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058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058A
KR20070012058A KR1020050066873A KR20050066873A KR20070012058A KR 20070012058 A KR20070012058 A KR 20070012058A KR 1020050066873 A KR1020050066873 A KR 1020050066873A KR 20050066873 A KR20050066873 A KR 20050066873A KR 20070012058 A KR20070012058 A KR 2007001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till image
channel
main channel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401B1 (ko
Inventor
장재성
박승건
최광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01B1/ko
Priority to PCT/KR2006/002781 priority patent/WO2007011136A1/en
Publication of KR2007001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이미지 생성부는 수신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여,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데이터와 결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는 상기 EPG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EPG 데이터의 전송 자원을 절약하면서, 미리 생성된 고정적인 영상이 아니라, 방송 채널에서 현재 송신되고 있는 캡춰된 영상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보다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안내를 제공한다.
DMB, EPG, STILL IMAGE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ELECTRONIC PROGRAM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ING CAPTURED STILL IMAGE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및 EPG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및 EPG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PG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수신된 EPG 데이터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데이터의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지 이미지들의 저장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EPG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프로그램 안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디오 복호화기를 사용하는 다채널 영상 수신기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도중 다음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도중 정지 이미지를 캡춰링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display)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서비스는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일자 및 다른 상세 정보 등을 온라인으로 제 공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혹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EP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EPG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즉 EPG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들 자체와 동일한 매체 혹은 다른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최근 소개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과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EPG 데이터는 소정 주기 동안 방송 채널들 각각에서 송신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EPG 데이터는 다음 한시간, 다음 몇시간, 하루, 한주 등 동안에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EPG 데이터는 각 채널별로 송출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및 간단한 특징 들을 시간대별로 나타낸다.
상기 EPG 데이터는 해당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방송 채널과 동일 대역(in-band)에서 전송되거나, 혹은 해당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방송 채널과는 다른 대역(out-band)에서 전송될 수 있다. 혹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과 함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다른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위해,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단말기는 EPG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 또는 파일시스템에 저장하며, 사용자는 EPG 데이터를 검색하여 시청을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통상 EPG 정보는 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제목이나 간략한 요약 정도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단순히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목만으로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이전에, 단순한 제목 이상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EPG 데이터에 각 프로그램의 축소된(down-sized) 정지 이미지 혹은 축소된 동영상과 같은 프리뷰 컨텐츠(preview contents)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EPG 데이터에 포함시키면, EPG 데이터의 용량이 매우 증대된다. 따라서 EPG 데이터가 방송 채널과 동일한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방송 채널의 전송 효율을 떨어뜨리며, 방송 채널과는 다른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전송 자원을 점유하였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를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캡춰된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들의 이미지들을 캡춰하여 전자 프로그램 안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과정과,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데이터와 결합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정지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데이터와 결합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캡춰된 정지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의 동영상을 구성하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의 프레임을 검출하여 이를 정지 이미지로서 저장한다. 상기 정지 이미지는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해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단말기는, 최초에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혹은 다른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EPG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센터는 제공 가능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EPG 데이터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매체 혹은 다른 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및 EPG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송신국들(110, 120, 130)은 각자 방송 및 EPG 데이터(140)를 동일한 채널 혹은 서로 다른 채널들을 통해 휴대 단말기(150)로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통신 기능, 예를 들어 CDMA 혹은 OFDM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방송 기능을 구비하는 셀룰러 휴대폰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와는 별도로 EPG 데이터를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및 EPG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셀룰러 통신 단말기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이전에 먼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EPG 데이터를 신청한다. 