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042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042A
KR20070015042A KR1020060071097A KR20060071097A KR20070015042A KR 20070015042 A KR20070015042 A KR 20070015042A KR 1020060071097 A KR1020060071097 A KR 1020060071097A KR 20060071097 A KR20060071097 A KR 20060071097A KR 20070015042 A KR20070015042 A KR 2007001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st
water
dom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4987B1 (en
Inventor
요시히로 모리
노리마사 다까미
히데요시 이나즈미
겐이찌 무라따
게이꼬 구로까와
다이스께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An air cleaner to which functions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air cleaned in the air cleaner are imparted, a new air cleaner with which an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 is organically combined such that cleaned air exhausted from the air cleaner contains mist of electrolyzed water, and an air cleaner which has good external appearance and is capable of confirming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ed from the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 by eyes of users are provided. An air cleaner comprises: ai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er; blowing means for transferring air such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eans after entering an inlet comes out from an outlet; and an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30) comprising a water storage chamber(32) for storing water, electrode plates(41) for electrolyzing water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an ultrasonic oscillator(50) for generating mist from water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and mist scattering means for scattering generated mist using air that is clea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eans by the blowing means. The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 comprises a tray(33), a main case(34), a cover(35), a water storage tank(32), an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ion part(31) and a clamp(36).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Air Purifier {AIR CLEAN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의 종단면도.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의 정면도이고, 정면 패널, 프리 필터 및 메인 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ir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the prefilter, and the main filter are removed.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의 평면도. 3 is a plan view of the air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viewed from the front.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절단선 V-V를 따르는 종단면 측면도.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along the cutting line V-V in Fig. 4;

도6은 도4 있어서의 절단선 VI-VI를 따르는 종단면 측면도.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ide view taken along cut line VI-VI in FIG. 4; FIG.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상부 좌측 부분의 부분 종단면도. Fig. 7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종단면도. 8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0 : 공기 청정기1, 100: air purifier

6 : 프리 필터(공기 청정화 수단)6: pre-filter (air cleaning means)

7 : 메인 필터(공기 청정화 수단)7: main filter (air cleaning means)

13, 14 : 모터(송풍 수단)13, 14: motor (blowing means)

16, 17 : 원심 팬(송풍 수단)16, 17: centrifugal fan (blowing means)

30 :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1 : 전해 미스트 발생부31: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2 : 저수 탱크32: reservoir tank

33 : 트레이33: tray

34 : 메인 케이스34: main case

35 : 커버35: cover

40 : 전해실40: electrolytic chamber

41 : 한 쌍의 전극판41: pair of electrode plates

46 : 진동 부여실46: vibration giving room

50 : 초음파 진동자50: ultrasonic vibrator

56 : 돔56: dome

57 : 돔의 내면57: inner surface of the dome

58 : 개구58: opening

59 : 투명 케이스59: transparent case

60 : 미스트 표류실60: mist drift room

61 : 미스트 출구61: mist exit

62 : 방출 통로62: discharge passage

63 : 청정화 공기 취입구63: purifying air inlet

64 :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 purifying air blowing euro

67 : 방산구67: discharge outlet

68 : LED68: LED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2816호 공보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102816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9714호 공보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79714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5728호 공보[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95728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를 취입하고, 취입한 공기를 청정화하여 기기 밖으로 방출하는 공기 청정기가 알려져 있다. 기기 내로 취입한 공기는, 예를 들어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 등이 제거된다(특허문헌 1 참조). BACKGROUND ART An air purifier that blows air, purifies the blown air, and discharges it out of the apparatus is known. As for the air blown into the apparatus, the dust etc. contained in air are removed by passing through a filter,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 등은 제거되지만, 공기를 살균하거나 탈취하거나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살균 기능이나 탈취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However, in the air purifi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dus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air are removed, but the air cannot be sterilized or deodorized. Then, the air cleaner provided with the sterilization function and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also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는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액체를 저수부에 수용하고, 그 액체를 이용하여 생성한 미스트를 기기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공기를 살균하거나 탈취하거나 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can sterilize or deodorize air by accommodating a liquid having a sterilizing action or a deodorizing action in the reservoir and discharging the mist generated by using the liquid out of the device.

또한, 공기 청정기는 아니지만, 전기 분해한 전해수를 이용하여 탈취, 살균, 제균 또는 곰팡이 방지를 행하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Moreover, although it is not an air cleaner, the apparatus which performs deodorization,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mold prevention using electrolyzed electrolyzed water is also proposed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2816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102816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9714호 공보 [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79714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5728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95728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에서는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전용의 액체, 또는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전용의 액체를 저수부에 수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용의 액체를 일부러 준비해야만 하므로 번거롭다. 또한, 이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 본래의 작용인 청정화와,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공기 청정기에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행하는 장치가 단순히 부가된 구성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In the air purifie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a dedicated liquid having a sterilizing action or a deodorizing action, or a dedicated liquid for generating a mist having a sterilizing action or a deodorizing action must be accommodated in the reservoir. Therefore, it is cumbersome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edicated liquid on purpose. In addition, this air purifi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urifier which is an inherent action of the air purifier and the sterilization action or deodorization action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and the device which performs the sterilization action and the deodorization action to the air purifier is simply added.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장치도 탈취나 제균 등을 행하는 독립된 장치이고, 공기 청정기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장치는 아니다.Moreover, the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also an independent apparatus which performs deodorization, sterilization, etc., and is not an apparatus organically couple | bonded with an air cleaner.

한편, 최근의 고기밀화 주택의 보급 등에 수반하여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청정화하는 데 불가결한 장치로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에서 청정화된 공기를 유효 활용하여 청정화된 공기가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게 되면, 보다 좋은 공기 청정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공기 청정기에서 청정화된 공기가 탈취 기능이나 제균 기능을 구비하게 되면, 보다 고품질인 공기 청정기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ith the recent spread of high-density homes and the like, air purifiers have become popular as devices essential for cleaning indoor air. If the purified air is effectively utilized by using the purified air in such an air cleaner, it is possible to set it as a better air cleaner. In other words, when the air cleaned in the air cleaner has a deodorizing function or a sterilizing function, it can be a higher quality air cleaner.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 청정기에서 청정화된 공기에 제균 기능이나 탈취 기능 등을 부여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such a background,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air is cleaned in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와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를 유기적으로 더 결합시키고, 공기 청정기로부터 방출되는 청정화된 공기가 전해수의 미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되도록 창작된 새로운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combine the air purifier with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and to provide a new air purifier that is designed such that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is air including the mist of electrolytic water.

