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596A -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596A
KR20070013596A KR1020050068020A KR20050068020A KR20070013596A KR 20070013596 A KR20070013596 A KR 20070013596A KR 1020050068020 A KR1020050068020 A KR 1020050068020A KR 20050068020 A KR20050068020 A KR 20050068020A KR 20070013596 A KR20070013596 A KR 20070013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upling
ban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민
Original Assignee
이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민 filed Critical 이규민
Priority to KR102005006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3596A/en
Publication of KR2007001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5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selectively change each part of th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user's taste and to easily check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drawing out the terminal. The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hard supporting plate(10) having an elastic clip plate(12) at its back and a support(14) formed to be united with the clip plate(12) a pocket cover(20) combined to the supporting plate(10) by a combining unit(22) in the shape of soft band and a soft separation preventing band(3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ing plate(10) by a fixing unit(3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pocket cover(20) by an attaching unit(34).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Removable typ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도 3a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3a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도 3b는 도 2에 따른 결합부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3b shows a schematic main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upling according to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eas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1 case

10 : 지지판10: support plate

12 : 클립편 14 : 받침대   12: clip part 14: pedestal

20 : 포켓커버20: pocket cover

22 : 결합부 22a : 결합홈   22: coupling portion 22a: coupling groove

22b : 결합고리 22c : 고정쇄기   22b: binding ring 22c: fixed chain

30 : 이탈방지밴드30: departure prevention band

32 : 고정부 32a : 고정홈   32: fixing part 32a: fixing groove

32b : 고정턱 34 : 부착구   32b: fixed jaw 34: attachment hole

35 : 투시부   35: see-through part

40 : 결합편40: joining piece

42 : 결합공 44 : 삽입링   42: coupling hole 44: insertion ring

50 : 밴드수단50: band means

51 : 장착공 52 : 장착돌기   51: mounting hole 52: mounting projection

53 : 장착고리 54 : 연결링부   53: mounting ring 54: connecting ring

55 : 장착구 56 : 장착홀   55: mounting hole 56: mounting hole

57 : 결합링부 58 : 연결구   57: coupling ring 58: connector

B : 밴드 W : 와이어B: band W: wir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를 구성하는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그 손상된 부분만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nd more particularly, a part in which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commodated can be selectively replac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used by simply replacing the damaged part even if it is damage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그 형태는 소비자의 요구와 기술 발전에 따라 초기의 바형(bar type)에서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및 슬라이드형(slide type)으로 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kind of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means developed to allow a user to freely communicate wireless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early bar type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mand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 situation is evolving into a flip type, a folder type and a slide type.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순한 통화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기 위하여 대형 LCD창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는 상기한 여러 형태 중에서도 대형 LCD창의 탑재가 가능하고 소형이면서 경량화 조건을 충족하는 폴더형이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광받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arge LCD window is required to enjoy not only a simple call function but also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which can be equipped with a large LCD window and meets the requirements for compactness and light weight.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ne of the reasons for the spotlight.

이와같이 여러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손상됨을 최소화하고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시된 종래의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포켓 형태로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cases are used in the process of using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order to minimize da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o carry them easily.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다시말해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포켓 형태의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본체와, 그 본체의 상부에 여닫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클립으로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case of a pocket-type case that can accommodate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the cover integrally formed to open and clos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rear of the main body case It consists of a clip that is coupled to.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케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덮개에 의해 본체에서 단순히 수납할 수 있는 구조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각기 다른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음은 물론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될 경우에는 그 케이스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 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erely a structur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be simply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us cannot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different tastes of the user. In case of damage, the entire case was not used and had to be disposed of.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를 구성하는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그 손상된 부분만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selectively replace each par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f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s well as to configure the case If any part is damaged,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출하지 않고도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to withdra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켓커버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ocket cover from being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carry it in a desired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에 탄성의 클립편이, 밑면에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경질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연질의 밴드형태로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포켓커버와; 일단이 상기 지지판으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켓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부착구에 의해 부착되는 연질의 이탈방지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for recei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se comprising: a rigid support plate having an elastic clip piece at a rear surface thereof and a pedestal integrally formed at a bottom surface thereof; A pocket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by a coupling part in the form of a soft band; One end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with the support plate,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oft departure prevention band attached by attachment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cket cover, respectively.

