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149A - 인공 조명용 발광체 - Google Patents

인공 조명용 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149A
KR20070017149A KR1020067021244A KR20067021244A KR20070017149A KR 20070017149 A KR20070017149 A KR 20070017149A KR 1020067021244 A KR1020067021244 A KR 1020067021244A KR 20067021244 A KR20067021244 A KR 20067021244A KR 20070017149 A KR20070017149 A KR 2007001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ght
pair
lamp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제이. 사코마노
이반 비. 스테이너
Original Assignee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6702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149A/ko
Publication of KR2007001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6Optical design with involute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선을 분포시키기 위한 발광체(110)는 램프(1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영역(114)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114)은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발광체는 세로축(112)을 따라 배치된 제 1 반사부(120)와 제 2 반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부(120)는 천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12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반사부(130)은 천장쪽 방향(13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제 2 반사부(130)와 천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반사부(130)는 상기 광원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첨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반사부(120)는 상기 제 2 반사부(130)를 통해서 상기 광원을 지나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광원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인공 조명용 발광체{LUMINAIRES FOR ARTIFICIAL LIGHTING}
관련 출원 참고 사항
본 출원은 2004년 3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552,433호와 2004년 4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563,01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인공 조명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실내를 조명하는 직-간접적 형태의 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종래 기술에 관해 검토하더라도, 이는 해당 종래 기술이 널리 알려졌거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주지의 사실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인공 조명 분야, 특히, 실내를 밝히기 위한 적용례에서 광원을 둘러싼 발광 구조체는 내부 공간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빛을 유도하거나, 이에 더해 내부공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물체에 빛을 유도한다. 광원으로부터 빛의 일부는 직접적으로 내부 공간의 하나 이상의 표면으로 직접 도달하거나 먼저 다른 발광 구조체와 충돌하 거나 이를 통과하지 않고 내부공간 안의 하나 이상의 물체에 직접 도달할 수 있다. 발광체에서 사용되는 광원은 선형 또는 원형의 관 모양 형광등과 같은 램프, 백열전구, 발광다이오드(LED), 그리고 세라믹금속할로겐(CMH) 램프와 같은 고밀도 방전(HID) 램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발광체는 공간의 천장(상향광 기구), 공간의 바닥(하향광 기구), 공간의 하나 이상의 벽, 공간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물체, 또는 이들의 조합체에 빛을 투영하는 조명기구일 수 있다.
발광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특성은 다음 내용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효율 : 입력 전원의 전력에 대한 루맨 출력 광속의 수
- 발생되는 조도
- 입사 하향광 분포 : 직-간접 하향광속으로부터 공간의 바닥에 형성하는 조도균일을 결정한다. "직접" 하향광속은 상기 발광체로부터 공간의 바닥(또는 바닥에 놓인 물체)에 직접 도달한다. "간접" 하향광속은 먼저 공간의 천장이나 벽에서 반사된 후에 공간의 바닥(또는 바닥에 놓인 물체)에 도달한다.
- 직접 하향광 밀도의 각분포 : 예를 들어, "박쥐 날개" 모양의 밀도 각분포가 바람직하다. 이는 직접 하향 광속에 의한 조명을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 하향 광속대 상향 광속의 비 : 하향광과 상향광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발광체는 미국특허 4,472,767, 미국특허 5,884,994, 미국특허 6,457,844 및 국제공개(WO) 03/036161 A1에서 설명된다.
- 섬광의 발생 : 이는 많은 작업시간 동안 수행되는 일을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작업영역을 밝힐 때 가장 중요하다.
- 미적 호소 : 예를 들어 수정 샹들리에는 아름다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기구의 디자인에 흔히 채용된다. 따라서 "수정효과"는 발광체 디자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제조, 운영 및 유지 비용
- 일반적으로 효율이 높을 때, 발광체의 성능은 최고이다. 더 작은 와트의 전력으로 필요로 하는 조도출력을 발생시키기고 더 적은 조명으로 바람직한 수준의 조도와 그 균일도로 해당공간을 비추므로 고 효율은 조명 비용을 줄인다. 또한 조명의 성능은 공간의 바닥에 발생시키는 조도가 특정한 정도로 균일하고 발생되는 섬광이 충분히 낮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울 때가 가장 좋다. 또한 발광체의 제조, 운영 및 유지와 관련된 비용이 낮은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 각각에 대한 특정값 또는 한계는 발광체의 적용례와 최종사용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내부조명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두 개의 조명 기준은 디아이엔(DIN) 5035의 1부와 7부, 그리고 ANSI/IESNA RP-1-04이고, 양자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2003년 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10/366,337호와 2002년 9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409,269호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출원 모두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다.
또한, 1987년 2월 3일에 허여되고 보잉사(The Boeing Company)에 양도된 미 국특허 제 4,641,315호 "변형된 나선형 섬광등 반사체( Modified Involute Flashlamp Reflector )"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기 특허는 반사된 빛을 램프의 덮개의 표면으로 다시 향하지 않도록 하면서, 관형 원통형 램프에 의해 방출된 빛을 투영하는 첨단 반사체들(cusp reflectors)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매개방정식 세트를 개시한다. 상기 램프로 재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면 상기 램프에 의한 빛 흡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이것은 주어지 전기 전원 입력에 관한 첨단 반사체/램프기구로부터 투영된 광속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상적으로 발광체는 90%를 초과하는 발광체 효율(장착된 램프 자체의 전체 출력에 대한 발광체의 전체 출력의 비율)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운영비용을 낮춘다. 또한, 주어진 구역을 밝히기 위해 더 적은 발광체를 필요로 함으로써, 운영비용을 더 감소시키면서 제작비용과 유지비용을 낮춘다.
이상적으로 발광체는 상향광(간접)과 하향광(직접) 조도 또는 측향광(간접)과 하향광(직접) 조도를 제공하는 조명기구이다. 간-직접 조도의 조합은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미적으로 만족스러울 수 있다.
이상적으로 발광체에서는 수직선으로부터 45도 이상의 큰 각도에서 투영되는 하향광속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이상적으로 발광체는 하향광속이 "박쥐 날개" 모양의 밀도 각분포를 가지며 투영되도록 한다.
이상적으로, 높은 발광체 효율을 유지하면서 넓은 범위의 (또는 그 이상의) 값에 걸쳐 하향광대 상향광의 비 또는 하향광대 측향광의 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변 디자인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선을 분포시키기 위한 발광체는 램프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은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발광체는 세로축을 따라 배치된 제 1 , 2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부는 천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반사부는 천장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제 2 반사부와 천장사이에 있고, 제 2 반사부는 상기 광원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첨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반사부는 제 2 반사부를 통해 상기 광원을 지나 상기 제 1 측면과 반대편의 상기 광원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라, 천장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조명 조립체는 세로축을 갖는 연장된 광원과 세로축을 따라 배치된 제 2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부는 천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반사부는 천장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 2 반사부와 천장사이에 있고,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광원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첨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반사부는 제 2 반사부를 통해 상기 광원을 지나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의 상기 광원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된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도시하고 해당 설명과 함께 그들의 다양한 특징을 묘사한다. 전체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발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에 수직한 횡단면도로, 명백한 도시를 위해 일부가 제거되어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을 보여주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발광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도광판을 설명한 도 5의 VI-VI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조명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도광판을 설명하는 도 5의 VI-VI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특유의 혁신적인 몇몇 특징을 용이하게 이해하게 해 준다. 전체 명세서, 청구항, 도면 및 요약서를 전반적으로 이해해야만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충분히 평가할 수 있다.
