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775A -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75A
KR20070010775A KR1020050065649A KR20050065649A KR20070010775A KR 20070010775 A KR20070010775 A KR 20070010775A KR 1020050065649 A KR1020050065649 A KR 1020050065649A KR 20050065649 A KR20050065649 A KR 20050065649A KR 20070010775 A KR20070010775 A KR 2007001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ontact material
water
mo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미
Original Assignee
서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미 filed Critical 서경미
Priority to KR102005006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775A/ko
Publication of KR2007001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7Skirts or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위하여 홀더에 결착되는 반밀폐성 재료로 된 스트랩 상 또는 원주 형의 탈부착 가능한 청소 접촉재, 상기 청소 접촉재와 상기 몸체 바닥 사이에 공기 유통이 되도록 상기 홀더에 형성되거나 상기 청소 접촉재와 상기 몸체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된 공기 유통로, 상기 공기 유통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몸체에서 연장된 스커트를 포함하는 청소헤드부; 세척수통, 워터펌프, 폐세척수통, 진공펌프, 및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청소본체; 상기 청소헤드부와 상기 청소본체를 연결하고 급수관로와 흡입관로를 구성하는 배관 수단;과 상기 청소헤드부의 손잡이대 그립 근처에 장착된 제어수단으로 되어 상기 청소 접촉재 너머로는 상기 스커트와 상기 공기 유통로에 의하여 오물을 흡입하여 진공청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청소 접촉재는 상기 노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에 의하여 물걸레 기능을 수행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물걸레 기능과 진공청소 기능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청소재 세척기능을 가진 물걸레 겸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된다.
물걸레, 진공청소기, 노즐

Description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having wet cleaning function}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물걸레 겸용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상기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측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상기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배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상기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청소 본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측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상기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배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상기 청소헤드부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 주요도면 부호의 설명 *
3:청소접촉재 6:급수구 6a:노즐 8:스커트
9:연결구 10:몸체 11:손잡이대 12:공기유통구
20:청소헤드부 22:유연한 호스 30:배관수단 40:청소본체
1)종래기술로서 물걸레 가능 진공청소기에 대한 한국특허 출원은 다음과 같다.
순번 출원인 발명의 명칭 출원일자 (공개등록번호) 기술의 특징
1 대우전자 롤형 걸레포를 이용한 물걸레 흡입구 1994,9,28 (공고번호20- 155488) 흡입구+후방 별도 영역의 일방향 2축와인더 형 걸레천
2. 삼성전자 진공청소기의 걸레 세척기능을 갖는 흡입구체 1992,8,12 (공고번호96-4684) 흡입구+후방 별도 영역의 일방향 청소 롤
3. 엘지전자 물걸레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의 구조 1996,7,29 (공개번호1998-8157) 흡입구+후방 별도 영역의 일방향 2축와인더 형 걸레천
4. 이송남 진공물청소기 1999,01,19 (공개번호 실99-21834) 전후방 쿠션형 에어 가드+ 중간 흡입영역에서 솔형 청소면+솔 사이에 펌프에 의한 분사구
5 노영근 터빈 블레이드를 이용한 물걸레 청소를 겸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기 1999,07,26 (등록번호 실166132) 흡입구+후방 별도 영역의 수평회전 걸레판
6 장건 스팀 진공청소기 1999,04,10 (공개번호 실00-19393 청소헤드의 물통+전면 흡입구+별도 영역 스팀분사+솔과 청소롤+후면에 블레이드와 흡입영역(청소롤을 세척)
7 엘지전자 물청소 가능한 중앙집진식 진공 청소기 2001,09,25 (등록번호 특417428 전후 브레이드에 의한 흡입영역+중앙 분사구를 갖는 중앙 집진식 청소 시스템
8. 로얄어플라이언스(미국)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1997.12,23 (공개번호98-64531) 수동세척액분사식, 스폰지 세척포 압착하여 특이한 한 쌍의 고무날 구조로 흡입함
9 삼성전자 습건식 진공 청소기 1992,09,26 (공개번호 93-9564) 전면 흡입구+중앙 청소롤+세척액 분사+상면 흡입영역에서 블레이드에 의한 청소롤 세척
10 삼성전자 물걸레 기능을 가진공 청소기 1990,12,14 (공개번호 실92-11197) 전면 브러쉬 +다음 반원 차단블레이드+중간 청소 롤+물보급구+후면 브러쉬
2)종래기술로서 일본특허출원은 다음과 같다.
