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573A -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573A
KR20070010573A KR1020050065293A KR20050065293A KR20070010573A KR 20070010573 A KR20070010573 A KR 20070010573A KR 1020050065293 A KR1020050065293 A KR 1020050065293A KR 20050065293 A KR20050065293 A KR 20050065293A KR 20070010573 A KR20070010573 A KR 2007001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speaker
polarizing film
a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상
어기한
윤해영
김상우
임재익
이승규
차성은
장영주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573A/en
Priority to CNA2006101058170A priority patent/CN1900748A/en
Priority to JP2006197361A priority patent/JP2007028641A/en
Priority to US11/489,307 priority patent/US20070019134A1/en
Publication of KR2007001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5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A hybrid polarization film,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have a sound output function by including a speaker film. A polarization film(110) includes a polarizer layer transmitting light of incident light having an axis parallel to a polarization axis. A speaker film(130) is disposed on the polarization film and radiates a sound wave by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to vibrations. A vibration activating layer(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ation film and the speaker film, and activates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Line units (151,1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and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he speaker film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and a piezoelectric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ybrid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ybrid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3A to 3E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ybrid polarizing film illustrated in FIG. 1.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4A and 4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6A and 6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7은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7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on active layer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의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표시 패널 모듈의 동작 모드에 따른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10A and 10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llustrated in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의 평면도이다. 1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II-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음원 출력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FIG. 1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illustrated in FIG. 1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210 : 편광 필름 120, 220 : 진동 활성층110, 210: polarizing film 120, 220: vibration active layer

130, 230 : 스피커 필름 151, 152 : 배선부130, 230: speaker film 151, 152: wiring section

400 : 표시 패널 510 : 타이밍 제어부 400: display panel 510: timing controller

520 : 전압 발생부 530 : 기준감마전압발생부520: voltage generator 530: reference gamma voltage generator

540 : 소스 구동부 550 : 게이트 구동부540: source driver 550: gate driver

570 : 표시부 570: display uni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polarizing film,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polarizing film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한다. 최근 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서 경량화 및 소형화 특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LCD)가 휴대용 단말기에서부터 대형 텔레비전까지 폭넓게 채용되고 있다. In general, display devices include a cathode ray tube (CRT),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having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s have been widely used, ranging from portable terminals to large televisions,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상기와 같이 경량화 및 소형화된 표시 장치에 비해 음향 장치는 자석과 코일, 진동판을 이용한 자기 구동 방식의 스피커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기 구동 방식의 스피커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한계를 갖는다. 자석의 두께를 줄이거나 진동판의 두께를 줄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경우 음향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Compared with the lighter and smaller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device employs a magnet-driven speaker using a magnet, a coil, and a diaphragm. However, the speaker of the magnetic drive method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When the thickness of the magnet is reduced or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is reduced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und quality is degraded.

이에 따라서 소형화 및 경량화의 단점을 갖는 표시 장치에 적합한 음향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acoustic device suitable for a display device having disadvantages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polarizing film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hybrid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이브리드 편광 필름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hybrid polarizing fil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 스피커 필름, 진동 활성층 및 배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 필름은 입사광 중 편광축과 평행한 축을 가지는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 위에 배치되어,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진동 활성층은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스피커 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의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스피커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Hybrid typ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film, a speaker film, a vibration active layer and a wiring portion.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a polarizer layer for transmitting light having an axis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among incident light. The speaker film is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to emit sound waves. The vibration act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peaker film to activat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The wir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to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편광 필름 원단 위에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활성층 위에 스피커 필름 원단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 필름 원단이 접착된 제1 결과물을 표시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제2 결과물의 진동 활성층 일단부에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2 전극 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도성 접착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ybrid polarizing film, including: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fabric including a polarizer layer, forming a vibration active layer on the fabric of the polarizing film; Bonding a speaker film fabric to the vibration active layer, cutting the first product bonded to the speaker film fabric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and at one end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of the cut second product Form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bon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oat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on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and first wirings and seco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adhesive, respectively. Forming a wiring.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소스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음원 출력부 및 편광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구 동부는 입력된 제1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의 제2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배선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음원 출력부는 입력된 제1 음원 신호를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편광축과 평행한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음원 신호에 응답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source wire 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a gate wire includes a source driver, a gate driver, a sound source output unit, and a polarizing member. do. The source unit converts the input first data signal into an analog second data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econd data signal to the source wiring line. The gate driver outputs a gate signal to the gate wiring.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converts the input first sound source signal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s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The polarizing memb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transmit light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and output an acoustic sig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편광 필름이 음향 출력 기능을 갖으며,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기능은 물론 경박단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hybrid polarizing film,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he polarizing film has an audio output function, and the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polarizing film can achieve a light output function as well as light and small siz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ybrid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100)은 투과형 편광 필름(110), 진동 활성층(120), 스피커 필름(130), 보호 필름(140) 및 배선부(151, 15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ybrid type polarizing film 100 includes a transmission type polarizing film 110, a vibration active layer 120, a speaker film 130, a protective film 140, and wiring portions 151 and 152.

상기 투과형 편광 필름(110)은 압력 감지 점착층(Pressure Sensitivity Adhesive layer ; PSA)(111), 제1 보호층(TAC;Triacetylcellulose)(112), 편광자층(PVA;Polyvinylalcohol)(113) 및 제2 보호층(TAC;Triacetylcellulose)(114)을 포함한다. The transmissive polarizing film 110 may includ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SA) 111, a first protective layer (TAC; Triacetylcellulose) 112, a polarizer layer (PVA), and a polyvinylalcohol (113). A protective layer (TAC; Triacetylcellulose) 114 is included.