본 발명은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가 유기적으로 더 조립된 공기 청정기이며,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전해수 미스트가 사용자에 대해 눈으로 확인 가능하고, 외관도 양호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an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is organically further assembled, and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ed by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is visually visible to a user and has a good appearance. .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통과하는 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화 수단과, 공기가 입구로부터 들어가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후 출구로부터 나오도록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 수단과,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를 갖고, 상기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실과, 저수실의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판과, 저수실의 물로부터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와, 발생한 미스트를 상기 송풍 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후의 청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방산시키기 위한 미스트 방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has an air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the air passing through, a blow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air so that air enters from the inlet and passes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and exits from the outlet, and an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or is configured to transfer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water, an electrode plate for electrolyzing water in the storage chamber, an ultrasonic vibrator for generating mist from the water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generated mist to the blowing means. And mist dissipation means for dissipating by using the purifie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하고, 발생한 미스트 내를 통해 방 산구로 이송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ist dissipating means includes a bypass flow passage for bypassing a part of the purified air conveyed by the blowing means, and transporting it to the dispersing port through the generated mist. It is an air purifier of Claim 1.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청정화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발생한 미스트를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st dissipating means releases the mist generated by us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purified air conveyed by the blowing means.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는 발생한 미스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미스트 확인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has a mist checking means in which a generated mist can be visually confirmed.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확인 수단은 대략 반구형으로 상방으로 팽창되고, 발생한 미스트가 내부에 가득 차는 돔과, 돔의 하방에 형성되어 돔 내의 미스트를 주위로 누설시키기 위한 개구와, 적어도 정면측은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돔의 주위를 둘러싸고, 돔으로부터 누설되어 오는 미스트를 표류시키기 위한 미스트 표류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항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ist confirming means is expanded upwardly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nd has a dome filled with generated mist therein, an opening formed below the dome to leak mist in the dome to the surroundings, and at least a front face thereof. The side is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4, which includes a mist drift chamber tha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ember,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dome, and drifts the mist leaking from the dome.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돔은 내부가 물로 누설되면 투명화되는 반투명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ome is formed of a translucent member that becomes transparent when the inside leaks into water.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스트 확인 수단을 조명하기 위한 라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항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Invention of Claim 7 is the air purifier of Claim 4 provided with the light for illuminating the said mist confirming means.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가 미스트 표류실의 상방으로부터 정면 내측을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취입되는 취 입 유로와, 취입된 청정화 공기가 미스트 표류실의 하방으로부터 적어도 돔 주위를 통해 상기 방산구로 흐르는 방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ypass flow passage is a blow passage in which a part of the cleaned air flows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mist drift chamber along the front inner side and from the bottom of the mist drift chambe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5, comprising a discharge passage flowing through at least the dome around the discharge port.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은 상하 2단으로 구획되어 있고, 그것에 대응시켜 상기 송풍 수단도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하로 구획된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각각 상단의 송풍 수단 및 하단의 송풍 수단으로 따로따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the air purifying means is divided into two stages up and down, and correspondingly, the blowing means is also arranged in two stages up and dow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divided up and down is respectively top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artition member for separately transporting the blower means and the lower blower means is provided.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상하 2단으로 구획된 것 중 상방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하여 청정화된 공기가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s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ir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eans located above the one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stages is used as the mist dissipation means.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좌측이 공기 청정기(1)의 정면(전방)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left side is the front (front) of the air cleaner 1.

공기 청정기(1)는 전후 방향(도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두께가 얇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하우징(2)을 갖고 있다. 하우징(2)의 정면측에는 하우징(2)의 정면 상부의 표시 및 조작 패널 영역(3)을 제외한 영역을 덮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정면 패널(4)이 구비되어 있다. 정면 패널(4)의 내측(도1에 있어서 우측)에는 필터 배치 공간(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필터 배치 공간(5) 내에 프리 필터(6) 및 메인 필터(7)가 정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리 필터(6)는 상하 방향으로 긴 얇은 메쉬형 필터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비교적 큰 진애를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프리 필터(6)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8)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8)는 프리 필터(6)를 착탈할 때에 파지하는 조작부인 동시에, 정면 패널(4)이 후방으로 휘어도 정면 패널(4)과의 사이에서 간극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The air purifier 1 has a housing 2 which is thin in the front-rear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1) a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panel 4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2 to cover an area except for the display and the operation panel region 3 on the front top of the housing 2 and is detachably attached. The filter arranging space 5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anel 4 (right side in FIG. 1), and the pre-filter 6 and the main filter 7 are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inner side in this filter arranging space 5.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The prefilter 6 is a thin mesh filter that i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tended to capture relatively larg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prefilter 6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8 which protrudes forward. The projection 8 is an operation unit gripped when the prefilter 6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has a function as a spacer for securing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4 and the front panel 4 even when the front panel 4 is bent backwards. .

메인 필터(7)는 상하 방향 중앙부(9)에서 상하 구획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부 메인 필터(71) 및 하부 메인 필터(72)를 포함한다. 메인 필터(7)는, 예를 들어 부직포가 플리츠(pleats)형으로 절첩된 구성을 갖고 있고, 공기 중의 매우 미세한 진애, 예를 들어 화분이나 담배 연기의 입자 등까지 포획 가능한 필터이다. 메인 필터(7)가 중앙부(9)에서 상하로 구획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키고, 필터 배치 공간(5) 내에는 중앙부에 수평 방향의 구획벽(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filter 7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9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n upper main filter 71 and a lower main filter 72. The main filter 7 has a structur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folded into a pleats shape, for example, and is a filter capable of capturing even very fine dust in the air, for example, particles of pollen or tobacco smoke.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main filter 7 is divided up and down in the central portion 9, the partition wall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filter arrangement space 5.

하우징(2) 내에는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중앙벽(11)이 구비되어 있다. 중앙벽(11)은 필터 배치 공간(5)과 그 후방의 팬 배치 공간(12)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동시에, 모터(13, 14)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벽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In the housing 2, the center wall 11 which spreads up and down and left-right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front-back direction. The center wall 11 serves to partition the filter arranging space 5 and the fan arranging space 12 behind it, and also functions as a mounting wall for installing the motors 13 and 14.

하우징(2) 내의 후방측에 형성된 팬 배치 공간(12)은 상부실(121) 및 하부실(122)로 구획되어 있다. 상부실(121)에는 중앙벽(11)에 설치된 모터(13)와,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16)이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실(122)에는 중앙벽(11)에 설치된 모터(14)와,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17)이 구비되어 있다. 상방의 원심 팬(16)은 상부 메인 필터(71)를 통과해 온 공기를 하우징(2) 상부의 출구(18)로부터 기기 밖으로 방출한다. 하방의 원심 팬(17)은 하부 메인 필터(72)를 통과해 온 공기를 하우징(2)의 좌우 양측[하부실(12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도1에는 도시하지 않은 출구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방출한다. The fan arranging space 12 formed in the rear side in the housing 2 is partitioned into the upper chamber 121 and the lower chamber 122. The upper chamber 121 is provided with a motor 13 provided on the central wall 11 and a centrifugal fan 16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13. Similarly, the lower chamber 122 is provided with a motor 14 provided on the central wall 11 and a centrifugal fan 17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14. The upper centrifugal fan 16 discharg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main filter 71 from the outlet 18 above the housing 2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 lower centrifugal fan 17 pass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main filter 72 out of the device via an outlet not shown in Fig. 1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2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chamber 122). Release.

