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008A -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008A
KR20070018008A KR1020067016386A KR20067016386A KR20070018008A KR 20070018008 A KR20070018008 A KR 20070018008A KR 1020067016386 A KR1020067016386 A KR 1020067016386A KR 20067016386 A KR20067016386 A KR 20067016386A KR 20070018008 A KR20070018008 A KR 2007001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weight
salts
composition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1278B1 (en
Inventor
정혜선
정서영
권익찬
이수연
노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701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278B1/en
Publication of KR2007001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4Non-vesicle bilayer structures, e.g. liquid crystals, tubules, cubic phases, cochleates; Sponge ph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함유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 또는 큐보좀 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containing a biocompatible polymer in a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state, an emulsion or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escription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콜로이드계 조성물, 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Colloidal compositions, formulations, and formulations comprising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a biocompatible polymer in a three dimensional stabilized state, a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에멀젼(emulsion)은 하나의 액체가 자신이 섞이지 않는 다른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계를 일컬으며, 기름과 물로 구성된 에멀젼의 경우 연속 상(continuous phase)이 기름인지 물인지에 따라서, o/w (oil-in-water), w/o (water-in-oil), w/o/w 형태 등의 에멀젼으로 분류된다. 특히, o/w 형태의 에멀젼은 소수성 영역 (domain)을 가지고 있어서, 난용성 약물의 전달 체계로 유용하게 이용되어져 왔다. 에멀젼은 준안정 (metastable)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약물 전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에멀젼의 분해 속도를 느리게 하고 합체 (coalescence)를 포함한 엉김 현상에 대항해서 안정화시키기 위한 보조제(agent)가 요구된다.An emulsion is a system in which one liquid is dispersed in another liquid that it does not mix. For emulsions consisting of oil and water, o / w (oil) depends on whether the continuous phase is oil or water. -in-water, w / o (water-in-oil), w / o / w type emuls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o / w type emulsions have a hydrophobic domain and have been usefully used as a delivery system for poorly soluble drugs. Since emulsions are metastable systems, effective drug delivery functions require agents to slow down the decomposition of the emulsion and stabilize it against entanglement, including coalescence.

또한, 큐보좀은 모노글리세라이드 (monoglyceride)에 물을 가하면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안정한 입방상 (cubic phase) 구조체를 유화제를 이용하여 물에 분산시킨 것이다 (미국 특허 제5,531,925호). 에멀젼 또는 큐보좀 등의 분산계를 안정 화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가 필요하다. 유화제로는 주로 인지질,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된다. 큐보좀은 난용성, 양쪽성 약물을 쉽게 봉입하는 장점이 있으며, 점막 흡착성이 있으므로 경구용 약물 전달 체계로 적합하다.In addition, cubosomes are those in which a stable cubic phase structure spontaneously formed when water is added to monoglyceride is dispersed in water using an emulsifier (US Pat. No. 5,531,925). Emulsifiers are required to stabilize dispersion systems such as emulsions or cubosomes. Phospholipid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the like are mainly used as emulsifiers. Cubosomes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encapsulating poorly soluble and amphoteric drugs, and are suitable for oral drug delivery because they have mucoadhesive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자들의 발명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12465호,제2001-7123호 및 제2001-7125호에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유화제(emulsifier) 및 유기용매로 구성된 약물의 가용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약물의 가용화용 조성물은 난용성 물질 또는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가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조성물은 물에 혼합한 후 흔들어 주거나 볼텍스(vortex)를 하면 평균 입자의 크기가 500 nm 이하인 입자의 분산액을 쉽게 형성한다. 상기 가용화용 조성물은 약물의 분자량 및 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약물을 높은 효율로 봉입한다. 또한, 큐보좀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용화용 조성물의 분산액은 점막 흡착성을 가지므로 경구용 약물 전달 체계로 적합하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0-12465, 2001-7123 and 2001-7125 for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composition for solubilizing a drug consisting of a monoglyceride, an emulsifier and an organic solvent Is disclosed. The solubilizing composition of the drug is characterized by effectively solubilizing a poorly soluble substance or protein, the composition is easy to disperse the dispersion of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00 nm or less when shaken or vortex after mixing in water Form. The solubilizing composition has a degree of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and polarity of the drug, but most drugs are encapsulated with high efficiency. In addition, like the cubosome, the dispersion of the solubilizing composition is suitable for oral drug delivery because it has mucosal adsorption.

난용성 약물 및/또는 단백질등과 같은 물질의 체내 전달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질의 체내 전달 시스템으로 유용한 지방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분산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약물 등의 체내 전달 시스템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분산성 및 가용성을 얻기 위하여, 상당한 양의 별도의 유화제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하여 그 제조, 용도 및 효능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In order to enhance the in vivo delivery efficiency of substances such as poorly soluble drugs and / or proteins,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of the fat emulsions or cubosomes useful as in vivo delivery systems of these substances. Existing body delivery systems, such as drugs, require significant amounts of separate emulsifiers in order to obtain dispersibility and solubility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which limits their preparation, use and efficacy.

도 1은 실시예 51에서 제조된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을 동결 건조한 파우더의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of a powder lyophilized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prepared in Example 51

도 2는 인슐린을 함유하고 키토산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용액을 당뇨가 유도된 랫트에 경구 투여한 후 꼬리 정맥서 채취한 혈액 내의 상대적 혈당치를 투여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oral administration of a cubosome solution containing insulin and stabilized with an aqueous chitosan solution to a diabetic-induced rat, and then measuring relative blood glucose levels in blood collected from a tail vein at regular intervals after administration.

-●-; 인산염 완충용액 (PBS) 300 μL 경구 투여군,-●-; Phosphate buffer (PBS) 300 μL oral administration group,

-○-; 인산염 완충용액 (PBS)에 용해된 인슐린 300 μL 경구 투여군 (인슐린 농도 89 IU/kg),-○-; 300 μL oral dose of insulin dissolved in phosphate buffer (PBS) (insulin concentration 89 IU / kg),

- ■ -; 인슐린을 함유하고 키토산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용액 300μL (인슐린 농도 89 IU/kg).-■-; 300 μL of cubosome solution containing insulin and stabilized with aqueous chitosan solution (insulin concentration 89 IU / kg).

도 3은 파클리탁셀을 함유하고 알긴산염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용액을 정상 암컷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혈액에 흡수된 파클리탁셀의 농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howing oral administration of a cubosome solution containing paclitaxel and stabilized with an alginate aqueous solution to normal female mice,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clitaxel absorbed into the blood at regular intervals.

-●-; 트리카프릴린과 모노올레인의 혼합 기름에 저분자량 알긴산염 수용액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을 경구 투여한 군,-●-; Oral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paclitaxel and a composition in which a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queous solution is emulsified in a mixed oil of tricapryline and monoolein,

-■-; 유화제가 첨가된 상기 혼합 기름에 저분자량 알긴산염 수용액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물을 경구 투여한 군,-■-; Oral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a composi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queous solution and paclitaxel in the mixed oil to which the emulsifier is added,

-▲-; 유화제가 첨가된 상기 혼합 기름에 키토산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물을 경구 투여한 군.-▲-; Orally administering a mixture of paclitaxel and a composition in which chitosan is emulsified in the mixed oil to which an emulsifier is added.

기술적 과제Technical challenge

본 발명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현저하게 소량만을 사용하고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분산성이 우수하고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및 이에 약물이 담지된 분산성 및 점막 흡착성이 우수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dispersibility and has been stericly stabilized using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without using an emulsifier or using only a small amount, and a formulation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and mucoadsorbent supported on the drug. It aims to provide.

기술적 해결방법Technical solution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mulsions or cubosome compositions in a steric stabilized state, including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formulations comprising them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약물 등의 체내 전달 시스템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분산성 및 가용성을 얻기 위하여, 상당한 양의 별도의 유화제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하여 그 제조, 용도 및 효능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가 지방 에멀젼 또는 큐보좀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 즉, 친수성 고분자가 지질로 구성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계에서 유화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지금까지,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이 지방 에멀젼 또는 큐보좀을 안정화시킨다는 것과 관련하여 보고된 바가 전혀 없다.As described above, in vivo delivery systems such as drugs require significant amounts of separate emulsifiers in order to obtain dispersibility and solubility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which has limited their preparation, use and efficacy. . Thus, the inventors believe that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cts to stabilize the fat emulsion or cubosom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the hydrophilic polymer acts as an emulsifier in an emulsion or cubosome system composed of lipids. To date, nothing has been reported regarding the stabilization of fatty emulsions or cubosomes with aqueous hydrophilic polymers.

우선,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유화 및 안정화 작용으로 인하여 입체적으로 (sterically)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in a steric stabilized state, including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wherein the emulsion composition comprises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Due to the emulsific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sterical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e is stabilized.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멀졀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유화 및 안정화 작용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uls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the remainder. Regarding the composition, the emulsion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state by the emulsification and stabilizing action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안정화 작용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의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0.01 to 5% by weight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It is characterized by a composition of cubosomes stericly stabilized by stabilizing ac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큐보좀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안정화 작용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cubo comprising 0.1 to 6%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the remainder. Some relates to the composition, wherein the cubosom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state by the stabilizing action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또한, 본 발명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안정화 작용으로 인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phytantriol,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stabiliz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 파이탄 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큐보좀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안정화 작용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6%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by weight of pytan triol,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which accounts for the remainder. The cubosom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by the stabilizing action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조성물은 장기 보관을 위하여 물이 제거된 상태의 에멀젼 전구체 또는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 형태로 보관할수 있다.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동결 건조, 스프레이 건조(spray drying)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되어 안정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에멀젼 전구체 및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composition of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or cub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n emulsion precursor or a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in which water is removed for long term storage. As a method of removing the water,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may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ulsion precursor and a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which are dried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stable state.

우선,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의 조성물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of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 기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ng-term storageable steric stabilized emulsion comprising 0.1-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and 0.01-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t provides a precursor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장기 보관 가능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eric stabilized long-term storeable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oil,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 compound,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t provides a precursor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장기 보관 가능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eric stabilized long-term storage possible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또한, 본 발명은 한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oil,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

상기 기름으로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요오드화 기름, 식물성 기름 및 동물성 기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C2-C20 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트리아세틴 (triacetin), 트리부티린 (tributyrin), 트리카프로인 (tricaproin), 트리카프릴린 (tricaprylin), 트리카프린 (tricaprin), 및 트리올레인 (triole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화 오일은 리파이오돌, 요오드화 양귀비씨 기름 (iodized poppy seed oil), 에티오돌(ethiodol) 및 요오드화 대두유 (iodized soybean o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기름은 콩기름, 면실유, 올리브유, 양귀비씨 기름, 홍화씨기름 및 참기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기름은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glyceride, iodide oil, vegetable oil and animal oil as the oil. The triglycerides include monoglyceride compounds that are saturated or unsaturated C 2 -C 20 . For example, the triglycerides include triacetin, tributyrin, tricaproin, tricaprylin, tricaprin, triolein, and the like. It may include. The iodide oil may include lipidodol, iodide poppy seed oil, ethiodol, and iodized soybean oil. The vegetable oil may include soybea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oppy seed oil, safflower seed oil and sesame oil. The animal oil may include squalane, squalene and the like.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C10-C22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은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팔미톨레인(Monopalmitolein), 모노미리스톨레인(Monomyristolein), 모노일레이딘(Monoelaidin), 모노이루이신(Monoerucin),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합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올레인이다.The monoglyceride compound preferably contains a monoglyceride compound which is saturated or unsaturated C10-C22. For example, the monoglyceride compound is monooolein (Monoolein), monopalmititolein (Monopalmitolein), monomyristoleine (Monomyristolein), monoeilaidin (Monoelaidin), monoeirucin (Monoerucin), and vegetable or A mixture of monoglycerides semi-synthesized from triglycerides of animal oil, more preferably monoolein.

상기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는 천연 고분자(Natural polymer), 천연 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Modified natural polymer) 및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키토산(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덱스트란 및 그 유도체;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펙틴(Pec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알긴산(Algi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그 염 및 그 유도체; 잔탄(Xanth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아밀로즈(Amylose, 수용성 전분), 그 염 및 그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 연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는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그 염 및 그 유도체; 젤라틴(Gela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 산(Polyacrylic acid, PAA), 그 염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폴리(에틸렌옥시드-b-프로필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olymers, modified natural polymers, and synthetic polymers. The natural polymer is chitosan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Dextran and its derivatives; Acacia gum; Tragacanthin; Hyaluronic acid,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ect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lginic acid,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gar; Galactomannans,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Xanth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Beta-cyclodextr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mylose (water soluble starch), sal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Polymers modified from the natural ointment include glycol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ethyl cellulose (HE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cellulose (HPC),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MC); Methylcellulose,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Gelati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And protamine sulfate (Protamine sulfate) and the like. The synthetic polymer may be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acrylamide (PA);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AA),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ylene glycol (PEG); Poly (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polylysine, and the like.

상기 수용액은 친수성 고분자를 가용화시킬 수 있는 pH 3 내지 6의 산성수용액, pH 8 내지 10의 염기성 수용액, pH 5 내지 9의 완충용액 및 염 용액 등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ic aqueous solution of pH 3 to 6 that can solubilize the hydrophilic polymer, a basic aqueous solution of pH 8 to 10, a buffer solution and a salt solution of pH 5-9.