상기 압력 감지 점착층(111)은 점착제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이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점착제로는 아크릴계나 고무계의 점착제, 혹은 상기 점착제에 굴절율을 조정하기 위해서 질코니아 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킨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1 is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and is adhered by a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 acrylic or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r an adhesive containing fine particles such as zirconia in order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an be used.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112, 114)은 상기 편광자층(113)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112, 114)은 트리아세텔셀룰로스(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수지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명보호필름은 표면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다.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layers 112 and 114 ar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layer 113, respectively, and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layers 112 and 114, an acetate-based resin such as triacetelcellulose (TAC) is general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hich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point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urability, etc. is a triacetyl cellulose film which saponified the surface with alkali etc.

상기 편광자층(113)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편광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킨다. 즉, 편광축과 평행한 광축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킨다. The polarizer layer 113 divides incident light into two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transmits only one of them, and absorbs or disperses the other components. That is, only light having an optical axis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is transmitted.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상기 제2 보호층(114) 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보호층(114) 위에 표면 처리 기술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공기층을 포함하거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일단부에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금속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체(121)가 형성된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s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14. That is, it is formed through the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14, and activates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130.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ncludes an air layer o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end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has a conductor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130.

상기 스피커 필름(130)은 상기 압전 필름(131)과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132) 및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133)을 포함한다. The speaker film 130 may include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formed on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133.

상기 압전 필름(131)은 전기신호인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 한다. 상기 압전 필름(321)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 Polyvinylidenfluoride)와 그 유도체로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film 131 emits sound waves by converting it into mechanical vibration,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The piezoelectric film 321 is formed of polyvinyliden fluoride (PVDF) and derivatives thereof.

또한, HFP(hexafluoropropylene)등의 첨가물을 넣은 PVDF-HFP 고분자 혼합물(blend) 및 VDF/TrFE(Vinylidenefluoride/Trifluorethylene) 등의 혼성 중합체(copolymer)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은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압전 필름(131)을 구동시켜 음파를 방사시킨다.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y selecting from a group consisting of PVDF-HFP polymer mixture (blend) and VDF / TrFE (Vinylidenefluoride / Trifluorethylene) containing an additive such as HFP (hexafluoropropylene). Electrical signals a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and the piezoelectric film 131 is driven to emit sound waves.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은 투면 전도성 물질로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1 및 제2 면에 코팅된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 IZO) 또는 인듐-틴-징크 옥사이드(Indium-Tin-Zinc-Oxide)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are co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dium-Tin-Oxide (ITO), Indium-Zinc-Oxide (IZO) or Indium-Tin-Zinc-Oxide It includes.

상기 보호 필름(142)은 일면에 전도성 접착제(141)가 도포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 필름(142)은 상기 전도성 접착제(141)를 통해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2 금속 전극(133)과 접촉되며,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일단에서 일정 길이 확장되어 배치된다. The protective film 14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oat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141 on one surface. The protective film 142 contacts the second metal electrode 133 of the speaker film 130 through the conductive adhesive 141,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speaker film 130.

상기 배선부(151, 152)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금속 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1 배선(151)과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2 금속 전극(133)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2 배선(152)을 포함한다. The wiring units 151 and 152 may include the first wiring 1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of the speaker film 130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133 of the speaker film 130. The second wire 152 is in electrical contact.

상기 제1 배선(151)은 상기 제1 금속 전극(132)과 접촉된 전도체(121)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선(152)은 상기 제2 금속 전극(133)과 접촉된 전도성 접착제 (141)와 접촉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선(151, 152)은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에 음원 신호를 인가한다.The first wire 151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121 in contact with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wire 15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tal electrode 133. ).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apply sound source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of the speaker film 13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ybrid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200)은 반사-투과형 편광 필름(210), 진동 활성층(220), 스피커 필름(230), 보호 필름(240) 및 배선부(251, 25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hybrid polarizing film 200 includes a reflection-transmissive polarizing film 210, a vibrating active layer 220, a speaker film 230, a protective film 240, and wiring portions 251 and 252. Include.

상기 반투과형 편광 필름(210)은 제1 압력 감지 점착층(PSA)(211), 위상차층(212), 제2 압력 감지 점착층(PSA)(213), 제1 보호층(TAC)(214), 편광자층(PVA)(215), 제2 보호층(TAC)(216)을 포함한다. The transflective polarizing film 210 may include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SA) 211, a retardation layer 212,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SA) 213, and a first protective layer (TAC) 214. ), A polarizer layer (PVA) 215,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TAC) 216.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점착층(211, 213)은 점착제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점착제로는 아크릴계나 고무계의 점착제, 혹은 상기 점착제에 굴절율을 조정하기 위해서 질코니아 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킨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s 211 and 213 are formed in a film form including an adhesive, and are adhered by a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 acrylic or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r an adhesive containing fine particles such as zirconia in order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an be used.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214, 216)은 상기 편광자층(215)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214, 216)은 바람직하게 트리아세텔셀룰로스(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수지로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layers 214 and 216 ar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layer 215, respectively, and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layers 214 and 216 are preferably formed of an acetate resin such as triacetelcellulose (TAC).

상기 편광자층(215)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편광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킨다. The polarizer layer 215 divides incident light into two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transmits only one of them, and absorbs or disperses the other components.

상기 위상차층(212)은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바꾸는 기능을 한다. 즉, 선편 광을 좌 또는 우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좌 또는 우원편광을 45° 또는 135°의 선편광으로 바꾼다. The retardation layer 212 functions to change the polarization state of incident light. That i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changed into left or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the left or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chang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of 45 ° or 135 °.

상기 진동 활성층(220)은 상기 제2 보호층(216) 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보호층(216) 위에 표면 처리 기술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진동 활성층(220)은 공기층을 포함하거나, 탄성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 활성층(220)은 일단부에는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제1 금속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체인 연결부(221)가 형성된다.The vibration active layer 220 is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16. That is,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216 through a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it activates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230. The vibration active layer 220 includes an air layer o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end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220 has a connecting portion 221, which is a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230.