상기 결합부는 그 지지판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포켓커버의 끝단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a pair of coupling rings formed by the end of the pocket cov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고정부는 그 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이탈방지밴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 fixing jaw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상기 이탈방지밴드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투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e-through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한쌍의 결합고리 사이에는 그에 삽입되는 각각의 고정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ring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pective fixed chain group inserted therein.

상기 지지판의 상부 양측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에는 결합편에 형성된 삽입링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ming a coupling hole i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he coupl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ring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and coupled.

상기 클립편에는 밴드수단이 결합되되, 그 밴드수단은 상기 클립편에 형성되는 장착공과, 상기 클립편과 지지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면에 상기 장착공과 대응되는 장착턱이, 일단에 장착고리가, 타단에는 밴드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링부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일단에 상기 장착고리에서 착탈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밴드의 타단이 연결되는 결합링부가 형성된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nd means is coupled to the clip piece, the band means is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clip piece, the mounting jaw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on one surface to be inserted between the clip piece and the support piece, the mounting ring at one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equipped with a mounting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b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is formed, and a mounting hole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ring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coupling end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a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 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따른 결합부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in a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1, FIG. 3A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 view of FIG. 2, and FIG. 3B is shown in FIG. 2.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손상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납되는 케이스(1)에 있어서, In the case (1) accommodated so that the damage and carry-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freely wireless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s shown,

상기 케이스(1)는 후면에 사용자의 벨트 등에 끼워 휴대할 수 있는 탄성의 클립편(12)이 형성되고, 밑면에 수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밑면이 지지되는 받침대(14)가 일체로 형성된 경질의 통상적인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지지판(10)과; The case 1 is formed of a resilient clip piece 12 which can be carried on a user's belt or the lik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is formed of a rigid support body 14 which is integrally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mmodated on the bottom thereof. A support plate 10 formed of a conventional synthetic resin;

상기 지지판(10)에 실리콘 등과 같이 연질의 엑스(X)자의 밴드형태로 결합부(22)에 의해 수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측면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포켓커버(20)와; A pocket cover 2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0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mmodated by the coupling unit 22 in the form of a band of soft X, such as silicon;

일단이 상기 지지판(10)으로 고정부(32)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켓커버(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지의 스냅 화스너(똑딱단추)나 벨크로 테이프(찍찍이) 등이 각각 형성된 부착구(34)에 의해 부착되어 수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감싸는 연질의 이탈방지밴드(30)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0 by the fixing part 32,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known snap fastener (tick button), Velcro tape (sticker), or the like, respective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cket cover 20.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d and accommodated by the sphere 34 is shown to be composed of a soft escape prevention band 30 that wraps so as not to be separated.

상기 결합부(22)는 그 지지판의 양측 상하부에 삽입부와 걸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결합홈(22a)과, 상기 결합홈(22a)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포켓커버(20)의 끝단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고리(22b)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으로 그 결합고리가 착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ortion 22 is a coupling groove 22a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are stepp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end of the pocket cover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2a.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coupling rings 22b are formed in the form of hooks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rings can be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s.

상기 고정부(32)는 그 지지판(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2a)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이탈방지밴드(30)의 일단에 착탈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32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ortion 32 is a fixing groove (32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 and fixing jaw (32b) formed to be detached to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30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상기 이탈방지밴드(3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투시부(35)를 형성함에 따라 수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을 그 이탈방지밴드로 감싸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30 is formed in the see-through part 3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window of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display window is coupled to surround the departure prevention band. Do.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먼저 지지판에 포켓커버를 결합부에 의해 결합시키고, 즉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그 포켓커버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cket cover is first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by a coupling part, that is, the coupling ring formed at the end of the pocket cov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그런 다음 상기 지지판에 이탈방지밴드를 고정부에 의해 결합시키고, 즉 그 지지판의 고정홈에 일탈방지밴드에 형성된 고정턱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판과 포켓커버 사이로 수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삽입시킨 후 이탈방지밴드를 부착부에 의해 그 포켓커버에 부착시킨다. Then, the anti-separation b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by the fixing unit,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pocket cov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jaw formed in the anti-deviation band to the fixing groove of the support plate. After insertion, the release prevention band is attached to the pocket cover by the attachment portion.