또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기타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안정화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보다 훨씬 적은 양의 유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은 여기에 포함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의 유화 및 안정화 작용에 의하여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보다 현저하게 적은 양만으로도 충분히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은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류, 지방산의 알코올류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첨가제를 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other additives in an amount of up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much smaller amounts of emulsifiers may be added than are commonly used for stabilizing emulsions or cubosomes. The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state without including an emulsifier by emulsification and stabilizing action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ncluded therein, and an amount commonly used even when an emulsifier is included. More significantly less amount can maintain a sufficiently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state. In addition, the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conventionally available additive such as fatty acids, esters of fatty acids, alcohols of fatty acids and the like in an amount of 0 to 5% by weight.

상기 유화제는 인지질, 스핑고지질(sphingolipid),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담즙산(bile acid)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olipids, sphingolipid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bile acids.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 serine) 유도체, 및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지질(polymeric lipi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스핑고지질은 세라마이드계(ceramides), 세레브로사이드계(cerebroside) 및 스핑고마이엘린계(sphingomyelin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폴록사머(Poloxamer; Pluroni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솔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Span),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polyoxy ehtylene ethers; Brij)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포스파티딜세린 유도체,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유도체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1-(1,2-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N-[1-(1,2-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디올레일-3-에틸포스포콜린(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및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β-[N-[(N',N'-dimethylamino)ethan]carbamoyl]chlorestero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담즙산은 콜린산(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리토콜린산(Litho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및 체노콜린산(Cheno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spholipid used as the emulsifier preferably includes a phosphatidyl choline derivative, a phosphatidyl ethanolamine derivative, a phosphatidyl serine derivative, and a lipid bound to a hydrophilic polymer. The sphingolipids used as the emulsifier preferably include ceramides, cerrebrosides and sphingomyelins.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as the emulsifier is poloxamer (Poloronic;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copolymer), sorbitan esters (Span), 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And polyoxyethylene ethers (Brij). The anionic surfactant used as the emulsifier preferably includes a phosphatidylserine derivative, a phosphatitidic acid derivative,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The cationic surfactant used as the emulsifier is 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1, 2-dioleyl-3-ethylphosphocholin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and 3β- [N-[(N ', N'-dimethylamino) ethane] carbamoyl] cholesterol (3β- [ N-[(N ', N'-dimethylamino) ethan] carbamoyl] chloresterol). Bile acids used as emulsifiers include 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Deoxy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Litho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cheno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생체 적합성 수용성 고분자는 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고분자거나 이들로부터 반합성되는 것이므로, 입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점막 흡착성이 있어 약물 전달 체계로 사용되기에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기름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의 유화제 작용에 의하여 유화 과정이 매우 간단하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에 의해하여 입체적으로 (sterically) 안정화된 기름 조성물은 약물의 서방적 방출 (controlled release)을 유도할 수 있는 제형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친수성 고분자가 생분해 가능하고(biodegradable), 생체내 흡수 가능하고(bioabsorbable), 생체 적합하므로, 안전한 물질이다.Since the biocompatible water-soluble polym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polymers that are present in nature or are semi-synthesized from them, not only are they easily available, but also have mucosal adsorption, which is advantageous for use as drug delivery systems. In addition, the oil composition comprising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s another feature that the emulsification process is very simple by the emulsifier action of the polymer. The oil composition which is stericly stabilized by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tilized to prepare a formulation capable of inducing a controlled release of the drug. In addition, many hydrophilic polymers are biodegradable, bioabsorbable, and biocompatible, thus making them safe materials.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조성물은 장기 보관을 위하여 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멀젼을 건조하여 보관하기 위해서는 건조시 및 재분산시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동결 건조 보호제 또는 크리밍 억제 물질을 첨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가 동결 건조시 입자의 뭉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별도의 동결 건조 보호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콜로이드 입자는 건조된 고분자에 흡착되어 존재하다가 재분산시키기 위하여 수용액을 첨가하면 쉽게 재분산된다.The composition of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or cub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state where water is removed for long term storage. Generally, in order to dry and store the emulsion, a large amount of freeze-drying protector or creaming inhibitor should be added to increase stability during drying and redispers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used as a stabilizer effectively prevents agglomeration of particles during freeze-drying, there is a great advantage of not having to add a separate freeze-drying protective agent. In addition, the colloidal particles are adsorbed by the dried polymer and are easily redispersed by adding an aqueous solution to redisperse.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of a steric stabilized emulsion. The manufacturing method,

1) 한 가지 이상의 기름과 임의적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유화제를 잘 섞어서 단일액상으로 만들고;1) a good mixture of one or more oils and optionally monoglycerides and / or emulsifiers into a single liquid phase;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are optionally mixed with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3)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single liquid phase and the solu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s 1) and 2) together.

이 때, 단계 1) 및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에서 단일액상을 만들기 위해서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 (sonication) 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vortexing), 소니케이션(sonication), 미세유동화(microfluidization)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it can be warmed or sonicated to produce a single liquid phase. Dispersion methods in step 3) include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and microfluidiz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steric stabilized cubosome compos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1)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잘 섞어 단일액상으로 만들고;1) monoglyceride, phytantriol, monoglyceride / oil mixture or phytantriol / oil mixture and optionally emulsifier well mixed into a single liquid phase;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are optionally mixed with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3)상기 단계 1) 및 2)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single liquid phase and the solu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s 1) and 2) together.

이 때, 단계 1)과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에서 단일액상을 만들기 위하여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미세유동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it can be warmed or sonicated to make a single liquid phase. The method of dispersing in step 3) includes shaking by hand, vortexing, sonication, microfluidiz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또다른 제조 방법은,Another method for producing the steric stabilized cub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수용액과 섞어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고;1)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by mixing a monoglyceride, phytantriol, monoglyceride / oil mixture or phytantriol / oil mixture and optionally an emulsifier with an aqueous solution;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are optionally added to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3)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얻어진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obtained in steps 1) and 2) together with the solution.

이 때, 단계 1)과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에서 단일액상을 만들기 위하여 가온하거나 소니 케이션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수용액을 혼합한다. 이 때 수용액의 양과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이 형성된다. 상기 단계 1)에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기 위하여 주사기 및 삼방향 스톱-코르크(stop-cork)로 구성된 지질혼합기(Cheng A., Hummel B., Qiu H., Caffrey M., Chem Phys Lipids, 1998; 95; 11-20)를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혼합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미세유동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it can be warmed or sonicated to make a single liquid phase. In order to form the L 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in step 1), a monoglyceride, a phytantriol, a monoglyceride / oil mixture or a phytantriol / oil mixture and an aqueous solution are mixed. At this time, the L 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is form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and the kind of the additive. Lipid mixer (Cheng A., Hummel B., Qiu H., Caffrey M., consisting of a syringe and three-way stop-cork) to prepar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in step 1). Chem Phys Lipids, 1998; 95; 11-20) or a similar mixing method can be used. The method of dispersing in step 3) includes shaking by hand, vortexing, sonication, microfluidiz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조성물은 본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조성물을 동결 건조 또는 스프레이 건조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을 동결 건조 또는 스프레이 건조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drying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The steric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drying the steric stabilized cub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상기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및 에멀전 전구체 또는 큐보좀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기름, 모노글리세라이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유화제 및 수용액은 상기한 바와 같다.The oils, monoglycerides,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emulsifiers and aqueous solutions used in the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emulsion precursors or cubosome precursors are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약물 및 상기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rmulation comprising a drug and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ree-dimensional stabilizat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0.1 to 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account for the remainder. Emulsion formulations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0.1-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30%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5% by weight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0.1-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Provided are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emulsion formulations comprising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account for the remainder.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ree dimensions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 to 5% by weight of biocompatible polymers, 0.1 to 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account for the remainder. Provided are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s.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0.1 to 6%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 to 5%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and 0.1 to 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It provides a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또한, 본 발명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steric stabilized cubo comprising 0.1-30% by weight of phytantriol, 0.01-5% by weight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0.1-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Provide some for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0.1 to 6%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by weight phytantriol, 0.01 to 5% by weight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0.1 to 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to account for the remainder. Or a steric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an aqueous solution.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제형은 장기 보관을 위하여, 하기의 에멀젼 전구체 제형 또는 큐보좀 전구체 제형과 같이, 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동결 건조, 스프레이 건조(spray drying)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Formulations of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s or cub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with water removed, such as the following emulsion precursor formulations or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s, for long term storage. As a method of removing the water,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may be used.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제형을 제공한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formula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It provides a long-term storage steric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for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제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 compou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drug. Provide for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0.1 to 6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oil,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 compou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water. To provide a long-term storage steric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의 제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rmulation of 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제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long-term storage contain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oil,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water. Provided are steric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s.

상기 기름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요오드화 기름, 식물성 기름 및 동물성 기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C2-C20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트리아세틴 (triacetin), 트리부티린 (tributyrin), 트리카프로인 (tricaproin), 트리카프릴린 (tricaprylin), 트리카프린 (tricaprin), 및 트리올레인 (triole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화 오일은 리파이오돌, 요오드화 양귀비씨 기름 (iodized poppy seed oil), 에티오돌 (ethiodol) 및 요오드화 대두유 (iodized soybean o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기름은 콩기름, 면실유, 올리브유, 양귀비씨 기름, 홍화씨기름 및 참기름 등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동물성 기름은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il is preferably sel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triglycerides, iodide oils, vegetable oils and animal oils. The triglyceride preferably contains a monoglyceride compound which is saturated or unsaturated C2-C20. For example, the triglycerides include triacetin, tributyrin, tricaproin, tricaprylin, tricaprin, triolein, and the like. It may include. The iodide oil may include lipidodol, iodide poppy seed oil, ethiodol, and iodized soybean oil. The vegetable oil may include soybea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oppy seed oil, safflower seed oil and sesame oil. The animal oil may include squalane, squalene and the like.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C10-C22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은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팔미톨레인(Monopalmitolein), 모노미리스톨레인(Monomyristolein), 모노일레이딘(Monoelaidin), 모노이루이신(Monoerucin),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합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올레인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onoglyceride comp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turated or unsaturated C10-C22 monoglyceride compound. For example, th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nooolein (Monoolein), monopalmititolein (Monopalmitolein), monomyristoleine (Monomyristolein), monoeilaidin (Monoelaidin), monoeirucin (Monoerucin), and It is selected from a mixture of semi-synthesized monoglycerides from triglycerides of vegetable or animal oil, more preferably monoolein.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는 천연 고분자(Natural polymer), 천연 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Modified natural polymer), 및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 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키토산(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덱스트란 및 그 유도체;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펙틴(Pec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알긴산(Algi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그 염 및 그 유도체; 잔탄(Xanth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아밀로즈(Amylose, soluble starch), 그 염 및 그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 연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는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메틸 셀룰로오스 (Methyl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그 염 및 그 유도체; 젤라틴(Gela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 산(Polyacrylic acid, PAA), 그 염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olymer, modified natural polymer, synthetic polymer, and the like. The natural polymer is chitosan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Dextran and its derivatives; Acacia gum; Tragacanthin; Hyaluronic acid,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ect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lginic acid,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gar, Galactomannans,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Xanth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Beta-cyclodextr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mylose (soluble starch), sal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Polymers modified from the natural ointment include glycol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ethyl cellulose (HE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cellulose (HPC),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MC); Methyl cellulose,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Gelati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And protamine sulfate and the like. The synthetic polymer is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acrylamide (PA);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PAA),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ylene glycol (PEG); poly (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oly ( 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and polylysine.

상기 약물은 단백질,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계 소염제 (SAID),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NSAID), 항생제, 항진균제, 비타민, 호르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항암제, 항대사제, 축동제(mitotics), 콜린작동성 약물, 아드레날린 길항제(adrenaline antagonist), 항경련제, 항불안제, 정온제, 항우울제, 마취제, 진통제, 동화성 스테로이드제, 에스트로겐(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P-당단백질 억제제, 간대사 저해제,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촉진제 등일 수 있다.The drugs include proteins, antiviral agents,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ntibiotics, antifungal agents, vitamins, hormones, prostaglandin, prostacyclin, anticancer agents, anti-metabolites, mobilizers mitotics, cholinergic drugs, adrenaline antagonists, anticonvulsants, anti-anxiety agents, thermostats, antidepressants, anesthetics, analgesics, anabolic steroids, estrogens, progesteron, glycosaminoglycans (glycosaminoglycan), polynucleotides, P-glycoprotein inhibitors, hepatic metabolism inhibitors, immunosuppressants or immunostimulants and the like.