순번 출원인 발명의 명칭 출원일자 (공개번호) 기술의 특징
1 삼성전자 진공창소기의 클리닝 장치 1991,6,7 (실개평 5-85339) 브러쉬+흡입구+세척액 분사구+청소롤+에어가드(비펌프형으로 청소롤의 압력에 의하여세척조가 개방되어 분사됨)
2 박스리미티드(영국0 카페트 크리닝 장치 1997,2,13 (특허공표00-5053229) 물 분사구를 갖추고 습식 또는건식 모드 선정에 따라 공기 흐름을 달리하는 세척액 저장 방식의 일체형 청소기
3 카바리앨프레도(이태리) 크리닝 장치 1985,11,21 (특개소61-118560) 세척조, 폐세척조+진공펌프+워시펌프로 된 본체와 전면 회전 브러쉬와 흡입구 후면 증기 분사구를 갖는 청소헤드
3)인터넷상에 게재된 물걸레 가능 청소기는 다음과 같다.
1. 시코(한국) 카페트 세척기 투명 세척조, 폐세척조+진공펌프+워시펌프로 된 본체와 청소헤드
2 파워플라이트(미국) 습식 바닥 청소기청소기 건식, 습식 혼용 진공펌프+워시펌프
3 시코(한국) 카페트 세척기 세척조, 폐세척조+진공펌프+워시펌프로 된 본체와 회전 브러쉬를 갖는 청소헤드
4 청림이엔지 물청소기 배란다에 설치하여 배수를 함 진공펌프로 된 본체+물통이 구비되고, 중간펠트근처물 분사구와 양 흡입구를 갖는 청소헤드
본 발명은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원래 진공청소기는 서양의 입식 환경에 적합하게 발전되어 온 기술로 한국의 주거 환경과 같은 온돌 바닥 생활환경과는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진공 청 소와 더불어 물걸레 청소의 필요성이 높아 한국에서는 1988년경부터 물걸레 가능 진공청소기에 대한 많은 출원이 이어졌다. 그러나 많은 기술개발에도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 출현되지 않았다.
물걸레 진공청소기의 선행기술을 특허출원에 기재된 기술을 바탕으로 판단하면, 몇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기존 진공청소기 흡입영역과 별도로(보통 뒤편으로 흡입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 걸레를 부착하는 형식으로
a. 고정식; 클립 또는 고정구에 의하여 젖은 걸레를 고정
b. 롤라 식; 미는 힘에 의하여 회전, 래치트 기어에 의하여 일방향 회전식도 있음
c. 와인더 식 ; 걸레 천 또는 포가 2축 와인더에 감겨 있는 형태
d. 모터 회전식 ; 브러쉬 또는 걸레포가 수평 회전
으로 분류된다. 물걸레와 진공청소기 기능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합쳐 놓은데 불과한 것으로 걸레의 관리와 교체가 계속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2) 세척액 또는 세척수 분사형으로
a. 무동력 방식 ; 청소기 헤드 본체에 세척액 조를 마련하고 레버에 의한 수동이나 누름 압력에 의하여 세척면 앞에 분출되는 형태
b. 동력 방식; 워터펌프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 분사(일반적으로 청소헤드와 본체 분리형에 채용됨)
방식이 있다. 흡입영역에 있는 솔이나 면으로 세척액을 문지르는 형식으로 거의 습 식 청소에 가까운 것으로 분리된 오염물을 청소하는 진공청소기의 장점이 희생되는 측면이 있다.
걸레를 별도로 부착하는 형식이 아닌 상기의 습식 진공청소기는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청소솔이나 청소포로 문지르기 때문에 피청소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기는 용이하나 분리된 고형 오염물을 제거하는데는 오히려 진공청소기 보다 불리하다. 또한 걸레 별도 부착 방식은 청소포 또는 물걸레를 세척하기 위하여 계속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부 제품에서는 흡입통로에 배치된 블레이드에 의하여 청소포 롤러를 눌러 주어 세척가능하다고 하고 있으나 효능이 의심스럽다.
