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782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782A
KR20070017782A KR1020050072364A KR20050072364A KR20070017782A KR 20070017782 A KR20070017782 A KR 20070017782A KR 1020050072364 A KR1020050072364 A KR 1020050072364A KR 20050072364 A KR20050072364 A KR 20050072364A KR 20070017782 A KR20070017782 A KR 2007001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djustment
adjustment menu
user
display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940B1 (ko
Inventor
박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9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항목을 갖는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발생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뀔 때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조정메뉴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신호입력부 20 : 비디오신호변환부
30 : 비디오신호처리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OSD발생부 60 : 제어부
70 : 사용자입력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뀔 때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조정메 뉴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게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조정메뉴를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와,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하게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모니터, PDP, 이동전화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제품들은 한정된 공간 안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조정메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OSD, 이하 OSD라고 함)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을 보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들은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를 조작하여 사용자조정메뉴(이하 제1사용자조정메뉴라 함)에서 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사용자조정메뉴(이하 제2사용자조정메뉴라 함)로 전환할 경우, 제1사용자조정메뉴에서 별다른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하지 않고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조정메뉴의 전환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조정메뉴가 전환될 경우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항목을 갖는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발생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지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조정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 나,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신호입력부(10), 비디오신호변환부(20), 비디오신호처리부(30), 디스플레이부(40), OSD발생부(50), 제어부(60) 및 사용자입력부(70)를 포함한다.
비디오신호입력부(10)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다양한 비디오 입력 소스들의 비디오신호를 비디오신호변환부(20)로 출력한다.
비디오신호변환부(20)는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비디오신호처리부(30)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비디오신호변환부(20)는 입력되는 비디오신호 예컨대, S-비디오 신호 또는 TV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는 비디오디코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신호변환부(20)는,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접속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DVI 신호 등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RGB 디지털 신호와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분리하여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수신부와, 입력되는 컴포넌트(Component) 신호나 PC 신호 등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는 A/D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신호처리부(30)는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신호처리부(3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신호변환부(2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고, OSD발생부(50)로부터 출력되는 OSD메뉴신호의 사용자조정메뉴화면을 비디오화면상에 겹쳐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도록 비디오신호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60)에 키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입력부(70)는 사용자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미도시)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에 상(△ 또는 +)/하(▽ 또는 -)키(미도시)와 ENTER키(미도시) 및 EXIT키(미도시)를 포함하고,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입력부(70)는 별도로 연결되는 입력수단 즉, 마우스(미도시), 키보드(미도시)로 마련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버튼 및 키를 조작하게 되면, 키신호발생부(미도시)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6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는 키신호발생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비디오신호처리부 (30)와 OSD발생부(50) 등을 제어한다.
OSD발생부(50)는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제1사용자조정메뉴 및 각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제공한다. 즉, OSD발생부(50)로부터 출력되는 제1사용자조정메뉴 및 제2사용자조정메뉴에 대응하는 OSD메뉴신호는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와 혼합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다.
제어부(60)는, 사용자입력부(70)의 사용자조정메뉴 선택을 위한 키(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된 선택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부(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나(도 3의 (b) 참조), 사용자가 표시된 선택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소정의 시간동안 상호 중첩(도 4의 (b) 참조)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OSD발생부(5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입력부(70)의 사용자조정메뉴 선택을 위한 키(미도시)가 입력되면(S21), 제어부(60)는 OSD발생부(50)를 제어하여 제1사용자조정메뉴(301, 304)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S22, 도 3의 (a) 및 도 4의 (a) 참조).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70)의 상(△ 또는 +)/하(▽또는 -)키(미도시)를 조작하여 제1사용자조정메뉴(301, 304)의 선택항목을 선택하는 경우(S23), 제어부(60)는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가 디스플레이부(40)에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거쳐 표시되도록 OSD발생부(50)를 제어한다(S24, S25).
여기서,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한 도 3의 (b)는 제2사용자조정메뉴(301)가 디스플레이부(4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것을 보인 일예이고, 또한 도 4의 (b)는 제2사용자조정메뉴(305)가 제1사용자조정메뉴(304)와 소정의 시간동안 상호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것을 보인 일예이다.
여기서, 도 3의 (b)와 (d)에서 제2사용자조정메뉴(302)의 디스플레이부(40)에서의 이동은, 디스플레이부(4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302), 디스플레이부(40)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디스플레이부(40)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 또는 디스플레이부(40)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 등 다양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도 3의 (c)와 도 4의 (c)에서 제1사용자조정메뉴(301, 304)는 디스플레이부(40)에서 삭제되거나, 또는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의 뒷부분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상태(도 3의 (c), 도 4의 (c) 참조)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70)의 상(△또는 +)/하(▽ 또는 -)키(미도시)를 조작하여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의 선택항목이 선택되면(S26), 제어부(60)는 선택된 선택항목의 기능을 수행한다(S27).
도 3의 (d)와 도 3의 (e)의 참조번호 303과 도 4의 (d)와 도 4의 (e)의 참조번호 306은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의 서브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제2사용자조 정메뉴(302, 305)의 서브메뉴이다.
또한, 제어부(60)는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의 서브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거쳐(도 3의 (d), 도 4의 (d) 참조) 제2사용자조정메뉴(302, 305)의 서브메뉴(303, 306)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도록 OSD발생부(50)를 제어한다(도 3의 (e), 도 4의 (e)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뀔 때 소정의 화면전환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조정메뉴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항목을 갖는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발생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지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조정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의 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거나, 상기 선택된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2사용자조정메뉴가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조정메뉴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72364A 2005-08-08 2005-08-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64A KR100703940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64A KR100703940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782A true KR20070017782A (ko) 2007-02-13
KR100703940B1 KR100703940B1 (ko) 2007-04-06

Family

ID=4162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364A KR100703940B1 (ko) 2005-08-08 2005-08-0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210B1 (ko) * 2007-03-12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863B1 (ko) * 1998-10-28 2002-01-17 윤종용 조정모드리셋기능을갖는티브이제어방법
KR20000039089A (ko) * 1998-12-11 2000-07-05 구자홍 뒤집힘 상태를 자동 감지하여 반전처리하는 엘씨디 프로젝터
KR100304895B1 (ko) * 1999-06-07 2001-10-29 구자홍 컴퓨터의 입력 방지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JP2002132200A (ja) * 2000-10-20 2002-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Crt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210B1 (ko) * 2007-03-12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8601382B2 (en) 2007-03-12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e execution method and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940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68113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user menu
KR10071126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777950A2 (en) Display apparatus
US2014029269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3001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901643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70065111A (ko) 영상 시스템, 영상 신호 포맷 설정 장치 및 설정 방법
KR1007039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2752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984576B1 (ko)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1908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003512B1 (ko) Osd 메뉴 제어방법
KR20100107142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71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92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09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8153A (ko)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영상기기 제어 방법
KR200700378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2881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574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드선택방법
KR20160056727A (ko) 영상표시장치
KR100609899B1 (ko) 티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