상기 단백질은 기능성 펩타이드(functional peptide); 부신피질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과 절편(fragment); 안지오텐신(angioten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항체 절편(antibody fragment); 항원(antigen)과 그의 절편; 심방 나트륨 배설촉진 펩타이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생부착성 펩타이드(bioadhesive peptide); 브래디키닌(Bradykin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칼시토닌(calciton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 절편(cell surface receptor protein fragment); 화학주성 펩타이드(chemotactic peptide); 시클로스포린류(cyclosporins); 사이토카인류(cytokines); 디노르핀(Dynorph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엔돌핀(endorphin)과 β-리도트로핀 절편 (β-lidotropin fragment); 엔케팔린(enkephalin)과 그의 관련 단백질; 효소활성 억제제(enzyme inhibitors); 피브로넥틴 절편(fibronectin fragment)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위장 펩타이드(gastrointestinal peptide); 성장호르몬 분비 펩타이드(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 면역자극 펩타이드(immunostimulating peptide); 인슐린 (insulin)과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인터루킨류(interleukins),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 호르몬(luth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핵 전달신호(neuclear localization signal) 관련 펩타이드; 뉴로텐신(neuroten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신경전달물질 펩타이드(neurotransmitter peptide); 아편양제제 펩타이드(opioid peptide); 옥시토신(oxytocin); 바소프레신(vasopres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부신피질 호르몬(parathyroid hormone)과 절편; 단백질 키나아제(ptotein kinase) 관련 펩타이드;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기질 P(substance P)와 그의 관련 펩타이드; 전이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및 그의 관련 펩타이드; 종양 괴사 인자 절편(tumor necrosis factor fragment); 면역글로블린 (immunoglobulin)류, 안지오제닌 (angiogenin), 골형성 단백질 (bone morphogenic protein), 케모카인 (chemokine), 콜로니 자극 인자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와 관련 단백질, 성장인자류(growth factors),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interleukin), 렙틴(leptin), 소아마비 억제인자(leukemia inhibitory factor), 간세포 인자류(stem cell factors) 및 독소(toxin) 또는 톡소이드(toxoid)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의 관련 펩타이드와 관련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종류가 약간씩 다르면서 구조나 기능이 유사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약물로 사용되는 펩타이드 중 인슐린은 소 췌장 인슐린(bovine pancreatic insulin), 인간 재조합(human recombinant) 인슐린, 돼지 췌장 (porcine pancreatic) 인슐린, arg-인슐린(arg-insulin), 인슐린-바이오틴(insulin-biotin), 인슐린-FITC(insulin-FITC), 리스프로(LysPro, 미국 Eli Lilly),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인슐린(polyethylene glycol-insulin, PEG-insulin)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functional peptide)는 안지오스타틴(anglostatin)을 포함한 항암성(anticancer) 펩타이드, 항고혈압(antihypertension) 펩타이드, 항혈전(antiblood-clotting) 펩타이드, 및 항진균성(antimicrobial)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in is a functional peptide (functional peptid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and fragments; Angiotensin and its related peptides; Antibody fragments; Antigen and fragments there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Bioadhesive peptides; Bradykinin and its related peptides; Calcitonin and its related peptides; Cell surface receptor protein fragments; Chemotactic peptides; Cyclosporins; Cytokines; Dynorphin and its related peptides; Endorphins and β-lidotropin fragments; Enkephalin and its related proteins; Enzyme inhibitors; Fibronectin fragments and related peptides; Gastrointestinal peptide; 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s; Immunostimulating peptides;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Interleukins, luth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nd related peptides;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related peptides; Nuclear localization signal related peptides; Neurotensin and related peptides; Neurotransmitter peptides; Opioid peptides; Oxytocin; Vasopressin and its related peptides; Parathyroid hormones and fragments; Protein kinase related peptides; Somatostatin and related peptides; Substrate P and its related peptid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and related peptides thereof; Tumor necrosis factor fragments; Immunoglobulins, angiogenin, bone morphogenic protein, chemokine,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 and related proteins, growth factors, Interferon, interleukin, leptin, leukemia inhibitory factor, stem cell factors and toxins or toxoids. In this case, the related peptides and related proteins refer to peptides and proteins similar in structure or function to slightly different amino acids. Among the peptides used as the drug, insulin is bovine pancreatic insulin, human recombinant insulin, porcine pancreatic insulin, arg-insulin, and insulin-biotin. ), Insulin-FITC (insulin-FITC), LisPro (Ely Lilly, USA), and polyethylene glycol-insulin (polyethylene glycol-insulin, PEG-insulin). In addition, the functional peptide may include anticancer peptides including angiostatin, antihypertension peptides, antiblood-clotting peptides, and antimicrobial peptides. Can be.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카무스틴 (BCNU), 다카바진, 에도포사이드, 플루오로우라실 (5-FU) 또는 파클리탁셀 및 그 유도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파클리탁셀 유도체로서 파클리탁셀, 도시탁셀, 브로모탁셀, 탁소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당단백질 억제제는 신코닌(cinchonin), 칼슘 채널 저해제, 칼모듈린 길항제,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caloid), 항부정맥제, 스테로이드, 항고혈압제, 구충제, 및 면역억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칼슘 채널 저해제는 베라파밀(verapamil), 니페디핀(nifedipine), 니카디핀(nicardipine), 및 니트렌디핀(nitrendipine)과 같는 디히드로피리딘(dihydropyridin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모듈린 길항제는 트리플루오로페라진(trifluoroperaz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고혈압제는 레세핀(reserp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카 알칼로이드는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빈블라스틴(vinblast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프로게스테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부정맥제는 아미오다론(amiodarone), 및 퀴니딘(quinid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충제는 퀴나크린(quinacrine), 및 퀴닌(quin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역억제제는 사이클로스포린류, 스타우로스포린(staurosporine), 및 태크로리머스(tacrolim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 대사 저해제는 사이클로스포린 A, 독소루비신(doxorubicin), 에토포사이드(etoposide, VP-16) 또는 시스플라틴(cisplatin)과 같은 항암제, 베라파밀(verapamil), 및 타모시펜(tamoxif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cancer agent may be a doxorubicin, cisplatin, carboplatin, carmustine (BCNU), dacarbazine, edoposide, fluorouracil (5-FU) or paclitaxel and derivatives thereof. The paclitaxel derivative may include paclitaxel, docetaxel, bromotaxel, taxotere, and the like. The P-glycoprotein inhibitor may include a cinchonin, a calcium channel inhibitor, a calmodulin antagonist, a vinca alcaloid, an antiarrhythmic agent, a steroid, an antihypertensive agent, an antiparasitic agent, an immunosuppressive agent,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alcium channel inhibitor may include verapamil, nifedipine, nididipine, nicardipine, dihydropyridines such as nitrendipine, and the like. The calmodulin antagonist may include trifluoroperazine and the like. The antihypertensive agent may include respine or the like. The vinca alkaloid may include vincristine, vinblastine, and the like. The steroid may include progesterone and the like. The antiarrhythmic agent may include amiodarone, quinidine, and the like. The repellent may include quinacrine, quinine, and the like. The immunosuppressive agents may include cyclosporins, staurosporine, tacrolimus, and the like. The hepatic metabolism inhibitor may include an anticancer agent such as cyclosporin A, doxorubicin, etoposide (VP-16) or cisplatin, verapamil, and tamoxifen.

또한, 상기 제형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기타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안정화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보다 훨씬 적은 양의 유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류, 지방산의 알코올류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첨가제를 0 내지 5 중량% 함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ula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other additives in an amount of up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much smaller amounts of emulsifiers may be added than are commonly used for stabilizing emulsions or cubosom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ain 0 to 5% by weight of commonly available additives such as fatty acids, esters of fatty acids, alcohols of fatty acids and the like.

상기 유화제로는 인지질, 스핑고지질 (sphingolipid),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담즙산 (bile acid)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phospholipids, sphingolipid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bile acids.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 Chol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 ethanolam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세린 (Phosphatidyl serine) 유도체, 및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지질 (polymeric lipid)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스핑고 지질은 세라마이드계(ceramides), 세레브로사이드계(cerebroside), 및 스핑고마이엘린계(sphingomyelins)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폴록사머(Poloxamer; Pluroni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솔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Span),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polyoxy ehtylene ethers; Brij)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포스파티딜세린 유도체, 포스파티딘산 (Phosphatidic acid) 유도체,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sodium dodecyl sulfate, SDS)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1-(1,2-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1-(1,2-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디올레일-3-에틸포스포콜린(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및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β-[N-[(N',N'-dimethylamino)ethan]carbamoyl]chloresterol)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담즙산은 콜린산(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데옥시콜린산 (Deoxy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리토콜린산 (Litho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및 체노콜린산(Cheno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spholipid used as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 choline derivatives, phosphatidyl ethanolamine derivatives, phosphatidyl serine derivatives, and polymeric lipids bound to hydrophilic polymers. Do. Sphingo lipid used as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amides (ceramides), cerebroside (cerebroside), and sphingomyelins (sphingomyelins). Nonionic surfactants used as emulsifiers include poloxamer (Poloronic;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copolymer), sorbitan esters (Span), 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And polyoxyethylene ethers (Brij). The anionic surfactant used as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serine derivatives, phosphatitidic acid derivative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The cationic surfactant used as the emulsifier is 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1, 2-dioleyl-3-ethylphosphocholin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and 3β- [N-[(N ', N'-dimethylamino) ethane] carbamoyl] cholesterol (3β- [ N-[(N ', N'-dimethylamino) ethan] carbamoyl] chloresterol)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bile acids used as emulsifiers are cholic acid (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deoxy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litho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chenocholic acid (Cheno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수용액은 친수성 고분자를 가용화시킬 수 있는 pH 3 내지 6의 산성 수용액, pH 8 내지 10의 염기성 수용액, pH 5 내지 9의 완충용액 및 염 용액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The aqueous solu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ic aqueous solution of pH 3 to 6 capable of solubilizing the hydrophilic polymer, a basic aqueous solution of pH 8 to 10, a buffer solution of pH 5 to 9 and a salt 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제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formula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1) 한 가지 이상의 기름, 약물과 임의적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유화제를 잘 석어서 단일 액상으로 만들고;1) one or more oils, drugs and optionally monoglycerides and / or emulsifiers are well mixed to form a single liquid phase;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 solution by mixing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emulsifier optionally in water or aqueous solution;

3)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얻은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single liquid phase obtained in steps 1) and 2) together with the solution.

이때, 단계 1)과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계 1)에서 단일액상을 만들기 위해서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 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미세유동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it can be warmed or sonicated to produce a single liquid phase. Dispersion in step 3) may be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microfluidization,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stereosterically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1)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 약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잘 섞어서 단일액상으로 만들고;1) monoglyceride, phytantriol, monoglyceride / oil mixture or phytantriol / oil mixture, drug and optionally an emulsifier well mixed into a single liquid phase;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are optionally added to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3) 상기 단계 1)과 2)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single liquid phase and the solu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s 1) and 2) together.

이때, 단계 1)과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계 1)에서 단일액상을 만들기 위해서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미세유동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it can be warmed or sonicated to produce a single liquid phase. Dispersion in step 3) may be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microfluidization, or the like.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의 제형 또 다른 제조 방법은,Formulation of the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cub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1)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을,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수용액과 섞어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고;1)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by mixing monoglycerides, phitantris, monoglyceride / oil mixtures or phytantriol / oil mixtures, optionally emulsifiers with aqueous solution;

2)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수용액을 제조하고;2)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are optionally added to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3)상기 단계 1)과 2)에서 얻어진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과 액상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3) mixing and dispersing th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and the liquid phase obtained in the above steps 1) and 2) together.

이 때, 단계 1)과 2)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계 1)에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주사기 및 삼방향 스톱-코르크로 구성된 지질혼합기를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혼합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약물은 지용성일 경우 지질에, 수용성일 경우 수용액과 섞는다. 상기 단계 1)에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만들기 위해서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수용액을 혼합한다. 이 때, 수용액의 양과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이 형성된다. 단계 3)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미세유동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order of steps 1) and 2) may be changed. In step 1), a method of preparing th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may be performed using a lipid mixer consisting of a syringe and a three-way stop-cork, or a similar mixing method. The drug of step 1) is mixed with lipid in case of fat soluble, and with aqueous solution if water-soluble. In step 1), an aqueous solution is mixed with a monoglyceride, a phytantriol, a monoglyceride / oil mixture or a phytantriol / oil mixture to form an L 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At this tim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is for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and the kind of the additive. Dispersion in step 3) may be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microfluidization, or the like.

본 발명의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또는 큐보좀 전구체의 제형은 에멀젼 제형 또는 큐보좀 제형을 동결 건조하거나 스프레이 건조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formulation of the steric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or cubosome precur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the emulsion formulation or cubosome formulation.

상기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 및 에멀전 전구체 또는 큐보좀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기름, 모노글리세라이드,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유화제 및 수용액은 상기한 바와 같다.The oils, monoglycerides,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emulsifiers and aqueous solutions used in the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emulsion precursors or cubosome precursors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제형은 유화제가 없거나 소량만 존재할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콜로이드계가 형성되며, 에멀젼 또는 큐보좀의 조성물 및 제형의 건조 후에도 이들이 액상이 아닌 고상으로 존재하도록 도와주며, 수용성 고분자가 콜로이드계의 재분산을 도와주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생체 적합성 수용성 고분자는 점막 흡착성이 우수하므로 세포내로의 흡수를 도와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composition and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form a colloidal system even when there is no emulsifier or only a small amount, and after drying the composition or formulation of the emulsion or cubosome, they help to exist as a solid rather than a liquid phase,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It helps redistribution increases the industrial availability. In addition, biocompatible water-soluble polymers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y can help absorption into cells because they have excellent mucosal adsorp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중 일부는 쉽게 가교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키토산은 설페이트 이온, 트리폴리포스페이트(TPP) 등, 알긴산염, 히아룰론산 염 등은 칼슘이온 등의 생체 적합성 이온들을 이용하여 가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은 고분자를 가교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가교 후 건조하면 파우더와 같은 물성이 더 크게 나타나므로 고형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생체내에서 과량의 체액에 의해 희석되면 가교제가 희석되어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콜로이드계는 다시 분산되게 된다.Some of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property of easily crosslinking. For example, chitosan may be cross-linked using biocompatible ions such as calcium ions such as sulfate ions and tripolyphosphate (TPP), alginate salts, and hyaluronic acid salts. Therefore, the composition or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crosslinking the polymer, and when crosslinked after drying,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owder appear to help solidification. In addition, when diluted with excess body fluid in vivo, the crosslinking agent is dilut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the colloidal system is dispersed again.