상기 스피커 필름(230)은 상기 압전 필름(231)과 상기 압전 필름(23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232) 및 상기 압전 필름(23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233)을 포함한다. The speaker film 230 includes a first metal electrode 232 formed on the piezoelectric film 231 and a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231, and a second metal electrode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231. 233.

상기 압전 필름(231)은 전기신호인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압전 필름(321)은 바람직하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fluoride:PVDF)와 그 유도체로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film 231 converts the mechanical vibration,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to emit sound waves. The piezoelectric film 321 is preferably formed of polyvinylidenfluoride (PVDF)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232, 233)은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압전 필름(231)을 구동시켜 음파를 방사시킨다.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232 and 233, and drives the piezoelectric film 231 to emit sound waves.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232, 233)은 투면 전도성 물질로 상기 압전 필름(231)의 제1 및 제2 면에 코팅된다.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232 and 233 are co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231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보호 필름(242)은 일면에 전도성 접착제(141)가 도포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 필름(242)은 상기 전도성 접착제(241)를 통해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제2 금속 전극(233)과 접촉되며,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일단에서 일 정길이 확장되어 배치된다. The protective film 24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oat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141 on one surface. The protective film 24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tal electrode 233 of the speaker film 230 through the conductive adhesive 241,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speaker film 230.

상기 배선부(251, 252)는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제1 금속 전극(232)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1 배선(251)과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제2 금속 전극(233)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2 배선(252)을 포함한다. The wiring units 251 and 252 may include the first wiring 251 electrically contacting the first metal electrode 232 of the speaker film 230,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233 of the speaker film 230. The second wire 252 is in electrical contact.

상기 제1 배선(251)은 상기 제1 금속 전극(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221)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배선(252)은 상기 제2 금속 전극(233)과 접촉된 전도성 접착제(241)와 접촉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선(251, 252)은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232, 233)에 각각 연결되어 음원 신호가 인가된다. The first wire 251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232, and the second wire 25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tal electrode 233. 241).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wires 251 and 25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232 and 233 of the speaker film 230, respectively, to receive a sound source signal.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3A to 3E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ybrid polarizing film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투과형 편광 필름(110)을 롤 타입으로 각각 권취된 원단 필름들, 즉, 압력감지 점착필름(111), 제1 보호필름(112), 편광자 필름(113) 및 제2 보호필름(114)들은 라미네이팅 장치를 통해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제1 편광부재(F1)를 제조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3A, the transmissive polarizing film 110 is formed of roll-type rolled film, that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111, a first protective film 112, a polarizer film 113,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s 114 are laminated through a laminating apparatus to manufacture the first polarizing member F1.

이 후, 상기 제1 보호 필름(112) 위에 표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진동 활성층(120)을 형성하여 제2 편광 부재(F2)가 제조된다.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상기 편광 필름(110) 위에 배치되는 스피커 필름(130)의 진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층으로, 공기층을 포함하는 엠보싱층 및 기포층(또는 버블층)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스페이서가 포함된 탄성을 갖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Thereafter, the vibrating active layer 120 is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112 by using a surface treatment technique to manufacture the second polarizing member F2.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s a layer for activating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130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110, and includes an embossing layer including an air layer and a bubble layer (or a bubble layer). Alternatively,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cluding a spacer.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원단의 스피커 필름(130)을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해 상기 제2 편광 부재(F2) 위에 접착시켜 제3 편광 부재(F3)를 제조한다. 상기 필름 스키퍼(130)는 상기 압전 필름(131)과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132) 및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13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3B and 3C, the speaker film 130 made of fabric is bonded onto the second polarizing member F2 using a conductive adhesive to manufacture a third polarizing member F3. The film skipper 130 may include a first metal electrode 132 formed on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a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a second metal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133.

이후, 편광 필름(110)에 스피커 필름(130)이 접착된 상기 제3 편광 부재(F3)를 각각의 해당하는 표시 패널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제4 편광 부재(F4)를 제조한다. Thereafter, the third polarizing member F3 having the speaker film 130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110 is cut to fit the size of each corresponding display panel to manufacture the fourth polarizing member F4.

상기 진동 활성층(120)의 일단부에 액상 전도체를 주입하여 연결부(121)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21)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 일단의 제1 금속 전극(132)과 접촉되어 상기 제1 금속 전극(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iquid crystal conductor is injected into one end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121. The connection part 12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of one end of the speaker film 13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제4 편광 부재(F4) 위에 전도성 접착층(141)이 형성된 보호 필름(142)을 부착시켜 제5 편광 부재(F5)를 제조한다.3D and 3E, a fifth polarizing member F5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 protective film 142 hav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141 formed on the fourth polarizing member F4.

상기 전도성 접착층(141)은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2 금속 전극(133)과 접촉되며, 상기 보호 필름(142)은 상기 스피커 필름(130) 타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된 단부를 갖는다.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4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tal electrode 133 of the speaker film 130, and the protective film 142 has an e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speaker film 130.

이후, 상기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배선(151, 152)을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121)와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타단에 배치된 단부에 각각 연결시킨다. 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formed of the metal material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21 formed at one end of the speaker film 130 and the end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peaker film 130, respectively. .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배선(151, 152)은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스피커 필름(130)의 입력 단자 기능을 수행한다.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of the speaker film 130 so that the sound source signal is input. Perform the input terminal func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4A and 4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 필름(110)의 보호층(TAC) 위에 합성 수지(321)를 도포한다. 엠보싱 형상의 음각을 갖는 금형틀(311)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 수지(321)를 가압한다. 4A and 4B, the synthetic resin 321 is coated on the protective layer TAC of the polarizing film 110. The synthetic resin 321 is pressurized using a mold 311 having an embossed engraved shape.

