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161A -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 Google Patents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161A
KR20070018161A KR1020050072551A KR20050072551A KR20070018161A KR 20070018161 A KR20070018161 A KR 20070018161A KR 1020050072551 A KR1020050072551 A KR 1020050072551A KR 20050072551 A KR20050072551 A KR 20050072551A KR 20070018161 A KR20070018161 A KR 2007001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fixing
communication termi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7199B1 (en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199B1/en
Priority to CN2006101034918A priority patent/CN1913540B/en
Publication of KR2007001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for standing up and fix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hotographing the camer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support consisting of at least one support having a support seat which is mounted in each of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and protruding fixed from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이동통신 단말기, 고정지지부, 카메라폰, 삼발이, 타이머, 리모콘 Mobile terminal, fixed support, camera phone, tricycle, timer, remote control

Description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 triv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in the prior art,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고정지지부(A)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지지부(A)의 확대도면이며,3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support 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4는 도 2의 제 1 지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도면이고,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FIG.

도 5는 도 2의 제 3 지지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hird support of FIG.

도 6은 도 2의 제 3 지지대가 제 3 지지대 삽입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화부의 부분 단면도이며,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iving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support of FIG. 2 is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도 7은 도 2의 제 1 내지 제 3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 third supports of FIG. 2 are unfolded.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 : 수화부 20 : 통화부10: receiver unit 20: call unit

30 : 제 1 지지부30: first support part

31 : 제 1 지지대 32 : 고정홈31: first support 32: fixing groove

33 : 축공 34 : 원통면33: shaft hole 34: cylindrical surface

35 : 축 36 : 고정돌기35: axis 36: fixed protrusion

40 : 제 2 지지부40: second support part

41 : 제 2 지지대 49 : 제 2 지지대 삽입홈41: second support 49: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50 : 제 3 지지부50: third support

51 : 제 3 지지대 52 : 고정요홈51: third support 52: fixing groove

53 : 래크부 54 : 돌출턱53: rack portion 54: protruding jaw

55 : 경사부 56 : 손잡이부55: inclined portion 56: handle portion

57 : 절곡부 58 : 판스프링57: bend portion 58: leaf spring

59 : 제 3 지지대 삽입홈59: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60 : 볼트60: bol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for standing up and fix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hotographing the camera.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그 성능면에서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거의 동등한 성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 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고정하여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generally have a digital camera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lmost the same performance as a general digital camera in terms of performance. Accordingly, various pictures or videos can be taken using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fix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hand to take a picture of the subjec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여 촬영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a subject using a camera,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hand.