큐보좀의 경우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용화하기 어려운 결정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큐보좀은 과량의 수용액에 분산된 계이므로 상기 제형들의 경우 경구 투여를 할 경우 과량의 물을 함께 투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약물 전달 체계들의 경우 물을 제거하여 제조한 분말형태가 가장 투여하기 적합한 제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큐보좀의 분산액은 물을 제거하면 반고상 또는 액상이 되고 항응집제(anticaking agent) 없이는 재분산이 어려워 체내에서 장운동에 의해 자발적으로 분산되기 어려워지므로, 약물 전달효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물을 가용화할 수 있으며, 생체 적합하고, 장내에서 장액에 의하여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분산되며, 점막 흡착성이 강하여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기존 약물 전달 체계의 장점은 모두 가지면서, 분말 상태인 조성물 또는 제형을 제공하므로, 산업화의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ubosomes,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the drug has a critical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put to practical use. That is, the cubosome is a system dispersed in an excess of aqueous solution, so in case of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formulations, the excess water should be administered together. Thus, in the case of drug delivery systems, the powder form prepared by removing water may be the most suitable formulation. However, the dispersion of the cubosome becomes semi-solid or liquid when water is removed, and it is difficult to disperse spontaneously by intestinal movement in the bo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distribute without an anti-aggregating agent, thereby reducing drug delivery efficienc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olubilizing a drug, is biocompatible, dispersed in the intestine by several micrometers in size by the intestinal fluid, and has strong mucosal adsorption, thereby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the drug. While providing a composition or formulation in a powder state, it can be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ization is great.

본 발명의 에멀젼 또는 큐보좀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유화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거나 매우 소량만을 사용하여도 분산성과 안정성이 우수하여 난용성 및/또는 양쪽성 약물의 약물 전달 체계로서 유용하다.The emulsion or cub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drug delivery system for poorly soluble and / or amphoteric drugs due to the inclusion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which is excellent in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even when no emulsifier is used separately or even in very small amount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Embodiment for Invention

실험예 1. 분자량이 서로 다른 키토산 및 그 수용액의 제조Experimental Example 1. Preparation of chitosan and its aqueous solution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분자량이 >100 kDa인 키토산 (탈아세틸화 정도 = 95%; 신영 케미칼, Korea)을 2 중량%의 초산 용액에서 아질산 나트륨 (NaNO2)과 반응시켜 가수분해하여 저분자량의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키토산의 분자량은 키토산 수용액의 점성도를 측정하여 결정했다. 점성도는 오스트발트 (Ostwald) 점성도계 (viscometer)로 측정했고 점성도를 키토산 농도에 대해 도표화하여 고유 점성도 (intrinsic viscosity) 값을 구하여 키토산의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Zhang H.; Neau SH.; Biomaterials, 2001; 22; 1653-1658.; Chen RH, Hwa HD,; Carbohydr. Polym.; 1996; 29; 253.). 이와 같이 얻어진 키토산의 고유 점성도와 분자량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Chitos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 kDa (deacetylation degree = 95%; Shinyoung Chemical, Korea) was hydrolyzed by reacting with sodium nitrite (NaNO2) in a 2% by weight acetic acid solution to prepare a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The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viscosity of chitosan aqueous solution. Viscosity was measured with an Ostwald viscometer and the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was determined by plotting the viscosity against chitosan concentration to determine the intrinsic viscosity (Zhang H .; Neau SH .; Biomaterials, 2001). 22; 1653-1658 .; Chen RH, Hwa HD ,; Carbohydr.Polym .; 1996; 29; 253.). The intrinsic viscosity and molecular weight of the chitosan thus obtain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1

키토산수용액은 분자량이 다른 각각의 키토산을 수용액에 넣은 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분자량이 20 kDa 이상인 경우 수용액은 pH 4.8 이하인 소듐 아세테이트 완충용액 또는 2% (v/v) 이하의 초산용액을 사용하였으며, 10 kDa 이하인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였다.The chitosan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by putting each chitosan having a different molecular weight into an aqueous 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When the molecular weight is 20 kDa or more, the aqueous solution used sodium acetate buffer solution of pH 4.8 or less, or acetic acid solution of 2% (v / v) or less, water was used if less than 10 kDa.

실시예 1.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1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콩기름 (soybean oil, Sigma Chemical Company) 100 μL를 3 %의 키토산 (분자량 22 kDa)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2분간 소니케이션하거나 약 15 초간 볼텍스(vortex)하여 유화시켜 콩기름 10 중량% 키토산 2.7 중량%인 지방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레이저 준탄성 광산란 방법 (Laser Quasi-elastic light scattering method, Brookhaven Instruments, USA)으로 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입자의 평균 지름은 소니케이션 및 볼텍싱 한 경우 각각 50 nm, 526 nm였다.100 μL of soybean oil (Sigma Chemical Company) was added to 900 μL of 3% chitosan (molecular weight 22 kDa) aqueous solution and then emulsified by sonication for 2 minutes or by vortexing for about 15 seconds 10% by weight chitosan 2.7% by weight Phosphorus fat emulsion was prepared. The particle size of the emulsion was measured by laser quasi-elastic light scattering method (Brookhaven Instruments, USA).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were 50 nm and 526 nm, respectively, when sonicated and vortexed.

비교예 1.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1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without addition of aqueous polymer solution 1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소니케이션 및 볼텍싱 할 경우 모두 상 분리가 수 분 내에 일어나는 것을 육안 및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하였지만, 상분리가 일어났기 때문에 입자 크기를 측정할 수 없었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Both the sonication and vortexing confirmed visual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at phase separation occurred within minutes.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the particle size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phase separation occurred.

실시예 2.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2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분자량 22 kDa인 키토산 대신에 분자량 11 kDa 및 100 kDa인 키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한 결과 볼텍싱 한 경우 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526 nm, 909 nm 였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hitos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1 kDa and 100 kDa was used instead of the chitos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2 kDa.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article siz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hen vortexing,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were 526 nm and 909 nm, respectively.

비교예 2.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2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without Adding Polymer Aqueous Solution 2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소니케이션 및 볼텍싱 할 경우 모두 상 분리가 수 분 내에 일어나는 것을 육안 및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하였지만, 상분리가 일어났기 때문에 입자 크기를 측정할 수 없었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Both the sonication and vortexing confirmed visual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at phase separation occurred within minutes.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the particle size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phase separation occurred.

실시예 3.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3Example 3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키토산 대신에 알긴산염 (Yakuri Pure Chemicals, Japan)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분자량 35 kDa; Fluk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볼텍싱하는 경우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2에서 정리하여 보여준다. 반면, 키토산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lginate (Yakuri Pure Chemicals, Japan) or polyethylene oxide (molecular weight 35 kDa; Fluka) was used instead of chitosan. In the case of vortexing, the average diameter of particles is shown in Table 2. 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chitosan aqueous solution, it is not dispersed at all.

[표 2]TABLE 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2

실시예 4.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4Example 4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콩기름 대신에 참기름 (sesame seed oil, Sigma) 또는 트리카프로인 (Sigma)을 사용하고, 분자량 22 kDa인 키토산 대신 분자량 11 kDa인 키토산을 사용하고, 기름과 키토산 간의 조성비가 달라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볼텍싱하는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3에서 나타내었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Sesame oil (Sigma) or tricaproin (Sigma) is used instead of soybean oil, and chitosan with a molecular weight of 11 kDa is used instead of chitosan with a molecular weight of 22 kDa, except that the composition ratio between oil and chitosan is changed. 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is shown in Table 3.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3]TABLE 3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3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3

실시예 5.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5Example 5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5

콩기름 대신에 트리카프릴린 (Sigma)을 사용하고, 분자량 22 kDa인 키토산 대신 분자량 35 kDa인 키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볼텍싱하는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1137 nm 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ricapryline (Sigma) was used instead of soybean oil, and chitos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5 kDa was used instead of chitos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2 kDa.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as 1137 nm.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6.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6Example 6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6

키토산 대신에 알긴산염을 사용하고, 콩기름 대신 참기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한 결과 볼텍싱 하는 경우 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1290 nm 였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lginate was used instead of chitosan, and sesame oil was used instead of soybean oi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article siz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when vortexing was 1290 nm, respectively.

실시예 7.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7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콩기름과 유화제 (트윈 80 또는 DMTAP; 1,2-dimyristoyl-3- trimethylammonium propane, Sigma)를 섞은 혼합물 100 μL를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3%의 키토산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사용된 키토산의 분자량, 유화제 종류, 조성비 및 볼텍싱한 후 얻어지는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the mixture of soybean oil and emulsifier (Tween 80 or DMTAP; 1,2-dimyristoyl-3-trimethylammonium propane, Sigma) was added to 900 μL of an aqueous 3% chitosan solution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then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 wa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hitosan used, the type of emulsifier, the composition ratio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are shown in Table 4.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4]TABLE 4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4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4

실시예 8.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8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콩기름과 트윈 80을 섞은 혼합물 100 μL를 1 % 또는 0.11 %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분자량 35 kDa)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the mixture of soybean oil and Tween 80 was added to 900 μL of an aqueous solution of 1% or 0.11% polyethylene oxide (molecular weight 35 kDa)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5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5]TABLE 5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5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5

실시예 9.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3Example 9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3

콩기름과 트윈 80을 섞은 혼합물 100 μL를 서로 다른 종류의 1% 고분자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사용된 고분자 종류, 조성비 및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6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the mixture of soybean oil and Tween 80 was added to 900 μL of different types of 1% aqueous polymer solution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6 shows the polymer type, composition ratio and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6]TABLE 6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6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6

실시예 10.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4Example 10 Preparation of Vegetabl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4

참기름과 서로 다른 유화제를 섞은 혼합물 100 μL를 서로 다른 고분자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사용된 고분자 및 유화제의 종류, 조성비 및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7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the mixture of sesame oil and different emulsifiers was added to 900 μL of different aqueous polymer solutions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types, composition ratios, and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are shown in Table 7 below.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7]TABLE 7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7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7

실시예 11.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트리클리세라이드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5Example 11 Preparation of Triglyceride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5

여러 종류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서로 다른 유화제를 섞은 혼합물 100 μL를 서로 다른 종류 및 농도의 고분자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사용된 기름, 고분자 및 유화제의 종류, 조성비 및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8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a mixture of various triglycerides and different emulsifiers was added to 900 μL of an aqueous polymer solution of different types and concentrations,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8 shows the types of oils, polymers, and emulsifiers used, the composition ratios,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8]TABLE 8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8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8

실시예 12.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동물성 기름 에멀전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12 Preparation of Animal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동물성 기름인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과 서로 다른 유화제를 섞은 혼합물 100 μL를 3 % 키토산 (분자량 11 kDa) 수용액 90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9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100 μL of a mixture of animal oil, squalene or squalane and a different emulsifier, was added to 900 μL of an aqueous 3% chitosan (molecular weight 11 kDa) solution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9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it was not dispersed at all.

[표 9]TABLE 9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9
Figure 112006057984812-PCT00009

실시예 13.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13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1

트리카프린과 모노올레인을 부피비로 1:2로 섞은 혼합기름 10 μL를 0.1, 0.5, 1.5 % 키토산 (분자량 3 kDa) 수용액 990 μL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10 μL of the mixed oil mixed with tricaprine and monoolein in a volume ratio of 1: 2 was added to 990 μL of 0.1, 0.5, 1.5% chitosan (molecular weight 3 kDa) aqueous solution,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10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2000 nm is achieved.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0]TABLE 10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0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0

실시예 14.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14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2

0.75 % 및 1 % 키토산 (분자량 35 kDa) 수용액 99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990 µL of an aqueous solution of 0.75% and 1% chitosan (molecular weight 35 kDa) was used. Table 11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bout 2000 nm. However, unlike the case of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1]TABLE 1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1

실시예 15.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3Example 15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3

0.1 % 및 0.5 % 키토산 (분자량 74 kDa) 수용액 99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990 µL of 0.1% and 0.5% chitosan (molecular weight 74 kDa) aqueous solutions were used. Table 12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2000 nm is achieved.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2]TABLE 1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2

실시예 16.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4Example 16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4

트리카프린 대신 트리카프릴린을 사용하고 3 % 키토산 (분자량 35 kDa) 수용액 99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입자의 평균 지름이 1527 nm인 안정한 분산계를 이루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53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tricapryline was used instead of tricaprine and 990 μL of an aqueous 3% chitosan (molecular weight 35 kDa) solution was used. A stable dispersion system with an average diameter of particles of 1527 nm was achieved.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bout 530 nm. However, unlike th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it is unstable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실시예 17.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5Example 17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5

트리카프린 대신 트리카프로인 30 μL를 사용하고 3 % 키토산 (분자량 35 kDa) 수용액 97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입자의 평균 지름이 1790 nm인 안정한 분산계를 이루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16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용액에 분산시킬 때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30 μL of tricaproin was used instead of tricaprine and 970 μL of an aqueous 3% chitosan (molecular weight 35 kDa) solution was used. A stable dispersion system with an average diameter of particles of 1790 nm was achieved.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bout 1600 nm. However, unlike th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it is unstable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실시예 18.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6Example 18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6

0.3, 0.9 % 키토산 (분자량 11 kDa) 수용액 99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3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15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990 µL of a 0.3, 0.9% chitosan (molecular weight 11 kDa) aqueous solution was used. Table 13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bout 1500 nm.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it is unstable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3]TABLE 13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3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3

실시예 19.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7Example 19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7

0.033 % 알긴산염, 1 %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분자량 35 kDa) 수용액 990 μ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4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he 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990 µL of an aqueous solution of 0.033% alginate and 1% polyethylene oxide (molecular weight 35 kDa) was used. Table 14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2000 nm is achieved.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4]TABLE 14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4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4

실시예 20. 유화제가 있을 때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Example 20. Preparation of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트리글리세라이드과 모노올레인을 부피비로 1:2로 섞은 혼합기름에 여러종류 및 농도의 유화제를 넣어 단일액상을 만든 후 여러 종류 및 농도의 고분자 수용액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사용된 고분자 및 유화제의 종류 및 농도, 조성비 및 볼텍싱한 후 얻어진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5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의 평균 입자 크기 또한 표 15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물을 사용한 경우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킨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Various types and concentrations of emulsifiers were added to a mixed oil mixed with triglycerides and monoolein in a volume ratio of 1: 2 to form a single liquid phase, and then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fter being put in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types and concentrations.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and the emulsifier used, the composition ratio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vortexing are shown in Table 15. The average particle size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is also shown in Table 15. However, when water is used, it is unstable, unlike when dispersed in a polymer solution,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5]TABLE 15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5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5

실시예 21. 사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제형Example 21. Vegetable Oil Emulsion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Cyclosporin A

사이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A) 2 mg을 콩기름 100 μL에 녹인 후 0.33 % (w/v)의 키토산 (분자량 35 kDa) 수용액에 넣은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소니케이션한 경우와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58 nm, 374 nm였다.2 mg of cyclosporin A was dissolved in 100 μL of soybean oil, and then added to 0.33% (w / v) chitosan (molecular weight 35 kDa) aqueous solution and emuls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sonication and in the case of vortexing were 58 nm and 374 nm, respectively.