또한, 도1에 있어서, 부호 19는 하우징(2)과 일체 성형된 다리이고, 공기 청정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부호 30은 후술하는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 65는 통기 구멍이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leg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2, and is provided in order to more stably arrange the air cleaner 1.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30 is an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apparatus mentioned later and 65 is a ventilation hole.

도2는 공기 청정기(1)의 정면도이고, 정면 패널(4), 프리 필터(6) 및 메인 필터(7)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2에서는 팬 배치 공간(12) 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팬 케이싱(151, 152)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ir cleaner 1 and is a view of the front panel 4, the prefilter 6 and the main filter 7 being removed. In FIG. 2, fan casings 151 and 152 for guiding the air flow formed in the fan arrangement space 12 are indicated by broken lines.

도2를 참조하여 공기 청정기(1)로 들어가는 공기는 주로 하우징(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흑색의 두꺼운 화살표 A1,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흐르고, 도2에서는 제거되어 있는 프리 필터 및 메인 필터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른다. 하우징(2)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공기가 들어올 때, 하우징(2)과 정면 패널(4)의 간극(도1 참조)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는(화살표 A1) 것에 부가하여, 하우징(2)의 측면 전방측에 형성된 입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도 공기가 들어가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정면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출구(21)로부터 나와(화살표 A2) 프리 필터(6)의 전방면으로 흐른다. The air entering the air cleaner 1 with reference to FIG. 2 mainly flows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2 as shown by the black thick arrows A1 and A2, and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and the main filter removed in FIG. Flow backwards. When air enters the housing 2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ir is introduced from the gap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front panel 4 (see Fig. 1) (arrow A1), and the side front side of the housing 2 is provided. Air also enters from an inlet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s shown in FIG. 2, the air comes out from a plurality of air outlets 21 formed in up and down directions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using 2 (arrow A2). 6) flows to the front face.

중앙벽(11)의 상방에는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 팬(16)(도1 참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통로(23)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통로(23)는 리브(24)로 구획 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모터(13)(도1 참조)의 주위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도넛 형상으로 되어 있다.Above the center wall 11, an air passage 23 sucked by the centrifugal fan 16 (see Fig. 1) rotated by the motor 13 is formed. The air passage 23 includes a plurality of small holes defined by the ribs 24, and is generally in a donut shape so that air passes around the motor 13 (see Fig. 1).

중앙벽(11)의 하방에도 모터(14) 및 원심 팬(17)(도1 참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마찬가지로 리브(25)로 구획된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통로(26)가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air sucked by the motor 14 and the centrifugal fan 17 (see FIG. 1) to pass below the center wall 11, an air passage made up of a plurality of small holes similarly divided by the ribs 25 ( 26) is formed in a donut shape as a whole.

그리고, 상방의 공기 통로(23)를 통해 중앙벽(11)의 후방으로 들어간 공기는 원심 팬(16)(도1 참조)에 의해 상방 좌측의 출구(도1 참조)를 통과하고, 도2에 백색 화살표 A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상방으로 방출된다. And the air which entered the back of the center wall 11 through the upper air path 23 passes through the outlet (refer FIG. 1) of an upper left side by the centrifugal fan 16 (refer FIG. 1), and FIG. As indicated by white arrow A3, it is discharged above the housing 2.

또한, 하방의 공기 통로(26)를 통해 후방으로 들어간 공기는 원심 팬(17)(도1 참조)에 의해 도2에 백색 화살표 A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좌우 양측방으로 방출된다. In addition, the air entering backward through the lower air passage 26 is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2 by the centrifugal fan 17 (see FIG. 1) as indicated by the white arrow A4 in FIG.

이들 백색 화살표 A3, A4로 나타내는 방출 공기는 프리 필터(6) 및 메인 필터(7)를 통과한 공기이고, 청정화된 공기이다. The discharged air indicated by these white arrows A3 and A4 is air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6 and the main filter 7 and is clean air.

공기 청정기(1)의 정면 상부의 표시 및 조작 패널 영역(3)의 좌측에는 창(77)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가 발생하는 전해수 미스트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window 77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nd the operation panel region 3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air cleaner 1, and the state of the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ed by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therein can be visually confirmed. It is supposed to be.

도3은 공기 청정기(1)의 평면도(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도를 좌측으로 90°회전시킨 상태에서 그린 도면)이고, 도3에 있어서 우측이 공기 청정기(1)의 정면측이다. 도3에서는 하우징(2)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커버(90)(도7 참조)가 제거되고, 내부에 수용된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의 상면이 보이는 도면으로 되어 있 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air cleaner 1 (more specifically, a drawing drawn in a state where the plane is rotated 90 ° to the left), and the right side is the front side of the air cleaner 1 in FIG. In FIG. 3, the cover 90 (see FIG. 7)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 is remov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housed therein is shown.

도3에 있어서, 부호 18은 하우징(2)의 상면의 후방 좌측에 형성된 출구이고, 출구(18)의 전방측 내부에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가 수용되어 있다.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는 정면측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전해 미스트 발생부(31)와, 우측에 배치된 저수 탱크(32)를 포함하고 있다. 전해 미스트 발생부(31)의 좌측에는 전기 접속부(54)가 설치되어 있다. In Fig. 3,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n outlet form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 and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is hous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outlet 18.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apparatus 30 includes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part 31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 side and the water storage tank 32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as seen from the front side.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54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1.

또한, 도3에 있어서 부호 3은 표시 및 조작 패널 영역(3)의 윤곽선이고, 4는 정면 패널(4)의 윤곽선이다. 또한, 부호 19는 다리를 나타내고 있다. In FIG. 3,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n outline of the display and operation panel region 3, and 4 denotes an outline of the front panel 4. As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leg.

도4는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는 장치 하부를 구획하는 트레이(33)와, 트레이(33) 내에 수용되도록 트레이(33)와 결합되는 메인 케이스(34)와, 메인 케이스(34)의 좌측 상부를 덮는 커버(35)와, 메인 케이스(34)의 우측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저수 탱크(32)를 갖고 있다. 커버(35)는 메인 케이스(34)에 고정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34)와 커버(35)에 의해 전해 미스트 발생부(3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케이스(34)는 트레이(33)와 결합되어 트레이(33)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36)에 의해 트레이(33)와 메인 케이스(34)가 고정되어 있다.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viewed from the front.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covers a tray 33 partitioning the lower part of the apparatus, a main case 34 coupled to the tray 33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tray 33, and an upper left side of the main case 34. The cover 35 and the water storage tank 32 which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main case 34 are provided. The cover 35 is fixed to the main case 34.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part 31 is comprised by the main case 34 and the cover 35. As shown in FIG. The main case 34 is coupled to the tray 33, and the tray 33 and the main case 34 are fixed by the clamp 36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tray 33.

저수 탱크(32)에 저장된 물은 탱크(32)의 개구부(37)에 설치된 물낙하 기구(38)에 의해 트레이(33)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트레이(33)에 저장된 물의 수위(39)가 나타낸 일정 수위로 유지되도록 물의 공급을 행한다.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ank 32 enters the tray 33 by the water drop mechanism 38 provided in the opening 37 of the tank 32. Then, water is supplied so that the water level 39 of the water stored in the tray 33 is maintained at the constant water level indicated.

