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594A - Repeater - Google Patents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594A
KR20070010594A KR1020050065317A KR20050065317A KR20070010594A KR 20070010594 A KR20070010594 A KR 20070010594A KR 1020050065317 A KR1020050065317 A KR 1020050065317A KR 20050065317 A KR20050065317 A KR 20050065317A KR 20070010594 A KR20070010594 A KR 2007001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 strip
strip line
hybrid coupl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3403B1 (en
Inventor
김덕용
문영찬
소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05006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403B1/en
Publication of KR2007001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A repeater is provided to install a product at a time within the building by integratedly comprising a variable distributor for varying/distributing signals at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n antenna for transceiving the signals by receiving the signals. A repeater consists of a master unit and plural slave units(120). The master un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p of in-building or a high-rise building so as to transceive signals of a base station. Each slave unit(120) receives the signals of the master unit to vary the signals according to signals preset by floor, and distributes the signals. Each slave unit(120)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order to transceive the distributed signals through an antenna radial element(150) integratedly comprised on an inner side.

Description

중계 장치{REPEATER}Relay device {REPEATER}

도 1은 종래의 건물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la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building.

도 2는 도 1의 중계 장치의 확대 도면.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lay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ybrid coupl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위상기의 제 1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of a variable phase shifter in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위상기의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of a variable phase shifter in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위상기의 제 1, 2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s of the variable phase group are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apparatus having the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위상기의 길이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ariable pha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위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phase shifter in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구성 중 가변 분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dispensing devi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p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도 10의 가변 분배 장치에 구비된 가변 위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phaser included in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of FIG. 10. FIG.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를 건물에 설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installed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위상차를 나타낸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phase differences of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of a second hybrid coupler of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해당층 별로 신호를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는 가변 분배 장치와 이 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일체로 구성한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that integrally configures a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for varying and distributing a signal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It relates to a relay devic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이동국)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과,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여러 기지국 제어기를 운영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ger System), 교환국 시스템(Mobile Switching Center)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상 각 기지국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통화 서비스 지역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하지만, 대형 건물의 지하 공간이나 고층 빌딩의 내부 등과 같이 통화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 통화 음영지역(shadow area)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지하 또는 빌딩 등에 형성되는 음영지역에 의한 통신 서비스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음영지역 내의 이동 단말기(미도시 됨)로 송출하며 음영지역 내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중계 장치(10)를 해당 음영지역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nag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s,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 controllers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terminal (mobile station) located within a corresponding service area to provide a service. Base Station Manager System, Mobile Switching Center, etc.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enerally covers the call coverage area by appropriate arrangement of each base station, but a call shadow area, such as the underground space of a large building or the inside of a high-rise building, which has a significant decrease in call quality may occur. .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mplifi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terminal (not shown) in the shaded area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due to the shaded area formed in the basement or building. The relay device 10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shaded area.

도 1은 일반적인 인-빌딩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10)를 나타내는 전체 설치구조 및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installation structure and state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lay device 10 used in a general in-building system.

먼저, 도 1과 같이, 중계 장치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중계 장치(10)는 건물(20) 내의 적절한 위치(예를 들어, 건물 최상부)에 설치되며 건물(20) 내부의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기지국(미도시 됨)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알에프(Radio Frequency : RF ) 신호를 끌어오는 마스터 유닛(11)을 구비한다. 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lay device, the relay device 10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for example, the top of the building) in the building 20 to cover the shadow area inside the building 20 And a master unit 11 for drawing an RF signal from a base station (not shown) via wire or wirelessly.

상기 마스터 유닛(11)은 상기 건물(20)의 각 층별로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분배장치(12)와 연결하기 위해 전송 선로(유선케이블)(15)을 통해 들어온 신호를 각각의 분배장치(12)를 통해 분배되어 연결된다. 상기 분배 장치(12)는 상기 건물(20)내의 각 층에 구비된 안테나(14)와 전송 선로(15)에 의해 연결된다.The master unit 11 receives a signal input through a transmission line (wired cable) 15 to connect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devices 12 that can be install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20. 12) is distributed and connected. The distribution device 12 is connected by an antenna 14 and a transmission line 15 provided on each floor in the building 20.

상기 분배 장치(12)는 건물(20)내의 설치된 층을 서비스 지역으로 하여 해당 서비스 지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The distribution device 12 provides a service b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not shown) located in the service area using the floor installed in the building 20 as a service area.