실시예 22. 파이렌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제형Example 22. Vegetable Oil Emulsion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Pyrene

사이클로스포린 A대신 파이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소니케이션한 경우와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83 nm, 574 nm였다.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pyrene was used instead of cyclosporin A.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sonication and in the case of vortexing were 83 nm and 574 nm, respectively.

실시예 23. 유화제가 있을 때 사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제형Example 23. Vegetable Oil Emulsion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Cyclosporin A When Emulsifier is Present

콩기름 100 μL와 트윈 80 3 μL를 섞은 혼합물에 사이클로스포린 A 2 mg을 녹여서 0.3 % (w/v) 키토산 (분자량 35 kDa) 수용액 897 μL에 넣은 후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354 nm였다.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after dissolving 2 mg of cyclosporin A in a mixture of 100 μL of soybean oil and 3 μL of Tween 80, and then adding it to 897 μL of 0.3% (w / v) chitosan (molecular weight 35 kDa) solution.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as 354 nm.

실시예 24. 유화제가 있을 경우 탈리푸르메이트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식물성 기름 에멀젼 제형Example 24. Vegetable Oil Emulsion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alifurate, if Emulsifier is Present

사이클로스포린 A대신에 탈리푸르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945 nm였다.Emul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aliframate was used instead of cyclosporin A.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as 945 nm, respectively.

실시예 25. 사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25.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Cyclosporin A

콩기름 대신에 트리글리세라이드와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섞은 혼합 기름을 사용하고 약물을 녹여주기 위해 약 30℃에서 가열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6에 나타내었다.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soybean oil was mixed with triglyceride and monoglyceride in various ratios and heated at about 30 ° C. to dissolve the drug.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16 show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표 16]TABLE 16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6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6

실시예 26. 유화제가 있을 때 사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26.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Cyclosporin A When Emulsifier is Present

콩기름 대신에 트리카프릴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섞은 혼합 기름을 사용하고 약물을 녹여주기 위해 약 30℃에서 가열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7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An emulsion form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3, except that soybean oil was mixed with tricapryline and monoglyceride in various ratios and heated at about 30 ° C. to dissolve the drug.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17 show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2000 nm is achieved.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7]TABLE 17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7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7

실시예 27. 파이렌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27.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Pyrene

콩기름 대신에 트리카프릴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섞은 혼합 기름을 사용하고 약물을 녹여주기 위해 약 30℃에서 가열해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8에 나타내었다.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2, except that soybean oil was mixed with tricapryline and monoglyceride in various ratios and heated at about 30 ° C. to melt the drug.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18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표 18]TABLE 18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8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8

실시예 28. 유화제가 있을 때 파이렌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28.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Pyrene with Emulsifier

콩기름 대신에 트리카프릴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섞은 혼합 기름을 사용하고 사이클로스포린 A 대신에 파이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19에 나타내었다. 고분자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 크기 2000 nm 내외의 분산계를 이루지만,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킬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 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An emulsion form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3 except for using mixed oil mixed with tricapryline and monoglyceride in various ratios instead of soybean oil and pyrene instead of cyclosporin A. Table 19 show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hen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2000 nm is achieved. However, unlike dispersion in the polymer solution,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표 19]TABLE 19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9
Figure 112006057984812-PCT00019

실시예 29. 탈리푸르메이트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29.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alifurate

파이렌 대신에 탈리푸르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20에 나타내었다.An emulsion form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7 except for using talifrumate instead of pyren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able 20 shows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표 20]TABLE 20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0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0

실시예 30. 유화제가 있을 때 탈리푸르메이트를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30. Mixed Emulsion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alifurmate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콩기름 대신에 트리카프릴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섞은 혼합 기름을 사용하고 사이클로스포린 A 대신에 탈리푸르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은 459 nm였다.An emulsion form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3, except for using mixed oil mixed with tricapryline and monoglyceride in various ratios instead of soybean oil, and using talifurate instead of cyclosporin A.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was 459 nm.

실시예 31. 파클리탁셀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에멀젼 제형Example 31. Mixed Emulsion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Paclitaxel

파이렌 대신에 파클리탁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볼텍싱한 경우의 입자의 평균 지름을 표 21에 나타내었다.An emulsion form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7 except that paclitaxel was used instead of pyrene. Particle siz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vortexing is shown in Table 21.

[표 21]TABLE 2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1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1

실시예 32.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32.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1

모노올레인 6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물 3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500 μL의 큐빅상을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20 μm의 지름을 가진 입자가 존재하며, 약 1 ~ 3 μm 크기의 많은 입자가 관찰되었다. 또한, 분산액을 450 nm 구멍크기를 가진 주사기 필터로 필터한 맑은 용액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평균입자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105 nm 였다. 입자크기의 범위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6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350 μL of water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and air was removed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cubic phase. A cubosome was prepared by adding 500 μL of cubic phase to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and vortexing.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repared cubosome showed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20 μm, and many particles having a size of about 1 to 3 μm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clear solution of the dispersion was filtered with a syringe filter having a 450 nm hole size was 105 n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article size ranged from 100 nm to 20 μm and existed as a solid without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비교예 3.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without addition of aqueous polymer solution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tributed at all.

실시예 33.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33.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2

5 % 트리폴리포스페이트 (TPP)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5% tripolyphosphate (TPP) aqueous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34.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Example 34.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Added Emulsifier 1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유화제인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수용액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키토산 용액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분산되었으나 동결 건조 후 반고상이 되어 재분산되기 어려웠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s an emulsifier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an aqueous 1% Pluronic F 127 solution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dispersed similarly to that using the chitosan solution, but became semisolid after freeze-drying and difficult to redisperse. .

비교예 4.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Comparative Example 4.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without addition of aqueous polymer solution with emulsifier 1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4, except that 1% Pluronic F 127 was used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not distributed at all.

실시예 35.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35.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Added Emulsifier 2

5 % 트리폴리포스페이트 (TPP)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4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4 except that a 5% tripolyphosphate (TPP) aqueous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36.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3Example 36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3

3% 클리콜 키토산 수용액을 키토산 수용액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1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A1 except that an aqueous 3% glycol chitosan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37.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5Example 37.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5

1% 알긴산염 수용액을 키토산 수용액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알긴산염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an aqueous 1% alginate aqueous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an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n aqueous alginate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38.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6Example 38.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6

3 % 염화칼슘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칼슘이온은 알긴산염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알긴산염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7, except that 3% aqueous calcium chloride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Calcium ion crosslinks alginate, so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n aqueous alginate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39.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7Example 39.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7

모노올레인 대신 파이탄트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phitantriol was used instead of monoolei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0.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8Example 40.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8

5 % TPP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9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9, except that 5% aqueous TPP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1.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2Example 41.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Polymeric Aqueous Solution Added Emulsifier 2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유화제인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0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수용액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키토산 용액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분산되었으나 동결 건조 후 반고상이 되어 재분산되기 어려웠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0,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s an emulsifier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an aqueous 1% Pluronic F 127 solution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dispersed similarly to that using the chitosan solution, but became semisolid after freeze-drying and difficult to redisperse. .

비교예 5.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2Comparative Example 5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2 Without Adding an Aqueous Polymer Solution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 큐빅상은 키토산 용액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분산되었으나 동결 건조 후 반고상이 되어 재분산되기 어려웠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except that 1% Pluronic F 127 was used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not distributed at all. The cubic phase was dispersed similarly to the one using the chitosan solution but became semisolid after lyophilization and difficult to redisperse.

실시예 42.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9Example 42 Preparation of Cubosome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9

3% 클리콜 키토산 수용액을 키토산 수용액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5, except that an aqueous 3% glycol chitosan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3.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43. Preparation of Cubosome Formulations Stable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1

모노올레인 대신 파이렌 1 %(w/w)를 함유한 모노올레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Cubosom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5, except that monoolein containing pyrene 1% (w / w) was used instead of monoolei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4.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2Example 44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2

5 % 트리폴리포스페이트 (TPP)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3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3 except that a 5% tripolyphosphate (TPP) aqueous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5.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45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Added Emulsifier 1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유화제인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 수용액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키토산 용액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분산되었으나 동결 건조 후 반고상이 되어 재분산되기 어려웠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3,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s an emulsifier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an aqueous 1% Pluronic F 127 solution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dispersed similarly to that using the Chitosan solution, but became semisolid after freeze-drying and difficult to redisperse. .

실시예 46.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46 Preparation of Cubosome Formulation Without Adding Aqueous Polymer Solution

1% 플루로닉 F 127 (BASF, USA)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 대신에 1% 플루로닉 F 12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큐빅상은 키토산 용액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분산되었으나 동결 건조 후 반고상이 되어 재분산되기 어려웠다.An emul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1% Pluronic F 127 was used instead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BASF, USA) and 3% Chitosan. The cubic phase was dispersed similarly to the one using the chitosan solution but became semisolid after lyophilization and difficult to redisperse.

실시예 47.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2Example 47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Added Emulsifier 2

5 % 트리폴리포스페이트 (TPP)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4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TPP는 키토산을 가교시키므로 고상은 파우더와 같은 물성을 보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4 except that 5% tripolyphosphate (TPP) aqueous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Since TPP crosslinks chitosan, the solid phase showed powder-like properties.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8. 유화제를 첨가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3Example 48.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Added Emulsifier 3

모노올레인 대신 파이탄트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5 except that phitantriol was used instead of monoolei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49.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49 Preparation of Cubosome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1

1 % FITC-소혈청 알부민 (FITC-bovine serum albumin, FITC-BSA) 수용액을 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an aqueous 1% FITC-bovine serum albumin (FITC-BSA)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0.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2Example 50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2

모노올레인 대신 파이탄트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9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9, except that phitantriol was used instead of monoolei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1.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51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1

모노올레인 6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5% TPP 용액 3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TPP 용액 대신에 240 mg/ml의 인슐린 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두 종류의 큐빅상을 각각 250 μL 취하여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다시 삼방향 스탑콕에 연결하여 100 회정도 번갈아 밀어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된 모습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결 건조 후에 상분리 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6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and 350 μL of 5% TPP solution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to remove air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cubic phase. Instead of the TPP solution, a 240 mg / ml insulin solution was added to prepare a cubic phase in the same manner. 250 μL of each of the two cubic phases was taken and placed in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and again connected to a three-way stopcock to alternately push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cubic phase.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 ~ 20 μm, the freeze-dried appearance is a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in Figure 1, after lyophilization it was present as a solid without phase separation.