이렇게, 수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어 수납되어지면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클립편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벨트 등에 삽입시킴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uch,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stored is inserted and sto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asily carried by inserting it into the user's belt or the like using the clip piec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스는 상기 지지판과 포켓커버 및 이탈방지밴드를 결합부와 고정부에 의해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태나 다른 색상 등으로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고, 사용 중에 어느 한 부분, 즉 지지판이나 포켓커버 또는 이탈방지밴드 중에 하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더라도 그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 또는 파손된 부분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pocket cov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by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n the desired shape or other colors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elected and replaced, and if any part of the device, ie, the support plate, the pocket cover or the release prevention band, is damaged or broken,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whole case but simply replace the damaged or broken part. Will have the conditions availabl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포켓커버가 사용중에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order that the pocket cover coupled by the engaging portion is not easily releas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during use,

상기 결합부(22)인 지지판의 결합홈(22a)으로 삽입되는 상기 한쌍의 결합고리(22b) 사이에는 그에 삽입되는 각각의 고정쇄기(2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rings 22b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2a of the support plate, which is the coupling portion 22, it further shows that each of the fixing chains 22c inserted therein.

그에 따라 상기 한쌍의 결합고리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쇄기에 의해 결합홈으로 삽입된 결합고리를 벌려 주므로서, 상기 포켓커버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이탈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by opening the coupling r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by a fixing wedg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rings, the pocket cover has a condition that can be minimiz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eas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한 케이스의 지지판에 형성된 클립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벨트에만 휴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on the neck using a wire or the like, not to be carried only on the user's belt using the clip piec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of the case,

상기 지지판(10)의 상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에는 결합편(40)에 형성되어 와이어(W)가 삽입되는 삽입링(4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The coupling plate 4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40 to show that the insertion ring 44 into which the wire W is inserted is inserted and coupled. .

그에 따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클립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벨트에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기 삽입링으로 와이어 등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목으로도 휴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Accordingly, not only the user can carry it on the belt by using the clip piec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but also have a condition that the user can carry it on the neck of the user by inserting a wire or the like into the insertion ring as necessary.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한 케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벨트나 목으로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팔의 손목이나 팔뚝 등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s shown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with the user's belt or neck by using the case as well as in some cases to easily carry on the wrist or forearm of the arm,

상기 클립편(12)에는 밴드수단(50)이 결합되되, 그 밴드수단(50)은 상기 클립편(12)에 형성되는 장착공(51)과, 상기 클립편(12)과 지지판(10)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면에 상기 장착공과 대응되는 장착턱(52)이 형성되고, 일단에 장착고리(53)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통상의 탄성 밴드(B)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링부(54)가 형성되는 장착구(55)와, 일단에 상기 장착고리에서 착탈되는 장착홀(56)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밴드(B)의 타단이 연결되는 결합링부(57)가 형성된 연결구(5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Band means 50 is coupled to the clip piece 12, the band means 50 is a mounting hole 51 formed in the clip piece 12, the clip piece 12 and the support plate 10 Mounting jaw 52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therebetween, and a mounting ring 53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ing 54 to which one end of the ordinary elastic band B is connected.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55 and a mounting hole 56 which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ring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ring 58 having a coupling ring 57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 at the other end thereof. It shows what is configured.

그에 따라 상기 장착구의 연결링부와 연결구의 결합링부에 필요로 하는 밴드의 각 단부를 휴대하고자 하는 길이에 맞도록 조절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장착구를 클립편과 지지판 사이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에 형성된 장착턱을 클립편의 장착공으로 인입되도록 장착한다. Accordingly, each end of the band required by the coupling ring portion of the mounting tool and the coupling ring of the connector is adjusted to fit the length to be carried, and the mounting tool is inserted between the clip piece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mounting formed thereon. The jaws are mounted so that they enter the mounting holes of the clip pieces.

그런 다음 상기 장착구의 장착고리를 연결구의 장착홀에 삽입하므로서,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팔의 손목이나 팔뚝 등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Then, by inserting the mounting ring of the mounting hole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connector, it will have a condition that can be easily carried to the wrist or forearm of the user's arm as needed.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즉 벨트나 목 또는 팔의 원하는 위치의 어디에도 원활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Thus, it can be carried in a desired shape by the user, that is, can be carried smoothly anywhere in the desired position of the belt, neck or ar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납되는 케이스의 포켓커버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를 구성하는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케이스를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특성있게 꾸며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의 손상시에도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손상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replace the pocket cover of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of course, so that even if any part of the case is damaged, 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In addition, the case can be decora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the user, as well as having the effect of easily replacing only the damaged part, not replacing the whole when the case is damag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출하지 않고도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을 이탈방지밴드에 형성된 투시부를 통하여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to withdra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e-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또, 포켓커버의 결합부인 결합고리를 고정쇄기를 통하여 고정하므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도 갖는다. In addition, by fixing the engaging ring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cket cover through a fixing chai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is not easily separated even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또, 사용자가 휴대시 원하는 부분의 벨트나 목 또는 팔의 손목이나 팔뚝 등에도 원활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carried smoothly to the user's desired belt or neck or wrist or forearm of the arm.