이에 의해 양각의 엠보싱 형상을 갖는 진동 활성층(322)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 활성층(322)은 볼록부(322a)와 오목부(322b)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332b)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As a result, a vibrating active layer 322 having a raised embossed shape is formed. The vibration active layer 322 includes a convex portion 322a and a concave portion 322b,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332b.

상기 합성 수지(331)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등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와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를 포함한다.The synthetic resin 331 is an acrylic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acrylates, epoxy acrylates, polyester acrylates, urethane acrylates, oligomers, acetophenones, benzophenones, and thikes It includes a santon system.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 필름(110)의 보호층(TAC) 위에 합성 수지(323)를 도포한다. 이 후, 개구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312)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수지(323)를 패터닝하여 진동 활성층(324)을 형성한다. 5A and 5B, a synthetic resin 323 is coated on the protective layer TAC of the polarizing film 110. Thereafter, the synthetic resin 323 is patterned using a mask 312 having an opening pattern to form a vibrating active layer 324.

상기 진동 활성층(324)은 볼록부(324a)와 오목부(324b)를 포함하며, 상기 오 목부(324b)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324 includes a convex portion 324a and a concave portion 324b,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324b.

상기 합성 수지(331)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등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와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를 포함한다.The synthetic resin 331 is an acrylic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acrylates, epoxy acrylates, polyester acrylates, urethane acrylates, oligomers, acetophenones, benzophenones, and thikes It includes a santon system.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6A and 6B are process diagram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FIG. 1.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 필름(110)의 보호층(TAC) 위에 합성 수지(325)를 도포한다. 이 어, 고압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나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와 같은 발포제(GAS)를 상기 합성 수지(325) 내에 용해시킨다. 상기 발포제가 혼합된 합성 수지(325)를 감압 및 가열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합성 수지(325) 내의 발포제가 성장함에 따라 기포(325a)가 생성된다. 6A and 6B, a synthetic resin 325 is coated on the protective layer TAC of the polarizing film 110. In this way, a blowing agent (GAS) such as inert gas such as carbon dioxide or nitrogen is dissolved in the synthetic resin 325 in a high pressure state. The synthetic resin 325 mixed with the blowing agent is depressurized and heated. As a result, as the blowing agent in the synthetic resin 325 grows, bubbles 325a are generated.

결과적으로 상기 편광 필름(110)의 보호층(TAC) 위에는 기포(325a)가 형성된 진동 활성층(325)이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vibration active layer 325 having the bubbles 325a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TAC of the polarizing film 110.

도 7은 도 1의 진동 활 성층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들이다. 7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orming the vibration active layer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 필름(110)의 보호층(TAC) 위에 합성 수지(327)를 도포한다. 상기 합성 수지(327)는 스페이서(327a)가 포함되고, 탄성을 갖는 투명 점착제이다. Referring to FIG. 7, a synthetic resin 327 is coated on the protective layer TAC of the polarizing film 110. The synthetic resin 327 includes a spacer 327a and is a transparent adhesive having elasticity.

상기 합성 수지(327)는 상기 스페이서(327a)에 의해 스피커 필름(130)와 편 광 필름(110) 간의 갭을 유지하며, 상기 탄성을 갖는 투명 점착제에 의해 상기 스피커 필름(13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즉, 상기 투명 점착제가 공기층의 역할을 수행한다. The synthetic resin 327 maintains a gap between the speaker film 130 and the polarizing film 110 by the spacer 327a and vibrates generated from the speaker film 130 by the transparent adhesive having elasticity. Activate That is, the transparent adhesive serves as an air lay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 모듈은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부 편광 부재(200)와 하부 편광 부재(210-1)를 포함한다.8 and 9, the display panel modul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n upper polarizing member 200 and a lower polarizing member 210-1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00, respectively. do.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어레이 기판(410)과, 상기 어레이 기판(410)에 대항하는 대향 기판(420) 및 상기 기판들(410, 4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430)을 포함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00 includes an array substrate 410, an opposing substrate 420 facing the array substrate 410, and a liquid crystal layer 430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s 410 and 420. .

상기 어레이 기판(410)은 게이트 배선들(Gn)과 소스 배선들(DLm-1, DLm, DLm+1)과, 스토리지 공통 배선(419) 및 복수의 화소부들(P)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401)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부(P)는 스위칭 소자(TFT)와,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연결된 화소 전극(416)과, 상기 화소 전극(416)의 일부에 형성되어 반사부(RA)와 투과부(TA)를 정의하는 반사 전극(417)을 포함한다.The array substrate 410 is a first base substrate on which gate lines Gn and source lines DLm-1, DLm, and DLm + 1, a storage common line 419, and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P are formed. 401. The pixel portion P is formed on a switching element TFT, a pixel electrode 416 connected to the switching element TFT, and a portion of the pixel electrode 416 to reflect the RA and the transmission TA. It includes a reflective electrode 417 to define.

상기 스위칭 소자(TFT)는 게이트 배선(GLn)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411)과, 데이터 배선(DLm+1)과 연결된 소스 전극(413) 및 상기 화소 전극(416)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414)을 포함한다. The switching element TFT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411 connected to a gate line GLn, a source electrode 413 connected to a data line DLm + 1, and a drain electrode 414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416. Include.

상기 게이트 배선(GLn), 게이트 전극(411) 및 스토리지 공통배선(419) 위에 는 게이트 절연층(402)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411)과 소스-드레인 전극(413, 414) 사이의 상기 게이트 절연층(402) 위에는 채널층(412)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층(412)은 아몰퍼스 실리콘층(412a) 및 인 시튜(in-situ)도핑된 n+ 아몰퍼스 실리콘층(412b)을 포함한다.A gate insulating layer 402 is formed on the gate line GLn, the gate electrode 411, and the storage common line 419. A channel layer 412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402 between the gate electrode 411 and the source-drain electrodes 413 and 414. The channel layer 412 includes an amorphous silicon layer 412a and an in-situ doped n + amorphous silicon layer 412b.