이동통신 사업자(230)는 방송 센터(210)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EPG 데이터를 생성하여 셀룰러 기지국(240)을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220)로 전송한다. 상기 EPG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들의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일자 및 다른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EPG가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들을 미리 설정하면, 이동통신 사업자(230)는 상기 설정한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EPG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기지국(240)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220)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20)는 상기 EPG 데이터에 따른 EPG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에 관련된 수신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면 휴대 단말기(220)는 방송 센터(210)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 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EP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시작한 이후 휴대 단말기(220)는 상기 방송 센터(210)로부터 직접 EPG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PG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PG 데이터(310)는 방송채널 정보(320)와 텍스트 데이터(330)로 구성된다. 상기 방송채널 정보(320)는 방송채널 식별자와 방송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등의 물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채널 1번(CH1, 예를 들어 KBS)의 방송 프로그램들 01, 02, 03(이 숫자들은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를 의미한다.)과 채널 2번(CH2, 예를 들어 MBC)의 방송 프로그램 12 및 채널 3번(CH3, 예를 들어 EBS)의 방송 프로그램 25에 대한 방송채널 정보가 도시되었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330)는 참조번호 340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시간과 프로그램 제목 및 내용 요약 등을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330)는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들 01, 02, 03, 12, 25에 대한 상세 성보를 각각 나타내는 텍스트들 01, 02, 03, 12, 25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400)는 방송 수신부(420)와 셀룰러 통신부(430)를 구비한다. 세룰러 통신부(430)는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통상의 통화 관련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부(410)로 제공한다. 상기 셀룰러 통신부(430) 는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 혹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디지털 방송에 대한 EPG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10)로 제공한다. 다른 경우 상기 방송 수신부(420)는 상기 EPG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410)로 제공한다. 메모리부(470)는 상기 EPG 데이터를 저장하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450)에 표시된다.
키 입력부(440)는 상기 표시부(450)에 표시된 상기 EPG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키 입력을 받아서 제어부(410)로 제공한다. 제어부(410)는 상기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420)가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설정한다.
그러면 방송 수신부(420)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10)로 제공한다. 상기 방송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며 부수적으로 텍스트 데이터와 EPG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는 표시부(450)와 음향 입출력부(460)로 각각 제공된다. 상기 방송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된 EPG 데이터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41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470)에 저장된다.
도 5는 방송 수신부(420) 혹은 셀룰러 통신부(430)에 의해 수신된 EPG 데이터의 표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10은 휴대 단말기(400)의 통신 상태 및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상태표시 영역이며, 참조번호 520은 프로그램 카테고리, 예를 들어 영화, 드라마, 코미디, 스포츠 등을 나타내 고, 참조번호 530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시간과 제목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커서(540)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위치시키고 미리 정해지는 선택 키를 눌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그러면 방송 수신부(420)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의 영상과 음향이 단말기의 표시부(450)와 음향 입출력부(46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비디오 복호화기로 구성된 영상 및 음향 처리부(48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및 음향 처리부(480)는 상기 방송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450)에 표시할 수 있도록 복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및 음향 처리부(48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단일 프레임을 캡춰하여, 정지 이미지로 생성한다. 상기 정지 이미지는 메모리부(470)에 EPG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EPG 데이터와 함께 표시부(450)에 표시된다.
후술될 것이지만, EPG 데이터와 정지 이미지는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EPG 데이터와 정지 이미지는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조작(operation)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읽어내어 화면상에 표시된다. EPG 표시가 선택되지 않았을 시,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을 통해 현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도중 사용자에 의해 EPG 표시가 요구되면 단말기는 메모리로부터 EPG 데이터와 정지 이미지를 읽어내어 출력한다. 이때 상기 EPG 데이터와 정지 이미지는 화면 전체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표시되거나 혹은 상기 방송 프로그 램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인 작은 영역에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데이터의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방송 채널 수신기(610)와 비디오 복호화기(620)와 표시부(630)와 정지 이미지 검출부(640)와 정지 이미지 저장부(650)와 채널 선택부(670)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방송 채널 수신기(610)는 도 4의 방송 수신부(400)에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채널 수신기(610)는 채널 선택부(670)에 의해,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디오 복호화기(620)로 제공한다. 비디오 복호화기(620)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복원한다.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620)는 H.263,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part-2 혹은 MPEG-4 part-10/H.264를 지원하여,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련의 영상 프레임들을 복호하여 각각의 영상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들을 생성한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상기 생성된 영상 신호들은 표시부(630)를 통해 화면상에 투사될 것이다.