발광체(1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다. 상기 발광체(110)는 세로축(112)과, 세로축(112)과 일치하는 램프 축(117)을 갖는 램프(116), 예를 들어, 관형, 원통형 형광등과 같은 램프(116)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영역(114)을 갖는다. 상기 램프 영역(114)은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를 따라 세로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램프 영역(114)은 램프 간극 영역이라고도 한다. 정렬 또는 제조 공차를 위하여 상기 램프 영역(114)은 상기 램프(116)의 횡단면적보다 다소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체(110)는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 1 방향(12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반사부(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반사부(120) 각각은 공간이나 영역의 바닥쪽으로 빛을 유도하기 위한 하향광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반사부(120)는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을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배열체 형태의 제 1 반사부(120)는 실질적으로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110)에 대해) 상기 램프(116)보다 위쪽에 선형으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램프(116)에 평행한 선을 따라 상기 램프(116)의 길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110)는 상기 제 1 방향(122)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 2 방향(13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반사부(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반사부(130) 각각은 공간이나 영역의 천장쪽으로 빛을 유도하기 위한 상향광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반사부(130)는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을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배열체 형태의 제 2 반사부(130)는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110)에 대해) 상기 램프(116)보다 아래에 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상기 램프(116)의 길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반사부(130)는 상기 램프(116)보다 위쪽에 개구(134)를 갖고, 상기 램프(116)의 주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사부(120) 중 하나 이상은 하향광속(down light flux) 대 상향광속(up light flux)의 증가된 비율을 제공하기 위해 세 개의 반사 섹션(160, 170, 1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반사 섹션(160)은 상기 램프축(117)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갖는 두 개의 평면 거울요소(162)와 상기 램프축(117)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면을 갖는 두 개의 곡면 거울요소(164)를 포함한다. 두 개의 곡면 거울요소(164)는 각각 그 일단이 각각의 평면 거울요소(162)와 접한다. 상기 곡면 요소(164)의 반대단은 출력 포트(168)를 형성한다. 상기 평면 요소(162)의 양측은 경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램프(116)쪽으로 향하는 상기 곡면 거울요소(164)의 표면은 경면처리될 수 있다.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110)에 대해) 수직선에 수직이고 네 개의 거울에 둘러싸인 상기 제 1 반사 섹션(160)의 직사각형 횡단면적은 수직방향을 따라 변한다. 또한 상기 출력포트(168)의 평면에서 상기 두 개의 곡면거울(164)의 경사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제 2 반사 섹션(170), 예를 들어 하향광 거울 섹션은 네 개의 평면거울(172)을 포함하고, 두 개가 램프축(117)에 수직이고, 두 개가 상기 램프축(117)과 (천장 에 설치된 발광체(110)의) 수직선에 평행하다. 상기 네 개의 평면 거울(172)은 각각 서로의 끝을 잘라내고, 수직선에 수직인 평면들로 이루어진, 균일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중공 공동(174)을 둘러싼다. 상기 제 2 반사 섹션(170)은 실질적으로 램프영역(114)의 접선방향의 평면에 있는 입력포트(176)와 상기 입력포트(176)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입력포트에 평행한 평면에 있는 출력포트(178)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포트(176)는 제 1 반사 섹션(160)의 출력포트와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상기 램프축(117)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평면거울(162)중 두 개는 상기 램프영역(114)보다 좀더 크고 상기 영역(114)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절단부(cutout)(179)(또는 슬롯)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179)는 상기 두 개의 평면거울의 출력포트(176)의 모서리에서 원형부분의 구획을 형성한다. 이 절단부(179)는 상기 램프(116)가 최대 직경과 공차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하향변위를 가질 때 상기 평면거울모서리와 상기 램프표면(118) 사이의 충분한 간극을 보장한다.
상기 제 2 반사 섹션(170)의 수직길이는 상기 제 2 반사부(130)의 바닥을 통해 돌출되기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반사부(120)의 돌출된 구역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 2 반사부(130)의 구역은 광속(light flux) 예를 들어, 하향광속의 통과를 허락하도록 절단된다. 상기 제 2 반사 섹션(170)의 내부 평면은 상기 램프축(117)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외부 평면처럼 경면처리된다. 그러나, 상기 램프축(117)에 평행하게 연장된 외부 평면은 경면처리될 필요는 없다.
제 3 반사 섹션(180), 예를 들어 하향광 거울부,는 내부 평면에서 경면처리 된 중공 피라미드형 시준기 요소(18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평면은 경면처리되거나 혹은 경면처리되지 않는다. 상기 시준기 요소(182)는 (천장 설치 발광체(110)에 대해 수직인) 수직축(184)을 갖는다. 그리고 수직축(184)과 나란한 평면과 수직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된 횡단면적들의 모양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상기 제 3 반사 섹션(180)은 상기 제 2 반사 섹션(170)의 출력포트(178)에 인접하여 연결시키는 입력포트(186)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반사 섹션(180)은 상기 입력포트(186)보다 더 큰 출력포트(188)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시준을 제공한다.
상기 램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입력포트를 갖는 하향광 중공 거울을 갖는 전통적인 발광체에서, 발광체가 포획하거나 아래로 투사할 수 있는 램프광속의 양은 주어지 입력포트 구역크기 때문에 제한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발광체을 위해, 하향광속 대 상향광속의 투사비율이 1.0에 근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라 발광체은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어떤 광선을 상기 램프의 형광물질로 재 반사시키는 것 없이 원통형 램프 표면의 주위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싼 제 1 반사부를 갖는다. 상기 램프 주변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램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입력포트를 갖는 실시예보다 상기 램프로부터 더 많은 빛이 포획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숙련된 사람은 피라미드형 시준기부가 더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입력포트로부터 더 큰 인접한 원형의 또는 타원형의 출력포트까지 택일적으로 변형(morph)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a) 입력포트구역이 변화하지 않는 동안, 더 작은 출력포트구역으로 인해 하향광 시준 을 줄이거나 (b) 시준을 유지하기 위한 입력포트구역을 줄임으로써 상향광속의 양이 증가하는 동안 하향광속의 양을 줄인다.