상기 데이터 배선(DLm+1), 소스 전극(413) 및 드레인 전극(414) 위에는 패시베이션층(403)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RA)에 대응하는 상기 패시베이션층(403) 위에는 유기막(404)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막(404)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요철 형상으로 패터닝된다. 상기 요철은 상기 반사부(RA)에서 마이크로 반사 렌즈 역할을 하여 외부광을 산란시킨다. 물론, 상기 유기막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도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403 is formed on the data line DLm + 1, the source electrode 413, and the drain electrode 414. An organic layer 404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403 corresponding to the reflector RA. The surface of the organic film 404 is preferably patterned into an uneven shape. The unevenness serves as a micro reflective lens in the reflecting part RA to scatter external light. Of course, the surface of the organic film may be planarized.

상기 드레인 전극(414) 위에 형성된 상기 패시베이션층(403)과 유기막(404)의 일부분은 제거되어 콘택홀(415)이 형성된다. A portion of the passivation layer 403 and the organic layer 404 formed on the drain electrode 414 is removed to form a contact hole 415.

상기 콘택홀(415)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416)과 상기 드레인 전극(414)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416)은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 전극으로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IZO) 물질이 사용된다. The pixel electrode 416 and the drain electrode 4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hole 415. The pixel electrode 416 is a transparent electrode that transmits light, and indium tin oxide (ITO) and indium zinc oxide (IZO) materials are used.

상기 화소 전극(416) 위에는 반사 전극(417)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RA)를 정의한다. 상기 반사 전극(417)은 광을 반사시키는 일종의 금속패턴으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네오디뮴 합금 등이 사용된다. The reflective electrode 417 is partially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416 to define the reflective part RA. The reflective electrode 417 is a kind of metal pattern that reflects light, and aluminum or aluminum-neodymium alloy is used.

상기 대향 기판(420)은 제2 베이스 기판(421)을 포함한다. The opposing substrate 420 includes a second base substrate 421.

상기 제2 베이스 기판(421)위에는 차광층(422)이 형성된다. 상기 차광층(422)은 일반적으로 어레이 기판(410)의 소스 배선들(DLm-1, DLm, DLm+1)과 게이트 배선들(GLn)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The light blocking layer 422 is formed on the second base substrate 421. The light blocking layer 422 is generally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urce lines DLm-1, DLm, and DLm + 1 and the gate lines GLn of the array substrate 410.

여기서는 상기 소스 배선들(DLm-1, DLm, DLm+1)의 아래에 형성된 스토리지 공통 배선(419)이 상기 소스 배선들(DLm-1, DLm, DLm+1) 각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광층(422)을 상기 게이트 배선들( GLn)에 대응해서만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common wiring 419 formed under the source wirings DLm-1, DLm, and DLm + 1 may sufficiently cover each of the source wirings DLm-1, DLm, and DLm + 1. When formed to have a siz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422 may be formed only corresponding to the gate lines GLn.

상기 차광층(422)이 형성된 제2 베이스 기판(421) 위에 컬러필터층(423)을 형성한다. 상기 컬러필터층(423)은 레드, 그린 및 블루 필터패턴들을 포함한다. The color filter layer 423 is formed on the second base substrate 421 on which the light blocking layer 422 is formed. The color filter layer 423 includes red, green, and blue filter patterns.

상기 컬러필터층(423)의 일부분, 즉 상기 반사부(RA)에 해당하는 컬러필터층(423)의 일부분에는 상기 컬러필터층(423)이 제거되어 라이트 홀(LH)이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423) 위에는 오버 코트층(424)과 공통전극층(425)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The color filter layer 423 is removed from a portion of the color filter layer 423, that is, a portion of the color filter layer 423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part RA, to form a light hole LH. The overcoat layer 424 and the common electrode layer 425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color filter layer 423.

상기 액정층(430)은 상기 투과부(TA)에 대응하여 제1 셀 갭(2ㆍ△nd)을 가지며, 상기 반사부(RA)에 대응하여 제2 셀 갭(△nd)을 갖는다. 즉, 상기 반사부(RA)와 투과부(TA)의 광 경로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셀 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여기서는 어레이 기판(410)에 유기막(404)을 이용하여 셀 갭을 다르게 형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상기 대향 기판(420)의 오버 코팅층(424)을 이용하여 셀 갭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has a first cell gap 2 Δn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ve part TA, and has a second cell gap Δnd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ve part RA. That is, in order to make the optical paths of the reflecting part RA and the transmitting part TA substantially the same, the cell gaps are formed differently. Herein, an example in which the cell gap is formed differently using the organic layer 404 on the array substrate 410 may be differently formed using the overcoating layer 424 of the counter substrate 420.

상기 상부 편광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반사-투과형 편광 부재이다. The upper polarizing member 200 is a reflection-transmissive polarizing member shown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편광 부재(200)는 반사-투과형 편광 필름(210), 진동 활성층(220), 스피커 필름(230), 보호 필름(240) 및 배선부(251, 252)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투과형 편광 필름(210)은 입사광을 선편광에서 좌 또는 우원편광을 변화시켜 출사하거나, 입사광을 좌 또는 우원편광에서 선편광으로 변화시켜 출사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pper polarizing member 200 includes a reflective-transmissive polarizing film 210, a vibrating active layer 220, a speaker film 230, a protective film 240, and wiring portions 251 and 252. do. The reflection-transmissive polarizing film 210 emits incident light by changing left or right polarized light in linearly polarized light or emits incident light by changing left or right polarized light in linearly polarized light.

상기 스피커 필름(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251, 252)는 음원 출력부(미도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전기신호인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스피커 필름(230)는 상기 음원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시킨다. The wiring units 251 and 2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230 are connected to output terminals of a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to receive a sound source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film 230 converts the sound source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 to emit sound waves.