전해 미스트 발생부(31)에는 도4에 있어서 우측에 전해실(40)이 구비되어 있 다. 전해실(40) 내에는 전극 유지 부재(44)에 의해 유지된 한 쌍의 전극판(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 유지 부재(44)에 의해 수위 검지용 전극(45)도 유지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41) 및 수위 검지용 전극(45)은, 예를 들어 티탄 또는 루테늄계 재료에 백금을 코팅하고, 그 외측에 이리듐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해실(40)은 그 주위에 다수의 통수 구멍(42, 43)이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33)에 저장된 물이 자유롭게 전해실(40) 내로 출입한다. 그리고, 전해실(40) 내의 수위(39)는 트레이(33)의 수위(39)와 동등하다. 전해실(40) 내의 한 쌍의 전극판(41)은 물에 잠겨 있고, 한 쌍의 전극판(41)에 리드선(43)을 거쳐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해실(40) 내의 물은 전기 분해된다. 전기 분해된 물은 트레이(33) 내의 물과 섞여 트레이(33) 내의 물 전체가 전해수가 된다.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1 is provided with an electrolytic chamber 40 on the right side in FIG.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a pair of electrode plates 41 held by the electrode holding member 44 is provid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detection electrode 45 is also held by the electrode holding member 44.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electrode 45 are 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platinum on a titanium or ruthenium-based material and coating iridium on the outside thereof. The electrolytic chamber 40 has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42 and 43 formed therein, and water stored in the tray 33 freely enters and leaves the electrolytic chamber 40. The water level 39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equal to the water level 39 of the tray 33.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are immersed in water, and the voltage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electrolyz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via the lead wire 43. . The electrolyzed water is mixed with water in the tray 33 so that the entire water in the tray 33 becomes electrolytic water.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전극판(41)에는 리드선(43)을 거쳐서 단속적으로(예를 들어, 1시간마다 3 내지 10분 정도),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교대로 소정의 전압(예를 들어, 10 V)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전해실(40) 내의 물이 전기 분해된다. 물은, 통상 수돗물이 이용되고, 수돗물에는 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기 분해에 의해 하기와 같은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are alternately interposed so as to be reverse polarity with each other intermittently (for example, about 3 to 10 minutes every hour) via the lead wires 43 (for example, For example, 10 V) is applied, whereby water in the electrolytic chamber 40 is electrolyzed. Since tap water is normally used for water and chlorine is contained in tap water, the following electrochemical reaction arises by electrolysis.

(양극측)(Positive side)

4H2O - 4e- → 4H+ +O2 ↑+ 2H2O 4H 2 O - 4e - → 4H + + O 2 ↑ + 2H 2 O

2Cl- → Cl2 + 2e- 2Cl - → Cl 2 + 2e -

H2O + Cl2 ⇔ HClO + H+ + Cl- H 2 O + Cl 2 ⇔ HClO + H + + Cl -

(음극측)(Cathode side)

4H2O + 4e- → 2H2 ↑+ 4OH- 4H 2 O + 4e - → 2H 2 ↑ + 4OH -

(전극판 사이)(Between electrode plates)

H+ +OH- → H2O H + + OH - → H 2 O

상기와 같은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이나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생성된 전해수로부터 미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전해 미스트를 발생할 수 있다. Electrochemical water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HClO) and active oxygen having a bactericidal or deodorizing effect can be produced by the above electrochemical reaction. By generating mist from this produced electrolytic water, electrolytic mist which has a bactericidal or deodorizing effect can be generated.

전해 미스트 발생부(31)에는 진동 부여실(46)이 더 형성되어 있다. 진동 부여실(46)에는 그 주위에 통수 창(47)이 마련되어 있고, 트레이(33) 내의 물이 진동 부여실(46)에 자유자재로 출입할 수 있다. 진동 부여실(46)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인 둥근 구멍(4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둥근 구멍(48)을 거쳐서 하방에 배치된 초음파 진동자(50)의 상면(51)이 면하고 있다. 진동 부여실(46) 내의 물은 초음파 진동자(50)의 상면(51) 상을 타고, 초음파 진동자(50)가 동작함으로써 초음파 진동이 부여된다. The vibration imparting chamber 46 is further formed in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1. The water supply window 47 is provided in the vibrating imparting chamber 46, and water in the tray 33 can freely enter and exit the vibrating imparting chamber 46. The bottom surface of the vibration imparting chamber 46 is formed with a round hole 48 that is circular in plan view, for examp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ltrasonic vibrator 50 disposed downward through the round hole 48 ( 51) Water in the vibration providing chamber 46 rides on the upper surface 51 of the ultrasonic vibrator 50, and ultrasonic vibration is a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vibrator 50.

초음파 진동자(50) 자체는 진동 부여실(46)과 구획된 수용실(52) 내에 배치되어 있고, 리드선(53)을 거쳐서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이다.The ultrasonic vibrator 50 itself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52 partitioned with the vibration provision chamber 46, and is a structure wher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lead wire 53. As shown in FIG.

메인 케이스(34)의 좌측 단부에는 전기 접속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전기 접속부(54)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핀(55)이 구비되어 있다. 핀(55)과 한 쌍의 전극판(41)과 접속된 리드선(43), 수위 검지용 전극(45) 및 초음파 진동자(50)의 리드선(53)은 도시하지 않지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전극판(41), 수위 검지용 전극(45) 및 초음파 진동자(50)에는 핀(55)을 경유하여 전력이 부여된다. 핀(55)은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가 공기 청정기(1)에 세트되었을 때(도3 참조), 공기 청정기(1)측에 구비된 잭과 연결되어 공기 청정기(1)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4 is formed in the left end part of the main case 34,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4 is provided with the some pin 55 which protrudes downward. The lead wire 43 connected to the pin 55 and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the electrode 45 for level detection, and the lead wire 53 of the ultrasonic vibrator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lthough not show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41, the water level detecting electrode 45, and the ultrasonic vibrator 50 via the pins 55. The pin 55 is connected to the jack provided on the air cleaner 1 side when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is set in the air cleaner 1 (see FIG. 3), and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air cleaner 1. do.

진동 부여실(46)의 상방은 투명 케이스(59)에 의해 푹 덮여 있다. 그리고, 투명 케이스(59) 내의 대략 중앙에 대략 반구형으로 상방으로 팽창된 돔(56)이 설치되어 있다. 돔(56)은, 예를 들어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57)은 프로스티드 유리(frosted glass)형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즉, 내면(57)에 미스트가 다량으로 부착되어 내면(57)이 물로 누설된 상태가 되면, 돔(56)은 투명화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imparting chamber 46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transparent case 59. And the dome 56 expanded upward in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in the substantially center in the transparent case 59 is provided. The dome 56 is formed of translucent resin, for example, and the inner surface 57 is subjected to a frosted glass type treatment. That is, when a lot of mist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57 and the inner surface 57 leaks into water, the dome 56 is made transparent.