반면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지 이미지 검출부(640)는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620)로부터의 복호된 영상 신호들 중 어느 한 시점의 영상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상 신호를 캡춰된 정지 이미지로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정지 이미지는 원래 영상 신호의 크기보다 축소된 이미지로 생성된다. 이는 상기 정지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휴대 단말기의 한정 된 화면상에 가능한 많은 방송 채널들의 정지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상기 생성된 정지 이미지는 채널 선택부(670)의 제어하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EPG 데이터와 매핑되도록, 정지 이미지 저장부(650)에 저장된다.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정지 이미지가 이미 저장된 이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새로운 정지 이미지가 추출되면, 상기 이미 저장된 정지 이미지는 일소되고 상기 새로운 정지 이미지가 상기 이전 정지 이미지를 대체하여 저장된다. 따라서 정지 이미지 저장부(716)는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항상 가장 최근의 정지 이미지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된 정지 이미지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시 혹은 자동으로, 표시부(630)에 EPG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표시된다.
상기 정지 이미지는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EPG 데이터와 결합되어 저장된다. 상기 결합의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EPG 데이터와 별개의 저장 영역에 기록되어, 식별자에 의해 EPG 데이터의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되거나, 혹은 다른 예로서 EPG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지 이미지들의 저장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EPG 저장부(710)는 방송채널 정보 저장영역(712)과 텍스트 데이터 저장영역(714) 및 이미지 저장영역(7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송채널 정보 저장영역(712)과 텍스트 데이터 저장영역(714)은 방송 센터 혹은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EPG 데이터의 방송채널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로 각각 채워지며, 이미지 저장영역(716)은 EPG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방송채널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지는 빈 주소영역들로 구성된다. 앞서 나타낸 EPG 데이터(310)의 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 01, 02, 03, 12, 25에 해당하는 주소영역들을 가지는 이미지 저장영역(716)이 구성된다.
사용자의 이미지 검색 요청에 따라 혹은 자동으로, 각 방송 채널에 대해 추출된 정지 이미지들은 상기 이미지 저장영역(716)에 각각 해당 방송채널 정보에 대응하도록 저장된다. 여기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01, 02, 03, 12에 해당하는 이미지 01, 02, 03, 12만이 캡춰되어 이미지 저장영역(716)에 저장되었으며, 방송 프로그램 25에 대한 정지 이미지는 생성되어 있지 않다.
도 7b는 정지 이미지가 EPG와는 별도로 저장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EPG 저장부(720)는, EPG 데이터의 방송채널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송채널 정보 저장영역(712)과 텍스트 데이터 저장영역(714) 만으로 구성된다. 정지 이미지 저장부(730)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 영역(732)과 이미지 저장영역(7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저장영역(734)은 휴대 단말기에 의해 직접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캡춰된 정지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 영역(732)은 상기 저장된 정지 이미지들이 어떤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캡춰된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들로부터 캡춰된 정지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혹은 자동으로, 현재 수신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된다. EPG 서비스가 요청되면,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EPG 데이터와 캡춰된 정지 이미지들이 휴대 단말기의 화면상에 함께 표시된다. 도 8a와 도 8b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화면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8a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810은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812는 상기 카테고리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상세 정보(방송시간과 제목)와 정지 이미지들을 격자 형태로 나타낸다. 사용자는 커서(814)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위치시키고 미리 정해지는 선택 키를 눌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참조번호 820은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822는 상기 카테고리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상세 정보(방송시간과 제목 및 요약)와 정지 이미지들을 세로로 나열한 것이다. 사용자는 커서(824)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위치시키고 미리 정해지는 선택 키를 눌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프로그램 안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휴대 단말기는 방송 센터 혹은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EPG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단계 912에서 이미지 검색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휴대 단말기는 EPG 데이터의 수신 시점에서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미지 검색 요청을 접수한다. 상기 단계 912에서 이미지 검색 요청이 있으면 단계 9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924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924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EPG 표시 요청이 접수되었는지 혹은 자동으로 EPG를 표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EPG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EPG를 표시하는 경우 단계 926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EPG 데이터에 포함된 각 방송 프로그램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단계 926의 표시 예는 앞서 나타낸 도 5가 될 수 있다.