상기 진동 활성층(220)은 상기 반사-투과형 편광 필름(210)과 스피커 필름(2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230)의 진동을 활성화시켜 음질 및 음향을 향상시킨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220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on-transmissive polarizing film 210 and the speaker film 230 to activate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230 to improve sound quality and sound.

상기 하부 편광 부재(210-1)는 상기 반사-투과형 편광 필름(21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상기 하부 편광 부재(210-1)는 입사광을 선편광에서 좌 또는 우원편광을 변화시켜 출사하거나, 입사광을 좌 또는 우원편광에서 선편광으로 변화시켜 출사한다.  The lower polarizing member 210-1 has the same component as the reflective-transmissive polarizing film 210. The lower polarizing member 210-1 emits incident light by changing left or right polarized light from linearly polarized light, or emits incident light from left or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linearly polarized light.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표시 패널 모듈의 동작 모드에 따른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상기 표시 패널 모듈은 전압 미인가시 화이트 컬러를 나타내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액정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상부 편광 부재(200)는 제1 편광층(215), 제1 위상차층(212)를 포함하고, 하부 편광 부재(210-1)는 제2 편광층(215-1), 제2 위상차층(212-1)을 포함한다. 10A and 10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llustrated in FIG. 8. The display panel module includes a liquid crystal in a normally white mode that exhibits a white color when no voltage is applied. In addition, the upper polarization member 200 includes a first polarization layer 215 and a first retardation layer 212, and the lower polarization member 210-1 includes a second polarization layer 215-1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12-1.

<반사 모드 동작시><In reflection mode operation>

도 10a를 참조하면, 반사 모드 동작시, 액정에 가해지는 전압이 없을 때 외부 입사광이 상기 제1 편광자층(215)을 통과한 다음 선편광이 되고, 다시 상기 제1 위상차층(212)을 통과해 좌원편광이 된다. 물론 우원편광일 수도 있다. 여기서, 위상차층(212)은 λ/4 만큼 위상을 변화시킨다. Referring to FIG. 10A, in the reflection mode operatio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external 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and then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f course, it could be right polarized light. Here, the phase difference layer 212 changes phase by λ / 4.

상기 원편광이 상기 액정층(430)을 통과하는데, 이때 상기 액정층(430)은 액정에 가해지는 전압이 없으므로 수평 배열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수평 배열 상태의 액정층(430)에 의해 좌원편광은 위상이 λ/4만큼 변하여 선편광이 된 후, 상기 선편광이 상기 반사 전극(417)에 반사되어 상기 액정층(430)을 다시 지나면서 λ/4만큼 위상이 변하여 좌원편광이 된다. 상기 반사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430)은 상기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Δnd의 광학 특성을 갖는다.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Since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intains a horizontal arrangement because there is no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caused by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n such a horizontal arrangement. After the phase is changed by λ / 4 to become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electrode 417 and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gain to change the phase by λ / 4 to becom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mode has an optical characteristic of Δnd as shown in FIG. 9.

상기 좌원편광이 상기 제1 위상차층(212)을 지나면 처음에 입사한 광과 동일한 선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제1 편광자층(215)을 경유하여 광이 투과하여 화이트 컬러를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into the same linearly polarized light as the first incident light, and then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to display a white color.

한편, 상기 액정층(430)에 가해지는 전압이 있을 때, 외부 입사광이 상기 제1 편광자층(215)을 통과한 다음 선편광이 되고, 다시 상기 제1 위상차층(212)을 통과하여 좌원편광이 된다.Meanwhile, when there is a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external 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and then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gain,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do.

상기 좌원편광이 상기 액정층(430)을 통과하는데, 이때 상기 액정층(430)은 액정에 가해진 전압에 의해 수직 배열되므로 좌원편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액정층(430)을 통과한 좌원편광은 상기 반사 전극(417)에 반사되어 우원편광이 되 며, 상기 우원편광은 상기 액정층(430)을 다시 지나 상기 제1 위상차층(212)에 의해 위상이 λ/4만큼 변하여 λ/4 지연된 선편광이 된다. 상기 선편광이 상기 제1 편광자층(215)을 경유하면서 광이 소실되어 블랙 컬러를 디스플레이한다.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n this case, since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vertically arranged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passed through as i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electrode 417 becomes a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gain by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the phase is changed by λ / 4 delayed λ / 4 delayed linearly polarized light Becomes While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the light is lost to display a black color.

<투과 모드 동작시><Transmission mode operation>

도 10b를 참조하면, 투과 모드 동작시, 상기 액정층(430)에 가해지는 전압이 없을 때,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광은 상기 제1 편광자층(215-1)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2 위상차층(212-1)에 의해 우원편광으로 변환되며, 상기 투명전극(150)을 경유하여 상기 액정층(430)에 인가된다. 여기서, 제2 위상차층(212-1)은 λ/4 만큼 위상을 변화시킨다. Referring to FIG. 10B, when there is no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n the transmission mode operation, light provided from a backlight assembly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1 to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image is converted into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by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12-1 and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via the transparent electrode 150. Here,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12-1 changes the phase by λ / 4.

상기 투과 모드에 대응하는 액정층(430)은 상기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430)의 광학 특성인 Δnd2의 2배인 2ㆍ Δnd의 광학 특성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9,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has an optical characteristic of 2 · Δnd which is twice the optical characteristic of Δnd2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mode.

우원편광이 인가되는 상기 액정층(430)에는 전압이 미인가되므로 수평 배열 상태를 유지하고, 수평 배열된 액정층(430)에 의해 좌원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제1 위상차층(212)에 의해 위상이 λ/4 변환되어 선편광이 된다. 이때 변환된 선편광은 상기 제1 편광자층(215)을 통과하여 화이트 컬러를 디스플레이한다.Since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to which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applied, it maintains a horizontal arrangement state, and is converted to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by the horizontally arranged liquid crystal layer 430, and then, by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The phase is converted into λ / 4 to become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is case, the converted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to display a white color.