상기 피라미드형 시준기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축을 따라 동일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네 측면은 2 차원 곡선을 갖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반대측의 각 쌍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2차원 곡면의 형상은 복합 포물선 집광기(CPC)의 형상일 것이다. 기능적으로, 거울을 형성하는 이 CPC는 CPC가 보통 작동되는 방법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것을 적용하기 위해, 빛은 큰 입력포트를 통해 들어오고, 더 작은 출력포트를 통해 빠져나가는 반면 빛은 작은 입력포트를 통해 종래의 CPC에 들어오고, 좀더 큰 출력포트를 통해 빠져나간다. 따라서, 이 중공 거울 공동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작동될 때 CPC가 하는 것처럼 빛을 집중시키는 대신에 빛을 시준한다.
상기 2차원 곡 측면이 있는 CPC는 평면을 갖는 중공 피라미드형 거울 공동을 넘는 이점을 갖는데, 이는 후자와 동일한 시준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면서 더 짧은 전장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2차원 곡선의 측면을 갖는 CFC는 기술적으로 알려진다. 예를 들어 더블유 티 웰포드(W.T.Welford) 와 알 윈스톤(R.Winston)에 의해(대학 신문,1989) 쓰여진 " 고집광 비영상 광학( high collection Nonimaging Optics"안에 10.4절의 도 10.7은 " 트로프 집광기"( trough concentrator )를 설명한다.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고 각각 다른것을 잘라내는 두 개의 트로프 집광기는 이 실시예의 제 3 중공 거울 공동을 형성한다.
제 1 반사부(120)의 배열의 하향광 요소 각각의 상기 중공 공동은 인접한 배 열 요소의 인접한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출력포트 간극을 갖는다. 출력포트 간극이 직사각형이 되려면 상기 직사각형 긴 치수의 방향은 상기 램프축(117)에 수직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램프축(117)의 방향을 따라 배열요소가 근접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향 투사광에 관한 하향 투사광양은 증가한다. 따라서, 하향광 배열요소가 하향광 루멘 대 상향광 루멘의 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램프축 방향으로 최소 간격을 갖는 것은 유리하다.
상기 제 2 반사부(130) 중 하나 이상은 빛을 박쥐 날개 형상으로 분포시키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체(예를 들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V 형상의 반사체)는 상기 램프(116)상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방향(132)에서 상기 제 2 반사부(130)로부터 반사된 광선은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으로부터 외부 측면으로 분배될 수 있고, 한편 상기 광선의 방향성분이 상기 제 2 방향(132)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광 분포를 박쥐 날개 모양의 분포 즉 "박쥐 날개 분포"로 부를 수 있다. 이러한 박쥐 날개 분포가 상기 발광체로부터 더욱 외부로 더 많은 상향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체은 주어진 공간이나 영역에서 더 떨어져서 간격을 둘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주어진 공간이나 영역을 충분하게 비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발광체의 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제 2 반사부(130)의 하나 이상의 경면처리된 내부 표면은 명칭이 "변형된 나선형 섬광등 반사체( Modified Involute Flashlamp Reflector )"인 미국 특허 제 4,641,315호에 있는 반사체와 같은 상향광 첨단 반사체로 구성된다. 이 타입의 상향광 첨단 반사체는 상기 램프(116)로부터 투사되는 광선이 램프표면(118)의 어 떤 부분으로 재 반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램프 형광물질에 투사되는 광선에 대한 전형적인 25% 흡수 손실을 피함으로써, 상기 상향광투사 효율은 향상된다.
상기 램프(116)로부터 상향광으로 향한 몇몇 광선은 상응하는 제 2 반사부(130)로부터 여러 번 반사된다. 상향광 중 대부분은 단지 한 번만 반사하거나 상기 상응하는 제 2 반사부(130)의 상부 개구(134)를 통해 직접적으로 통과한다. 각각의 제 2 반사부(130)는 약 95%의 정반사를 가질 수 있고 이 구성의 효율은 이상적인 경우에 가깝게 될 수 있다.
다양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반사부(130)는 세로축(112)에 평행한 평면에서는 곡률이 없고 세로축(112)에 수직한 평면에서는 곡률을 갖는 두 개의 마주보는 2 차원 곡면 거울(136)을 포함한다. 따라서, 대립하는 2차원 곡면거울들은 그들 사이에서 배치된 상기 램프(116)에 평행한 표면(138)을 갖고, 상기 램프(116)에 걸쳐 있다. 상기 발광체(110)의 세로축(112)에 수직인 평면 거울들(140)은 일렬로 각각의 제 1 반사부의 상기 2차원 거울의 두 개의 단부에 캡을 씌운다. 상기 평면 거울들(140)은 양측면에서 경면처리되어 있다.
기술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슬롯은 상기 발광체(110)보다 위에서부터 상기 램프의 간단한 설치와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 평면거울(140)의 상부에 제공된다. 각 램프의 단부에 (도시되지 않은) 램프 전기 핀 커넥터들은 상기 발광체의 평면 단부 캡 거울들의 슬롯들을 통해 돌출된다. 이것은 상기 램프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전통적인 형광등 전기 핀 소켓에 설치되도 록 하고, 상기 발광체의 평면 단부 모자 거울들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명백을 위해 제거된 제 1 반사부(120)를 갖는 도 1의 II-II선에 수직한 횡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바람직한 과정은 상기 제 1 반사부 중 하나 이상의 2차원 거울들의 곡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램프(116)직하방에 위치하는 첨단(142)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두 개의 기준선(144)는 세로축(112)에 수직인 평면에서 구성된다. 이 선들(144) 각각은 상기 램프영역(114)에 접하고 상기 램프영역(114)에 접점을 통해 첨단(142)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두개의 접선(144)은 서로로부터 발산하고 그로 인해 V 형상을 형성한다.
각각의 접하는 기준선(144)에 각각 수직한 두 개의 초기 평면 2차원 거울 면들(146)은, 상기 세로축(11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첨단(142)를 가로지르는 제 1 모서리(150)로부터 상기 램프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 2 모서리(152)까지 상기 램프(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들의 단면 너비와 상응하는) 짧은 거리로 연장된다. 이 두 개의 거울 면(146)의 각각의 제 2 모서리(152)는 세로축(112)에 수직인 평면을 갖는 새로운 교점을 형성한다.
두 개의 새로운 기준 접선(148)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램프표면(118)에 구성된다. 즉 각각의 새롭게 형성된 기준점이 상기 개별적인 제 2 모서리(152)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새로운 증분의 거울 면들(154)은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즉, 기준점이 새로 형성되고, 각각의 새로운 거울 면(154)은 상기 램프 영역(114)에 접하는 대응하는 기준선(148)과 직각을 형성한다.
이 면 구성 과정은 각 거울 단면이 상기 램프 표면의 상부까지 또는 그보다 좀더 위로 연장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면 구성 구조를 설명하는 도 3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상기 램프(116)로부터 투사되는 어떠한 광선도 상기 제 2 반사부(130)의 개구(134)를 빠져나가기전에 상기 램프 표면(118)으로 재 반사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램프로 재 반사되는 것을 피하는 것은 상기 램프 형광물질에 의한 빛 흡수에 따른 열 형성을 피한다. 따라서, 상기 램프는 더 차갑게 해야하고, 그로 인해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유한한 크기의 면 너비는 면을 갖는 거울들을 만든다. 상기 너비는 모두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또는 그들의 크기가 다양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면 너비는 모두 극소로 작을 수 있다. 모든 면의 너비가 0(zero)에 근접할때 만들어지는 거울표면은 면이 있는 것보다 차라리 매끄러운 것처럼 생각될 것이다. 상기 전체 거울 크기는 면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극소로 작은 면 너비를 갖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거울의 크기는 최소가 된다.