실시예 52.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2Example 52. Preparation of Cubosome Formulation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2

모노올레인 6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5 % TPP 용액 3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TPP 용액 대신에 240 mg/ml의 인슐린 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두 종류의 큐빅상을 각각 250 μL 취하여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6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350 μL of 5% TPP solution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and air was removed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cubic phase. Instead of the TPP solution, a 240 mg / ml insulin solution was added to prepare a cubic phase in the same manner. 250 μL of the two cubic phases were taken, respectively, and placed in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to vortex to prepare a cubic phase.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실시예 53. 인슐린을 함유한 유화제가 포함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53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n Emulsifier Containing Insulin 1

3 % 키토산 용액 대신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1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 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Cubosom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1,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3%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4.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3Example 54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3

모노올레인 9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1 % FITC-BSA 용액 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 (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 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L2상을 제조하였다. L2상 500 μL를 취하여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 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9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and 50 μL of 1% FITC-BSA solution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and air was removed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L2 phase. 500 μL of L2 phase was taken and placed in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to vortex to prepare a cubic phase.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실시예 55.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유화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1Example 55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n Emulsifier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1

3 % 키토산 용액 대신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4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 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Cubosom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4,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3%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6.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4Example 56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4

모노올레인 8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1 % FITC-BSA 용액 1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 (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 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라멜라 액정상을 제조하였다. 라멜라 액정상 500 μL를 취하여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빅상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8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and 150 μL of 1% FITC-BSA solution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to remove air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500 μL of a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was taken and placed in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to vortex to prepare a cubic phase.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실시예 57.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유화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2Example 57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n Emulsifier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2

3 % 키토산 용액 대신 1% 플루로닉 F 127과 3% 키토산을 함유한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6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 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A cubosom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6, except that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Pluronic F 127 and 3% chitosan was used instead of the 3%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8.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0Example 58.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10

모노올레인 300 μL를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300 μL of monoolein was added to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and vortexed to prepare a cubosome.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59.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1Example 59.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11

모노올레인 9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물 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 (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 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L2상을 제조하였다. 500 μL의 L2상을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9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and 50 μL of water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to remove air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L2 phase. A cubosome was prepared by vortexing 500 L of L2 phase in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60.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의 제조 12Example 60. Preparation of a Cubosome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12

모노올레인 850 μL를 3 ml 용량의 주사기에 넣고 물 150 μL를 다른 주사기에 넣은 후 각 주사기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두 주사기를 삼방향 스탑콕(three-way stopcork)을 연결하여 100 회 정도 번갈아 밀어서 라멜라 액정상을 제조하였다. 500 μL의 라멜라 액정상을 3 % 키토산 용액 10 ml에 넣고 볼텍싱하여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850 μL of monoolein was placed in a 3 ml syringe and 150 μL of water was placed in another syringe to remove air from each syringe. Two syringes were connected by three-way stopcork and alternately pushed about 100 times to prepare a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A cubosome was prepared by vortexing 500 µL of the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into 10 ml of a 3% chitosan solu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61.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5Example 61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5

물 50 μL 대신 3% FITC-BSA 수용액 50 μ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9와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Cubosom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9, except that 50 μL of an aqueous 3% FITC-BSA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50 μL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실시예 62.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6Example 62 Preparation of a Cubosome Formula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Bovine Serum Albumin 6

물 150 μL 대신 3% FITC-BSA 수용액 150 μ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0과 같은 방법으로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큐보좀의 입자크기는 100 nm ~ 20 μm 였으며, 동결 건조후에 상분리없이 고상으로 존재하였다. 키토산 수용액 대신에 물에 분산할 경우 큐빅상은 전혀 분산되지 않았다.Cubosom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0, except that 150 μL of an aqueous 3% FITC-BSA solution was used instead of 150 μL of water.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cubosome was 100 nm-20 μm, and the particles exist as solid without undergoing phase separation after freeze-drying. When dispersed in water instead of aqueous chitosan solution, the cubic phase was not dispersed at all.

시험예 1. In vivo 경구 투여 실험 - 인슐린Test Example 1. In vivo oral administration experiment-insulin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된 큐보좀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cubosome prepared in Example 51.

1-1. 당뇨 유도1-1. Diabetes induction

6주령의 휘스터계 수컷 랫트를 8~10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과 알록산 모노하이드레이트 (alloxan monohydrate)가 용해된 일반 생리 식염수 (normal saline solution) 100 mg/kg을 복강 내로 이틀 간격으로 3회 반복 주사하였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랫트로부터 일주일 후 혈액을 채혈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고, 이들 중 비공복 상태에서의 혈당치가 400 mg/dL 이상으로 나타난 랫트를 당뇨가 유도된 것으로 간주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Fasting 6-week-old male rats for 8-10 hours and then intraperitoneally with 100 mg / kg of normal saline solution in which streptozotocin and alloxan monohydrate were dissolved Three injections were repeated at two-day intervals. One week later,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rats treated as described above,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mong the rats, the blood glucose level in the non-fasted state was 400 mg / dL or higher, an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1-2.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의 경구 투여 실험1-2. Oral Administration of Cubosomes Stabilized with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용액 300 μL를 6~7주령의 정상 랫트와 상기 시험예 1-1에서 선별된 당뇨가 유도된 랫트를 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꼬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고, 상기 값을 약물 투여 전 초기값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1에서 제조된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의 액상 제형 300 μL를 존데로 경구 투여하였다. 각 실험동물당 인슐린의 투여량은 89 IU/kg이 된다. 비교군으로 PBS 및 인슐린/PBS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후 1, 2, 3, 4 및 6시간 째에 꼬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투여전 초기값을 100%로 하여 각 시간대의 혈당치를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300 μL of the cubosome solution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was fasted for 6 hours in normal rats aged 6-7 weeks and the diabetic-induced rats selected in Test Example 1-1,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tail vein. The blood glucose level was measured, and the value was used as an initial value before drug administration. 300 μL of the liquid formulation of cubosomes stabilized with an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prepared in Example 51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Sonde. The dose of insulin for each experimental animal is 89 IU / kg. Comparative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in the same manner using PBS and insulin / PBS solutions. At 1, 2, 3, 4 and 6 hours after drug administration,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tail vein to measure blood glucose levels. The blood glucose level of each time slot was converted to the initial value before administration to 100%,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슐린을 함유한 고분자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큐보좀을 투여한 당뇨가 유발된 랫트 실험군에서는 초기 혈당치에 비하여 1시간 경과 후 약 50 % 정도 감소되었고, 낮은 혈당이 약 3시간 까지 지속된 반면, PBS를 투여한 군과 인슐린 수용액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As shown in FIG. 2, in the diabetic rat-induced rat group administered with the cubosome stabilized with the aqueous polymer solution containing insul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glucose level was reduced by about 50% after 1 hour compared to the initial blood glucose level, and the low blood sugar level was about While it lasted up to 3 hours, the group treated with PBS and the aqueous solution of insulin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실시예 63. 저분자량 알긴산염 및 그 수용액의 제조Example 63 Prepa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nd Its Aqueous Solution

고분자량의 알긴산염 (Yakuri Pure Chemicals, Japan) 을 85 중량 % 의 인산 용액 (Sigma) 에서 가수분해 후 동결 건조하여 저분자량의 알긴산염을 제조하였다. 알긴산염의 분자량은 수용액의 점성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점성도는 오스트발트 (Ostwald) 점성도계 (viscometer)로 측정하였고 점성도를 알긴산염 농도에 대해 도표화하여 고유 점성도 (intrinsic viscosity) 값을 구하여 알긴산염의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Ikeda A.; Takemura A.; Ono H.; Carbohydr. Polym.; 2000; 42; 421.). 이와 같이 얻어진 알긴산염의 고유 점성도와 분자량을 다음의 표 22에 나타내었다.The high molecular weight alginate (Yakuri Pure Chemicals, Japan) was hydrolyzed in 85 wt% phosphoric acid solution (Sigma) and freeze-dried to prepare a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ate salt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viscosity of the aqueous solution. Viscosity was measured with an Ostwald viscometer and the intrinsic viscosity values were plotted against the alginate concentration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ate (Ikeda A .; Takemura A .; Ono H). .; Carbohydr.Polym .; 2000; 42; 421.). The intrinsic viscosity and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ate thus obtained are shown in Table 22 below.

[표 22]Table 2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2
Figure 112006057984812-PCT00022

실시예 64. 유화제가 있을 때 알긴산염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Example 64 Preparation of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an Alginate Aqueous Solution in the Presence of Emulsifiers

트리카프릴린, 모노올레인 및 파클리탁셀을 무게비 33:66:1로 혼합하여 제조된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혼합 기름에 유화제 (트윈 80)를 전체 부피의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단일 액상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일 액상 1 ml에 실시예 63에서 제조된 저분자량의 알긴산염 수용액에 10 ml를 넣어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볼텍싱한 경우 입자의 평균 지름은 396 nm 였다. 그러나, 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알긴산염 수용액에 분산시킨 경우와는 달리 불안정하여 2 ~ 3시간 후에는 상분리가 일어났다.To a mixed oil containing paclitaxel prepared by mixing tricapryline, monoolein and paclitaxel in a weight ratio of 33: 66: 1, an emulsifier (Tween 80) was added to 20% of the total volume to prepare a single liquid phase. 10 ml of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Example 63 was added to 1 ml of the prepared single liquid phase to emulsif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In the case of vortexing,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was 396 nm. However, when water is used, it is unstable, unlike in the case of dispersing in an alginate aqueous solution, and phase separation occurs after 2 to 3 hours.

시험예 2: In vivo 경구 투여 실험 - 파클리탁셀Test Example 2: In vivo oral administration experiment-paclitaxel

상기 실시예 64에서 제조된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8주령의 Balb/c 암컷 마우스를 8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저분자량의 알긴산염 수용액으로 안정화된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혼합 기름 에멀젼 조성물을 파클리탁셀의 투여 농도가 50 mg/kg이 되도록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한 시간 간격은 1, 2, 4 시간으로 하였고 각 시간마다 눈의 모세 혈관에서 미세 유리관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흡수된 파클리탁셀의 농도를 정량하였다.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64 above. After 8-week-old Balb / c female mice were fasted for 8 hours, the mixed oil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paclitaxel stabilized with a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queous solution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mice so that the paclitaxel dose was 50 mg / kg. . Orally administered time intervals were 1, 2 and 4 hours,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capillaries of the eye using micro glass tubes at each time, and the concentration of paclitaxel absorb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quantified.

이와 같이 얻어진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있어서, 검은 원으로 표시된 MT-Alginate는 트리카프릴린과 모노올레인의 혼합 기름에 저분자량의 알긴산염 수용액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얻을 결과이고, 검은 사각형으로 표시된 MTT-Alginate 은 유화제가 첨가된 혼합 기름에 저분자량의 알긴산염 수용액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얻은 결과이고, 검은 삼각형인 MTT-Chitosan 은 유화제가 첨가된 혼합 기름에 키토산 수용액을 유화시킨 조성물과 파클리탁셀의 혼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얻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분자량의 알긴산염 수용액이 키토산 수용액보다 파클리탁셀의 흡수를 더 효과적으로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유화제의 첨가가 파클리탁셀의 초기 흡수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experimental results thus obtained are shown in FIG. 3. In FIG. 3, MT-Alginate, indicated by a black circle, is a result obtained from a group in which a mixture of paclitaxel and a composition obtained by emulsifying a low molecular weight aqueous solution of alginate in a mixed oil of tricapryline and monoolein is obtained. MTT-Alginate i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group of emulsified low oil solution of alginate and the mixture of paclitaxe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mixture of the composition emulsified chitosan aqueous solution and paclitaxel are shown. 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queous solution assists the paclitaxel absorption more effectively than the chitosan aqueous solu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ddition of the emulsifier affects the initial absorption of paclitaxel.