상기 단계 914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EPG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들 중 검색할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상기 EPG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 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916에서 휴대 단말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된 방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도록 저장한다. 단계 918에서 휴대 단말기는 계속하여 다음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검색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가 저장되었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검색이 중지 되었으면, 단계 92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방송 채널을 검색하기 위하여 단계 914로 복귀한다.
상기 단계 920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EPG의 표시가 요청되었는지 혹은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가 획득되어 EPG를 자동으로 표시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EPG를 표시할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 922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EPG 데이터에 포함된 각 방송 프로그램의 텍스트 정보와 해당 캡춰된 정지 이 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상기 단계 922의 표시 예는 앞서 나타낸 도 8a 혹은 도 8b가 될 수 있다. 상기 EPG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 922 혹은 상기 단계 926에서 EPG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다 개선된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의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정지 이미지를 동시에 보다 작은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작은 영역은 상기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즉 CDMA나 OFDM과 같이 동시에 둘 이상의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에서, 휴대 단말기는 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시에,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정지 이미지를 캡춰한다. 도 8c에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EPG 화면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8c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830은 휴대 단말기가 현재 수신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832는 EPG 데이터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의 순으로 다음 방송 프로그램의 텍스트 정보를 의미한다. 참조번호 834는 상기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캡춰된 정지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수신중인 현재 방송 프로그램과는 별도의 비디오 복호화기 혹은 동일한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캡춰될 수 있다.
그런데 단지 정지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디오 복호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비디오 영상 복호의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지만, 높은 시스템 복잡도로 인해 휴대용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한 개의 비디오 복호화기를 가지고 두 개 이상의 방송 채널들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을 효율적으로 동시에 복호화하는 다채널 비디오 복호화기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현재 방송 채널은 주 채널이 되고,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고자 하는 다른 방송 채널 혹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다음 방송 채널은 부 채널이 된다. 주 채널과 부 채널에 모두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비디오 복호화기는, 주 채널의 영상 프레임들을 복호하면서, 가능한 시점에서 부 채널의 주요한 프레임을 복호한다. 여기서 가능한 시점이란, 주 채널에서 키 프레임(Key Frame)이 발생하는 시점을 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디오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부 채널의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다채널 영상 수신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주 채널(1000)과 부 채널(1010)에 대한 2개의 채널 수신기들(1002, 1012)과, 주 채널(1000)에 대한 키 프레임 식별부(1003)와, 부 채널(1010)에 대한 키 프레임 추출부(1014)와, 채널 선택기(1004)와, 비디오 복호화기(1006)와, 영상 선택기(1008)와, 표시부(1016) 및 정지 이미지 검출부(1018)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채널 수신기들(1002, 1012)은 도 4의 방송 수신부(420)에 포함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은 주 채널(1000)로 매핑되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고자 하는 다른 방송 채널은 부 채널(1010)로 매핑 된다. 이러한 채널 매핑은 도시하지 않은 채널 선택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 채널(1000)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는 채널 수신기 A(1002)에 의해 역다중화/복조를 거쳐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부 채널(1010)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는 채널 수신기 B(1012)에 의해 역다중화/복조를 거쳐 출력된다.
채널 수신기 A(1002)는 주 채널(1000)의 압축된 영상 정보를 담은 연속된 프레임들을 출력한다. 키 프레임 식별부(1003)는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을 해석하여 키 프레임을 식별하여,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면 제어 신호를 채널 선택기(1004)와 영상 선택기(1008)로 제공한다.