상기 마스터 유닛(11)과 분배장치(12)간에는 전송 선로(유선케이블)(15)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분배 장치(12)에 의해 신호를 분배하여 전송 선로(15)를 통해 상기 안테나(14)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master unit 11 and the distribution device 12 are connected via a transmission line (wired cable) 15 to transmit a signal, and the signal is distributed by the distribution device 12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15. It is connected to the antenna 14 to provide a service.

현재 인-빌딩 등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기와 같은 중계 장치(10)들은 비교적 경제적으로 음영지역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에서도 상당량의 소형 중계기들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ince the relay devices 10 widely used in in-building and the like can cover the shadow area relatively economically, it is expected that a large amount of small repeaters will be used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MT-2000.

특히 음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의 비중이 날로 커짐에 따라 인-빌딩 시스템의 중계 장치의 역할이 단순히 서비스 범위의 확보가 아니라 가입자 용량(capacity)을 수용하고 스팟 셀(spot cell)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proportion of data-oriented services increases in voice-oriented services, the role of the relay device in the in-building system is not merely to secure a range of services, but to accommodate subscriber capacity and to serve as a spot cell. Its importance is growing.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인-빌딩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 장치의 확대 도면이다. 2 is an enlarged view of a relay device used in an in-building system of a commonly used building.

마스터 유닛(11)과 전송 선로(15)을 통해 연결된 분배 장치(12)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분배장치(12)로 전달된 신호는 상기 다수의 분배 장치(12)에 의해 분배된다.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12 connected through the master unit 11 and the transmission line 15,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12 is distributed by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devices 12.

상기 분배 장치(12)는 마스터 유닛(11)과 연결시키기 위해 다수의 연결 커넥터(16)가 구비된다.The distribution device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nectors 16 for connecting with the master unit 11.

상기 분배 장치(12)에 들어온 신호는 주전송선로(13)을 통해 신호가 흘러가 면서 주전송선로(13)와 커플라인(13')의 간격에 의해 신호의 세기를 결정된다. The signal entering the distribution device 12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transmission line 13 and the couple line 13 'while the signal flows through the main transmission line 13.

상기 첫 번째 분배 장치(12)에 의해 분배된 신호는 상기 분배 장치(12)와 연결된 방사소자(14)의 서비스 지역에 있는 단말기(미도시 됨)와 통신을 한며. 1차 분배된 후 상기 마스터 유닛(11)에서 온 신호를 추가로 연결된 전송 선로(15)를 통해 그 다음 분배 장치(12)로 연결시킨다. The signal distributed by the first distribution device 12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not shown) in the service area of the radiating element 14 connected with the distribution device 12. After the primary distribution, the signal from the master unit 11 is further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12 via a further connected transmission line 15.

상기 연결된 분배 장치(12)는 상기 첫 번째의 분배 장치(12)와 같이 동작하고, 또 그 다음 다른 분배 장치(12)도 마찬가지로 상기 첫 번째의 분배 장치(12)와 같이 동작한다. The connected dispensing device 12 operates like the first dispensing device 12, and then the other dispensing device 12 likewise acts like the first dispensing device 12.

그런데, 각 층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분배장치(12)의 분배량을 다르게 설치해야만 한다. 첫 번째 분배 장치(12)에서 분배되어 서비스를 하는 건물의 층에 따라 그 다음 분배 장치(12)를 통해 서비스하는 층의 수신신호를 같이 하기 위해서 첫 번째 분배된 신호가 그 사이의 전송 라인의 손실 및 분배된 신호의 세기을 감안하여 두 번째의 분배 장치(12)의 분배량을 첫 번째 분배 장치(12)보다 많이하여 각층의 수신신호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of each floor the same, the distribution amounts of the respective distribution devices 12 must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distributed and serviced in the first distribution device 12, the first distributed signal is lost in the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m in order to share the received signal of the floor serving through the distribution device 12. An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distributed signal, the distribution of the second distribution device 12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distribution device 12 to make the received signals of each layer the same.

그러나, 종래의 건물의 인 빌딩에 설치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는 각 층의 서비스하는 신호의 크기를 같이 하기 위해 각층의 서로 다른 크기의 분배 장치를 사용해야하고 이러한 분배 장치들은 건물내에 해당층별로 설치된 안테나와 전송 선로 및 연결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해야함으로 설치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stalled in the existing building of the building must use distribution devices of different sizes on each floor in order to have the same size of service signal on each floor. Installation time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because it needs to be connected by using transmission line and connecting connector.

