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861A -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861A
KR20070016861A KR1020050071916A KR20050071916A KR20070016861A KR 20070016861 A KR20070016861 A KR 20070016861A KR 1020050071916 A KR1020050071916 A KR 1020050071916A KR 20050071916 A KR20050071916 A KR 20050071916A KR 20070016861 A KR20070016861 A KR 2007001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access point
bluetoot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6861A/ko
Publication of KR2007001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블루투스 단말과의 데이터를 중계하고 있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블루투스 단말로부터 특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존의 블루투스 단말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한 블루투스 단말로 연결 전환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연결 전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스캐터넷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블루투스 폰을 이용하더라도 PSTN 망과 통화를 하는 경우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Transfer in Bluetooth Network}
도 1은 무선 헤드셋으로 일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 헤드셋으로 PSTN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폰에서 무선 헤드셋으로 연결 전환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무선 헤드셋에서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폰에서 다른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블루투스 폰에서 무선 헤드셋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무선 헤드셋에서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블루투스 폰에서 다른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액세스 포인트 12 :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20 : 블루투스 폰 13 : 제어부
30 : 무선 헤드셋 1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 : 안테나
본 발명은 블루투스 네트워크(Bluetooth Network)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란 휴대용 장치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케이블 없이 저 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 제품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블루투스는 크기가 작고(0.5평방 인치), 저렴한 가격과 적은 전력 소모(100mW)로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장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기타 주변장치들 간 10m ~ 100m 내의 소구역간 무선 연결을 가능케 하고 있다. 블루투스 는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의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도 무선 데이터 통신을 구현한다. 최대 전송 속도는 1MBps이나 실제 전송 속도는 721KBps이다. 또한, 전송 거리는 반경 10m 내외로 출력 앰프가 있을 경우 100m까지 전송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2.4GHz 대역에서 대역폭 1MHz의 채널 79개를 설정하고 1초당 1,600회씩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Spread Spectrum) 기술로 전파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기기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는 1개의 마스터(Master)의 주도하에 최대 7개의 슬레이브(Slave)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착 기기들간의 네트워크는 고정된 제어 장치들을 갖지 않으며 각각의 이동 기기가 스스로 네트워크를 조직한다. 블루투스 시스템은 일대일 또는 일대다의 연결을 만든다. 이렇게 두 개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들이 같은 채널을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피코넷안에서는 하나의 장치가 마스터가 되고 최대 7개의 장치가 액티브 슬레이브가 될 수 있다. 이 때 통신하지 않는 장치는 파크모드 상태로 되며, 파크 모드의 슬레이브까지 합하면 모두 255개의 장치가 한 피코넷에 포함될 수 있다. 액티브나 파크 모드의 슬레이브들에 대한 채널의 액세스는 마스터에 의하여 제어된다.
스캐터넷(Scatternet)이란 위에서 설명한 피코 넷이 여러 개 겹쳐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스캐터넷안의 피코넷은 서로 동기화될 필요는 없으며, 각각의 피코넷들은 각자의 마스터에 따라 서로 독립적인 채널을 가진다.
도 1은 무선 헤드셋으로 일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폰(20)과 무선 헤드셋(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폰(20)은 일반적인 전화기에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루투스 폰(20)을 이용하여 일반 이동 통신망과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도 있으며, 블루투스 폰(20) 주위의 블루투스 단말과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무선 헤드셋(30)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헤드셋을 의미한다. 무선 헤드셋(30)은 주위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여 주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여 준다.
이하, 무선 헤드셋(30)과 일반 이동 통신망 사이의 음성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폰(20)을 이용하여 이동 통화를 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30)의 통화키를 누른 경우 무선 헤드셋(30)은 블루투스 폰(20)으로 연결을 요청한다. 무선 헤드셋(30)으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은 블루투스 폰(20)은 무선 헤드셋(30)과의 연결을 설정한 후 일종의 액세스 포인트(10)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즉, 블루투스 폰(20)은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전송받아 2.4GHz의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로 변조한 후 무선 헤드셋(30)으로 전송한다. 무선 헤드셋(30)은 전송받은 RF 신호를 음성 신 호로 복조하여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받은 무선 헤드셋(30)은 2.4GHz의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로 변조하여 블루투스 폰(20)으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폰(20)은 전송받은 RF 신호를 이동 통신망에서 이용하는 주파수의 RF 신호로 변조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블루투스 폰(20)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 헤드셋(30)만을 착용하더라도 일반 이동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통화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30)을 착용하고 일반 이동 통신망이 아닌 PSTN망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었다.