한편 채널 수신기 B(1012)는 부 채널(1010)의 압축된 영상 정보를 담은 연속된 프레임들을 출력한다. 키 프레임 추출부(1014)는 상기 부 채널의 프레임들을 해석하여 키 프레임을 검출하려고 시도하고,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면 상기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내부의 버퍼(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만일 상기 저장된 부 채널 키 프레임이 출력되지 않은 채 부 채널의 다음 키 프레임이 검출된다면, 상기 키 프레임 추출부(1014)는 상기 버퍼를 일소(clear)하여 이전 저장된 부 채널 키 프레임을 제거하고, 상기 다음 키 프레임을 다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키 프레임 추출부(1014)는 항상 가장 최근의 부 채널 키 프레임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부 채널의 차분 프레임들은 무시된다.
채널 선택기(1004)는 상기 키 프레임 식별부(1003)에 의해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을 시에는, 상기 키 프레임 식별부(1003)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을 비디오 복호화기 (1006)로 단순히 바이패스한다.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었을 시, 상기 채널 선택기(1004)는 상기 키 프레임 추출부(1014)에 버퍼링된 상기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읽어내어 비디오 복호화기(1006)를 전달한다. 상기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이 전달된 후에, 상기 채널 선택기(1004)는 다시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으로 시작하여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을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주 채널 키 프레임의 복호는 잠시 중지되고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이 채널 선택기(1004)에 의해 비디오 복호화기(1006)로 입력된다. 다시 말해서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비디오 복호화기(1006)에 입력되기 전에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이 입력된다. 이때 주 채널의 키 프레임과 이후에 입력될 비-키 프레임들은 함께 채널 수신기 A(1002)의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 비디오 복호화기(1006)가 충분히 빠르게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비디오 복호화기(1006)는 주 채널의 복호가 잠시 중지되는 동안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복호하고, 주 채널의 이어지는 프레임들이 수신되기 이전에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을 복호한다.
비디오 복호화기(1006)는 상기 채널 선택기(1004)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복호하여,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는 입력되는 프레임이 키 프레임이 아닌 차분 프레임인 경우, 입력된 차분 프레임을 이전 처리된 프레임과 결합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 신호를 복원한다. 반면 입력되는 프레임이 키 프레임인 경우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는 기존의 영상 처리를 초기화(refresh)하고 상기 키 프레임만으로 해당 채널의 영상 신호 를 복원한다. 여기서 비디오 복호화기(1006)가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절차는 사용되는 영상 압축 기술을 따르게 되며,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들은 영상 선택기(1008)로 입력된다. 영상 선택기(1008)는 상기 키 프레임 식별부(1003)에 의해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을 시에는,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의 한 프레임 처리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들을 주 채널 영상으로서 표시부(1016)의 상대적으로 큰 화면(즉 전체 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였을 시, 상기 영상 선택기(1008)는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의 한 프레임 처리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1006)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부 채널 영상으로서 정지 이미지 검출부(1018)로 출력한다. 상기 정지 이미지 검출부(1018)는 상기 부 채널 영상으로부터, 부 채널의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정지 이미지는 원래의 영상 신호보다 미리 정해지는 크기로 축소된 이미지가 된다.