Claims (95)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sterically) 안정화된 에멀젼 조성물.A stericly stabilized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from 0.1 to 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from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제1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onoglyceride compound in an amount of 0.1 to 30% by weight.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A steric stabilized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from 0.1 to 30%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from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제3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을 0.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il in an amount of 0.1 to 6% by weight.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조성물.A steric stabilized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by weight of phytantriol,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account for the remainder. 제5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을 0.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il in an amount of 0.1 to 6% by weight.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의 조성물.A composition of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제7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에멀젼 전구체 조성물.The emulsion precursor composition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 compound.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장기 보관 가능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A stereoscopically stabilized long-term storeable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a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제9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10. The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및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장기 보관 가능한 큐보좀 전구체 조성물.A steric stabilized long-term storeable cubosome precursor composition comprising 0.1-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and 0.01-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제11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이 트리글리세라이드, 요오드화 기름, 식물성 기름 및 동물성 기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기름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oil is one or more oi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glycerides, iodide oils, vegetable oils and animal oil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포화 또는 불포화된 C2-C20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said triglyceride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 2 -C 20 monoglyceride-based compoun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트리아세틴 (triacetin), 트리부티린 (tributyrin), 트리카프로인 (tricaproin), 트리카프릴린 (tricaprylin), 트리카프린 (tricaprin), 및 트리올레인 (triolei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iglyceride is triacetin, tributyrin, tricaproin, tricaprylin, tricaprin, and triolein ( triole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화 오일이 리파이오돌, 요오드화 양귀비씨 기름 (iodized poppy seed oil), 에티오돌 (ethiodol) 및 요오드화 대두유 (iodized soybean oi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14. 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said iodide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iodol, iodized poppy seed oil, ethiodol, and iodized soybean o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이 콩기름, 면실유, 올리브유, 양귀비씨기름, 홍화씨기름 및 참기름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the vegetable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ybea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oppy seed oil, safflower seed oil and sesame o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기름이 스쿠알란 또는 스쿠알렌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said animal oil is squalane or squalene.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포화 또는 불포화된 C10-C22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wherein the monoglyceride compound comprises a monoglyceride compound which is C10-C22 saturated or unsaturate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팔미톨레인(Monopalmitolein), 모노미리스톨레인(Monomyristolein), 모노일레이딘(Monoelaidin), 모노이루이신(Monoerucin),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합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is monooolein (Monoolein), monopalmititolein (Monopalmitolein), mono myristolein (Monomyristolein), monoeilaidin (Monoelaidin), monoirucine (Monoerucin) And a mixture of monoglycerides semi-synthesized from triglycerides of vegetable or animal oil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모노올레인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20, wherein the monoglyceride compound is monoolein.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가 천연 고분자(Natural polymer), 천연 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Modified natural polymer) 및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 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olymers, modified natural polymers, and synthetic polymers. Composi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가 키토산(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덱스트란 및 그 유도체;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펙틴(Pec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알긴산(Algi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그 염 및 그 유도체; 잔탄(Xanth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아밀로즈(Amylose, 수용성 전분), 그 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natural polymer is chitosan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Dextran and its derivatives; Acacia gum; Tragacanthin; Hyaluronic acid,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ect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lginic acid,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gar; Galactomannans,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Xanth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Beta-cyclodextr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mylose (water soluble starch),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가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그 염 및 그 유도체; 젤라틴(Gela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로 이루어진 군 주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olymer modified from the natural polymer is glycol chitosan (Glycol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ethyl cellulose (HE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cellulose (HPC),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MC); Methylcellulose,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Gelati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And protamine sulfat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가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그 염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폴리(에틸렌옥시드-b-프로필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acrylamide (PA);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AA),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ylene glycol (PEG); Poly (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and polylysine (Polylysine) composition.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가용화시킬 수 있는 산성 수용액, 염기성 수용액, 완충 용액 및 염 용액 등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aqueous solu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ic aqueous solution, a basic aqueous solution, a buffered solution, a salt solution, and the like, which can solubilize the hydrophilic polymer.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류 및 지방산의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further comprising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mulsifiers, fatty acids, esters of fatty acids, and alcohols of fatty acids in an amount of 5% by weight or less.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인지질, 스핑고지질(sphingolipid),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담즙산(bile acid)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27 wherein the emulsif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olipids, sphingolipid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bile acid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 serine) 유도체, 및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지질(polymeric lipid)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phospholip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 choline derivatives, phosphatidyl ethanolamine derivatives, phosphatidyl serine derivatives, and lipids to which hydrophilic polymers are bound. Phosphorus composit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 지질이 세라마이드계(ceramides), 세레브로사이드계(cerebroside) 및 스핑고마이엘린계(sphingomyelin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28, wherein the sphingolip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amides, cerebrosides and sphingomyelin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폴록사머(Poloxamer; Pluroni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솔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Span),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polyoxy ehtylene ethers; Brij)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nonionic surfact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oxamer (Pluronic;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copolymer), sorbitan esters (Span), 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 And polyoxyethylene ethers (Brij).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포스파티딜세린 유도체,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유도체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29. The composition of claim 28,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serine derivatives, phosphatitidic acid derivative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1-(1,2-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cationic surfactant is 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N-[1-(1,2-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디올레일-3-에틸포스포콜린(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및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β-[N-[(N',N'-dimethylamino)ethan]carbamoyl]chlorestero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And 3β- [N-[(N ', N'-dimethylamino) ethane] carbamoyl] cholesterol (3β- [N-[(N', N'-dimethylamino) ethan] carbamoyl] chloresterol) The composition selected.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이 콜린산(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리토콜린산(Litho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 및 체노콜린산(Chenocholic acid), 그의 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bile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Deoxy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Litho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chenoholic acid (Cheno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한 가지 이상의 기름과 임의적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유화제를 잘 섞어서 단일액상으로 만들고,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Mixing well one or more oils and optionally monoglycerides and / or emulsifiers into a single liquid phase, and preparing a solution by mixing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and optionally emulsifiers in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상기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 는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n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ogether and dispersing the single liquid phase and the solution obtained abov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액상의 제조를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하여 수행하는 방법.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preparation of the single liquid phase is carried out by warming or sonicating.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vortexing), 소니케이션(sonication) 또는 미세유동화(microfluidization)하여 수행하는 방법.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잘 섞어 단일액상으로 만들고,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Monoglycerides, phytantriols, monoglycerides / oil mixtures or phytantriols / oil mixtures are optionally mixed with emulsifiers to form a single liquid phase, and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and optionally emulsifiers are mixed with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prepare a solution; 상기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nd dispersing together the obtained single liquid phase and the solution.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액상의 제조를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하여 수행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preparation of the single liquid phase is carried out by warming or sonicating.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또는 미세유동화하여 수행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수용액과 섞어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고, 물 또는 수용액에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Monoglycerides, phytantriols, monoglycerides / oil mixtures or phytantriols / oil mixtures and optionally emulsifiers are mixed with aqueous solutions to form L2, lamellar or cubic phases, and biocompatible hydrophilic in water or aqueous solutions. A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polymer and an emulsifier optionally; 상기에서 얻어진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상기 용액과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큐보좀 조성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cubosom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dispersing after mixing th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obtained with the solution.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의 제조를 주사기 및 삼방향 스톱-코르크(stop-cork)로 구성된 지질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preparation of the L2, lamellar or cubic phase is carried out using a lipid mixer consisting of a syringe and three-way stop-cork.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또는 미세유동화하여 수행하는 방법.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제형.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emulsion formulations comprising 0.1-30%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01-5%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0.1-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제44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45. The emulsion formulation of claim 44,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in an amount of 0.1 to 30% by weight.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s comprising from 0.1 to 30%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from 0.01 to 5% by weight of biocompatible polymer, from 0.1 to 10% by weight of at least one drug, and water or aqueous solution for the remainder . 제46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을 0.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큐보좀 제형.47. The cubosome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4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il in an amount of 0.1 to 6% by weight.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를 차지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A steric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from 0.1 to 30% by weight of phytantriol, from 0.01 to 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from 0.1 to 10%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ccupying the remainder. 제48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을 0.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큐보좀 제형.49. The cubosome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4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il in an amount of 0.1 to 6% by weight.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전구체 제형.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emulsion precursor formulation comprising 0.1-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0.01-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제50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에멀젼 전구체 제형.51. The emulsion precursor formulation of claim 50, further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monoglyceride compounds. 한 가지 이상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제형.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drug. 제49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큐보좀 전구체 제형.The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49 further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파이탄트리올 0.1 내지 30 중량부,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 0.01 내지 5 중량부, 및 한 가지 이상의 약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기 보관 가능한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전구체 제형.A long-term storage stereoscopically stabilized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 comprising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hytantriol,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0.1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drugs. 제54항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기름 0.1 내지 6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큐보좀 전구체 제형.55. The cubosome precursor formulation according to claim 54 further comprising 0.1 to 6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oils. 제44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이 트리글리세라이드, 요오드화 기름, 식물성 기름 및 동물성 기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것인 제형.The formulation of claim 44, wherein the oil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glycerides, iodide oils, vegetable oils, and animal oils.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포화 또는 불포화된 C2-C20인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The formulation of claim 56, wherein the triglyceride is a monoglyceride-based compound that is saturated or unsaturated C 2 -C 2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트리아세틴 (triacetin), 트리부티린 (tributyrin), 트리카프로인 (tricaproin), 트리카프릴린 (tricaprylin), 트리카프린 (tricaprin), 및 트리올레인 (triolein)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58. The method of claim 57, wherein the triglycerides are triacetin, tributyrin, tricaproin, tricaprylin, tricaprin, and triolein. triolein).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화 오일이 리파이오돌, 요오드화 양귀비씨 기름 (iodized poppy seed oil), 에티오돌 (ethiodol) 및 요오드화 대두유 (iodized soybean oi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57. The formulation of claim 56, wherein said iodide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iodol, iodized poppy seed oil, ethiodol, and iodized soybean oil.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이 콩기름, 면실유, 올리브유, 양귀비씨기름, 홍화씨기름 및 참기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The formulation of claim 56, wherein the vegetable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ybean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oppy seed oil, safflower seed oil and sesame oil.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기름이 스쿠알란 또는 스쿠알렌인 제형.The formulation of claim 56, wherein said animal oil is squalane or squalene. 제45내지 제47항 및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포화 또는 불포화된 C10-C22의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55. The formulation of any one of claims 45-47 and 51-53, wherein said monoglyceride compound comprise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10-C22 monoglyceride compound.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팔미톨레인(Monopalmitolein), 모노미리스톨레인(Monomyristolein), 모노일레이딘(Monoelaidin), 모노이루이신(Monoerucin),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합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63. The method of claim 62, wherein the monoglyceride-based compound is monooolein (Monoolein), monopalmititolein (Monopalmitolein), mono myristoleine (Monomyristolein), monoeilaidin (Monoelaidin), monoirucine (Monoerucin) And a mixture of monoglycerides semi-synthesized from triglycerides of vegetable or animal oils.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계 화합물이 모노올레인인 제형.64. The formulation of claim 63, wherein said monoglyceride compound is monoolein. 제44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가 천연고분자(Natural polymer), 천연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Modified natural polymer), 및 합성고분자(Synthetic polymer)로 구성된 군 주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56. The group of any of claims 44-55, wherein the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is comprised of a natural polymer, a modified natural polymer, and a synthetic polymer. Formulations selected from.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가 키토산(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덱스트란 및 그 유도체;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펙틴(Pec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알긴산(Alginic acid), 그 염 및 그 유도체; 아가(Agar),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그 염 및 그 유도체; 잔탄(Xanthan), 그 염 및 그 유도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아밀로즈 (Amylose, soluble starch), 그 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66. The method of claim 65, wherein the natural polymer is chitosan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Dextran and its derivatives; Acacia gum; Tragacanthin; Hyaluronic acid,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ect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lginic acid,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gar, Galactomannans,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Xanth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Beta-cyclodextrin,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amylose (soluble starch),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로부터 변형된 고분자가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 그 염 및 그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그 염 및 그 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메틸 셀룰로오스 (Methylcellulose), 그 염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그 염 및 그 유도체; 젤라틴(Gelatin), 그 염 및 그 유도체;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66. The method of claim 65, wherein the polymer modified from natural polymers comprises glycol chitosa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ethyl cellulose (HEC),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cellulose (HPC),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MC); Methyl cellulose, its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Gelatin,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And protamine sulfate.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분자가 폴리(베타-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그 염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및 폴리라이신 (Polylysin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66. The method of claim 65,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is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oly (beta-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acrylamide (PA);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AA), salts thereof and derivatives thereof;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ylene glycol (PEG); poly (ethylene oxide-b-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oxide [Poly (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PPO]; and polylysine. 제44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단백질,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계 소염제 (SAID),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NSAID), 항생제, 항진균제, 비타민, 호르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 항암제, 항대사제, 축동제(mitotics), 콜린작동성 약물, 아드레날린 길항제(adrenaline antagonist), 항경련제, 항불안제, 정온제, 항우울제, 마취제, 진통제, 동화성 스테로이드제, 에스트로겐(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P-당단백질 억제제, 간대사 저해제, 면역 억제제 및 면역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drug is a protein, an antiviral agent, a 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SAID),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NSAID), an antibiotic, an antifungal agent, a vitamin, a hormone, a prostaglandin, Prostacyclin, anticancer, anti-metabolic, mitotics, cholinergic, adrenaline antagonist, anticonvulsant, anti-anxiety, thermostatic, antidepressant, anesthetic, analgesic, anabolic steroid, estrogen (estrogen), progesteron, glycosaminoglycan, polynucleotide, polynucleotide, P-glycoprotein inhibitor, hepatic metabolism inhibitor, immunosuppressant and immunostimulator.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이 기능성 펩타이드(functional peptide); 부신피질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과 절편(fragment); 안지오텐신(angioten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항체 절편(antibody fragment); 항원(antigen)과 그의 절편; 심방 나트륨 배설촉진 펩타이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생부착성 펩타이드(bioadhesive peptide); 브래디키닌(Bradykin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칼시토닌(calciton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 절편(cell surface receptor protein fragment); 화학주성 펩타이드(chemotactic peptide); 시클로스포린류(cyclosporins); 사이토카인류(cytokines); 디노르핀(Dynorph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엔돌핀(endorphin)과 β-리도트로핀 절편 (β-lidotropin fragment); 엔케팔린(enkephalin)과 그의 관련 단백질; 효소활성 억제제(enzyme inhibitors); 피브로넥틴 절편(fibronectin fragment)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위장 펩타이드(gastrointestinal peptide); 성장호르몬 분비 펩타이드(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 면역자극 펩타이드(immunostimulating peptide); 인슐린 (insulin)과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인터루킨류(interleukins), 황체형성 호르몬 분비 호르몬(luth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핵 전달신호(neuclear localization signal) 관련 펩타이드; 뉴로텐신(neuroten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신경전달물질 펩타이드(neurotransmitter peptide); 아편양제제 펩타이드(opioid peptide); 옥시토신(oxytocin); 바소프레신(vasopress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부신피질 호르몬(parathyroid hormone)과 절편; 단백질 키나아제(ptotein kinase) 관련 펩타이드;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과 그의 관련 펩타이드; 기질 P(substance P)와 그의 관련 펩타이드; 전이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및 그의 관련 펩타이드; 종양 괴사 인자 절편(tumor necrosis factor fragment); 면역글로블린 (immunoglobulin)류, 안지오제닌 (angiogenin),골형성 단백질 (bone morphogenic protein), 케모카인 (chemokine), 콜로니 자극 인자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와 관련 단백질, 성장인자류(growth factors), 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interleukin), 렙틴(leptin), 소아마비 억제인자 (leukemia inhibitory factor), 간세포 인자류(stem cell factors) 및 독소(toxin) 또는 톡소이드(toxoid)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65. The method of claim 64, wherein the protein comprises a functional peptid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and fragments; Angiotensin and its related peptides; Antibody fragments; Antigen and fragments there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Bioadhesive peptides; Bradykinin and its related peptides; Calcitonin and its related peptides; Cell surface receptor protein fragments; Chemotactic peptides; Cyclosporins; Cytokines; Dynorphin and its related peptides; Endorphins and β-lidotropin fragments; Enkephalin and its related proteins; Enzyme inhibitors; Fibronectin fragments and related peptides; Gastrointestinal peptide; 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s; Immunostimulating peptides;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Interleukins, luth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nd related peptides;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related peptides; Nuclear localization signal related peptides; Neurotensin and related peptides; Neurotransmitter peptides; Opioid peptides; Oxytocin; Vasopressin and its related peptides; Parathyroid hormones and fragments; Protein kinase related peptides; Somatostatin and related peptides; Substrate P and its related peptid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and related peptides; Tumor necrosis factor fragments; Immunoglobulins, angiogenins, bone morphogenic proteins, chemokines, 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s) and related proteins, growth factors, The formul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terferon, interleukin, leptin, polio inhibitory factor, stem cell factors and toxin or toxoid .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이 소 췌장 인슐린(bovine pancreatic insulin), 인간 재조합(human recombinant) 인슐린, 돼지 췌장 (porcine pancreatic) 인슐린, arg-인슐린(arg-insulin), 인슐린-바이오틴(insulin-biotin), 인슐린-FITC(insulin-FITC), 리스프로(LysPro, 미국 Eli Lilly),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인슐린(polyethylene glycol-insulin, PEG-insulin)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1. The method of claim 70, wherein said insulin is bovine pancreatic insulin, human recombinant insulin, porcine pancreatic insulin, arg-insulin, insulin-biotin. ), Insulin-FITC (insulin-FITC), LysPro (Ely Lilly, USA), and polyethylene glycol-insulin (polyethylene glycol-insulin, PEG-insulin).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 (functional peptide)가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을 포함하는 항암성(anticancer) 펩타이드, 항고혈압(antihypertension) 펩타이드, 항혈전(antiblood-clotting) 펩타이드, 및 항진균성(antimicrobial)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1. The method of claim 70, wherein the functional peptide is an anticancer peptide comprising angiostatin, an antihypertension peptide, an antiblood-clotting peptide, and an antimicrobial.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ptides.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가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카무스틴 (BCNU), 다카바진, 에도포사이드, 플루오로우라실 (5-FU), 및 파클리탁셀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0.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the anticancer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xorubicin, cisplatin, carboplatin, carmustine (BCNU), dacarbazine, edoposide, fluorouracil (5-FU), and paclitaxel and derivatives thereof. Formulation.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파클리탁셀 유도체가 파클리탁셀, 도시탁셀, 브로모 탁셀 및 탁소티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5. The formulation of claim 73, wherein said paclitaxel derivativ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clitaxel, docetaxel, bromotaxel and taxotere.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P-당단백질 억제제가 신코닌(cinchonin), 칼슘 채널 저해제, 칼모듈린 길항제,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caloid), 항부정맥제, 스테로이드, 항고혈압제, 구충제, 및 면역억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0.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the P-glycoprotein inhibitor consists of cinchonin, calcium channel inhibitors, calmodulin antagonists, Vinca alcaloids, antiarrhythmics, steroids, antihypertensives, antiparasitic agents, and immunosuppressants.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채널 저해제가 베라파밀(verapamil), 니페디핀(nifedipine), 니카디핀(nicardipine), 및 니트렌디핀(nitrendipin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디히드로피리딘(dihydropyridines)이고, 상기 칼모듈린 길항제가 트리플루오로페라진(trifluoroperazine)이고, 상기 항고혈압제가 레세핀(reserpine)이고, 상기 빈카 알칼로이드가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빈블라스틴(vinblastine)으로 이루어진 군 주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스테로이드가 프로게스테론이고, 상기 항부정맥제가 아미오다론(amiodarone), 및 퀴니딘(quinidine)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구충제가 퀴나크린(quinacrine), 및 퀴닌(quini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면역억제제가 사이클로스포린류, 스타우로스포린(staurosporine), 및 태크로리머스(tacrolimus)로 이루어진 구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7. The cal module according to claim 75, wherein the calcium channel inhibitor is dihydropyridi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rapamil, nifedipine, nicardipine, and nitrendipine. The lean antagonist is trifluoroperazine, the antihypertensive agent is respine, the vinca alkalo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cristine, and vinblastine, The steroid is progesterone and the antiarrhythmic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odarone and quinidine. The antiparasitic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quinacrine and quinine, and the immunosuppressive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sporins, staurosporine, and tacrolimus. .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간 대사 저해제가 사이클로스포린 A,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에토포사이드(etoposide, VP-16), 시스플라틴(cisplatin), 베라파밀(verapamil), 및 타모시펜(tamoxife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0. 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said liver metabolism inhibi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sporin A, doxorubicin, etoposide (VP-16), cisplatin, verapamil, and tamoxifen. The formulation selected. 제44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류, 및 지방산의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태된 첨가제를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제형.The formul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4 to 55, further comprising an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mulsifiers, fatty acids, esters of fatty acids, and alcohols of fatty acids in an amount of up to 5% by weight.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인지질, 스핑고 지질 (sphingolipid),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담즙산 (bile acid)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79. The formulation of claim 78, wherein said emulsif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olipids, sphingolipid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bile acids.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 Chol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 ethanolamine) 유도체, 포스파티딜세린 (Phosphatidyl serine) 유도체, 및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지질 (polymeric lipid)로 이루어진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The phospholipid of claim 79, wherein the phospholip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 choline derivatives, phosphatidyl ethanolamine derivatives, phosphatidyl serine derivatives, and lipids bound to hydrophilic polymers. Formulation.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지질이 세라마이드계(ceramides), 세레브로사이드계(cerebroside), 및 스핑고마이엘린계(sphingomyelins)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80. The formulation of claim 79, wherein the sphingolipi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ramides, cerebrosides, and sphingomyelins.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폴록사머(Poloxamer; Pluroni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솔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Span),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polyoxy ehtylene ethers; Brij)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80. The method of claim 79, wherein the nonionic surfactant is a poloxamer (Pluronic;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copolymer), sorbitan esters (Span), polyoxyethylene sorbitans (Tween) ), And polyoxy ethylene ethers (Brij).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포스파티딜세린 유도체, 포스파티딘산 (Phosphatidic acid) 유도체, 및 소듐 도데실설페이트 (sodium dodecyl sulfate, SDS)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80. The formulation of claim 79, wherein the anionic surfactant used as an emulsifi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serine derivatives, phosphatitidic acid derivative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1,2-디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1-(1,2-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N-[1-(1,2-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디올레일-3-에틸포스포콜린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및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β-[N-[(N',N'-dimethylamino)ethan]carbamoyl]chloresterol)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80. The method of claim 79, wherein the cationic surfactant is 1,2-diole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N- [1- (1,2-dioleyloxy) propyl] -N, N, N-trimethylammonium chlorid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1,2-dioleyl-3-ethylphosphocholine), and 3β- [N-[(N ', N'-dimethylamino) ethane] carbamoyl] cholesterol (3β -[N-[(N ', N'-dimethylamino) ethan] carbamoyl] chloresterol).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은 콜린산 (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데옥시콜린산 (Deoxy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리토콜린산(Litho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 및 체노콜린산 (Chenocholic acid)과 그의 염 및 유도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80. The method of claim 79, wherein the bile acid is cholic acid (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deoxy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lithocholic acid an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cheno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olincholic acid,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제44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친수성 고분자를 가용화시킬 수 있는 산성수용액, 염기성 수용액, 완충용액 및 염 용액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제형.The formul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4 to 55, wherein the aqueous solu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ic aqueous solution, a basic aqueous solution, a buffer solution, a salt solution, and the like, which can solubilize the hydrophilic polymer. 한 가지 이상의 기름, 약물과 임의적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 유화제를 잘 섞어서 단일액상으로 만들고,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수용액을 제조하고;Mixing one or more oils, drugs, optionally monoglycerides, and emulsifiers into a single liquid phase to prepar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 and an emulsifier optionally; 상기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수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에멀젼 제형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stabilized emulsion formula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nd dispersing together the obtained single liquid and aqueous solution.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액상의 제조를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 하여 수행하는 방법.88. The method of claim 87, wherein the preparation of said single liquid phase is carried out by warming or sonicating.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또는 미세유동화하여 수행하는 방법.88. The method of claim 87,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 약물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잘 섞어서 단일액상으로 만들고,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수용액을 제조하고;Monoglycerides, phytantriols, monoglycerides / oil mixtures or phytantriols / oil mixtures, drugs and optionally emulsifiers are mixed well into a single liquid phase, and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and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emulsifiers are optionally prepared. and; 상기에서 얻어진 단일액상과 수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nd dispersing together the obtained single liquid and aqueous solution.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액상의 제조를 가온하거나 소니케이션하여 수행하는 방법.91. The method of claim 90, wherein the preparation of the single liquid phase is carried out by warming or sonicating.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또는 미세유동화하여 수행하는 방법.91. The method of claim 90,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모노글리세라이드, 파이탄트리올, 모노글리세라이드/기름 혼합물 또는 파이탄트리올/기름 혼합물,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수용액과 섞어서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을 제조하고, 생체 적합성 친수성 고분자와 임의적으로 유화제를 넣은 수용액을 제조하고;Monoglycerides, phitantriols, monoglycerides / oil mixtures or phytantriols / oil mixtures, optionally with an emulsifier, are mixed with an aqueous solution to form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optionally with biocompatible hydrophilic polymers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emulsifier; 상기에서 얻어진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과 수용액을 함께 섞은 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적으로 안정화된 큐보좀 제형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ly stabilized cubosom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nd then dispersing the L2 phase, lamellar phase or cubic phase and the aqueous solution obtained above.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L2상, 라멜라상 또는 큐빅상의 제조를 주사기 및 삼방향 스톱-코르크로 구성된 지질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94. The method of claim 93, wherein the preparation of the L2, lamella or cubic phase is carried out using a lipid mixer consisting of a syringe and a three-way stop-cork.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을 손으로 흔들어주거나, 볼텍싱, 소니케이션, 또는 미세유동화하여 수행하는 방법.94. The method of claim 93, wherein the dispersion is performed by hand shaking, vortexing, sonication, or microfluidization.
KR1020067016386A 2004-02-12 2005-02-07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91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386A KR100891278B1 (en) 2004-02-12 2005-02-07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37 2004-02-12
KR1020067016386A KR100891278B1 (en) 2004-02-12 2005-02-07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008A true KR20070018008A (en) 2007-02-13
KR100891278B1 KR100891278B1 (en) 2009-04-06