이로 인해 손의 떨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흔들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원하는 화질의 사진을 얻을 수 없었으며, 또한, 자신이 직접 자신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전신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카메라의 기능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As a result, shaking and the like may occur in the captured image due to the shaking of the hand, and thus a picture of a desired quality cannot be obtained, and when the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of herself, the user cannot take a whole body.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imer function, there is no means for fix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righ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the camera cannot be utilized 100%.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의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삼발이의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를 나타낸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raised, and according to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of a trivet capable of fix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1 shows a triv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in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삼발이(1)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해당하는 클립(2)과, 지면으로부터 클립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수직 조절수단에 해당하는 자바라(4)와, 지면에 위치하여 수직 높이를 연장 가능하게 조절하는 고정지지 연장수단에 해당하는 다리(6)로 구성된다.The trivet 1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a clip 2 corresponding to a fixing means for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rizontal vertical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clip from the ground. It consists of a bellows 4 and a leg 6 corresponding to a fixed support extension means positioned on the ground so as to extend the vertical height.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1)는 클립 (2)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한다. 클립(2)의 하단은 자바라(4)의 상단(41)과 결합되며, 자바라(4)는 지면으로부터 클립(2)의 수직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자바라(4)는 상하좌우 사용자의 변형에 따라 자유로이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바라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21)을 이용해 촬영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7)을 삼발이의 상단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trivet 1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lated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es a clip 2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wer end of the clip 2 is coupled with the upper end 41 of the bellows 4, which allows the bellows 4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and horizontality of the clip 2 from the ground. In particular, the bellows 4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adjustable freely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user up, down, left and right.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 can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ivet for photographing using the clip 2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ellow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삼발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여야만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tricyc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wants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aking a picture using a camera, the user can always use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고자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삼발이(1)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운 짐을 가지게 되어 휴대성에서 현저한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camera photography in a fix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has to carry the trivet 1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uses a burden for the user and causes a problem of providing a great inconvenience in portability.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삼발이(1)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 구성된 것에 의해 분실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trivet 1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of always having the risk of loss by being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돌출되어 고정되는 지지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로 형성하여 카메라에 의한 촬영시 등의 경우에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when at least one support unit having a support protruding and fix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when shooting by the camer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to enable the camera to be fixed as need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e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support consisting of at least one support having a support seat which is mounted in each of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and protruding fixed from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상기 고정지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의 정면 또는 통화부의 배면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1 삽입홈에서 펼쳐지는 제 1 지지대를 구비한 제 1 지지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2 지지대를 구비한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통화부 저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3 지지대를 구비한 제 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having a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f any one of a front side of a receiver or a bottom of a rear surface of a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irst support extended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A second support part having a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support projecting from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And a third support having a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rt facing the second support and a third support protruding from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 측부면에서 상기 축공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구비한다.The first support may include a shaft hole formed to penetrate laterall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disposed radially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hole i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is formed with the shaft hole.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축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홈이 이루는 원의 대응되는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의 양측벽의 일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다.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may include a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at a position where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is inserted to rotatably fix the first support;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upport insertion slot corresponding to the circle formed by the fix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은, 일측면의 하단부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을 가지는 래크부와; 상기 래크부의 하부 영역에는 래크부의 평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may include a rack having at least one fixing recess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lower end region of one side surface; The lower region of the rack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otruding jaw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plane of the rack portion.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 및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래크부 각각과 면하는 내측벽에 각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and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are fixed to the inner wall facing each of the rack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er and the fastener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consisting of an elastic suppo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구를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판스프링 또는 상기 래크부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절곡부와 고정핀은 고정수단의 고정구에 대응되며, 판스프링 또는 스프링은 고정수단의 탄성지지체에 대응된다.Here, the fixing means has a spring having one end bent to form the fixture or a spring fixed to one of the inner wall facing the rack and a fixing pin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elastic fixing pin.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and the fixing pin correspond to the fixture of the fixing means, and the leaf spring or spring corresponds to the elastic support of the fixing means.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지지대가 펼쳐진 후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2 지지대 및 제 3 지지대가 돌출된 후 고정수단의 절곡부가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fter the first support is opened, and the bending portion of th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ecess after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re protruded. By being fix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kept fixed in an upright posi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지지부(A)의 확대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support (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10)의 정면 하부에는 제 1 지지부(30)가 형성되고, 통화부(20)의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first support part 30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e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support part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rt 20, respectively. The third support part 50 is form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지지부(30)는 수화부(10)에서 요입형성되는 제 1 지지대 삽입홈(31)과 제 1 지지대 삽입홈(31)에서 회전되도록 일단부가 축결합되는 제 1 지지대(3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ort part 30 has a first end that is axially coupled to rotate in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1 and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1 formed in the recess 10. It consists of one support 34.

그리고, 상술한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부(20)의 저면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art 40 and the third support part 50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rt 20 as shown in FIG. 3.

상기 제 2 지지부(40)는 통화부(20)의 좌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요입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49)과 제 2 지지대 삽입홈(49)에서 삽입 또는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대(41)로 구성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groove 49 and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49 and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49 is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left side of the communication unit 20 is inserted or protruded It is composed of a support (41).

그리고, 제 3 지지부(50)는 통화부의 우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요입형성디는 제 3 지지대 삽입홈(59)과 제 3 지지대 삽입홈(50)에서 삽입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지지대(51)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part 50 may be inserted into and projected from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and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0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at the right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rt. It is composed of