상기 부 채널의 캡춰된 정지 이미지는 표시부(1016)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작은 화면과 함께 EPG 데이터의 상기 부 채널에 대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EPG 데이터로부터 읽어낸 상기 부 채널의 텍스트 정보가, 상기 정지 이미지와 함께 표시된다. 상기 주 채널 및 부 채널의 표시 예는 앞서 나타낸 도 8c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 채널의 캡춰된 정지 이미지는, 사 용자의 요청이 있을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정지 이미지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상기 부 채널의 EPG 데이터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도중 다음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10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고, 단계 1112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을 주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주 채널의 방송을 수신한다. 단계 1114에서 휴대 단말기는 EPG 데이터의 방송 프로그램 목록에 따라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1116에서 상기 확인된 다음 방송 프로그램을 부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부 채널의 방송을 수신한다. 단계 1118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 채널에 대한 정지 이미지가 캡춰링된다. 상기 캡춰링된 정지 이미지는 EPG 표시 요청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단계 1120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다음 방송 채널의 검색이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다음 방송 채널의 검색 요청이 있지 않으면, 단계 1110으로 복귀하여 상기 주 채널을 계속하여 수신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방송 채널을 주 채널로서 설정하여 수신한다. 반면 다음 방송 채널의 검색 요청이 있으면, 단계 1122에서 EPG 데이터에 따른 상기 다음 방송 채널의 텍스트 정보와 상기 캡춰된 부 채널의 정지 이미지를, 상기 주 채널의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화면의 일부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상기 부 채널의 텍스트 정보와 정지 이미지를 확인하고 커서를 이용하여 상기 부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부 채널이 부 채널로 절체되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출력되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절체된 주 채널을 수신하면서 상기 도 11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다음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다음 방송 채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 및 저장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도 10의 다채널 영상 수신기는, 한 방송 채널을 수신하면서 다른 방송 채널의 정지 이미지를 검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방송 채널들의 정지 이미지들을 검출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채널 영상 수신기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을 주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주 채널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동시에 부 채널로 다른 여러 방송 채널들의 정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춰링하여 정지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정지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혹은 자동적으로, 도 8a 혹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도중 정지 이미지를 캡춰링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1210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고, 단계 1212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을 주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주 채널의 방송을 수신한다. 단계 1214에서 휴대 단말기는 검색하고자 하는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부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부 채널의 방송을 수신한다. 최초에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은 EPG 데이터의 방송 프로그램 목록에 따른 상기 주 채널의 다음 방송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단계 1216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 채널에 대한 정지 이미지가 캡춰링된다. 상기 캡춰링된 정지 이미지는 EPG 표시 요청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단계 1218에서 휴대 단말기는 계속하여 다음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검색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가 저장되었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검색이 중지되었으면, 단계 122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방송 채널을 검색하기 위하여 단계 1214로 복귀한다.
상기 단계 1220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EPG의 표시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한다. EPG를 표시할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 1222에서 휴대 단말기는 EPG 데이터에 포함된 각 방송 프로그램의 텍스트 정보와 해당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거나 현재 수신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텍스트 정보와 정지 이미지만을 표시한다. 상기 EPG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현재 수신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계속하여 수신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방송 채널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계 1210으로 복귀한다.
상기 단계 1222에서 EPG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채널 영상 수신기는 검색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들을 주 채널과 부 채널에 번갈아가며 설정하면서, 상기 방송 채널들의 정지 이미지들을 2배의 속도로 빠르게 캡춰한다. 이 경우 주 채널과 부 채널 모두에서 정지 이미지가 동시에 검출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정지 이미지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EPG 데이터와 함께 리스트 형태로 보여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EPG 데이터에 미리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EPG 데이터의 전송 자원을 절약하며, 미리 생성된 고정적인 영상이 아니라, 방송 채널에서 현재 송신되고 있는 캡춰된 영상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보다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안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과정과,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데이터와 결합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과정은,
    주 채널의 압축된 영상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입력받으며,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이 키 프레임인지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주 채널의 입력된 프레임이 키 프레임이 아니면, 상기 주 채널의 비-키 프레임을 복호하여 주 채널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주 채널의 입력된 프레임이 키 프레임이면, 기 저장된 가장 최근의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복호하여 부 채널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부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정지 이미지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복호한 이후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을 복호하여 상기 주 채널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들은,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주 채널 혹은 부 채널로 구별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주 채널로 설정하여 수신하면서,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을 부 채널로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지 이미지들을 캡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주 채널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 프로그램을 부 채널로 설정하여 상기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상기 주 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일부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영역 혹은 서로 다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원래 크기보다 축소된 크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제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제목 및 내용 요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기의 화면으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보다 작은 화면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와 상기 EPG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EPG 표시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정지 이미지와 상기 EPG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정지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데이터와 결합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캡춰된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 생성부는,