이와 같이 반구형의 돔(56)을 진동 부여실(46)의 상방에 배치하면, 발생한 미스트가 돔(56) 내에 저장된다.Thus, when the hemispherical dome 56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vibration provision chamber 46, the generated mist is stored in the dome 56. As shown in FIG.

또한, 돔(56)의 하방에는 개구(58)가 형성되어 있고, 돔(56) 내의 미스트가 주위로 누출되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the opening 58 is formed below the dome 56, and the mist in the dome 56 leaks to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돔(56)과 투명 케이스(59)로 구획되는 공간은 미스트 표류실(60)로 되어 있다. 돔(56) 내로부터 개구(58)를 통해 누출되어 오는 미스트는 이 미스트 표류 실(60)을 표류한다. 따라서, 돔(56)은 그 주위가 표류되는 미스트로 둘러싸여 마치 흰 안개 속에 부상한 반구형의 물체로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dome 56 and the transparent case 59 is the mist drift chamber 60. Mist leaking through the opening 58 from within the dome 56 drifts this mist drift chamber 60. Therefore, the dome 56 is surrounded by a mist drift around it and can be visually identified as a hemispherical object floating in a white fog.

초음파 진동자(50)가 동작하면, 그 상면(51)에 접촉되어 있는 물이 초음파 진동되고, 진동 부여실(46)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면(39)은 최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돔(56) 내에 도달할수록 산형으로 융기된다. 그리고, 수면(39)으로부터 미소한 물의 입자인 전해수 미스트가 발생하여 돔(56) 내를 채운다. When the ultrasonic vibrator 50 operates, the wate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51 is ultrasonically vibrated, and the water surface 39 of the water stored in the vibration applying chamber 46 is at maximum, as shown in the dome 56. As it rises within), it is raised to a ridge. And electrolytic water mist which is a particle | grain of the water from the water surface 39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fills the inside of the dome 56.

또한, 투명 케이스(59)를 덮고 있는 커버(35)는 그 정면측에 큰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투명 케이스(59) 및 투명 케이스 내의 돔(56)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ver 35 covering the transparent case 59 has a large opening (not shown) formed in the front side thereof, and visually confirms the internal transparent case 59 and the dome 56 in the transparent case. It is supposed to be.

투명 케이스(59)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가 투명 부재(예를 들어,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적어도 그 정면측이 투명하면 된다. Although the whole transparent case 59 is formed with the transparent member (for example, transparent resin) in this embodiment, at least the front side should just be transparent.

미스트 표류실(60)을 표류하는 미스트 및 돔(56) 하방의 미스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케이스(59)의 배면측에 형성된 미스트 출구(61)로부터 방출 통로(62)를 통해 공기 청정기의 기기 밖으로 방산된다. Mist drifting through the mist drift chamber 60 and mist below the dome 56 are formed in the air purifier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62 from the mist outlet 61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case 59 as described later. Dissipate out of the device.

또한, 도4에 있어서, 부호 63은 청정화 공기 취입구이고, 64는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Fig. 4, reference numeral 63 denotes a purge air intake port, and 64 denotes a purge air intake flow path. The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below.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V-V를 따르는 종단면 측면도이고, 청정화 공기 취입구(63) 및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의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고, 돔(56) 등은 상기 절단선 V-V를 따른 것이 아닌 중앙 단면으로 되어 있다.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along VV in Fig. 4, and is shown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purifying air intake 63 and the purifying air intake flow path 64, and the dome 56 and the like are cut lines VV. It has a central cross section, not along

도5의 설명에 앞서,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중앙벽(11)의 상방에는 통기 구 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 팬(16)에 의해 상방으로 취출되는 청정화된 공기는 출구(18)를 통해 하우징(2)의 외부로 방출되는 동시에, 통기 구멍(65)을 통해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로도 부여된다. 통기 구멍(65)으로부터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측으로 진입하는 청정화된 공기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정화 공기 취입구(63)로부터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로 들어가고, 투명 케이스(59) 내의 상부 좌우에 설치된 상단부 개구(66)로부터 투명 케이스(59)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투명 케이스(59)의 정면 내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고, 돔(56)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돔(56)의 주위를 따라서 후방으로 흐른다. 그때, 미스트 표류실(60)을 표류하고 있는 미스트를 후방으로 운반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 5, first, the vent holes 65 are formed above the central wall 11 with reference to FIG. Therefore, the purified air blown upward by the centrifugal fan 16 is discharged to the exterior of the housing 2 through the outlet 18, and is also provided to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apparatus 30 through the vent hole 65. do. The purified air which enters into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apparatus 30 side from the ventilation hole 65 enters the purification | cleaning air intake flow path 64 from the purification | cleaning air intake 63 as shown in FIG. 5, and the transparent case 59 It enters into the transparent case 59 from the upper end opening 66 provided in the upper left and right in (). And it flows downward along the front inner wall of the transparent case 59, and flows back along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dome 56 from the front lower side of the dome 56. As shown in FIG. At that time, the mist drifting in the mist drift chamber 60 is conveyed backward.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5)는 그 정면측이 크게 개방되어 창으로 되어 있고, 투명 케이스(59)의 정면이 전방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ver 35 has a large open front side and is a window, and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case 59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front.

도6은 도4의 절단선 VI-VI를 따르는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의 종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 및 상단부 개구(66)가 나타나도록,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절단선 VI-VI를 따른 부분 이외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along the cutting line VI-VI of FIG. 6, a cross section other than the portion along the cutting line VI-VI is shown for this portion so that the purge air blowing passage 64 and the upper end opening 66 are shown.

상술한 바와 같이,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를 통과하는 청정화된 공기는 상단부 개구(66)로부터 투명 케이스(59) 내의 전방을 하방으로 흐르고, 돔(56)의 하방 주위를 통해 후방으로 흐른다. 그리고, 돔(56)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58)를 통해 투명 케이스(59)의 배면에 형성된 미스트 출구(61)로부터 미스트 방출 통 로(62)로 흐르고, 방출 통로(62)의 상단부인 커버(35)에 형성되어 있는 방산구(6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방산된다. 그리고, 돔(56)의 하방 주위의 미스트 표류실을 통과할 때 그리고 개구(58)를 통과할 때에 이 부분에 표류하고 있거나, 또는 가득 차 있는 미스트를 운반하고, 청정화 공기는 전해수 미스트를 방산구(6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방산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air blowing passage 64 flows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pening 66 in the transparent case 59 and flows backward through the lower periphery of the dome 56. Then, through the opening 58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ome 56, it flows from the mist outlet 61 formed i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case 59 to the mist discharge passage 62, and the cover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62. Dissipates out of the apparatus from the dissipation opening 67 formed in the 35. Then, when passing through the mist drift chamber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dome 56 and passing through the opening 58, the mist is drifting or carrying a full mist,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s the electrolytic water mist. Dissipate out of the apparatus from (67).

