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850A -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850A
KR20070014850A KR1020050069825A KR20050069825A KR20070014850A KR 20070014850 A KR20070014850 A KR 20070014850A KR 1020050069825 A KR1020050069825 A KR 1020050069825A KR 20050069825 A KR20050069825 A KR 20050069825A KR 20070014850 A KR20070014850 A KR 2007001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mobile phone
unit
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69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4850A/ko
Publication of KR2007001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과 직렬통신방식에 따라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와,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휴대폰 기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응용프로그램 모듈부와 송수신하는 표준적인 제어신호와 상기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송수신하는 기기 종속형 제어신호를 상호간에 변환하여 중계하는 표준 통신모듈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위한 표준 통신모듈과 기기종속 통신모듈이 독립적으로 구현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자는 통신장치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휴대폰, 직렬통신, 통신장치, 호출함수

Description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Terminal for communicating to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0 : 컴퓨터
210 : 응용프로그램 모듈부 220 : 표준 통신모듈부
231,232 : 기기 종속 통신모듈부 235 : 물리적 인터페이스부
240 : 테스트 모듈부 250 : 통신 설정부
본 발명은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위한 표준 통신모듈과 기기종속 통신모듈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프로그램 개발자로 하여금 통신장치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휴대폰은 통화나 문자 등을 교환하기 위한 통신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기전자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은 사진,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과, 뮤직비디오, MP3 등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능과, 위성파 및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방송 기능 등이 탑재된 복합 단말기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기능 향상 속도는 휴대폰 사용자가 확대됨에 따라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이 점차 복합 단말기로 변모함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저장물을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는 통신장치, 예를들면,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폰 제작업체는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PC 기반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인터넷이나 CD와 같은 저장매체을 통해 배포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이 새로 출시되거나 휴대폰에 탑재된 내부 통신모듈이 갱신될 경우 PC 기반 응용 프로그램 역시 새롭게 개발된 혹은 갱신된 내부 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변경 내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점차 휴대폰의 기능 향상 속도가 빨라지는 추세에서 휴대폰의 통신모듈이 변경될 때마다 PC 기반 응용 프로그램을 새로이 변경한다는 것은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 차원상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에서 통신장치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장치는, 휴대폰과 직렬통신방식에 따라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와,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휴대폰 기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응용프로그램 모듈부와 송수신하는 표준적인 제어신호와 상기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송수신하는 기기 종속형 제어신호를 상호간에 변환하여 중계하는 표준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른 통신장치는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위한 표준 통신모듈과 기기종속 통신모듈이 독립적으로 구현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자는 통신장치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기기종속 통신모듈부가 통신규약이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에 대해 대응되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통신장치가 기기 선택 데이터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과 통신하도록 표준 통신모듈부로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른 통신장치 사용자는 통신규약이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신장치가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휴대폰의 통신규약을 테스트하여 기기 종류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기기 선택 데이터를 상기 통신 설정부로 제공하는 테스트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연결된 휴대폰의 통신규약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에 맞는 기기종속 통신모듈을 설정한 후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100)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가 탑재된 컴퓨터(200)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예컨대 USB_OTG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에도 탑재될 수 있다.
휴대폰(100)은 크게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통되는 구성인 폰 제어부 및 그 부속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속회로들은 조작부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는 수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갖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수 십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이 동통신 단말기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운영체제(OS) 및 필수 어플리케이션들과, 해당 단말 통신규약에 따라 프로그래밍된 내부 직렬통신모듈 등이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단말 통신규약은 모든 휴대폰 간 표준 통신규약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은 RS-232 인터페이스 또는 유, 무선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부(110)와 저장부에 저장된 내부 직렬통신모듈을 호출하고, 호출된 내부 직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직렬 통신부(160)를 통해 연결되는 컴퓨터(20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직렬 통신 모듈부(120)를 포함한다.
컴퓨터(200)는 통상적으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출력장치로서 예를들면, 액정표시장치로 구현되는 표시부와 인터넷 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LAN카드 또는 모뎀으로 구현되는 망 통신부와 RS-232 인터페이스 또는 유, 무선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직렬통신부와 저장부 및 바람직하게는 망 통신 및 직렬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상대적으로 대용량을 갖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컴퓨터 동작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운영체제(OS : Operation System) 및 필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저장부는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위한 표준 통신프로그램 코드 데이터와, 적어도 1 이상의 기기종속형 통신프로그램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하, 컴퓨터(200)에 탑재되어 휴대폰(100)과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장치는 응용프로그램 모듈부와 송수신하는 표준적인 제어신호와 기기종속 통신모듈부(232)와 송수신하는 기기 종속형 제어신호를 상호간에 변환하여 중계하는 표준 통신모듈부(220)와,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휴대폰 기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부(232)와, 휴대폰과 직렬통신방식에 따라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통신모듈부(220)는 휴대폰의 통신규약과 통신모듈 호출규약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가 새로 출시되거나 단말기에 탑재된 내부 통신모듈이 갱신될 경우 PC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자는 표준 통신규약에 기술된 호출규약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기기종속 통신모듈부(232)는 통신규약에 따른 실제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휴대폰 모델, 버전에 따라 새로이 프로그래밍된 휴대폰 내부 직렬통신모듈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된 모듈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기기종속 통신모듈부(232)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언어에 독립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기기종속 통신모듈부는 통신규약이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에 대해 대응되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통신장치는 기기 선택 데이터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과 통신하도록 표준 통신모듈부로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설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통신장치 사용자는 통신규약이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통신장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연결된 휴대폰의 통신규약을 테스트하여 기기 종류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기기 선택 데이터를 상기 통신 설정부로 제공하는 테스트 모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연결된 휴대폰의 통신규약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에 맞는 기기종속 통신모듈을 설정한 후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휴대폰과의 직렬통신을 위한 표준 통신모듈과 기기종속 통신모듈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프로그램 개발자로 하여금 통신장치 기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휴대폰과 직렬통신방식에 따라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폰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휴대폰 기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응용프로그램 모듈부와 송수신하는 표준적인 제어신호와, 상기 기기종속 통신모듈부와 송수신하는 기기 종속형 제어신호를 상호간에 변환하여 중계하는 표준 통신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종속 통신모듈부가 통신규약이 다른 여러 종류의 휴대폰에 대해 대응되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통신장치가 :
    기기 선택 데이터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기기종속 통신모듈과 통신하도록 상기 표준 통신모듈부로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
    상기 물리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휴대폰의 통신규약을 테스트하여 기기 종류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기기 선택 데이터를 상기 통신 설정부로 제공하는 테스트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50069825A 2005-07-29 2005-07-29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KR20070014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5A KR20070014850A (ko) 2005-07-29 2005-07-29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5A KR20070014850A (ko) 2005-07-29 2005-07-29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50A true KR20070014850A (ko) 2007-02-01