한편, 상기 액정층(430)에 가해지는 전압이 있을 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된 광은 상기 제2 편광자층(215-1)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2 위상차층(212-1)에 의해 우원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화소 전극(416)을 경유하여 상기 액정층(430)에 인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the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assembly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er layer 215-1,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212-1 After being converted into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by (), it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via the pixel electrode 416.

우원편광이 인가되는 상기 액정층(430)에는 전압이 인가되므로 액정은 수직 배열되고, 수직 배열된 액정층(430)에 의해 우원편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위상차층(212)에 인가된다.Since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to which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applied, the liquid crystals are vertically aligned and applied to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while maintaining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by the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layer 430.

상기 제1 위상차층(212)에 인가된 우원편광은 선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제1 편광차층(212)에 인가되고, 상기 제1 편광자층(215)에 인가된 선편광은 광이 소실되므로 블랙 컬러를 디스플레이한다.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pplied to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2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n applied to the first polarization difference layer 212, and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pplied to the first polarizer layer 215 is lost in black color. Is displayed.

이상에서는 반사-투과형 표시 패널 모듈에 적용된 편광 부재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투과형 표시 패널 모듈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광 부재(100)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스피커 필름을 포함하는 상부 편광 부재를 예로 하였으나, 하부 편광 부재에 상기 스피커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olarizing member applied to the reflective-transmissive display panel modu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implemented in the transmissive display panel module using the polarizing member 100 shown in FIG. 1. Further, in the above, the upper polarizing member including the speaker film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speaker film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larizing member.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II-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 모듈은 전계발광 표시패널과, 상기 전계발광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편광 부재(100)를 포함한다. 11 and 12, the display panel module include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member 100 disposed 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전계발광 표시패널은 베이스 기판(40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405) 위에 복수의 소스 배선(DLm)들과, 복수의 게이트 배선(GLn)들과, 복수의 바이어스전압 배선(VLk)들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부(P)들을 포함한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includes a base substrate 405.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P defined by a plurality of source lines DLm, a plurality of gate lines GLn, and a plurality of bias voltage lines VLk are disposed on the base substrate 405. .

각각의 화소부(P)에는 제1 스위칭 소자(TFT1), 제2 스위칭 소자(TFT2),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전계발광소자(EL)들이 형성된다. In each pixel portio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a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a storage capacitor CST, and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 are formed.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는 상기 게이트 배선(GLn)과 연결된 제1 게이트 전극(441), 상기 소스 배선(DL)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443),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제2 스위칭 소자(TFT2)와 공통으로 연결된 제1 드레인 전극(4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441)과, 상기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443, 444) 사이에 형성된 제1 채널부(442)를 포함한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may include a first gate electrode 441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n, a first source electrode 443 connected to the source line DL, the storage capacitor CST, and a second The first drain electrode 443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element TFT2. 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includes the first gate electrode 441 and a first channel portion 442 formed between the first source and drain electrodes 443 and 444.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는 상기 제1 드레인 전극(444)과 연결된 제2 게이트 전극(451), 상기 바이어스전압 배선(VLk)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453) 및 상기 전계발광소자(EL)와 연결된 제2 드레인 전극(45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는 상기 제2 게이트 전극(451)과, 상기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453, 454) 사이에 형성된 제2 채널부(4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는 상기 전계발광소자(EL)를 구동하는 구동 소자이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may include a second gate electrode 451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electrode 444, a second source electrode 453 connected to the bias voltage line VLk, and the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 ) And a second drain electrode 454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includes the second gate electrode 451 and a second channel portion 452 formed between the seco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453 and 454.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is a driving element for driving the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2 게이트 전극(451)과 연결된 제1 전극(461)과 상기 바이어스전압 배선(VLk)과 연결된 제2 전극(462)을 포함한다. The storage capacitor CST includes a first electrode 461 connected to a second gate electrode 451, and a second electrode 462 connected to the bias voltage line VLk.

상기 전계발광소자(EL)는 상기 제2 드레인 전극(454)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470)과, 공통 전극(490)과, 상기 화소 전극(470)과 공통 전극(490) 사이에 개재된 전계 발광층(480)을 포함한다.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EL includes a pixel electrode 470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electrode 454, a common electrode 490, and an electric field interpos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470 and the common electrode 490. The light emitting layer 480 is included.

상기 제1 및 2 게이트 전극(441, 451)과 상기 제1 및 2 채널부(442, 45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40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443, 444, 453, 454) 위에는 패시베이션층(407)이 형성된다. A gate insulating layer 40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ate electrodes 441 and 451 and the first and second channel portions 442 and 452, and the first and second source-drain electrodes 443, Passivation layer 407 is formed over 444, 453, 454.

상기 전계발광소자(EL)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406)과 상기 패시베이션층(407)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베이스 기판(405) 위에 화소 전극(470)이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470) 위에 전계 발광층(480)이 형성되고, 상기 전계 발광층(4800) 위에 공통 전극(490)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470)은 상기 전계발광소자(EL)의 양극 전극(Anode)이며, 상기 공통 전극(490)은 상기 전계발광소자(EL)의 음극 전극(Cathode)이다. In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EL, a pixel electrode 470 is formed on a base substrate 405 on which the gate insulating layer 406 and the passivation layer 407 are sequentially formed, and an electroluminescent layer on the pixel electrode 470. 480 is formed, and a common electrode 490 is formed o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 4800. The pixel electrode 470 is an anode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EL, and the common electrode 490 is a cathode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EL.

상기 전계 발광층(480)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470) 위에 뱅크층(408)으로 정의된 발광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408)은 네가티브형 포토 레지스트층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둔각의 테이퍼 각을 갖는다.The electroluminescent layer 480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is formed in the emission region defined as the bank layer 408 on the pixel electrode 470. The bank layer 408 is formed of a negative photoresist layer, thereby having an obtuse taper angle.