도 2는 무선 헤드셋으로 PSTN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10), 블루투스 폰(20), 무선 헤드셋(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는 유선 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과 연결되어 있어, 블루투스 폰(20)과 PSTN 망의 중계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블루투스 폰(20)은 스캐터넷의 지원이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이며, 무선 헤드셋(30)은 도 1의 무선 헤드셋과 동일한 장치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30)을 이용하여 PSTN 망을 통 하여 음성 통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PSTN 망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전달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PSTN 망으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블루투스가 이용하는 주파수의 RF 신호로 변조하여 블루투스 폰(20)으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폰(20)은 상기 RF 신호를 무선 헤드셋(30)으로 중계한다. 무선 헤드셋(30)은 수신한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무선 헤드셋(30)에 장착된 마이크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음성 신호가 PSTN 망으로 전송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는 블루투스 폰(20)과 무선 헤드 셋이 하나의 피코넷(1번 피코넷)을 구성하게 되며, 블루투스 폰(20)과 액세스 포인트(10)가 하나의 피코넷(2번 피코넷)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1번 피코넷에서는 블루투스 폰(20)이 마스터, 무선 헤드셋(30)이 슬레이브가 되며, 2번 피코넷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가 마스터, 블루투스 폰(20)이 슬레이브가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피코넷이 겹쳐서 존재하는 경우 블루투스 폰(20), 무선 헤드셋(30), 액세스 포인트(10)는 스캐터넷을 이루게 된다.
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선 헤드셋(30)을 착용하고 PSTN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는 블루투스 폰(20)이 스캐터넷을 지원하여야 한다. 블루투스 폰(20)이 1번 피코넷에서는 마스터가 되고 2번 피코넷에서는 슬레이브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사용자들은 스캐터넷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폰(20)을 새로 구입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스캐 터넷을 지원하는 단말의 구현이 아직은 쉽지 않으며, 스캐너넷을 지원하는 단말을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오동작이 발생하므로 음성 통화를 안정적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블루투스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등의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연결 전환을 하여 사용자가 다른 블루투스 단말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와 페어링 되어 있는 제1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상의 제2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중이던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말과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이 연결 종료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이 연결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이동 단말, 무선 헤드셋, 유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1단말 또는 제3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PSTN망, 사설 무선 통신망, LAN 또는 인터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사용자가 연결 전환키를 입력하는 경우 연결 전환 요청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단말로부터 연결 전환 제어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네트워크상의 제2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중이던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연결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연결 종료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단말과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연결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과 제3 단 말 간의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이동 단말, 무선 헤드셋, 유무선 전화기일 수 있으며, 제1단말 또는 제3단말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PSTN 망, 사설 무선 통신망, LAN 또는 인터넷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폰에서 무선 헤드셋으로 연결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도 2의 블루투스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폰(20), 무선 헤드셋(30) 및 액세스 포인트(10)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헤드셋(30)과 블루투스 폰(20)은 사전에 페어링(Pairing)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10)에 등록되어 있다.
도 3의 경우 사용자가 블루투스 폰(20)으로 액세스 포인트(10)를 경유하여 PSTN 망과 음성 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 무선 헤드셋(30)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면 액세스 포인트(10)는 블루투스 폰(20)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무선 헤드셋(30)과 접속을 한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는 PSTN 망과 무선 헤드셋(30)사이에 음성 신호를 중계하여 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경우 사용자는 무선 헤드셋(30)을 착용하고 음성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에서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30)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 블루투스 폰(20) 사용자가 특정의 키(#+*+SEND)를 누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무선 헤드셋(30)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블루투스 폰(20)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폰에서 다른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블루투스 폰 A(20A)로 통화하는 중 다른 사용자가 블루투스 폰B(20B)의 특정의 제어키(#+*+SEND)를 누르면 액세스 포인트(10)는 블루투스 폰A(20A)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블루투스 폰B(20B)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폰에서 무선 헤드셋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폰(20)은 액세스 포인트(10)를 경유하여 PSTN 망과 연결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블루투스 폰(20)으로 PSTN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한다.