Family

ID=3808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825A KR20070014850A (ko) 2005-07-29 2005-07-29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7991A1 (en) Partitioning Compression-Based Firmware Over the Air
CN106997302A (zh) 固件升级方法、装置及音频播放设备
JP6934076B2 (ja) スマートサービス方法、装置及び機器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9508168B (zh) 多路音量调节方法及相关装置
KR101132019B1 (ko) 스케일러블 이동 단말기 플랫폼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2579038A (zh) 一种内置录音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6331055A (zh) 标识符生成装置及方法
CN101945322A (zh) 使用数据卡与无线网络通信的方法、系统及数据卡
CN111371695B (zh) 服务限流方法及装置
JPH11175091A (ja) 電話回線用音声認識装置
KR20040105032A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002492A (zh) 一种移动终端的通信测试方法及装置
EP2012230A1 (en) Partitioning compression-based firmware over the air
CN1992943B (zh) 便携式终端的高速数据传送和多任务处理方法
WO2022211389A1 (ko) 오디오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CN106454299A (zh) 一种终端之间的屏幕投影方法及装置、终端
KR20070094167A (ko)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이용한 멀티 운영 체제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70014850A (ko) 휴대폰과 직렬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
US2009024084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4007969A (zh) 一种开机音播放方法及装置
CN113918246A (zh) 功能控制方法、功能控制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03051761A (zh) 通话底座以及移动终端与通话底座共享通话数据的方法
CN107391733B (zh) 音乐文件快速分组方法、音乐文件快速分组装置及终端
CN106488044B (zh) 一种移动声卡的手机、系统及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