도 4는 상기 제 1 지지부(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의 a는 제 1 지지대(31)의 상세 구성을 나태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제 1 지지부삽입홈(37)의 상세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수화부(10)의 사시도이다.FIG.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0.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FIG. 4B is a first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37. A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part 10 for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is.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31)는 바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좌우측면을 좌우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공(33)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 양 측부면에는 상기 축공(33)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32)이 원을 이루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지지대(31)의 하부단부는 제 1 지지대(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면(34)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4, the first support 31 has a bar shape, and a shaft hole 33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2 are formed in a circle at both sides of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support on which the shaft holes 33 are formed,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radially about the center of the shaft holes 33. do. 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31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surface 34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31).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은 상기 제 1 지지대(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10)의 하부 정면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하부에는 제 1 지지대(31)의 축공(33)에 축 결합되는 축(35)이 가로 방향으로 축설된다. 또한,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양측벽에서 상기 축(35)에 축 결합되는 제 1 지지대의 고정홈(32)이 이루는 원에 대응되는 일 위치에는 각각 고정홈(32)에 삽입되어서 제 1 지지대(31)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제 1 지지대의 고정홈(32)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어 제 1 지지대(31)의 회전시 제 1 지지대(31)의 측면에 의해 눌려지고 고정홈(32)의 위치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홈(32)에 끼워지게 되어 제 1 지지대(31)를 고정시킨다.And, as shown in b of FIG. 4,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7 has a length at the center of the lower front of the receive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first support 3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dented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a shaft 35 coupled to the shaft hole 33 of the first support 3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wo grooves of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7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32 at on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le formed by the fixing grooves 32 of the first support shaft coupled to the shaft 35. A fixing protrusion 36 is fixed to prevent the first support 31 from being rotated. The fixing protrusion 36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32 of the first support by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s pressed by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31 when the first support 31 is rotated and the fixing groove 32 In the position of)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32 by the elastic force to fix the first support (31).

상술한 구성에서 제 1 지지대(31)는 제 1 지지대 삽입홈(37)에 삽입된 후, 수화부(10)의 내측에서 축(35)을 제 1 지지대(31)의 축공(33)에 삽입되도록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지지대 삽입홈(37)에서 축(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된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support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7, and then the shaft 35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3 of the first support 31 after the inner side of the receiver 10. By assembling is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shaft 35 in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37.

상기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는 서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새로 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 3 지지부(50)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2 지지부(40)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4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50 have a line-symmetrical structure centering on the center line in the new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50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support part 40 is abbreviate | omitted.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 3 지지대(5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3 지지대(51)가 제 3 지지대 삽입홈(5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화부(10)의 부분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support 5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ing portion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support 51 is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지지대(51)는 일측면의 하부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요입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52)이 형성되는 래크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래크부(53)의 하부에는 래크부(53)의 평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턱(54)이 형성된다. 돌출턱(54)은 제 3 지지대(51)가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으로 더 이상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5, the third support 51 is formed with a rack portion 53 in which at least one fixing recess 52 is formed which is recess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lower region of one side. . In addition, a protrusion jaw 54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plane of the rack portion 53 is formed below the rack portion 53. The protruding jaw 54 prevents the third support 51 from flowing further into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다음으로 돌출턱(54)을 시작점으로 하여 제 3 지지대(51)의 하단부는 수화부(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경사부(55)가 형성되어 수화부(10)의 외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돌출턱(54)과 경사부(55)를 이루는 부위가 제 3 지지대의 손잡이부(56)가 되며, 손잡이부(56)는 수화부(10)의 저면에서 돌출턱(54)에 의하여 일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지지대(51)를 파지하여 제 1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Next, the lower end of the third support 51 with the protruding jaw 54 as a starting point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55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 to harmonize with the appearan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 Configured to achieve. Here, the part forming the protruding jaw 54 and the inclined portion 55 becomes the handle portion 56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handle portion 56 is fixed by the protruding jaw 54 at the bottom of the hydration portion 10.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first support 51 to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59.

도 6은 도 5의 제 3 지지대(51)가 수화부(10)의 제 3 지지대 삽입홈(5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화부(10)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은 제 3 지지대(5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제 3 지지대 삽입홈(59)과 닮은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벽에서 상기 래크부(5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3 지지대(51)의 고정요홈(52)에 삽입되어 제 3 지지대(51)를 고정시키는 절곡부(57)를 가지는 판스프링(58)이 볼트(60)에 의해 고정된다.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er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support 51 of FIG. 5 is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of the receiver 10, as shown in FIG.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is formed to have an inner space similar to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so that the third support 51 can be inserted and seated therein. Then,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ck portion 53 on the inner wall of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2 of the third support 51 is bent to fix the third support 51. The leaf spring 58 having the portion 57 is fixed by the bolt 60.