이와 같이, 통기 구멍(65)(도1 참조), 청정화 공기 취입구(63), 청정화 공기 취입 유로(64), 투명 케이스(59)의 내부 공간, 미스트 표류실(60), 개구(58), 미스트 출구(61), 미스트 방출 통로(62) 및 방산구(67) 등의 구성 요소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미스트 표류실(60)을 표류하거나, 혹은 개구(58) 주변에 가득 찬 전해수 미스트를 청정화된 공기에 의해 양호하게 운반할 수 있고, 방산구(67)로부터 기기 밖으로 전해수 미스트를 방산시킬 수 있다. Thus, the ventilation hole 65 (refer FIG. 1), the purifying air intake 63, the purifying air inflow flow path 64, the internal space of the transparent case 59, the mist drift chamber 60, the opening 58 The bypass flow path which bypasses a part of air cleaned by components, such as the mist outlet 61, the mist discharge | emission path 62, and the discharging opening 67, is comprised. The mist drifting chamber 60 is allowed to drift by the bypass flow path, or the electrolytic water mist filled around the opening 58 can be satisfactorily transported by the purified air, and the electrolytic water can be transferred out of the device from the discharge port 67. Mist can be dissipated.

이때, 미스트를 방산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은 프리 필터(6) 및 메인 필터(7)를 통과시켜 청정화된 공기로 구성되어 있고, 청정화된 공기에 의해 미스트가 운반되어 방산되므로, 위생적이고, 또한 청결한 공기에 의해 전해수 미스트를 실내 등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ow of air for dissipating the mist is composed of air that is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6 and the main filter (7), the mist is carried and dissipated by the purified air, it is sanitary and clean The air can dissipate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nto the room or the like.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의 상부 좌측 근처 부분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7에는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의 종단면이 도시되는 동시에, 표시 및 조작 패널 영역(3)의 내부 상방에 배치된 LED(68)가 도시되어 있다. LED(68)가 발하는 광은 구획벽(69)에 형성된 구멍(70)을 거쳐서 전해 미스 트 발생 장치(30)의 투명 케이스(59)를 전방 상방으로부터 비춘다. LED(68)의 광은 투명 케이스(59)를 거쳐서 돔(56)에 닿고, 미스트로 가득 찬 돔(56) 및 돔(56)의 하방 주위의 미스트 표류실(60)을 표류하고 있는 미스트를 조명한다. 이에 의해, 돔(56)이 미스트 표류실(60)을 표류하는 미스트 중에 조명에 의해 선명하게 부상하여 청량감, 환상감 등의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7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near the upper left side of the air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and at the same time shows an LED 68 disposed above the display and operation panel region 3.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68 illuminates the transparent case 59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from the front upward through the hole 70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69. The light of the LED 68 reaches the dome 56 via the transparent case 59, and the mist which drifted the dome 56 filled with the mist and the mist drift chamber 60 around the dome 56 below. Illuminate. Thereby, the dome 56 floats vividly by illumination in the mist which drifted the mist drift chamber 60, and can give a visual effect, such as a refreshing feeling and an illusion, to a user.

이와 같이, LED(68)에 의해 돔(56) 등을 조명함으로써, 미스트의 발생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다 양호하게 연출할 수 있고, 상품 가치가 높은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us, by illuminating the dome 56 etc. with LED 68,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situation of mist can be produced visually better, and the air cleaner with high commodity value can be provided.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부호 2는 하우징, 3은 표시 및 조작 패널 영역, 4는 정면 패널, 5는 필터 배치 공간, 6은 프리 필터, 7은 메인 필터, 13은 모터, 16은 원심 팬이고, 이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에 바이패스 유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2)는, 바이패스 유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돔(56) 내에 가득 차게 되어 개구(58)로부터 돔(56) 주위의 미스트 표류실(60)로 표류해 나온 미스트는 하우징(2)의 상부 출구(18)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되는 청정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기는 부압에 의해, 청정화 공기에 끌려 청정화 공기와 함께 방산된다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8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housing, 3 denotes a display and operation panel region, 4 denotes a front panel, 5 denotes a filter arrangement space, 6 denotes a prefilter, 7 denotes a main filter, 13 denotes a motor, and 16 denotes a centrifugal fan. It is the same structure as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a bypass flow path is not provided in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or 30. In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2, although the bypass flow path is not provided, the mist which fills up in the dome 56 and drifts from the opening 58 to the mist drift chamber 60 around the dome 56 is housed. The structure which is attracted by the purifying air and dissipates with the purifying air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purifying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upper outlet 18 of (2) is adopted.

즉, 출구(18)로부터 상방으로 강하게 청정화 공기가 유출된다. 그 유로를 따른 하우징(2)에는 개구(74)가 형성되어 있고,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의 투명 케이스(59)에도 상기 개구(74)에 대응시켜 개구(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개구(74, 75)에 면하여 청정화 공기가 상방에 불어 올려지면, 개구(74, 75)로 연결된 우측(청정화 공기가 불어 올려지는 측)과 좌측[미스트 표류실(60)측] 사이에 기압차가 생기고, 화살표 A5, A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74, 75)를 통해 미스트 표류실(60) 내에 청정화 공기가 진입하고, 대신에 미스트 표류실(60) 내의 전해수 미스트가 흡인되어 밖으로 나온다.That is, the purified air flows strongly from the outlet 18 upwards. The opening 74 is formed in the housing 2 along the flow path, and the opening 75 is formed in the transparent case 59 of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74. Therefore, when the purifying air blows up toward the openings 74 and 75, the right side (the side on which the purifying air is blown up) connected to the openings 74 and 75 and the left side (mist drift chamber 60 side).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m, and as shown by arrows A5 and A6, clean air enters into the mist drift chamber 60 through the openings 74 and 75, and instead, electrolytic water mist in the mist drift chamber 60 is sucked out. Comes out.

이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를 설치하지 않고, 공기 청정기(2)로부터 방출되는 청정화된 공기 흐름이 생기는 부압을 이용함으로써, 전해 미스트 발생 장치(30)에서 발생된 미스트를 방산하도록 해도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mist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mist generating device 30 may be dissipated by us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purified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2 without providing the bypass flow path.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저수실의 전기 분해된 물로부터 전해수 미스트를 양호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생한 전해수 미스트는 청정화된 공기에 의해 실내로 방산된다. 즉, 공기 청정기로부터 방출되는 전해수 미스트를 포함하는 공기는 모두 청정화된 공기이다. 청정화되어 있지 않은 공기, 예를 들어 먼지나 담배의 연기 등을 포함한 공기에 의해 전해수 미스트가 방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결하고 위생적인 공기 청정기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electrolytic water mist can be satisfactorily generated from the electrolyzed water in the reservoir using an ultrasonic vibrator.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mist is dissipated into the room by the purified air. That is, the air including the electrolytic water mist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is all purified air. Electrolytic water mist is not dissipated by the air which is not clean | cleaned, for example, dust and the smoke of a cigarette. Therefore, it can be set as a clean and sanitary air purifier.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미스트를 효율 적으로 기기 밖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by forming a bypass flow passage for bypassing a part of the clean air, the mist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or can be efficiently dissipated out of the device.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로를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와 관련지음으로써, 유로를 통과하는 청정화 공기에 의해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발생한 전해수 미스트를 청정화 공기로 송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청정화된 공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by associating the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passes with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ed by using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can be fed into the purified air. This configura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air is fast.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발생한 전해수 미스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미스트 확인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발생한 전해수 미스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실제로 전해수 미스트가 방산되는 것을 시각을 통해 실감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since the mist confirmation means for visually confirm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mist is provided,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mist and can visually realize that the electrolyzed water mist is dissipated.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돔 및 돔을 둘러싸는 미스트 표류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생한 전해수 미스트는, 우선 돔 내에 저류되고, 돔 하방의 개구를 통해 미스트 표류실로 누설되어 표류한다. 그로 인해, 돔의 주위를 전해수 미스트가 약하게 표류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해수 미스트 발생의 상황을 사용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양호한 형태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돔에 의해 큰 미스트는 차단되고, 미세한 미스트가 돔 하방의 개구로부터 표류실로 표류하여 기기 밖으로 방출된다. 이것으로 미스트는 보다 빠르게까지 방산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since the dome and the mist drift chamber surrounding the dome are provided,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mist is first stored in the dome, leaks into the mist drift chamber through the opening below the dome, and drifts.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electrolyzed water mist is weakly drifting around the dome, and the user can be informed visually in a good form of the situ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mist occurrence. In addition, the large mist is blocked by the dome, and the fine mist drifts from the opening below the dome to the drift chamb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apparatus. This allows the mist to dissipate faster.