또한, 상기 분배 장치와 안테나는 서로 연결하기 위해 별로로 전송 선로 및 연결 커넥터를 사용해야함으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tribution device and the antenna must use separate transmission lines and connection connectors to connect with each other,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해당층 별로 신호를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는 가변 분배 장치와 이 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건물내에 제품를 한번에 설치가능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for varying and distributing a signal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signal. It is to provide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를 가변하는 가변 분배 장치와 안테나를 함께 내장한 슬레이브 유닛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안테나를 연결하던 전송 선로 및 연결 커넥터가 필요없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for varying signals and a slave unit having an antenna built therei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transmission line and a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xisting antenna, thereby reducing a manufacturing cost of a product. In providing a relay device having 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에 사용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ay device for use in buildings,

상기 건물내에 설치되어 기지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스터 유닛; 및A master uni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And

상기 건물의 각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의 신호를 받아 해당 층 별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며, 상기 분배된 신호는 그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 안테나방사 소자를 통해 송수신하는 다수개의 슬레이브 유닛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receives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master unit to vary and distribute for each floor, the distributed signa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ave uni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rough an antenna radiating element integrally provided therein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성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characteristic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도 3, 도 4 및 도 13과 같이,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100)는 마스터 유닛(110)(master unit)과, 다수개의 슬레이브 유닛(120)(slave unit)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마스터 유닛(110)은 기지국(미도시 됨)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고층 건물(20)이나 인-빌딩의 최상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들은 상기 마스터 유닛(110)의 신호를 받아 해당층 별로 기 설정된 신호에 따라서 신호를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며, 상기 분배된 신호는 그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 안테나 방사 소자(150)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상기 건물(20)의 각층별에 설치되어 있다.3, 4 and 13, the relay device 100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is composed of a master unit 110 (master unit), a plurality of slave units 120 (slave unit), the master The unit 1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top of the high-rise building 20 or in-building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of a base station (not shown), and the slave units 120 are signals of the master unit 110. Receive and vary th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for each floor and distribute the signal, the distributed signal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20 to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integrally provided therein 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마스터 유닛(110)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간에는 전송 선로(15)(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전송 신호는 알에프(RF) 신호 및 아이에프(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unit 110 and the slave unit 120 is connected via a transmission line 15 (wired cable) to transmit a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is RF (RF) signal and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도 13과 같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은 하우징(130)과, 가변 분배 장치(140)와,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와 상기 안테나 방사 소자(150)를 함께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는 상기 마스터 유닛(110)의 신호를 전달받아 가변 분배하 도록 상기 하우징(130)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 방사 소자(150)는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를 통해 분배된 신호를 인가받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slave unit 120 includes a housing 130, a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and an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and the housing 130 includes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is provided together, and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30 to variably receive and receive a signal from the master unit 110, and radiate the antenna. The element 15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and is provided under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so as to receive and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도 3 및 도 13과 같이,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는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160)(170)와, 가변 위상기(18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는 상기 마스터 유닛(110)의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입력 커넥터(200)를 통해 상기 신호가 입력되며, 이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분배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가변 위상기(180)로 출력하도록 상기 가변 위상기(180)와 연결되어 있다.3 and 13,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includes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160 and 170 and a variable phaser 180, and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includes the Th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connector 20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to receive the signal of the master unit 110, and distributes the power of the signal in half and the variable phaser 18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phaser 180 to output to.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이 가변된 신호가 전력의 반으로 분배함과 아울러 출력하고, 이 출력된 하나의 신호는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출력 커넥터(210)에 인가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인가하도록 상기 가변 위상기(180)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distributes the signal whose phase is changed in half of the power, and outputs the signal, and the output single signal is the housing.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output connector 210 provided at 130, and the other signal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variable phaser 180 so as to be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상기 가변 위상기(180)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신호를 전달 받아 위상을 가변시켜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로 인가하도록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160(17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The variable phaser 18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to vary the phase and apply the variable phase phase 180 to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160 (170). Is provided.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는 제 1, 2, 3,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162)(163)(164)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includ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61, 162, 163 and 164.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은 상기 전송 선로(15)와 연결된 상기 입력 커넥터(200)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200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15 and receives the signal.

상기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은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분배하여 위상차에 의해 상기 가변 위상기(180)로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divide the power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in half and apply them to the variable phaser 180 by a phase difference. have.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4)은 상기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The fourth micro strip line 164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so as not to output the signal.