Claims (7)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In a case for stor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케이스(1)는 후면에 탄성의 클립편(12)이, 밑면에 받침대(14)가 일체로 형성된 경질의 지지판(10)과; The case 1 includes a rigid support plate 10 having an elastic clip piece 12 at a rear side thereof and a pedestal 14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지지판에 연질의 밴드형태로 결합부(22)에 의해 결합되는 포켓커버(20)와; A pocket cover 2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by a coupling part 22 in the form of a soft band; 일단이 상기 지지판으로 고정부(32)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켓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부착구(34)에 의해 부착되는 연질의 이탈방지밴드(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One end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32 to the support plate,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oft departure prevention band 30 is attached by the attachment hole 34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cket cover, respectively Removabl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2)는 그 지지판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22a)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포켓커버의 끝단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고리(22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 The pair of coupling rings 22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by coupling grooves 22a form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ends of the pocket cov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Remov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2)는 그 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2a)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이탈방지밴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턱(3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32 is composed of a fixing groove (32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 fixing jaw (32b)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Remov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밴드(3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투시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 The detach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band (30) has a see-through section (3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결합고리(22b) 사이에는 그에 삽입되는 각각의 고정쇄기(2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 The remov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respective fixing chains (22c)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rings (22b).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 양측에는 결합공(42)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에는 결합편(40)에 형성된 삽입링(4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form a coupling hole 42, the insertion hole 44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is coupled to Remov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편(12)에는 밴드수단(50)이 결합되되, 그 밴드수단(50)은 상기 클립편에 형성되는 장착공(51)과, 상기 클립편과 지지편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면에 상기 장착공과 대응되는 장착턱(52)이, 일단에 장착고리(53)가, 타단에는 밴드(B)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링부(54)가 형성되는 장착구(55)와, 일단에 상기 장착고리에서 착탈되는 장착홀(56)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밴드(B)의 타단이 연결되는 결합링부(57)가 형성된 연결구(5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형 케이스.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nd means 50 is coupled to the clip piece 12, The band means 50 is a mounting hole 51 formed in the clip piece, Mounting jaw 52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on one surface to be inserted between the clip piece and the support piece, one end of the mounting ring 53,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5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nd (B) Consists of a mounting hole 55 is formed, and a connecting hole 58 formed with a mounting hole 56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ring at one end and a coupling ring 57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 at the other end. Removabl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KR1020050068020A 2005-07-26 2005-07-26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135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020A KR20070013596A (en) 2005-07-26 2005-07-26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020A KR20070013596A (en) 2005-07-26 2005-07-26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596A true KR20070013596A (en) 2007-01-31

Family

ID=3801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020A KR20070013596A (en) 2005-07-26 2005-07-26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35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344B2 (en) Case for a folding-type mobile phone
JP5580390B2 (en) Watch band or belt clasp
KR19990013076U (en) Detachable structure of holder for cordless phone
US8534933B2 (en) System for storing and releasing a camera for quick use
KR20060100126A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module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101752649B1 (en) accessory for mobile-phone case
KR20070013596A (en) A disassemble typ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42564Y1 (en) Buckle phone
CN215897983U (en) Ear support and earphone
KR101136281B1 (en)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78096Y1 (en) Mobile phone holder for attaching over the back of the hand
JP2002344590A (en) Wrist holder for cellular phone
US6603856B1 (en) Carrier for a radiotelephone
JP2002194610A (en) Portable telephone-carrying band
KR200369786Y1 (en) Connector of necklace
KR200252682Y1 (en) Handfree earphone
KR200274175Y1 (en) Wrist band for mobile terminal adhesion
KR200174877Y1 (en) Necklace device of mobile phone
KR200313526Y1 (en) Hand-Phone Tie for Preventing the loss of Hand-Phone
CN210809557U (en) Intelligent bracelet of watchband locking mechanism
KR200388163Y1 (en) Joint structure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KR200233030Y1 (en) Necklace hands free earphone
KR200388424Y1 (en) Neck strip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