만일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10)와 페어링(Pairing)되어 있고 파크 상태인 무선 헤드셋(30)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무선 헤드셋(30)은 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AT+CKPD = 200)를 액세스 포인트(10)로 전송한다(S6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통화 버튼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 받은 액세스 포인트(10)는 블루투스 폰(20)으로 연결 해제 메시지(HCI Disconnect Message)를 전송한다(S620).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블루투스 폰(20)은 연결 종료 메시지(Disconnection Complete)를 액세스 포인트(10)로 전송하고(S630) 액세스 포인트(10)와의 연결을 종료한다(S640).
블루투스 폰(20)과의 연결을 종료한 액세스 포인트(10)는 S620과정에서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OK 메시지(S650)와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HCI Setup Synchronous Connection Message)를 전송한다(S660).
상기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헤드셋(30)은 액세스 포인트(10)로 연결 완료 메시지(Connection Complete Message)를 전송하고(S670), 액세스 포인트(10)와 연결을 설정한다(S680). 연결 설정 과정 이후 액세스 포인트(10)는 PSTN 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무선 헤드셋(30)으로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는 무선 헤드셋(30)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블루투스 폰에서 무선 헤드셋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블루투스 폰에서 다른 블루투스 폰으로 연결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블루투스 폰(20)의 특정 제어 키(#+*+SEND)를 누르면, 블루투스 폰(20)은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10)로 전송한다. 그 후의 무선 헤드셋(30)과 블루투스 폰(20)의 연결 전환 과 정 또는 서로 다른 블루투스 폰(20A, 20B)의 연결 전환 과정은 도 6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11)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송수신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은 베이스 밴드의 신호를 블루투스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로 복조하는 장치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블루투스 시스템과 서로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PSTN 망, LAN 또는 인터넷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블루투스 폰으로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3)는 액세스 포인트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3)는 액세스 포인트와 페어링되어 있는 통화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기존에 통화를 하고 있는 통화 장치와의 접속을 종료하고 제어 신호를 전송한 통화 장치로 접속을 설정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 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무선 헤드셋과 블루투스 폰을 예로 들었지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시스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시스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PDA 시스템이나 PMP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캐터넷을 지원하지 않는 블루투스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외부 네트워크와 블루투스 단말 간 데이터를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기존의 접속을 종료하고 다른 블루투스 단말과 접속을 함으로써 스캐터넷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연결 전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스캐터넷의 이용에 따른 단말의 오작동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와 페어링 되어 있는 제1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상의 제2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중이던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과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이 연결 종료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와
    상기 제1 단말이 연결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3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단말, 무선 헤드셋, 유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PSTN 망, 사설 무선 통신망, LAN 또는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의 연결 전환키를 입력하는 경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8.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연결 전환 제어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네트워크상의 제2 단말과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중이던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결 종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연결 종료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단말과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종료하는 액세스 포인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전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연결 설정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과 제3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액세스 포인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3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단말, 무선 헤드셋, 유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인 액세스 포인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PSTN 망, 사설 무선 통신망, LAN 또는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액세스 포인트.
KR1020050071916A 2005-08-05 2005-08-05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70016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916A KR20070016861A (ko) 2005-08-05 2005-08-05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916A KR20070016861A (ko) 2005-08-05 2005-08-05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861A true KR20070016861A (ko) 2007-02-08

Family

ID=436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916A KR20070016861A (ko) 2005-08-05 2005-08-05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6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41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신규 디바이스 등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41A (ko) * 2014-07-02 201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신규 디바이스 등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4849C (zh) 适应于数据流式传输和实时服务的短距离无线电终端
US7522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conference interaction with bluetooth-enabled cellular telephone
CN101331721B (zh) 分布式蓝牙系统
KR101240551B1 (ko) 블루투스 기반의 채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70351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진입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EP242430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0001983A1 (ja) 通信システム
JP7345062B2 (ja) 中継接続確立方法及び機器
CN110719371A (zh) 跨设备的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0402663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958196A (zh) 无线通信设备
KR20190039360A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블루투스 이어셋
KR20190046453A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
KR20120074271A (ko)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서비스 시스템
WO2010079863A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통신시스템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20080000553U (ko) 무선통신 단말기
EP1372299A1 (en) A system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20070016861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823445B1 (ko)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근거리무선통신의 커버리지 확장이가능한 모바일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JP2006217490A (ja) 無線端末装置
JP2013239907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CN201409132Y (zh) 一种支持双模或多模功能的手机中实现蓝牙通信的系统
KR20070081126A (ko) 로컬 네트웍망 내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바이너리씨디엠에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장치
KR20020018513A (ko) 인터넷 연동 무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