도 3, 도5 및 도 6와 같이,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는 제 1, 2, 3,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2)(173)(174)으로 이루어져 있다.3, 5, and 6,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includ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172, 173, and 174.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은 상기 가변 위상기(180)를 통해 가변 위상된 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가변 위상기(180)의 제1 연결 스트립 라인(180a)와 연결되어 있고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은 상기 가변 위상기(180)을 통해 가변 위상된 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가변 위상기(180)의 제2 연결 스트립 라인(180b)와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strip line 180a of the variable phaser 180 and receives a fourth micro strip so as to receive a variable phased signal through the variable phaser 180. The line 17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strip line 180b of the variable phaser 180 to receive a variable phased signal through the variable phaser 180.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가변 위상기(180)는 제 1, 2 인쇄회로기판(181)(182)으로 이루어져 있다,5, 6 and 7, the variable phaser 18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s 181 and 182.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81)은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160)(170)가 내장 되어 있고 서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2,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이 제공되어 있다.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81 includes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160 and 170 are embed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162 and 163 and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and 174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are provided.

도 6과 같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182)은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도록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181)이 상부에 적층으로 구비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82 may include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81 is stacked on top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our micro strip lines 171 and 174 and to change the phase of the signal.

도 7과 같이,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182)의 하단면에는 상기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1, 2 연결 스트립 라인(182a)(182b)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82. First and second connecting strip lines 182a and 182b ar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and 174 of the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and 174.

여기서,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160)(170)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fea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160 and 17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하이브리드 커플러(160)는 특정 신호전력을 일부 추출하는 기능과 하나의 신호전력을 두개 이상의 특정 신호전력으로 분배하는 기능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정신호전력의 분배기능을 설명한다.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는 전력이 반으로 분배되어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으로 출력되고,출력된 신호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출력하고,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4)으로는 출력되지 않는다.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has a function of partially extracting a specific signal power and a function of distributing one signal power to two or more specific signal powers.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the signal is output in half and output to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and the output signal is output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t is not output 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64.

이와 같이 신호 전력을 분배/합성의 기능을 하는 부품으로는 하이브리드링, 브랜치라인, 방향성 커플러, 3dB방향성 커플러, 매직티등이 있다.As such, components that distribute / synthesize signal power include hybrid rings, branch lines, directional couplers, 3 dB directional couplers, and magic teas.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는 특정 신호전력을 일부 추출하는 기능과 두개 의 특정 신호전력을 합성하는 기능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정신호전력의 합성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제 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으로 같은 크기의 신호가 들어오고,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으로 90도가 입력되고,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180도의 입력되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으로는 신호가 나오지 않고, 제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3)으로 합성된 신호가 나오게 된다.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has a function of partially extracting a specific signal power and a function of synthesizing two specific signal pow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of synthesizing a specific signal power will be described. When the same size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and 174, 90 degrees are inpu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and 180 degrees are input 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The signal is not output to the two micro strip lines 172, but a signal synthesized to the third micro strip line 173 is output.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2,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과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의 상단에 제 2 인쇄회로기판(182)을 위치하게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하로 움직이며 위상을 바꾸도록 되어 있다.7 and 8,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the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82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174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move up and down, and to change phas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to 13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3과 같이, 건물(20)의 인-빌딩에 설치되는 중계 장치(100)는 마스터 유닛(110)과, 다수개의 슬레이브 유닛(120)으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relay device 100 installed in the in-building of the building 20 includes a master unit 110 and a plurality of slave units 120.

상기 건물(20) 내부의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건물(20) 내의 적절한 위치(예를 들어 건물(20) 최상부)에 기지국(미도시 됨)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스터 유닛(110)을 설치한다.In order to cover the shadow area inside the building 20, a master unit 110 is install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of a base station (not shown) at an appropriate location (for example, the top of the building 20) in the building 20. .

상기 마스터 유닛(110)의 신호는 알에프(Radio Frequency) 신호 및 아이에프(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사용한다.The signal of the master unit 110 us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상기 건물(20)의 각 층별에는 슬레이브 유닛(120)이 설치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을 상기 마스터 유닛(110)과 전송 선로(15)에 의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들은 상기 마스터 유닛(110)의 신호를 받아 해당 층별의 신호에 따라서 가변 분배시킴과 아울러 상기 분배된 신호를 그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 안테나 방사 소자(150)를 통해 송수신하여 해당층별 서비스 지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미도시 됨)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2, a slave unit 120 is install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20, and the slave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master unit 110 by a transmission line 15. . In this state, the slave units 120 receive the signal of the master unit 110 and variably distribute the signals according to the floor-specific signals, and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distributed signals therein.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a mobile terminal (not shown) located in the service area for each floor to provide a service.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120)의 하우징(130)에는 가변 분배 장치(140)와 안테나 방사 소자(150)가 일체로 구비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and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housing 130 of the slave unit 120.