상기 램프 영역(114)은 상기 램프(116) 대신에 이 구성 과정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상기 램프영역(114)의 횡단면적은 그것이 둘러싸는 상기 램프(116)의 단면적보다 더 크다. 상기 램프 영역(114)의 크기와 위치는 상기 램프와 제 1 반사부의 제조 및 정렬 오류를 조절하도록 그리고 상기 램프 표면(118)이 상기 램프영역(114)를 통해 돌출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설명한 거울 구성 과정은 상기 램프 영역(114)이 상기 실제 램프 표면(118)인 것처럼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 2 반사부(130)의 둘러싸는 모양의 "랩 어라운드(wrap around)" 2차원 곡면을 만들기위해 사용되는 도 3에 관해 설명된 일반적인 과정은 상기 제 1 반사부(120)의 제 1 반사부(160)의 2차원 곡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1 반사부(160) 각각의 구성은 첨단이 없고 하향광 투사를 위해 구성 순서를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2 반사체에 관한 도 3에서 설명되는 구성과 유사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정사각형은 상기 램프 영역(114)에 대하여 외접된다.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거울 단면을 만들기 위한 기준점을 출발하는 면, 상기 램프 영역으로부터 상기 곡면거울의 배면까지의 어떠한 시야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배면이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은 모든 가능한 모서리 출발 기준점의 궤적을 만들기 위해 상기 램프(116)의 세로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에 대하여 외접하는 원은 출발점의 궤적을 설명한다. 상기 원 내부의 출발점으로부터 만들어진 거울 단면의 배면은 상기 램프 표면(118)을 직시하며 그로 인해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광속에 노출된다. 상기 원에 또는 원의 외부의 출발점으로부터 만들어진 거울 단면의 배면은 상기 램프 표면(118)을 직시할 수 없고, 표면으로부터의 광속에 노출될 수 없다.
배면이 경면처리되지 않았다면 2차원 곡면거울의 배면을 상기 램프 표면(118)으로부터의 광속에 노출시키는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상기 배면은 차단한 빛을 흡수하고, 확산시킨다. 또는 흡수하거나 확산시킨다. 그래서 발광체의 효율에 있어서 역효과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배면들이 경면처리되었다면 그것들은 광선이 빛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가공된 거울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유효하게 상향광속 또는 하향광속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경면처리된 면이 있는 배면들은 광속이 상향광 또는 하향광 출력 포트를 빠져나가기 전에 과도한 다중반사를 야기할 원하지 않은 방향에서 광속을 차단하여 반사시킨다. 또는 그들은 흡수되거나 산란시킨다. 과도한 다중반사를 경험한 후에 출력포트로부터 배출된 빛은 반사될 때마다 감소된다. 그로 인해 효율에서 과도한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특징에 따라, 바람직한 발광체(410)은 제 1 반사부(420)(예컨대,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에 관한 하광 거울 공동)를 포함하고, 제 2 반사부(430)(예컨대,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에 관한 상광 거울 공동)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체(410)은 세로축(412)과; 램프축 (417)을 가진 램프(416), 예를 들어 관형, 원통형 형광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영역(414)를 가진다. 상기 램프 영역(414)은 상기 발광체(410)의 세로축(412)를 따라 세로로 연장된다. 상기 램프영역(414)은 램프 간극 영역이라고도 한다. 정렬과 제조 공차를 위하여 상기 램프영역(414)은 상기 램프(416)의 횡단면적보다 조금 더 큰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반사부(420)는 상기 발광체(410)의 세로축(41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1 방향(42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반사부(420) 각각은 공간이나 영역의 바닥쪽으로 빛을 유도하기 위한 하향광 반사체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1 반사부(420)는 상기 발광체(410)의 세로축(412)를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열된다. 제 1 반사부(420)의 배열은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410)에 대해) 상기 램프(416)보다 위에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램프(416)에 평행한 선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16)에 걸쳐 있다.
상기 제 2 반사부(430)는 상기 제 1 방향(422)과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 2 방향(43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 2 반사부(430) 각각은 공간이나 영역의 천장쪽으로 빛을 유도하기 위한 상향광 반사체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반사부(430)는 상기 발광체(410)의 세로축(412)을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열된다. 제 2 반사부(430)의 상기 배열체는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410)에 대해) 상기 램프(416) 아래에 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램프(416)의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 2 반사부(430)는 세로축(412)에 수직인 평면에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세로축(412)에 평행한 평면에는 곡률을 가지지 않는 2개의 마주보는 2 차원 곡면 겨울들(4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면 거울들(436)은 상기 램프(416)의 주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반사부(43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 2 방향(432)으로 유도되는 광선 중 일부의 통로에서 반사 부재(435)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부재(435)는 상기 제 2 방향(432)으로 유도되는 광선 중 일부의 통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사 부재(435)는 박쥐날개 형상으로 빛을 분포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부재(435)는 상기 곡면거울(436)의 첨단(437)과 마주보는 상기 램 프(416)보다 (천장에 설치된 발광체에 대해) 위에 배치된 V 형상의 반사체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광선의 방향성분이 제 2 방향(432)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곡면거울(436)로부터 상기 제 2 방향(432)으로 반사된 광선은 상기 발광체(410)의 세로축(412)으로부터 측면 외부 방향(439)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빛의 분포는 박쥐날개 분포라고 한다. 박쥐날개 분포가 상기 발광체으로부터 외부로 더 많은 상향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체는 주어진 공간이나 영역에서 더 큰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로 인해 주어진 공간 또는 영역을 충분하게 비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발광체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반사부(420) 중 하나 이상은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램프(416)(천장에 설치된 발광체에 관하여)의 상부를 덮는 2차원 곡면 거울로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상기 제 2 반사부(430)의 전도된 형태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반사부(420)과 제 2 반사부(430)는 양자 모두 도 3에 관하여 상술된 상기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개구가 없어서, 상기 램프(416)로부터 빛이 상기 곡면거울의 배면에 입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2 차원 곡면거울의 2개의 병합된 출발 기준점이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모서리에 대해 외접하는 원에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단지 첨단점(424)이 상기 램프영역(414)의 외부로 적당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제 1 반사부(420)는 미국 특허출원 제 10/366,337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의 개별 섹션, 두 개의 개별 섹션들로 이루어지고, 도 2에 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개별 섹션들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특징에 따라, 상기 제 1 반사부(420) 중 하나 이상은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정점(천장 설치 발광체과 관련하여)에서 천공(426)(도 4에서 음영으로 도시된)을 포함한다. 상기 천공(426)은 상기 천장의 대응하는 영역에 몇몇 상향광을 추가한다.