상술한 절곡부(57)를 가지는 판스프링(58)은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고정구와 탄성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3 지지대(51)의 래크부(53)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절곡부(58) 및 고정핀은 고정수단의 고정구에 대응되며, 판스프링 및 스프링은 고정수단의 탄성지지체에 대응된다. The leaf spring 58 having the above-described bent portion 57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replaced by various fixing means formed of a fixture and an elastic support. That is, an elastic fixing pin having a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an inner wall facing the rack portion 53 of the third support 51 and a fixing pin coupled to the fixing recess 52 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ay be replaced by Here, the bent portion 58 and the fixing pins correspond to the fixtures of the fixing means, and the leaf springs and the springs correspond to the elastic support of the fixing means.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대(51)는 제 1 지지대 삽입홈(59)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 때 제 1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벽에 부착된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제 1 지지대(51)의 고정요홈(52)에 삽입되고, 판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지지대(51)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서 제 1 지지대(51)를 고정시킨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first support 51 is fitted into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59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57 of the leaf spring 58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59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ecess 52 of the first support 51, and the leaf spring 58 The first support 51 is fixe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support 51 by the elastic force.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상기 제 1 지지부(30)와 상기 제 2 지지부(40) 및 상기 제 3 지지부(50)가 본원 발명의 고정지지부가 된다. 제 2 지지부 (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지지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의 구조를 갖는다.2 to 7, the first support part 30, the second support part 40, and the third support part 50 become fixed suppor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upport part 40 has the structure of line symmetry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li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으로 상술한 고정지지부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fix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above-described fixed support will be describ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지지부(A)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31)를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하방향으로 펼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돌기(36)가 제 1 지지대(31)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2) 중 마주하는 고정홈(32)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지지대(31)가 자유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be fixed in a standing state by the fixed support A, the user rotates the first support 31 about the axis 35 as shown in FIG. 3. Unfold downwards. Then,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protrusions 36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upport inserting groove 37 face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2 formed below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31.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2 to fix the first support 31 to prevent free rotation.

다음으로,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대(51)의 취출과정을 제 3 지지부(50)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지대(31)가 펼쳐져 고정된 후에 사용자는 손잡이부(56)를 파지하여 제 3 지지대(51)를 제 3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취출한다. 이 때, 제 3 지지대(51)의 래크부(51)에 형성된 고정요홈(52)에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삽입됨으로써 제 3 지지대(51)에 마찰력과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제 3 지지대(51)는 제 3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취출된 후에는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고정요홈(5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Next,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second support 41 and the third support 51 will be described with the third support 50 as a representative. After the first support 31 is unfolded and fixed, the user grips the handle 56 to take out the third support 51 from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57 of the leaf spring 5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2 formed in the rack portion 51 of the third support 51 to provide friction and fixing force to the third support 51. do. That is, after the third support 51 is taken out from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59, the bent portion 57 of the leaf spring 58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recess 52.

제 2 지지대 또한 상술한 제 3 지지대와 동일한 동작과정에 의해 제 2 지지대 삽입홈으로부터 취출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support is also taken out from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and fixed by the same operation process as the above-described third support.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제 1 지지대(31)가 펼쳐져 고정되 고,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대(51)가 취출되어 고정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다.FIG. 7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first support 31 is unfolded and fix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second support 41 and the third support 51 are taken out and fix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제 1 지지부(30)의 제 1 지지대(31), 제 2 지지부(40)의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부(50)의 제 3 지지대(51)에 의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31 of the first support 30, the second support 41 of the second support 40, and the third support 51 of the third support 50, which ar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rected and fixed.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고정지지부를 제 1 내지 제 3 지지부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지지부의 지지부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2 to 7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upport portion is described as having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s, but the number of support portions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ortion is mobile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numbers in various locations to facilitate the terminal to be fixed.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위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향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개선된 품질의 영상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이머, 리모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타이머 또는 리모콘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100%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ternary state,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easily fix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desired angle when shooting, thereby improving qua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having a video image of the, and also provides the effect to utilize the shooting function of the subject by the timer or the remote control 100%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imer, a remote control function.