이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유닛(110)에 연결된 전송 선로(15)(유선 케이블)를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입력 커넥터(200)에 연결한다.In this state, the transmission line 15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master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20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이때, 상기 입력 커넥터(200)는 상기 가변 분배 장치(140)의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와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input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of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140.

도 3,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마스터 유닛(110)에서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송 선로(15)를 통해 상기 입력 커넥터(200)에 인가하고, 이때, 상기 입력 커넥터(200)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를 통해 신호를 전달 받는다.3, 5, 6 and 7, when the master unit 110 sends a signal, it is applied to the input connector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15, at this time, the input connector 200 )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로 인과된 신호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에 입력되고,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분배하여 90도 위상차에 가지고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신 호는 가변위상기(180)로 인가된다.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causal to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is inpu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through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The power of the input signal is divided in half and output to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with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The output signal is applied to the variable phase 180.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4)에는 상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The signal is not output 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64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상기 가변 위상기(180)는 상기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163)을 통해 신호를 전달 받아 위상을 가변시키고, 상기 위상이 가변된 신호는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174)으로 인가한다.The variable phaser 180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62 and 163 to change a phase, and the signal having the phase shifted signal is formed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1, 4 micro strip lines 171, 174.

상기 가변 위상기(180)에 위상이 변화할 때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에서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로(17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으로 연결된 가변위상기(180)의 위상이 감소하면,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3)에서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연결된 가변위상기(180)의 위상이 증가한다.A variable connected from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62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when the phase changes to the variable phaser 180. When the phase of the phase shifter 180 decreases, the variable phase shifter connected from the third micro strip line 163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 180 phase is increased.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변 위상기(180)의 제1 연결 스트립 라인(182a)의 위상이 10도 감소하면, 상기 가변 위상기(180)의 제2 연결 스트립 라인(182b)의 위상이 10도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1)으로 신호가 들어오면 전력은 반으로 분배되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으로는 90도의 위상이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3)으로는 180도의 위상을 가지고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신호는 가변 위상기(180)에서 위상이 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변 위상기(180)의 제 1 연결 스트립 라인(182a)의 위상이 10도 감소하면,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이 80도가 되고, 가변 위상기(180)의 제 2 연결 스트립 라인(182b)의 위상이 10도 증가하면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이 190도가 되어 위상의 차가 110도가 차이가 난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가변 위상기(180)의 제 1 연결 스트립 라인(182a)의 위상이 10도 증가하면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이 100도가 되고, 가변 위상기(180)의 제 2 연결 스트립 라인(182b)의 위상이 10도 감소하면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이 170도가 되어 위상의 차가 80도가 차이가 난다. In detail, when the phase of the first connection strip line 182a of the variable phaser 180 decreases by 10 degrees, the phase of the second connection strip line 182b of the variable phaser 180 increases by 10 degrees. Done. For example, when a signal enters the first micro strip line 161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power is divided in half so that a phase of 90 degrees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62. 163 is output with a phase of 180 degrees, and the output signal is changed in phase in the variable phaser 18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hase of the first connecting strip line 182a of the variable phaser 180 decreases by 10 degrees,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is 80 degrees. When the phase of the second connecting strip line 182b of the variable phaser 180 is increased by 10 degrees,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becomes 190 degrees. Difference of 110 degrees. On the contrary, when the phase of the first connecting strip line 182a of the variable phaser 180 increases by 10 degrees,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is 100 degrees. When the phase of the second connecting strip line 182b of the variable phaser 180 decreases by 10 degrees,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becomes 170 degrees and the phase Difference of 80 degrees.

상기와 같이 위상의 변화에 따라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3)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배할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utput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72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173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may be distributed.

도 9 및 도 13을 통해 신호의 분배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 하기로 한다. 9 and 13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adjusting the amount of distribution of the signal.