특히, 돔의 주위를 전해수 미스트가 표류하고 있으면, 외관도 깨끗하고, 전해수 미스트를 시각을 통해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f the electrolyzed water mist floats around the dome, the appearance is also clean, and it is possible to satisfactorily confirm the electrolyzed water mist through time.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돔 내에 전해수 미스트가 가득 차면, 그 전해 수 미스트에 의해 돔 내벽이 누설되어 투명화되므로, 돔 내의 전해수 미스트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s filled in the dome, the inner wall of the dome leaks and becomes transparent by the electrolytic water mist, so that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n the dome can be visually confirmed.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라이트에 의해 미스트 확인 수단이 조명되므로, 전해수 미스트가 더 확실하고 또한 라이트의 광에 의한 연출 효과를 받아 눈으로 확인 가능해진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since the mist confirming means is illuminated by the light, the electrolytic water mist can be confirmed more reliably and visually by receiving the directing effect of the light.

특히, 라이트가 돔을 비추는 것에 의해, 돔 주위를 표류하는 전해수 미스트와 더불어 신비로운 시각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illuminating the dome, the light can express a mysterious visual effect together with the electrolytic water mist drifting around the dome.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바이패스 유로를 흐르는 청정화된 공기는 미스트 표류실 및 돔 하방을 표류하는 전해수 미스트를 취입하면서 통과하므로, 전해수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기기 밖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since the pur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passes through the mist drift chamb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mist drifting below the dome, the electrolytic water mist can be efficiently dissipated out of the device.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기 청정화 수단(공기 청정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필터, 고전압 발생부 및 대전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광촉매 정화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음)이 상하 2단으로 구획되어 있고, 송풍 수단도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한 공기는 각각 따로따로 흐르도록 구획 부재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의 공기 청정화 수단으로 청정화된 공기와, 하단의 공기 청정화 수단으로 청정화된 공기를 개별로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claimed in claim 9, air purifying means (for example, as an air purifying means,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filter, a high voltage generating part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harged dust, a photocatalyst purifying device, etc.) can be exemplified. It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stages, and the blowing means is also arranged in two upper and lower stages. The ai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air purifying means is partitioned into partition members so as to flow separately. Therefore, the air cleaned by the upper air cleaning means and the air cleaned by the air cleaning means at the bottom can be used separately.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단의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해 청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전해수 미스트가 방산되므로, 하단의 송풍 수단의 동작에 상관없이 상단의 송풍 수단에 소정의 동작을 시킴으로써 전해수 미스트를 항상 원하는 상 태에서 방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since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s dissipated by using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at the upper end,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s always desir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upper air blowing means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lower air blowing means. It is possible to dissipate in the womb.

예를 들어, 상단의 송풍 수단의 풍력과, 하단의 송풍 수단의 풍력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상단의 풍량 < 하단의 풍량일 때에는 상단의 공기 흐름과 하단의 공기 흐름이 각각 따로따로 흐르도록 구획되어 있지 않으면, 전해수 미스트의 방산에 이용되는 풍량이 적어져 전해수 미스트가 방산되지 않는 경우도 고려된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wind power of the upper blower means and the wind power of the lower blower means, for example, when the upper air volume <the lower air volume, the upper air stream and the lower air stream respectively flow separately. If it is not partitioned, the amount of air used for dissipation of electrolytic water mist is small, and the case where electrolytic water mist is not dissipated is also considered.

청구항 9,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상단 및 하단을 통과하는 공기는 각각 구획 부재로 구획되어 따로따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단의 송풍 수단의 풍량에 의해 전해수 미스트의 방산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다. 즉, 항상 원하는 상태에서 전해수 미스트를 청정화된 상단을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방산시킬 수 있다. In the inventions of claims 9 and 1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flow into the partition members separately, respectively, and the dissipation st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mist is not changed by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blowing means. That is, the electrolytic water mist can be dissipated us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top in the desired state at all tim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가 공기 청정기 내에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청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전해수 미스트를 효율적이고 또한 양호하게 기기 밖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can be organically coupled in the air purifier to dissipate the electrolyzed water mist efficiently and satisfactorily out of the device by using the purified air.

또한,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해수 미스트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해수 미스트의 발생을 시각적으로 실감하고, 시각을 통해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상품 가치가 높은 공기 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ed by the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ing apparatus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provide a high-value air purifier that can visually realize the gen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mist, and can confirm the function through the visual.

Claims (10)