다양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사 부재(435)는 빛이 상기 반사 부재(435)를 통하여 측면 외부 방향(439)으로 상기 천장으로 유도되는 것보다는 더 수직한 방향으로 천장으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441)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천공(441)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도록 박쥐날개 분포를 변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특징에 따라서 도 5와 도 6을 살펴보면, 바람직한 발광체(510)은 제 1 반사부(520)(예컨대, 천장 설치 발광체에 대한 하광 거울 공동)와 제 2 반사부(530)(예컨대, 천장 설치 발광체에 대한 측광 거울 공동)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체(510)은 세로축(512)과; 램프축(517)을 갖는 램프(516), 예를 들어 관형, 원통형 형광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영역(514)을 가진다.상기 램프 영역(514)는 상기 발광체(510)의 세로축(512)를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램프 영역(514)은 램프 간극 영역이라고도 한다. 상기 램프 영역(514)은 정렬과 제조 공차를 위하여 상기 램프(516)의 횡단면적보다 좀더 큰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반사부(520)는 상기 발광체(510)의 세로축(5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1 방향(52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반사부(520) 각각은 공간 또는 영역의 바닥쪽으로 빛을 유도하기 위한 하향광 반사체 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반사부(520)는 상기 발광체(510)의 세로축(512)을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치된다. 제 1 반사부(520)의 상기 배열체는 (천장 설치 발광체(510)에 대하여) 상기 램프(516)보다 위에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램프(516)에 평행한 선을 따라 상기 램프(516)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제 2 반사부(530)는 상기 제 1 방향(5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성분을 갖는 제 2 방향(532)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반사부(530) 각각은 빛을 세로축(512)으로부터 측면 외부쪽으로 그리고 공간이나 영역의 천장쪽으로 유도하기위한 측광 반사체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반사부(530)는 상기 발광체(510)의 세로축(512)을 따라 연장되면서 일렬로 배치된다. 제 2 반사부(530)의 상기 배열체는 상기 램프(516)의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배치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부(520) 중 하나 이상은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램프(516)(천장 설치 발광체에 대하여)의 상부를 덮는 2 차원 곡면거울로 구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 2 반사부(530)의 전도된 형태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반사부(520)는 도 3에 관하여 상술된 상기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 1 반사부의 상부에 개구가 없어서, 상기 램프로부터 나온 빛이 상기 곡면거울의 배면들에 입사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2 차원 곡면거울의 2개의 병합된 출발 기준점이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모서리에 대해 외접하는 원에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단지 첨단점(524)이 상기 램프영역(514)의 외부로 적당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특징에 따라서, 상기 제 1 반사부(520) 중 하나 이상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도 4에 대하여 상술된 반사 섹션들(460, 470, 480)과 마찬가지로 세 개의 개별 섹션들(560, 570, 58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반사부(530)는 양자 모두 상기 제 1 반사부(520)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곡면 반사체(541)와 제 2 곡면 반사체(5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541)와 제 2 곡면 반사체(542)는 예를들어, 첨단 거울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541)는 상기 램프(516)와 천장 사이에 있고, 상기 광원(516)은 상기 제 2 곡면 반사체(542)와 천장사이에 있다.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541)는 제 1 단부(534), 제 2 단부(536) 및 표면(538)을 갖고, 상기 제 2 곡면 반사체(542)는 제 1 단부(544), 제 2 단부(546) 및 표면(548)을 갖는다.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곡면 반사체(541, 542)의 표면(538, 548)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램프(416)의 양쪽에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상기 제 2 반사부(530)는 상기 램프(516)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 3 곡면 반사체(552)와 제 4 곡면 반사체(5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그리고 제 4 반사체(552, 562)는 CPC축(572)을 따라 CPC 출구포트(570)를 갖는 복합 포물선 집광기(CP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곡면 반사체(552)는 제 1 단부(554), 제 2 단부(556) 및 표면(558)을 갖고 상기 제 4 곡면 반사체(562)는 제 1 단부(564), 제 2 단부(566) 및 표면(568)을 갖는다. 상기 제 3 그리고 제 4 반사체의 제 1 단부(554, 564)는 상기 제 1 그리고 제 2 곡면 반사체(541, 542)의 제 2 단 부(536, 546)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그리고 제 4 곡면 반사체의 표면(558, 568)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발광체(510)의 상기 배열은 여전히 바람직한 조명특성을 얻으면서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제공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체(510)은 인접한 하향광 중공 거울 공동을 갖는다. 상기 인접한 배열은 최대 하향 광속을 제공한다. 다양한 특징에서, 상기 구조는 작은 직경 선형 램프, 예를들어 T4 선형 형광 램프(중국, 광동성, 장산시, 구젠타운(Guzhen Town), 강난(Gangnan), 13 웬지(Wenge) 거리에 있는 장산 구젠 조명 기구 공장에서 구입가능; 웹사이트: http;//www.aokete.com)의 둘레예 형성된다. 또한 대체 선형 램프 구조들은 발광다이오드(LEDs), 측면발광 광섬유, 솔리드/중공(solid/hollow) 조명 파이프 등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도광판(waveguide)(690)은 상기 조명(510)에 부가되며, 이는 천장의 휘도 균일성(luminance uniformity)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광판(690)은 측면 거울 공동 출구포트 간극 배열체에 걸쳐 형성되고 두 개의 평면(692,694)을 갖는다. 하나의 표면(692)은 상기 배열보다 위에 있는, 예를 들어 광택이 나는 흰색 천장이다. 상기 다른 표면(694)은 상기 배열의 아래에 있고 상기 천장에 평행한 천공된 정반사 거울(perforated specular mirror)이다. 상기 천공 거울은 균일한 천장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천공 밀도를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구멍들은 망점 패턴이거나 슬롯의 패턴이다. 상기 천공들은 인간의 눈이 분해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미세하여 섬광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천장의 휘도 균일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산기는 상기 거울 천공들을 통해 통과하는 광선의 방향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도광판(690)의 바닥의 하부에 인접한다. 상기 천장으로부터 또는 상기 제 1, 2, 3 그리고/또는 4 반사체(541, 542, 552, 562)로부터 그리고 마찬가지로 반사체(538, 548, 559, 569)로부터 반사된 정반사 광선은 천공거울을 통해 통과한 후에 작은 범위의 시야각(viewing angles)에서만 보이게 된다. 작은 범위의 시야각으로 진행하고 정반사성으로 반사되는 광선을 본다는 것은 탐탁한 일이 아니다. 더우기, 상기 천공 거울로부터 작은 범위의 각도로 아래로 투사되는 빛은 상기 천장이 대분분의 시야각에 대해 어둡게 나타나게 만들고 작은 정반사 범위의 시야각에서는 부적절하게 밝게 만든다. 따라서, 확산기는 시야각의 바람직한 범위를 넘어 상기 천공 거울을 통해 전파되는 정반사성 빛을 퍼뜨리기 위해 상기 천공 거울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이, 상기 용어 "확산기(diffuser)"는 빛이 상기 확산기를 빠져나갈 때 다르면서도 더 바람직한 방향 특성을 갖도록 상기 확산기에 들어가는 빛의 방향 특성을 변경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거울(552, 559)의 상부 모서리는 천장과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천공 정반사(성) 거울과 그 하부에 있는 확산기는 상기 측면 거울의 바닥 모서리(566, 571)로부터 상기 벽까지 연장된다. 