본 발명은 물걸레 기능과 진공청소 기능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물걸레 겸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면 세척기능을 가진 물걸레 겸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가운데 부분에 급수구와 흡수구가 연결되는 연결공과 손잡이대 연결구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바닥 쪽 전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과 측면에 형성된 홀더,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에 결착되는 반밀폐성 재료로 된 스트랩 상 또는 원주 형의 탈부착 가능한 청소 접촉재, 밀폐구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청소 접촉재가 없는 상기 몸체 바닥 쪽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 에어가드, 상기 연결공의 급수구에 연결되어 흡입영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 상기 몸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스커트, 상기 청소 접촉재 접촉면 앞으로 흡입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홀더에 형성되거나 상기 청소 접촉재와 상기 몸체 바닥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와 상기 스커트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기 유통로, 및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청소헤드부;
세척수통, 상기 세척수통의 세척수를 상기 청소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워터펌프, 폐세척수통, 상기 청소헤드부의 청소 오물과 폐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폐세척수통으로 보내기 위한 진공펌프, 및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청소본체;
상기 청소헤드부와 상기 청소본체를 연결하고 급수관로와 흡입관로를 구성하는 배관 수단;과
상기 청소헤드부의 손잡이대 그립 근처에 장착된 제어수단으로 되어 상기 청소 접촉재 너머로는 상기 스커트와 상기 공기 유통로에 의하여 오물을 흡입하여 진공청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청소 접촉재는 상기 노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에 의하여 물걸레 기능을 수행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무게 대비 강도가 좋은 알루미늄, 듀랄루민과 티탄과 같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거나 합성수지에 의하여 몸체, 급수구, 흡수구, 상기 청소 접촉재 홀더와 상기 스커트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부분적으로 성형하고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손잡이대는 상기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로와 상기 흡입관로는 적어도 상기 손잡이대를 통하여 상기 연결구에 이르기 까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공에 이르기 까지 동축 배관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에서 상기 연결공의 급수구까지는 유연한 호스재를 사용하여 손잡이대의 피봇운동에도 불구하고 급수관로를 유지한다.
상기 몸체 바닥 쪽에 형성된 홀더는 외측면 벽과 상기 외측면 벽과 홈통을 형성하는 내측면 벽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측면 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고정 클립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유통구는 상기 측면 벽에 형성된 구멍 또는 슬릿으로 정의된다. 상기 청소 접촉재가 롤형을 포함하는 원주형일 때는 상기 홀더는 한 쌍의 회전체에 연결된 축 체결구이다. 이 때 상기 공기 유통구는 몸체 바닥과 롤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청소 접촉재는 연속 기공을 가지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포, 발포 고무 또는 압축 펄프재이다. 물투과성 재료로서 직포 또는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합성수지 직포로서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비스코스 직포이다. 이태리 타올 형으로 표면가공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형 청소 접촉재는 내부에 코어재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트랩 형 청소 접촉재는 코어재 위에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직포가 스트립 형태로 감겨 있는 형태이다. 발포성 고무재료는 일반 스펀지 보다는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훨씬 높은 연속성 기포를 가진 천연 또는 합성고무 재료이다.
상기 청소 접촉재가 롤형을 포함하는 원주형일 때는 바람직하게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을 감싸는 세척포로 되고 양단면에는 체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청소 접촉재의 측면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예를 들면 나사결합이나 스프링에 의한 압착결합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외측에 회전축으로 일체화되어 회전가능하거나 라체트 기어를 구비하여 일방향회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통로는 롤과 본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에 의하여 전진해 있다가 벽면 압력에 의하여 후진하여 물걸레 가능 범위를 벽쪽으로 최대한 넓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드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서 채택되는 몸체에 느슨하게 결합된 일자형의 길다란 부재이거나 신축가능한 주름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청소 접촉재는 바람직하게는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커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헤드부의 몸체의 전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급수관로와 상기 흡입관로가 동축 배관을 형성하는 것이 취급상 바람직하다. 상기 동축 배관에서 중심 배관이 흡입관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공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노즐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에 밀폐 결합 예를 들면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의 분수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청소 접촉재로 향하여 상기 청소 접촉재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급수관을 형성하고 상기 청소 접촉재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한 개 이상의 분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청소 접촉재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급수관은 청소 접촉재의 내부 코어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코어재로 사용되는 급수관은 다수의 분수공에 의하여 직접 내부에서 청소 접촉재에 세척액을 공급한다.