Family

ID=4134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386A KR100891278B1 (en) 2004-02-12 2005-02-07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27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2090B2 (en) 2014-07-17 2018-05-29 Ultra V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dioxanone particles for filler
CN108567971A (en) * 2018-06-13 2018-09-25 宁波三生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rbetocin injection
CN113662171A (en) * 2021-08-23 2021-11-19 河南科拓生物科技有限公司 Chitosan-based microgel emulsifier
CN113980295A (en) * 2021-11-12 2022-01-28 中国石油大学(华东) Chitosan/sodium alginate hydrogel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method thereof
KR20220072094A (en) * 2020-11-24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Core-shell micro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486A1 (en) * 2011-03-11 2012-09-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treating cancer
KR101528476B1 (en) * 2014-10-07 2015-06-12 네오지에이지주식회사 Enhanced drug delivery formulation for mesoglyca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4155A (en) * 1993-08-13 1998-04-28 Friedman; Doron Bioadhesive emulsion preparations for enhanced drug delive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2090B2 (en) 2014-07-17 2018-05-29 Ultra V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dioxanone particles for filler
CN108567971A (en) * 2018-06-13 2018-09-25 宁波三生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rbetocin injection
KR20220072094A (en) * 2020-11-24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Core-shell micro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3662171A (en) * 2021-08-23 2021-11-19 河南科拓生物科技有限公司 Chitosan-based microgel emulsifier
CN113980295A (en) * 2021-11-12 2022-01-28 中国石油大学(华东) Chitosan/sodium alginate hydrogel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method thereof
CN113980295B (en) * 2021-11-12 2023-12-22 中国石油大学(华东) Chitosan/sodium alginate hydroge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278B1 (en)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7336A1 (en)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91278B1 (en)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colloidal system comprising biocompatible aqueous-solu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94594B1 (en) Sustained-release lipid pre-concentrate of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8541400B2 (en) Compositions forming non-lamellar dispersions
CN1897975B (en) Nanoparticle compositions of water-soluble drugs for oral administr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CN102105134B (en) Stable injectable oil-in-water docetaxel nanoemulsion
JP5627039B2 (en) Nanodispersions of drug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U2013371101B2 (en) Sustained-release lipid pre-concentrate of GnRH analogu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5603852B2 (en) Freeze-dried nanoemulsion
PT100400B (en) MICROEMULATIONS FORMULATIONS CONVERTIVEIS
JP2002507966A (en)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03526679A (en) Compositions and dosage forms for solubilizing various substan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ITMI9802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THE FORM OF NANOPARTICLES INCLUDING LIPID SUBSTANCES AND ANTIPHILIC SUBSTANCES AND RELATED PROCESS OF
WO2002064166A1 (en) Formulation to enhance bioavailability of bioactive mat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427482A (en) The multivesicular liposome preparation of tranexamic acid
EP2034960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biological barriers permeation enhancing properties
Morakul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 (SNEDDS): An advancement technology for oral drug delivery
WO2009019604A2 (en) Delivery systems for solubilising water-insoluble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JP2019510048A (en) Liraglutide viscoelastic gel suitable for once-weekly or bi-weekly administration
KR102628523B1 (en) Injection composition comprising GnRH analogue
CN101035511B (en) Compositions forming non-lamellar dispersions
JP2016525143A5 (en)
WO1998018492A1 (en) Method of inhibiting drug precipitation
Chavan et al. Self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