Claims (9)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A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a receiver and a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fixed support part comprising at least one support part seated in each of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and protruding and fixed from the support insertion groov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ed suppor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의 정면 또는 통화부의 배면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1 삽입홈에서 펼쳐지는 제 1 지지대를 구비한 제 1 지지부와;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f any one of a front side of a receiver or a lower portion of a rear surface of a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2 지지대를 구비한 제 2 지지부와;A second support part having a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support projecting from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통화부 저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3 지지대를 구비한 제 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third support having a third support insert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communication part opposite to the second support and a third support projecting from the third support inserting groo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sup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upport,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공과;A shaft hole formed laterally penetr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상기 축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 측부면에서 상기 축공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t least one fixing groove disposed radi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on which the shaft holes are formed, radially centering on the center of the shaft ho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upport insert groove,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축과;A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at a position where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is inserted to rotatably fix the first support;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홈이 이루는 원의 대응되는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의 양측벽의 일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with a fixe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rotrusion which protrudes from one posi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upport insert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ircle formed by the fix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상기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의 일측면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으로 이루어지는 래크부와;A rack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fixing recess in an area of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상기 래크부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rotruding jaw projecting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rack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groove and the third support insertion groove, 상기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3 지지대의 래크부에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 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fixing means inserted into the fixing recess groove and fixed to the rack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means,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xing support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an elastic suppo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means, 절곡되는 절곡부가 고정구로 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ationary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spring is a leaf spring is a fixtu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means, 상기 래크부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elastic fixing pin having a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an inner wall facing the rack and a fixing pin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recess 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KR1020050072551A 2005-08-09 2005-08-09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KR100687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en) 2005-08-09 2005-08-09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CN2006101034918A CN1913540B (en) 2005-08-09 2006-07-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fixed support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en) 2005-08-09 2005-08-09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161A true KR20070018161A (en) 2007-02-14
KR100687199B1 KR100687199B1 (en) 2007-02-26

Family

ID=3772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en) 2005-08-09 2005-08-09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7199B1 (en)
CN (1) CN191354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67A (en) * 2018-02-26 2019-09-04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binding module and multipurpose storage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6751B (en) * 2008-05-23 2012-05-16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Support for mobile phone
KR101885820B1 (en) * 2017-11-24 2018-08-06 주식회사 마이팝 Holder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5466Y (en) * 1999-10-28 2000-09-06 海尔集团公司 Mobile telephone with rack
CN2490622Y (en) * 2001-05-31 2002-05-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Carrier for personal digital processor with digital camera function
KR20050056717A (en)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60030953A (en)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ll phone with a trip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67A (en) * 2018-02-26 2019-09-04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binding module and multipurpose storage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199B1 (en) 2007-02-26
CN1913540A (en) 2007-02-14
CN1913540B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297B2 (en) Imaging device having stand connection
US8360085B2 (en) Top support structure of tent frame
CN110908223B (en) Tripod head shooting device
KR101022872B1 (en) Camera stand
CN111503479B (en) Tripod head shooting device
KR200481747Y1 (en) Tripod for selfie stick
KR101840741B1 (en) linked phone type selfie apparatus
KR101024928B1 (en) Stand hinge be able to separated and fixe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20237463A1 (en) Foldable handheld gimbal
CN108474514B (en) Tripod head shooting device
KR100687199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WO2020237464A1 (en) Foldable handheld gimbal
US20060275031A1 (en) Revolving lens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909340B1 (en)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CN106764350B (en) Combined stable cradle head
CN210372717U (en) Live photographic support
KR20110028798A (en) Umbrella holder for camera tripod
KR100468368B1 (en) Hinge device having two axes of rotation
KR102660785B1 (en) Tool for rotating camera
CN220506329U (en) Rotatable support arm and anti-shake self-timer rod
CN212107677U (en) A tripod strutting arrangement for from rapping bar
CN220488856U (en) From rapping bar cloud platform limit structure and from rapping bar
CN210839695U (en) Take tripod support function from rapping bar
KR200245985Y1 (en) picture frame
JP4288412B2 (en) Desktop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