상기 연결공에 형성된 흡수구는 흡수구 자체만으로 세척액을 빨아 드리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흡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청소 접촉재가 형성하는 공간 중심부 가까이에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흡수공이 형성된 흡수관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손잡이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손잡이대의 그립 근처에 배치되어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소헤드부의 상기 급수구에는 세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수구에는 흡입수단이 연결되어 세척액의 급배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액은 일반 수돗물과 같은 물이거나 물에 세척성분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청소 접촉재는 쉽게 탈부착 가능하여 세탁을 하거나 노즐에 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청소를 수행하면서 세척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청소본체는 일반적으로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폐세척수통과 세척수통, 워터펌프와 진공펌프가 탑재되는 마운트부, 전원공급수단과 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세척수통의 측하단 근처에 배수용 밸브가 부착된다. 수분과 함께 흡입된 오물은 폐세척수에 잡히고 상방향의 필터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는 바깥으로 배출된다. 상기 폐세척수통은 청소본체 이동시에 폐세척수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최대 수면 위의 위치에 상, 하의 배플을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통에 물을 채운 후 급수관이 연결된 뚜껑을 결합하면 상기 마운트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물걸레 겸용 청소기는 바닥 청소 뿐만 아니라 유리창 또는 카페트의 습식 청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걸레 겸용 청소기는 청소 접촉재가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가드와 함께 형성하는 반밀폐공간에 의하여 흡입영역을 형성하므로 물걸레 겸용 청소기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청소면과의 접촉압이 유지되어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물걸레 겸용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건식 흡입과 습식 흡입을 동시에 수행하는 청소헤드부(20)와 청소헤드부의 손잡이대 중통에 연결된 동축 상의 급수, 흡입 배관(30)과 폐세척수통, 세척수통, 전원공급수단, 워터펌프와 진공펌프를 수납하는 청소본체(40)는 상기 청소헤드부(20)의 손잡이대 그립 근처에 장착된 제어수단(50)을 조정하여 배관과 일체화된 제어회선(51)을 통하여 스위치 개폐와 급수와 흡입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도2, 도3,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청소헤드부(20)의 주요부를 상세히 예시한다. 스트랩 상의 청소 접촉재(3)는 몸체(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 형상의 외측벽(1)과 내측벽(2)으로 된 홀더에 의하여 고정된다. 청소헤드의 몸체(10)의 전방으로 상기 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스커트(8)가 형성되고 내, 외측벽의 전면부에는 공기유통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유통구(12)가 내, 외측벽의 뿌리 가까이에 형성된다. 연결구(9)는 상기 몸체(10)에 피봇 가능하 도록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9)의 타면은 손잡이대(11)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9)의 피봇 운동에 따라 급수관로가 상기 연결구(9)와 몸체의 연결공(5)으로 유연한 호스(22)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공(5)의 급수구(6)에는 노즐(12)이 결합된다.
도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로서 청소본체(40)를 상세히 예시한다. 청소본체는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폐세척수통(41)과 세척수통(42), 전원공급수단(47), 워터펌프(45)와 진공펌프(46)가 탑재되는 마운트부(43)과 덮개(48)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세척수통(41)의 측하단 근처에 배수용 밸브(51)가 부착된다. 상기 세척수통에 물을 채운 후 급수관(52)이 연결된 뚜껑(53)을 결합한다.
도7, 도8과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청소 접촉재가 스트랩 형상이 아니고 롤형인 경우를 예시한다. 롤형의 청소 접촉재(13)은 몸체(10)의 함몰부(19)의 전방에 측면 체결구(14)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는 회전체(15)와 일체화되고 라체트(16)에 의하여 설정방향, 예를 들면, 후진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상기 함몰부 경계지점에는 측면 에어가드(17)과 후면 에어가드(18)가 설치되고 공기 유통구는 도면과 같이 벽에 형성된 별도의 공기유통구(12)를 가지거나 상기 롤형의 청소재(13)와 몸체(10)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노즐(12)의 일부는 전방으로 향하여 롤형의 청소 접촉재(13)에 세척수를 직접 분사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물걸레 기능과 진공청소 기능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청소재 세척기능을 가진 물걸레 겸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된다.