상기 확산기는 상기 인접한 천공 거울의 구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 때,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특징에 따라서, 도광판(790)은 측면 출구포트(570)의 배열과 인접해 걸쳐있는 입구포트(792)를 갖는다. 상기 도광판(790)은 상부 정반사 거울(794), 상기 상부 정반사 거울(794)에 평행하게 방향진 바닥 TIR 필름 성분 및 상기 측면 출구포트 배열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TIR 필름(796)과 상기 상부 정반사 거울(794)에 수직한 정반사 BEF형 구조를 포함한다. 선택적 빛 확산기(799)는 상기 TIR 필름(796)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작동중에, 상기 측면 출구포트를 빠져나가는 빛은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상기 측면축(572)로부터 ±55도)를 넘어 상기 도광판 입구포트로 투사된다. 상기 투사된 빛은 상기 정반사 거울(794), 상기 TIR 필름(796) 및 상기 BEF형 거울 구조(798)에 도달한다. 상기 정반사 거울(794)은 빛을 상기 TIR 필름(796)으로 하향 반사하거나 외부의 상기 BEF형 거울 구조(798)로 반사한다. 상기 TIR 필름은 투사된 빛을 상기 측면축(572)으로부터 28도 이내로 반사하고, 입사된 빛을 상기 측면축(572)으로부터 29도에서 55도 사이에서 전파시킨다. 상기 BEF형 거울 구조(798)는 상기 측면축(572)으로부터 ±28 도 이내의 각도로 입사된 빛을 위쪽으로 전파되고 아래쪽으로 전파되는 로브들(lobes)로 변환하고, 이들 로브는 상기 측면축(572)으로부터 - 29도에서 -55도까지 그리고 +29도에서 +55도까지의 각을 이루는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러한 로브들은 상기 상부 정반사 거울(794)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바닥 TIR 필름(796)을 통해 전파되면서, 상기 중공 빛 가이드를 통해 뒤쪽으로 출구포트(570)를 향하여 전파된다. 만약 상기 선택적 확산기(799)가 존재한다면, 상기 확산기(799)는 상기 TIR 필름(796)에 의해 전파되는 빛의 각 특성을 다르면서 더 바람직한 또는 이들 중의 하나에 속하는 각 분포(angular distribution)로 변환한다. 미국특허 제 4,615,579호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TIR 필름의 상기 작동은 잘 알려져 있다.
좀 더 긴 도광판이 바람직하다면, 상기 BEF형 거울은 추가적인 도광판 섹션이 수반되는 투과성 BEF 같은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로브들은 상기 추가된 섹션의 길이에 걸쳐 추출된다.
도 8는 복수의 발광체(510)이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대표적 실시예의 천공 거울들의 가변 천공 밀도는 바람직한 천장 발광체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균일한 천장 발광체이 바람직하다면 천공 밀도는 각 램프(516)에서 상기 두 램프(516)사이의 실질적인 중점(895)까지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거울 천공의 패턴은 투명유리(transparent glass) 또는 고분자 물질(polymer material)로 만들어진 굴절 기판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투명 기판에 인접한 얇은 고분자 시트(polymer sheet)상의 거울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특징으로, 상기 확산기는 유리 또는 고분자 기판의 부피 전체의 내부에 분포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확산기는 투명 유리 또는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굴절성 물질의 기판에 적용되는 얇은 필름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거울 천공의 얇은 필름은 또한 상기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부피 홀로그램, 표면 홀로그램, 쌍 광 요소(binary optical elements), 산란 입자가 매립된 기판들, 미소 광학 소자 및 이러한 형태의 다양한 조합 혼성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확산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도광판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상기 램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배열체의 전체길이만큼 연장하거나 상기 배열체를 지나 상기 공간 벽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이 도광판은 상기 램프축에 수직한 측면 패널이 없다. 도광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램프축에 수직인 경면처리된 측면 패널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패널의 위치는 도광판 구획의 배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반사부(530)의 배열요소의 모서리를 갖도록 정렬될 수 있다. 추가되는 설계 선택 사항은 상기 구획의 너비를 (상기 램프축 방향으로) 상기 측면 출구포트(570)의 너비보다 더 넓게 만드는 것이다.
상기 램프가 상향광 및 하향광 거울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위로부터 용기로 삽입하는 것은 어렵다. 아래로부터의 삽입은 어렵기 때문에, 상기 램프를 램프축의 방향으로부터(즉, 상기 발광체의 측단 패널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긴 램프에 관하여 문제가 되고, 상기 램프가 삽입된 후에 상기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핀 용기를 제거한 다음 상기 핀 용기를 재설치하고 재고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하향광 거울 중공들의 2 차원 곡면 거울들의 랩 어라운드를 갖는 발광체의 실시예가 케이블에 의해 매달린다면, 조정 클램프들(adjustable clamps) 또는 케이블 그리퍼들(cable grippers)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주)케이블 그리퍼(Las Vegas, NV)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그리퍼를 사용함으로 인해, 유지보수하는 사람은 설비의 일 측으로의 접근을 얻을 수 있는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발광체가 다른 발광체의 높이 아래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그리퍼를 설비의 일측에서 느슨하게 하고 (보통 접근 도어를 먼저 밀어 개방하여) 상기 램프를 교체하고, 이어 상기 발광체를 올리고, 상기 그리퍼를 다시 조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 준다. 이 방법은 반드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단부 패널 접근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긴 형광등을 하나의 단부패널을 통해 그리고 상기 램프축에 수직인 경면처리된 격벽에 위치하는 램프 간극 홀을 통하여 나머지 다른 단부 패널에 있는 핀 용기로 인도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핀 용기의 예로는 T-8 과 T-12 램프용 스냅 인, 퀵와이어 미디엄 바이핀 형광 램프 홀더(Snap-In, Quickwire Medium Bi-Pin Fluorescent Lampholders)라고 불리는 것이며 이들은 (주)레비톤 엠에프지(Little Neck, NY)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 "바늘에 실꿰기 ( threading the needle )" 과정은 상기 격벽 구멍에 있는 상기 램프의 표면을 긁어낼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램프 표면 그리고/또는 상기 격벽 구멍의 모서리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상기 램프 삽입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격벽은 반대 평면에 정반사성 코팅을 갖는 고분자 같은 부드러운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홀 모서리 또는 상기 램프 표면에 있어 긁힘을 비롯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성 스페이서는 테프론 코팅되거나 테프론을 갖추고 있는 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프론 대신에 선택적 미끄러운, 저마찰 물질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격벽 홀 인서트는 상기 램프를 인도하는 것이 용이하게 인도하도록 램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한 원뿔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원뿔단부(또한 테프론(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물질)으로 만들어지거나 코팅된)는 상기 램프의 삽입된 단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단부는 상기 테프론 코팅된 격벽 홀을 통해 상기 램프를 인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램프 삽입 수단을 위해, 발광체 단부 패널 양쪽 모두에 접근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램프 인서트 반대편의 발광체 단부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원뿔 램프 단부를 제거해야하기 때문이다. 상기 "케이블 그리퍼"는 발광체 단부 패널 양쪽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 핀 소켓은 램프 삽입에 앞서 반대편 단부에서 제거될 필요가 있고 램프 삽입 후에 상기 램프에 다시 설치되어야 한다.