통과하는 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화 수단과, Ai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air passing through it, 공기가 입구로부터 들어가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후 출구로부터 나오도록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송풍 수단과,Blowing means for conveying air so that air enters from the inlet and passes through the air cleaning means and exits the outlet;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를 갖고, Hav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or, 상기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는,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or,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실과, Reservoir for storing water, 저수실의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판과, An electrode plate for electrolyzing water in the storage chamber, 저수실의 물로부터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와, An ultrasonic vibrator for generating mist from the water in the reservoir, 발생한 미스트를 상기 송풍 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후의 청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방산시키기 위한 미스트 방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nd mist dissipating means for dissipating the generated mist by using the purifie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generated mist to the blow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하고, 발생한 미스트 내를 통해 방산구로 이송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air purifier of claim 1, wherein the mist dissipating means includes a bypass flow passage which bypasses a part of the purified air conveyed by the blowing means and transfers it to the dispersing port through the generated mis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청정화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기는 부압을 이용하여 발생한 미스트를 방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mist dissipating means discharges mist generated by using a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flow of said purified air conveyed by said blowing mean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는 발생한 미스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미스트 확인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lectrolytic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has a mist checking means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generated mis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확인 수단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ist checking means, 대략 반구형으로 상방으로 팽창되어 발생한 미스트가 내부에 가득 차는 돔과, A dome in which the mist generated by inflating upwards in a hemispherical shape is filled inside, 돔의 하방에 형성되어 돔 내의 미스트를 주위로 누설시키기 위한 개구와, An opening formed below the dome for leaking mist in the dome to the surroundings; 적어도 정면측은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돔의 주위를 둘러싸고, 돔으로부터 누설되어 오는 미스트를 표류시키기 위한 미스트 표류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t least the front side comprises a mist drift chamber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member,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dome, and drifts the mist which leaks from the do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내부가 물로 누설되면 투명화되는 반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The air purifier of claim 5, wherein the dome is formed of a translucent member that becomes transparent when the inside is leaked into wa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확인 수단을 조명하기 위한 라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light is provided for illuminating the mist confirming mea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ypass flow path,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가 미스트 표류실의 상방으로부터 정면 내측을 따라서 하방으로 흐르도록 취입되는 취입 유로와,A blowing passage in which a part of the cleaned air flow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ist drift chamber along the front inner side; 취입된 청정화 공기가 미스트 표류실의 하방으로부터 적어도 돔 주위를 통해 상기 방산구로 흐르는 방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nd a discharge passage in which blown cleansing air flow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ist drift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t least around the dom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은 상하 2단으로 구획되어 있고, The said air cleaning means is divided into two stages of upper and lower sides, 그것에 대응시켜 상기 송풍 수단도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Corresponding to that, the blowing means is also arranged in two stages above and below, 상하로 구획된 상기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각각 상단의 송풍 수단 및 하단의 송풍 수단으로 따로따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divided up and down is separately transferred to the upper blowing means and the lower blowing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2단으로 구획된 것 중 상방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화 수단을 통과하여 청정화된 공기가 상기 미스트 방산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The air purifier of claim 9, wherein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ying means located above the one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stages is used as the mist dissipating means.
KR1020060071097A 2005-07-29 2006-07-28 Air cleaner KR1007349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2098A JP2007037589A (en) 2005-07-29 2005-07-29 Air cleaner
JPJP-P-2005-00222098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42A true KR20070015042A (en) 2007-02-01
KR100734987B1 KR100734987B1 (en) 2007-07-06

Family

ID=3767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097A KR100734987B1 (en) 2005-07-29 2006-07-28 Air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037589A (en)
KR (1) KR100734987B1 (en)
CN (1) CN100496617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7897A (en) * 2021-10-25 2022-02-08 深圳市信浩智能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of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049A (en) * 2007-08-30 2009-03-19 Sanyo Electric Co Ltd Air purifier
JP2009168328A (en) * 2008-01-16 2009-07-30 Sanyo Electric Co Ltd Spraying device
CN101695580B (en) * 2009-10-21 2012-09-19 佛山市顺德区阿波罗环保器材有限公司 Generation device of nanometer charged water particles
JP2012029803A (en) * 2010-07-29 2012-02-16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2012029802A (en) * 2010-07-29 2012-02-16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5824651B2 (en) * 2010-09-30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
CN103900155B (en) * 2012-12-26 2017-06-16 广州市拓丰电器有限公司 Water ion air purifier
CN104548168B (en) * 2013-10-22 2018-11-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Electrolysis steriliz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N104566648B (en) * 2014-12-26 2017-07-14 开平精锐电子有限公司 A kind of air cleaning unit
CN105032088A (en) * 2015-05-18 2015-11-11 凯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Urban PM2.5 treatment process, urban PM2.5 treatment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6288003A (en) * 2016-08-02 2017-01-04 王彦宸 Air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method
JP6545865B2 (en) * 2018-06-19 2019-07-17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ist generator
JP6713677B1 (en) * 2020-03-13 2020-06-24 株式会社空間除菌 Steriliz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853B2 (en) * 1990-02-28 1999-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humidifier
JPH0448946A (en) * 1990-06-18 1992-02-18 Toshiba Corp Air cleaner fitted with humidifying function
JPH08224433A (en) * 1995-02-20 1996-09-03 Yoshiyuki Sawada Deodorizing device
JP2000300649A (en) * 1999-04-22 2000-10-31 Vta Kk Method and device for pasteurizing/deodorizing the interior of room with aqueous solution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JP2001153466A (en) * 1999-11-30 2001-06-08 Rinnai Corp Hot air heating equipment with air cleaner
JP2001324181A (en) * 2000-05-18 2001-11-22 Sanyo Electric Co Ltd Air cleaner
JP4848581B2 (en) * 2000-09-26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eodorization, sterilization, sterilization, and mold prevention equipment
JP2002143282A (en) * 2000-11-10 2002-05-21 Duskin Co Ltd Thin case installation type air cleaner
JP5149473B2 (en) * 2001-09-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eodorization device
JP2003169842A (en) * 2001-12-04 2003-06-17 Sony Corp Sterilizing method and sterilizing apparatus by aqueous hypochlorous acid solution
KR200269702Y1 (en) * 2001-12-31 2002-03-22 이정호 a humidifier combination air cleaner for car
JP3837335B2 (en) * 2002-01-23 2006-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JP2003339843A (en) * 2002-05-24 2003-12-02 Nagata:Kk Odor eliminator
KR20040098973A (en) * 2003-05-16 2004-11-26 안정오 Humidifier using gold or silver electro-analysised water
JP2005013551A (en) * 2003-06-27 2005-01-20 Kanki:Kk Deodorizing device
JP2005144096A (en) * 2003-11-14 2005-06-09 Narusa Tokyo:Kk Sprayer with illumination
JP4471742B2 (en) * 2004-03-26 2010-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nd electrolyzed water spray device
KR100599588B1 (en) * 2004-08-31 2006-07-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ion water pur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7897A (en) * 2021-10-25 2022-02-08 深圳市信浩智能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of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987B1 (en) 2007-07-06
JP2007037589A (en) 2007-02-15
CN100496617C (en) 2009-06-10
CN1903381A (en)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987B1 (en) Air cleaner
KR101826236B1 (en)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100679709B1 (en) Air conditioner and electrolyzed water spray device
KR101286878B1 (en) Ion generation device
CA2595662C (en) Air filtering apparatus
JP2009058160A (en)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ing unit for air cleaner
JP3214558U (en) air purifier
JP2011145031A (en) Humidifier
CN110168287A (en) Ultrasonic humidifier
JP6102700B2 (en) Air conditioner
JP2020062334A (en) Air cleaner
JP2009216320A (en) Humidifier, air cleaner, and electrolytic water unit
JP2009219531A (en) Air purifier
KR10196851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7453646B2 (en) deodorizing device
KR10198803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2005021777A (en) Water-flow type air cleaner
KR200453494Y1 (en) Sterilizing device with wall outlet direct-connecting type plug
KR20160072486A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shoe closet
JP2011217889A (en) Air cleaner and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or
KR20220057358A (en) Air purifier
KR20080085372A (en) Air revitalizer
JP2009056049A (en) Air purifier
JP4429093B2 (en) Air conditioner
KR200307306Y1 (en) Air cleaner having a detachable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