Claims (8)

  1. 가운데 부분에 급수구와 흡수구가 연결되는 연결공과 손잡이대 연결구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바닥 쪽 전면, 필요한 경우에는 후면과 측면에 형성된 홀더,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에 결착되는 반밀폐성 재료로 된 스트랩 상 또는 원주 형의 탈부착 가능한 청소 접촉재, 밀폐구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청소 접촉재가 없는 상기 몸체 바닥 쪽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 에어가드, 상기 연결공의 급수구에 연결되어 흡입영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 상기 몸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스커트, 상기 청소 접촉재 접촉면 앞으로 흡입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홀더에 형성되거나 상기 청소 접촉재와 상기 몸체 바닥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와 상기 스커트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기 유통로, 및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청소헤드부;
    세척수통, 상기 세척수통의 세척수를 상기 청소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워터펌프, 폐세척수통, 상기 청소헤드부의 청소 오물과 폐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폐세척수통으로 보내기 위한 진공펌프, 및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청소본체;
    상기 청소헤드부와 상기 청소본체를 연결하고 급수관로와 흡입관로를 구성하는 배관 수단;과
    상기 청소헤드부의 손잡이대 그립 근처에 장착된 제어수단으로 되어 상기 청소 접촉재 너머로는 상기 스커트와 상기 공기 유통로에 의하여 오물을 흡입하여 진 공청소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청소 접촉재는 상기 노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에 의하여 물걸레 기능을 수행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고 상기 손잡이대는 상기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로와 상기 흡입관로는 적어도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구에 이르기 까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공에 이르기 까지 동축 배관을 형성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형의 탈부착 가능한 청소 접촉재는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상기 원주 형의 탈부착 가능한 청소 접촉재는 상기 홀더에 일방향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 형인 물걸레 겸용 청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분수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청소 접촉재로 향하여 상기 청소 접촉재의 세척을 수행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접촉재는 연속 기공을 가지는 재료인 물걸레 겸용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접촉재는 직포, 발포 고무 또는 압축 펄프재인 물걸레 겸용 청소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본체는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폐세척수통과 세척수통, 전원공급수단, 워터펌프와 진공펌프가 탑재되는 마운트부과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세척수통의 측하단 근처에 배수용 밸브가 부착되고 상기 폐세척수통에는 배플형태의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통에 물을 채운 후 급수관이 연결된 뚜껑을 결합하는 물걸레 겸용 청소기
KR1020050065649A 2005-07-20 2005-07-20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KR20070010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49A KR20070010775A (ko) 2005-07-20 2005-07-20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49A KR20070010775A (ko) 2005-07-20 2005-07-20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75A true KR20070010775A (ko) 2007-01-24

Family

ID=3801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49A KR20070010775A (ko) 2005-07-20 2005-07-20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6132A (zh) * 2012-12-28 2013-10-23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用吸头组件
CN107296565A (zh) * 2017-08-24 2017-10-27 苏州腾普电气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的清洗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6132A (zh) * 2012-12-28 2013-10-23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用吸头组件
WO2014104503A1 (en) * 2012-12-28 2014-07-03 Haan Corporation Head assembly for vacuum cleaner
CN107296565A (zh) * 2017-08-24 2017-10-27 苏州腾普电气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的清洗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0905B2 (ja) 表面洗浄装置
US7377009B2 (en) Multi-functional cleaner selectively performing vacuum cleaning and water cleaning
RU2153837C2 (ru) Чистящая головка
CN101902947B (zh) 清洁器具
US5088149A (en) Vacuum powered scrub head
US7644470B2 (en) Complex type cleaner
GB2458220A (en) Upright vacuum extractor
KR102312960B1 (ko) 바닥청소기
GB2419516A (en) Suction head for wet/ dry cleaner
WO2021147204A1 (zh) 一种自清洁拖扫机
GB2419515A (en) Vacuum cleaner with liquid supply and suction means
US20230016051A1 (en) A cleaner head for a cleaning appliance
EP3116370A1 (en) Air duct for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CN111166257A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KR20120015477A (ko) 로봇청소기
CN212591943U (zh) 一种自清洁拖扫机
KR20070010775A (ko)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KR100938748B1 (ko) 포터블 세척기
KR100767891B1 (ko) 식기 세척기
KR200408333Y1 (ko)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20010087031A (ko) 물걸레 겸용 진공 청소기
CN215305569U (zh) 清洁设备用地刷及清洁设备
CN212326297U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215348736U (zh) 地刷及清洁设备
CN210931134U (zh) 一种喷吸式玻璃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