발광체 단부 패널을 통한 또 다른 램프 설치수단에 관하여, 중공 원통형 램프 정렬 설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튜브의 두께는 상기 설치된 램프와 격벽 홀 사이의 간격을 거의 채운다. 상기 튜브는 테프론(또는 유사한 기능의 낮은 마찰 물질)으로 만들어지거나 테프론(또는 유사한 기능의 낮은 마찰 물질)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테프론 코팅된 격벽을 통해 쉽게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튜브 벽의 삽입 단부는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의 삽입 후에, 상기 램프는 중공 중심을 통해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발광체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하는 전기 핀 소켓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설치 튜브는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전기 핀 소켓은 상기 램프의 돌출된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발광체가 제 위치로 올려질 수 있고 지지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 테프론 인서트나 코팅을 사용하는 것의 불이익은 그것들이 빛을 확산시키고 흡수하여 그로 인해 상기 발광체의 효율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효율 감소를 피하는 다른 실시예는 중공 원통형 램프 정렬 설치 튜브를 사용한다. 상기 튜브는 격벽 홀을 통해 상기 발광체으로 들어가기보다는 상기 램프 단부 패널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체의 제작 과정 동안, 튜브축은 상기 설치된 형광등의 축에 일직선이 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 튜브에 대한 고정 브라켓은 상기 단부 패널에 정렬될 수 있다. 이것은 설치 튜브의 원통 내경에 들어맞는 원통 하우징으로 망원 조준기(telescopic sight)를 설치 튜브 안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체의 반대편 단부에서 상기 핀 소켓의 조준 작업에 의해 상기 정렬 튜브 브라켓은 상기 핀 소켓을 갖는 정렬 튜브 내경을 정렬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정렬된 지점에서 상기 정렬 튜브 브라켓을 고정시킨 후에, 상기 망원 조준기를 제거한 다음 상기 정렬 튜브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발광체의 반대편 단부에 대한 상기 전기 핀 소켓의 고정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 튜브는 브라켓에서 제거될 수 있고 전기 핀 소켓은 상기 램프의 돌출된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 튜브 내경은 상기 램프의 외경에 꽉 들어맞을 필요가 있다. 상기 망원 조준기는 초점조절 성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설치 브라켓에 초기설치 동안, 상기 발광체의 반대편 단부에 있는 상기 램프 핀 용기와의 정렬상태에서 너무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 정렬 과정을 인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격벽 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정렬 튜브 길이는 상기 형광등만큼 길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48 인치 길이의 램프에 관하여, 상기 정렬 튜브는 길이가 2 또는 3 피트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특이한 발광체 구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부로부터 램프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체 실시예는 상기 상향광 거울 공동의 외면에 힌지 결합된 투명 상부 덮개 요소를 갖고 상기 램프의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힌지는 상기 덮개가 뒤로 접히고 그로 인해 상기 상향광 거울 공동이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더해, 상기 하향광 거울의 상부 첨단 면을 상기 투명한 상부 덮개 요소에 부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래서 상기 모든 하향광 거울들의 상부는 상기 상부 덮개 요소와 같이 접힐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덮개가 접힐때 상부 섹션의 모든 부분을 하부(bottom) 섹션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하향광 거울이라는 고유한 실시예를 필요로 한다. 이때, 상기 램프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설치되고, 상부 덮개가 앞으로 접힌 후에, 상기 하향광 거울 상부 섹션은 하부섹션과 정확하게 재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섹션의 정확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 섹션들의 정렬은 상기 투명 상부 덮개 및 힌지의 설치에 앞서 상기 발광체의 제작 과정동안 조절되어야 한다. 정렬이 확인된 후에,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하향광 거울의 상부 첨단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힌지는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발광체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고정 공정들은 상기 하향광 반사체의 상부 및 하부 섹션의 정렬된 위치를 흐트러지게 하는 것 없이 실시되어야 한다.
상부 덮개의 추가의 이점은 상기 발광체 내부에 먼지의 증가를 상당히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서 축적된 먼지가 상기 램프가 교체될 때 쉽게 제거된다. 더우기, 상기 하향광 거울의 상부 섹션을 뒤로 접는것으로 인해 상기 발광체의 내부면을 더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이 발광체의 매우 높은 효율은 먼지 및 다른 오염물질 때문에 효율의 하락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청결유지의 중요성을 증가시킨다.
투명한 상부 덮개를 제공하는 것의 부정적인 측면은 상기 상부 덮개 표면으로부터 상광속이 프레넬(Fresnel) 반사되는 것에 따른 효율의 감소이다. 이것은 상향 광속에 관해 약 8 퍼센트의 효율감소에 이른다. 상부 덮개가 없을 때 상기 하향 광속은 상기 상향 광속과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넬 반사에 따른 유도 효율 손실은 상향광 및 하향광 효율을 합한 전체에 대해 대략 4 퍼센트이다.