도 9는 가변 위상기(180)는 제1,2 인쇄회로 기판(181)(182)으로 이루어져 있다.9 shows that the variable phaser 180 includes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s 181 and 182.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281)은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160)(170)가 내장 되어 있고 서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2)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은 서로 연결 되어 있고,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3)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은 서로 연결하지 않고 제공한다.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81 includes the first micro coupler 160 and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62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hird micro strip line 163 and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Fourth micro strip line 174 is provided without connecting to each other.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281)의 상부에 적층으로 제 1 연결 스트립 라인(282a)을 형성한 제 2 인쇄회로기판(282)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282)은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160)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3)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을 상기 제 1 연결 스트립 라인(282a)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꾼다.In this state,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82 having a first connection strip line 282a formed in a stack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81 is provide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82 is provide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micro strip line 163 of the first hybrid coupler 160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trip line 282a. In addition to connecting, it also changes the phase of the signal.

상기와 같이, 상기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63)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형의 제 2 인쇄회로기판(282)을 구비하여 상기 신호의 위상을 바꿀수 있어 제품의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small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82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micro strip line 163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to change the phase of the signal may be a part of a product. It can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costs.

상기와 같이 위상의 변화가 없을 경우 0도가 변화 하면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과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위상은 차가 90도이다. 상기와 같이 위상의 변화가 없을 경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170)의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없고, 제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3)으로 모든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If there is no phase change as described above, if the 0 degree changes,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and the signal coming into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are different. 90 degrees. When there is no phase change as described above, no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72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0, and all signals are output to the third micro strip line 173.

상기의 가변 위상기(180)의 위상 변화는 -90도에서 90까지 180도 변화가 가능하며 도 13과 같이 위상의 변화에 따라 제2 하이브리드 커플러(172)의 제2,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173)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의 변화에 따라 전력분배가 이루어 진다.The phase change of the variable phaser 180 may be changed from -90 to 90 degrees by 180 degrees, and the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172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172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as shown in FIG. 13. ),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utput to 173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power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hase.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과 도9와 같이,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1)과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4)으로 들어온 신호의 위상의 차에 의해 전력이 분배되어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과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3)을 통해 분배되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2)으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출력 컨넥터(210)로 전달되고, 제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73)으로 출력된 신호는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인가된다.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3 and 9, the power is distributed by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s coming in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171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174 so that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72. ) And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third micro strip line 173 and output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172 are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21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 The signal output to 173 is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도 12와 같이, 상기 안테나 방사 소자(150)는 인가된 신호를 해당층에 송수신하여 해당층에 구비된 이동 단말기(미도시 됨)에 서비스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2,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transmits and receives an applied signal to a corresponding layer to provide a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not shown)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layer.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변 분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 look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같이, 상기 가변 분배 장치(400)는 윌킨슨 분배기(Wilkinson divider)의 분배 장치와 하이브리드 커플러(42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variable dispensing device 400 includes a dispensing device of a Wilkinson divider and a hybrid coupler 420.

상기 입력 컨넥터(200)로 입력된 신호는 윌킨슨 분배기를 통해 신호가 분배되고 분배된 신호는 제 1,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으로 출력되어 가변 위상기(180)로 인가 된다.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connector 200 is distributed through a Wilkinson splitter, and the divided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and applied to the variable phaser 180.

상기 제 1,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가변 위상기(410)를 통해 가변 위상된 신호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로 입력하여 전력의 반으로 분배함과 아울러 출력되며, 이 출력된 하나의 신호는 출력 커넥터(210)로 인가되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인가된다.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are inputted to the hybrid coupler 420 through a variable phase signal through the variable phaser 410 to distribute the power in half. 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is applied to the output connector 210 and the other signal is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상기 가변 위상기(410)는 신호를 위상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사이에 구비된다.The variable phaser 41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and the hybrid coupler 420 to vary the phase of the signal.

상기 가변 위상기(410)는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은 상기 윌킨슨 분배기와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401)(402)가 내장 되어 있고 서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윌킨슨 분배기의 제 1,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424)이 제공되어 있다.The variable phase divider 410 ha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in which the Wilkinson splitter and the second hybrid coupler 401, 402 are built-in and connect to each other. Strip lines 401 and 402 and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421 and 424 of the hybrid coupler 420 are provided.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12)은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의 제 1,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과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42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도록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의 상부에 적층으로 구비되어 있다.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12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and the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421 of the hybrid coupler 420.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424 and to change the phase of the signal,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is provided in a stack.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411)에는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424)이 제공된다.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is provided with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421 and 424 of the hybrid coupler 420.

이때,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12)에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의 제 1,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42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2 연결 스트립 라인(412a)(412b)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412 includes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and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of the hybrid coupler 420. First and second connecting strip lines 412a and 412b ar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421 and 424.

