed at a pressure in the range of 0 to 20 Mpa, and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5 to 80 ° C.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탈은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최대화되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 최소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인 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dissolution is controlled to be maximized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minimized at the core of the sup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는 보다 빠른 생분해 속도를 갖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polymer has a faster biodegradation rate.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탈은 상기 용매가 담긴 초음파 용기(ultrasonic bath)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2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21, wherein the dissolution is carried out in an ultrasonic bath containing the solven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25℃ 내지 50℃ 범위의 온도에 있고, 주파수는 1KHz 내지 40KHz의 범위에 있으며, 노출 시간은 5분 내지 12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olvent is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5 ° C. to 50 ° C., the frequency is in the range of 1 KHz to 40 KHz, and the exposure time is in the range of 5 minutes to 120 minutes.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500㎛ 범위에 있는 입자 크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는 혼합 전에 분쇄되고, 분쇄 및 혼합은 저온 밀(cryogenic mill)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24. The method of any of claims 13-23, wherein the two or more polymers are ground prior to mixing, and grinding and mixing are carried out in a cryogenic mill to form particle sizes in the range of 20 to 500 μm. How to b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종류, 및 상기 둘 이상의 중합체의 원하는 입자 크기 중 하나 이상에 의존적인 사이클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milling is carried out in a cycle depending on one or more of the kind of the two or more polymers and the desired particle size of the two or more polymers.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분쇄는 각각 1분인 15회 내지 30회 사이클의 빈도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4 or 25, wherein the milling is performed at a frequency of 15 to 30 cycles of 1 minute each.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 동안, 밀착(impaction) 속도는 15회 밀착/초인 것인 방법. 2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4 to 26, wherein during the milling, the adhesion rate is 15 closes / second. 제1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서 높은 다공도이고, 상기 지지체의 심부에서 낮은 다공도인 분급화된 다공도를 갖는 것인 방법. 28.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27, wherein the support has a classified porosity that is high porosity 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low porosity at the core of the support. 제1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탈은 제거, 및 용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2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28, wherein the elution comprises removal, and dissolution. 제1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지체. 30. A support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29. 제2항, 제5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탈은 제거, 및 용해를 포함하는 것인 지지체. 31. The support of any one of claims 2, 5-12, or 30, wherein elution comprises removal, and dissolution.
KR1020067021632A 2004-03-22 2005-03-18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KR200700189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632A KR20070018912A (en) 2004-03-22 2005-03-18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401544-2 2004-03-22
KR1020067021632A KR20070018912A (en) 2004-03-22 2005-03-18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25A Division KR101240582B1 (en) 2004-03-22 2005-03-18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912A true KR20070018912A (en) 2007-02-14

Family

ID=4365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632A KR20070018912A (en) 2004-03-22 2005-03-18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891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Novel 3D porous biocomposite scaffolds fabricated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and gas foaming combined technology
Du et al. 3D printing of ceramic-based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n overview
US9504574B2 (en) Tissue repair and replacement
US7087200B2 (en) Controlled local/global and micro/macro-porous 3D plastic, polymer and ceramic/cement composite scaffold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Schieker et al. Biomaterials as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Mathieu et al. Bioresorbable composites prepared by supercritical fluid foaming
KR101240582B1 (en)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US20060210598A1 (en) Resorbable structure for treating and healing of tissue defects
WO2001032072A3 (en) Biodegradable polymer/ceramic implant material with bimodal degradation profile
Suwanprateeb et al. Influence of printing parameters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3D‐printed plaster of paris to hydroxyapatite and its properties
CN110615676A (en) Ceramic support prepared by combin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template and foam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Darus et al. Techniques for fabrication and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bioceramic scaffolds: effect on pores size,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CN106178124A (en) A kind of degradable macromolecule network/calcium phosphate bone cement composite bone repairing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US20210260249A1 (en) Three-dimensional printed hydroxyapatite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precurso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inting
Abdurrahim et al. Recent progress on the development of porous bioactive calcium phosphat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N109331222B (en) Bone repair material capable of forming 3D porous scaffold in situ and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70018912A (en) Method for obtaining graded pore structure in scaffolds for tissues and bone, and scaffolds with graded pore structure for tissue and bone
KR101280891B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a bone chip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and a bone chip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made by the same
EP1265952A1 (en) Microporous polymer matrices
Magnaterra Additive manufacturing of hydroxyapatite scaffolds for bone repair
Baino et al. Tesi di Laurea Magistrale
CN115957376A (en) Preparation method of 3D printing bionic composite porous scaffold
Ambrosio et al. Bioactive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from the process to the biological validation
Dorozhki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MEDICAL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