모델링과 모의시험 연구는 앞선 실시예가 인공조명을 위한 디아이엔 명세서 5035(DIN Specification 5035 for Artificial Lighting)의 눈부심 감소 요구사항에 어긋나는 발광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램프의 유리관으로부터의 최대 광선 출구각은 상기 튜브 출구 지점에서 상기 튜브 실린더의 법선에 90도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형광물질과 유리 매체가 낮은 굴절률에서 낮은 산란 특성, 낮은 가변성을 갖고, 적합한 굴절률 값을 갖는다면, 그 최대각이 90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형광물질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유리 튜브 내부에서 어느 정도의 산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90도 최대 가정은 보수적인 것이다. 법선으로부터의 최대 출구각이 90도 이하라는 것은 유익하다. 왜냐하면 상기 유리튜브상의 지점으로부터 광선의 작은 수렴은 더 제어되기 쉽고 그 래서 상기 상향광 및 하향광 중공 거울 공동이 좀더 촘촘하게 만들어지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원통형 형광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유리관체(glass tube enclosure)의 길이를 가로질러 인가되는 고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튜브에 담긴 가스가 자외선을 방출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유리 튜브의 내부 표면상에 코팅된 형광물질은 상기 자외선에 의한 여기(excitation)에 반응하여 형광 작용에 의한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일반적으로, 튜브에 채워진 형광물질 매체와 형광 물질의 성질에 따라, 형광에 의해 발생하는 광선은 흡수, 산란 그리고/또는 전파될 수 있다. 가장 좋은 성능을 위해, 형광코팅은 높은 투과율을 수반하면서 높은 자외선 형광 전환효율과 낮은 형광 흡수와 산란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형광 종류와 다른 램프는 여기서 논의된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s)와 CMH 램프는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 장치들은 상기 형광등이 여기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여진 곳(예를 들어, 광선의 자취를 경유하여 최적화되는 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고 전원(high power) CHM 램프 또는 고 전원 발광다이오드 배열체의 경우에, 단일 반사체 배치체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러한 장치의 선형 또는 아치형 배치체는 대응하는 배열의 반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CMH 램프는 필립스와 GE(Philips and General Electric)에 의해 제조된다. 고 전원 발광다이오드는 루미레즈(Lumileds)(San Jose, CA), 크리(Cree)(Durham, NC), 및 니치 아(Nichia)(Tokushima, Japan)에 의해 제조된다. 그리고 고 전원 배열체는 라미나 세라믹스(Lamina Ceramics)(Westampton, Nj)와 노룩스(Norlux)(Carol Stream, IL)에서 구매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상술된 중공 시준기 대신 전체 내부 반사를 사용하는 중실 시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시준기는 몇몇 부분에 걸쳐 속이 비어 있을 수 있고 다른 부분에 걸쳐 속이 꽉 찬 중실형일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반사체는 3M의 비퀴티TM 향상된 정반사 반사체(VikuitiTM Enhanced Specular Reflector(ESR))와 같은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광학적/전기적 피드백 장치는 광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광학적/전기적 피드백 장치 양자는 평균수준으로, 램프간 광 출력을 조절할 수 있고, 어느 하나는 발광체 내부 또는 발광체들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다. 해당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이 피드백 기술은 해당 분야에 알려진 사항들 즉 램프 온도, 램프 수명, 먼지 감소, 색채 조절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특허에서 참조된 그리고/또는 색채 동역학(Boston, MA)의 제품 등에 포함된 것과 같은 고유한 램프 구동/피드백 배치체를 생각할 수 있다.
개시 내용을 검토하거나 본발명의 실시에 의해 확인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정한 예들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물과 변형물 을 인식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Claims (20)

  1.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선을 분포시키기 위한 발광체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램프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등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된 영역;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전등의 세로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제 1 반사부; 및
    제 2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을 따라 배치된 제 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영역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첨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반사부는 상기 제 2 반사부를 통해 상기 영역을 지나 상기 제 1 측면과 반대편의 상기 영역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되는 발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표면을 각각 갖는 제 1 곡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들은 상기 첨단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은 상기 영역의 마주보는 양쪽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의 표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표면을 각각 갖는 제 1 곡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들은 상기 영역의 반대 측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 2 단부들은 상기 영역의 반대 측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의 표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시준기(collim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반사체 쌍은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1 반사 섹션이고,
    상기 시준기는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반사 섹션이며,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2 반사 섹션은 상기 제 1 반사 섹션과 상기 제 3 반 사 섹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곡면 반사체는 복수의 평면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섹션은 한 쌍의 평면 반사체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평면 반사체는 상기 제 1 반사 섹션의 곡면 반사체쌍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반사체는 세로축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반사 섹션의 세로축 단부 캡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 섹션은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세로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평면 반사체 쌍, 및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쌍과 상기 세로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평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반사부와 복수의 제 2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반사부와 복수의 제 2 반사부는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
  11. 천장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조명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립체는,
    세로축을 갖고 연장된 광원;
    천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상기 세로축을 따라 배치된 제 1 반사부; 및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광선을 유도하도록 상기 세로축을 따라 배치된 제 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 2 반사부와 천장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반사부는 상기 광원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는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반사부는 상기 제 2 반사부를 통해서 상기 광원을 지나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의 광원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되는 조명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표면을 각각 갖는 제 1 곡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첨단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은 상기 광원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의 표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표면을 각각 갖는 제 1 곡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영역의 반대측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영역의 반대측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1 곡면 반사체 쌍의 표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부는 시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반사체 쌍은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1 반사 섹션이고,
    상기 시준기는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3 반사 섹션이며,
    상기 제 2 반사부의 제 2 반사 섹션은 상기 제 1 반사 섹션과 상기 제 3 반사 섹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반사체들 각각은 복수의 평면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 섹션은 한 쌍의 평면 반사체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평면 반사체는 상기 제 1 반사 섹션의 곡면 반사체쌍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반사체는 세로축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반사 섹션의 세로축 단부 캡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 섹션은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세로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평면 반사체 쌍, 및
    각각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쌍과 세로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평면 반사체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20.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반사부와 복수의 제 2 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반사부와 복수의 제 2 반사부는 상기 발광체의 세로축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조합체.
KR1020067021244A 2004-03-12 2005-03-11 인공 조명용 발광체 KR20070017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244A KR20070017149A (ko) 2004-03-12 2005-03-11 인공 조명용 발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52,433 2004-03-12
KR1020067021244A KR20070017149A (ko) 2004-03-12 2005-03-11 인공 조명용 발광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49A true KR20070017149A (ko) 2007-02-08

Family

ID=4365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244A KR20070017149A (ko) 2004-03-12 2005-03-11 인공 조명용 발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467B2 (en) Low profile direct/indirect luminaires
US7195374B2 (en) Luminaires for artificial lighting
US20050201103A1 (en) Luminaires with batwing light distribution
JP5702784B2 (ja) 補助照明器具を持つ昼光照明装置および方法
EP2895794B1 (en) Illumination systems providing direct and indirect illumination
CN103201555B (zh) 照明装置及灯具
JP4646973B2 (ja) 照明器具
US9423097B2 (en) Light-emitting module with a curved prism sheet
KR101993361B1 (ko) 광 조명 기구의 블레이드
US10551547B2 (en) Troffer luminaire
US20040114371A1 (en) Luminaire comprising an elongate light source and a back reflector
JP2008171685A (ja) 照明器具
AU762579B2 (en) Light with a light-guiding element
WO2014027917A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WO2021063146A1 (zh) 配光组件及照明灯具
JP2007502517A (ja) 照明器具及び方法
KR20070017149A (ko) 인공 조명용 발광체
CA2428127A1 (en) Luminaire comprising an elongate light source and a back reflector
WO2019157501A1 (en) Luminaires for spatial dimming
KR102388733B1 (ko) 휘도와 조도가 개선된 구조의 일체형 렌즈와 반사부재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21057367A1 (zh) 配光元件、光源模组和灯具
CN210800738U (zh) 一种光学元件以及带有该光学元件的灯具
EP3963253A1 (en) A light emitting device
RU2662799C2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модуль с криволинейным призматическим листом
TWM581662U (zh) LED indirect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