상기 가변 위상기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과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4)으로 들어온 신호의 위상의 차에 의해 전력이 분배되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2)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3)을 통해 분배되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2)으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출력 컨넥터(210)로 전달되고,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3)으로 출력된 신호는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인가된다.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phaser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nd the power is distributed by the difference of the phase of the signal entering the first microstrip line 421 and the fourth microstrip line 424. The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second micro strip line 422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423 and output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422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21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The signal output to the third micro strip line 423 is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여기서, 본 발명의 도 11에 도시된 가변 분배 장치의 가변 위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phase shifter of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과 같이, 상기 가변 분배 장치(400)의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은 윌킨슨 분배기(Wilkinson divider)의 분배기와 하이브리드 커플러(420)로 이루어져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of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400 includes a divider of the Wilkinson divider and a hybrid coupler 420.

상기 가변 위상기의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은 상기 윌킨슨 분배기와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가 내장 되어 있고 서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윌킨슨 분배기의 제 1,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402)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424)이 제공되어 있다.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of the variable phaser includes the Wilkinson distributor and the second hybrid coupler, and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401 and 402 of the Wilkinson distribu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421 and 424 of the hybrid coupler 420 are provided.

상기 윌킨슨 분배기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과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1)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512)은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2)과 하이브리드 커플러(420)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도록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411)의 상부에 적층으로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micro strip line 401 of the Wilkinson distributor and the first micro strip line 421 of the hybrid coupler 4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12 i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41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micro strip line 402 of the 411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24 of the hybrid coupler 420 and to change the phase of the signal. It is provided by lamination.

상기 가변 위상기의 동작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1)과 제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4)으로 들어온 신호의 위상의 차에 의해 전력이 분배되어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402)과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3)을 통해 분배되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2)으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된 출력 컨넥터(210)로 전달되고, 제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23)으로 출력된 신호는 안테나 방사 소자(150)로 인가된다.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phas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nd the power is distributed by the difference of the phase of the signal coming in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401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24 of the hybrid coupler. The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2 micro strip line 402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423 and output to the second micro strip line 422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21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The signal output to the third micro strip line 423 is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150.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건물의 해당층 별로 신호를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는 가변 분배 장치와 이 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건물내에 제품의 설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가변 분배 장치와 안테나를 함께 구비한 슬레이브 유닛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안테나에 연결되던 전송 선로 및 연결 커넥터가 필요없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varying the signal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by distributing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that distributes the signal and the antenna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signal, it is easy to install and install the product in the building. By configuring the slave unit provided, there is no need for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antenna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Claims (10)