    부 채널의 압축된 영상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을 입력받으며, 상기 부 채널의 프레임들 중 키 프레임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키 프레임 추출부와,
    주 채널의 압축된 영상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입력받으며,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이 키 프레임인지를 검출하는 키 프레임 식별부와,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지 않았을 시 상기 주 채널의 프레임들을 출력하며,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었을 시 상기 저장된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을 출력하고, 상기 부 채널의 키 프레임이 출력된 이후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 및 이어지는 프레임들을 출력하는 채널 선택기와,
    상기 채널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주 채널 혹은 부 채널의 프레임들을 복호하여 영상 신호들을 출력하는 비디오 복호화기와,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들을 주 채널 혹은 부 채널로 구별하고 상기 주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영상 선택기와,
    상기 영상 선택기에 의해 구별된 부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정지 이미지로 생성하는 정지 이미지 검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들은,
    상기 주 채널의 키 프레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주 채널 혹은 부 채널로 구별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 생성부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주 채널로 설정하여 수신하면서,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을 부 채널로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지 이미지들을 캡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 생성부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주 채널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다음 방송 프로그램을 부 채 널로 설정하여 상기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캡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지 이미지를 상기 주 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일부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정지 이미지를 상기 EPG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영역 혹은 서로 다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원래 크기보다 축소된 크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제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시간과 제목 및 내용 요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기의 화면으로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보다 작은 화면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와 상기 EPG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EPG 표시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정지 이미지와 상기 EPG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66873A 2005-07-22 2005-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070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73A KR100703401B1 (ko) 2005-07-22 2005-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PCT/KR2006/002781 WO2007011136A1 (en) 2005-07-22 2006-07-14 Electronic program guide method and apparatus using captured still image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73A KR100703401B1 (ko) 2005-07-22 2005-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058A true KR20070012058A (ko) 2007-01-25
KR100703401B1 KR100703401B1 (ko) 2007-04-03

Family

ID=3766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873A KR100703401B1 (ko) 2005-07-22 2005-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3401B1 (ko)
WO (1) WO20070111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44B1 (ko) * 2006-09-07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채널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86271B1 (ko) * 2006-10-12 2007-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dmb 방송에서의 채널 정보 프리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72B1 (ko) * 2002-03-28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우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EP2237556A1 (en) * 2009-03-31 2010-10-06 Sony United Kingdom Limited A method of provid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8949892B2 (en) * 2011-02-14 2015-02-03 Joseph Kiok Image sampling from multicast streams
WO2017097319A1 (en) * 2015-12-07 2017-06-15 Arcelik Anonim Sirketi Image display device enabling channel selection based on program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595B2 (ja) * 1995-07-21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311468B1 (ko) * 1999-03-25 2001-11-02 구자홍 티브이의 방송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KR20030001170A (ko) * 2001-06-28 2003-01-06 (주) 젠터닷컴 캡쳐화면 기반의 epg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0518808B1 (ko) * 2003-05-16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40101655A (ko) * 2003-05-26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픽쳐 인 가이드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44B1 (ko) * 2006-09-07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채널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86271B1 (ko) * 2006-10-12 2007-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dmb 방송에서의 채널 정보 프리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401B1 (ko) 2007-04-03
WO2007011136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34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디지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81685C (zh) 多信道数字电视系统及浏览方法
CN1937756B (zh) 数字广播接收终端中管理电子节目指南数据的装置和方法
EP1879376A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6014365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EP1549069A1 (en) Background reception for DVB-H receivers
CN101026702B (zh) 同时显示多频道可视图像的数字广播接收器及其显示方法
US83416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KR1008077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CN1964239A (zh) 发送和接收广播和通信混合业务信息的方法和该装置
KR10070340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정지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US200900837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gram guide service
EP1811773A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rief information on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US7587731B1 (en) Program guid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gram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remot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90131292A (ko) 사용자 개인화된 모바일 비디오 프로그램 리스트 파퓰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46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using a mobile device
KR100693653B1 (ko) 지상파 dmb수신기에 채널 튜닝 시 서비스 맵 구현방법
CN113056922B (zh) 包括本机广播者应用的接收器设备
KR100816287B1 (ko) 다채널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208953C (zh) 用于提供广播节目指南信息的方法和装置
CN102595232B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EP164377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a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KR20030056935A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JP2011244268A (ja) 放送装置、放送受信装置、放送方法、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