건물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망 중계 장치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lay device used in buildings, 상기 건물내에 설치되어 기지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스터 유닛; 및A master uni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base station; And 상기 건물의 각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의 신호를 받아 해당 층 별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며, 상기 분배된 신호는 그 내측에 일체로 구비된 안테나방사 소자를 통해 송수신하는 다수개의 슬레이브 유닛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It is install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receives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master unit to vary and distribute for each floor, the distributed signa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ave uni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rough an antenna radiating element integrally provided therein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pen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닛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간에는 전송 선로(유선 케이블)를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전송 신호는 알에프(RF)신호 및 아아에프(IF) 신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is connected via a transmission line (wired cable) to transmit a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signal and the RF signal (IF) signal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는, 하우징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ave unit, the housing and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터 유닛의 신호를 전달받아 가변시킴과 아울러 분배하는 가변 분배 장치와,A variable dispensing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ceive and vary a signal of the master unit and to distribute the signal; 상기 가변 분배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 장치와 연결되는 안테나 방사 소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nd an antenna radiating element installed under 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a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분배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입력 커넥터를 통해 상기 신호가 입력되며, 이 신호의 전력의 반으로 분배함과 아울러 출력하는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와,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variable dispensing device comprises: a first hybrid coupler which receives the signal through an input connector provided in the housing, distributes the power in half of the signal, and outputs the same;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이 가변된 신호가 전력의 반으로 분배함과 아울러 출력하고, 이 출력된 하나의 신호는 출력 커넥터에 인가되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위상차를 가지며 안테나 방사 소자로 인가하는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와,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outputs a signal whose phase is variable in half the power,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ne output signal is applied to the output connector, the other signal has a phase difference A second hybrid coupler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사이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신호를 전달 받아 위상을 가변시켜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로 인가하는 가변 위상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The variable distribu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variable phase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change a phase to be applied to a second hybrid coupler. Relay device with a fun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에는 상기 입력 커넥터와 연결됨과 아울러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hybrid coupler is formed with a first micro strip line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and receiving a signal,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분배하여 위상차에 의해 상기 가변 위상기로 인가하는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형성되며,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are formed to divide the power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 strip line in half and apply them to the variable phase by the phase difference.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nd a fourth micro strip line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micro strip line and which does not output the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에는 상기 가변 위상기를 통해 가변 위상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hybrid coupler is formed with a first micro strip line for receiving a variable phase signal through the variable phaser,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력을 반으로 분배하여 위상차에 의해 상기 출력 커넥터로 인가하는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형성되며,A second micro strip line is formed which divides the power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 strip line in half and applies it to the output connector by a phase difference,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력이 반으로 분배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 소자로 인가하는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형성되고,A third micro strip line is formed in which power is distributed in half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 strip line and applied to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상기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위상기를 통해 가변된 위상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nd a fourth micro strip line provided at a neighboring position of the first micro strip line and receiving a variable phased signal through the variable phase shif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위상기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제공된 제 1 인쇄회로기판과,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phaser compris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with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first and fourth micro strip lines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2,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는 제 1, 2 연결 스트립 라인이 형성된 제 2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 signal is provid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in a stack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and third microstrip lines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the first and fourth microstrip lines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as well as the phase of the signal.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strip lines are formed to change the relay li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위상기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인쇄회로기판과,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phaser connects the secon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the first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to each other,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providing a fourth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는 제 1 연결 스트립 라인이 형성된 제 2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 first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o electrically connect a thir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a fourth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and to change a phase of a signal;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nnecting strip line formed therei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위상기는,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제공하는 제 1 인쇄회로기판과,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phaser connects the secon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the first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to each other, and the thir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providing a fourth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신호의 위상을 바꾸는 위상 변환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A phase shift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o electrically connect a third micro strip line of the first hybrid coupler and a fourth micro strip line of the second hybrid coupler, and to change a phase of a signal. Relay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spen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위상기는, 상기 제 1, 2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를 가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2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 1, 2, 3, 4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길이를 가변시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음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배 기능을 갖는 중계 장치.5. The variable phase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phase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s and to vary the lengt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icrostrip 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ouplers. A relay device having a variable distribu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of a signal can be adjusted.
KR1020050065317A 2005-07-19 2005-07-19 Repeater KR100883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17A KR100883403B1 (en) 2005-07-19 2005-07-19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17A KR100883403B1 (en) 2005-07-19 2005-07-19 Repea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713A Division KR100986643B1 (en) 2008-12-09 2008-12-09 Variable dividing device and repeater using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594A true KR20070010594A (en) 2007-01-24
KR100883403B1 KR100883403B1 (en) 2009-03-03

Family

ID=3801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317A KR100883403B1 (en) 2005-07-19 2005-07-19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4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56B1 (en) * 2009-02-24 2010-04-23 허재용 Common use wireless network integr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034A (en) * 1999-05-17 2000-12-05 구관영 Ultra-slim Repeater with Variable Attenuator
KR20040067224A (en)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조양산업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56B1 (en) * 2009-02-24 2010-04-23 허재용 Common use wireless network integr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403B1 (en) 2009-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770B2 (en) Flexible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a wideband antenna device
US8428033B2 (en) Radio frequency network
JP3892483B2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pparatus for coupling antenna array to a plurality of receivers
US7103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to-band transl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051860B (en) Feed network device, aerial feed subsystem and base station system
JP2001513969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04363A1 (en) Radio lan antenna
US8472437B2 (en) Wireless chip-to-chip switching
KR20100118405A (en) In-building repeater applicable to multi input multi output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0943164A1 (en) Antenna system for enhancing the coverage area, range and reliability of wireless base stations
CA2313930A1 (en) Side-to-side repeater and adaptive cancellation for repeater
US11637619B2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KR100875521B1 (en) Variable distribution unit for multiband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883403B1 (en) Repeater
US7616165B2 (en) Multiple band antenna arrangement
KR100375143B1 (en) Modular and distributed radio unit architecture and dual carrier connection apparatus using same antennas
KR100986643B1 (en) Variable dividing device and repeater using the device
KR100748337B1 (en) Dual-Polarization Diversity Active Microstrip Antenna
KR100960237B1 (en) IF repea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954256B1 (en) Common use wireless network integrating apparatus
CN103563167A (en)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different functional modes
WO2001001582A2 (en) Integrated adaptive phased arrays and sector antennas
US8369268B2 (en) Multiple device to one-antenna combining circuit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24007210A1 (en) Smart antenna for optical network terminals and indoor opti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