상기 화소부(P)의 구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게이트 배선(GLn)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는 턴-온 되어 상기 소스 배선(DLm)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를 턴-온 시키고,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다. The driving method of the pixel portion P is as follows. When a gate signal is applied from the gate line GL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is turned on so that the data signal transferred from the source wiring DLm is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is turned on and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는 턴-온 됨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를 경유한 소스 전압은 상기 바이어스전압 배선(VLk)으로부터 전달된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계발광소자(EL)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전계발광소자(EL)는 소정 밝기의 광을 발광한다. As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is turned on, the source voltage via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is based on the bias voltage transferred from the bias voltage line VLk. Is delivered). As a result, the EL device emits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brightness.

상기 편광 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투과형 편광 부재이다. The polarizing member 100 is a transmissive polariz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 부재(100)는 투과형 편광 필름(110), 진동 활성 층(120), 스피커 필름(130), 보호 필름(140) 및 배선부(151, 152)를 포함한다. 상기 투과형 편광 필름(110)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편광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킨다. 즉, 편광축과 평행한 광축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킨다. Referring to FIG. 1, the polarizing member 100 includes a transmissive polarizing film 110, a vibration active layer 120, a speaker film 130, a protective film 140, and wiring portions 151 and 152. The transmissive polarizing film 110 divides incident light into two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transmits only one of them, and absorbs or disperses the other components. That is, only light having an optical axis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is transmitted.

상기 스피커 필름(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151, 152)는 음원 출력부(미도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전기신호인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스피커 필름(130)은 상기 음원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시킨다. The wiring units 151 and 1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130 ar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to receive a sound source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film 130 converts the sound source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 to emit sound waves.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상기 투과형 편광 필름(110)과 스피커 필름(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진동을 활성화시켜 음질 및 음향을 향상시킨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missive polarizing film 110 and the speaker film 130 to activate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130 to improve sound quality and sound.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510), 전압 발생부(520), 기준감마전압발생부(530), 소스 구동부(540), 게이트 구동부(550), 음원 출력부(560) 및 표시부(5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510, a voltage generator 520, a reference gamma voltage generator 530, a source driver 540, a gate driver 550,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560. And a display unit 570.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501)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들(510a, 510b, 510c)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신호(510)는 상기 전압 발생부(520)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510b)는 상기 소스 구동부(540)를 제어하며, 상기 제3 제어신호(510c)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550)를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510 generates and outputs first to third control signals 510a, 510b, and 510c based on the control signal 501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he first control signal 510 controls the voltage generator 520, the second control signal 510b controls the source driver 540,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510c receives the gate. The driver 550 is controlled.

상기 제어신호(CONTL)는 메인클럭신호(MCLK),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신호(510a)는 메인클럭신호(MCLK)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신호(510b)는 수평시작신호(STH) 및 로드 신호(TP)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제어신호(510c)는 개시신호(STV), 스캔클럭신호(CPV)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포함한다. The control signal CONTL includes a main clock signal MCLK,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a data enable signal DE. The first control signal 510a includes a main clock signal MCLK, the second control signal 510b includes a horizontal start signal STH and a load signal TP,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The 510c includes a start signal STV, a scan clock signal CPV, and an output enable signal OE.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데이터신호(502)를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상기 소스 구동부(540)에 제2 데이터신호(510d)로 출력한다. The timing controller 510 processes the first data signal 502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interface scheme and outputs the second data signal 510d to the source driver 540.

상기 전압 발생부(520)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감마전압 발생부(530)에 전원전압(520a)을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550)에 게이트 전압들(520b)을 출력하고, 상기 표시 부(570)에는 공통전압들(520c)을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전압들(520b)은 게이트 온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압들(520c)은 액정 캐패시터(CLC)의 공통전압(VCOM)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공통전압(VST)을 포함한다. The voltage generator 520 generates driving voltage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In detail, a power supply voltage 520a is output to the reference gamma voltage generator 530, gate voltages 520b are output to the gate driver 550, and common voltages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570. 520c). The gate voltages 520b include a gate on voltage and a gate off voltage, and the common voltages 520c include a common voltage VCOM of the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and a common voltage VST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It includes.

상기 기준감마전압 발생부(530)는 소정의 감마 곡선에 대응하는 복수의 저항들이 직렬로 연결된 저항 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 발생부(520)로부터 제공된 전원전압을 상기 저항 스트링을 통해 복수의 기준감마전압들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상기 기준감마전압들(530a)은 상기 소스 구동부(540)에 제공된다. The reference gamma voltage generator 530 includes a resistor string in which a plurality of resistor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gamma curve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reference voltage through the resistor string. The output is divided by gamma voltages. The reference gamma voltages 530a are provided to the source driver 540.

상기 소스 구동부(540)는 상기 제2 제어신호(510a)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신호(510d)를 상기 기준감마전압들(530a)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제3 데 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소스 구동부(540)는 상기 제3 데이터신호를 상기 표시부(570)의 소스 배선들(DL)에 출력한다.The source driver 540 converts the second data signal 510d into an analog third data signal using the reference gamma voltages 530a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510a. The source driver 540 outputs the third data signal to the source lines DL of the display unit 570.

상기 게이트 구동부(550)는 쉬프트 레지스터로서, 상기 제3 제어신호(510c)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전압들(520b)을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50)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표시부(570)의 게이트 배선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50)는 상기 표시부(570)에 집적되거나, 실장될 수 있다. The gate driver 550 is a shift register and sequentially generates gate signals using the gate voltages 520b based on the third control signal 510c. The gate driver 550 sequentially outputs the gate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to the gate lines GL of the display unit 570. The gate driver 550 may be integrated or mounted on the display unit 570.

상기 음원 출력부(560)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음원 신호(503)를 제2 음원 신호(560a)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570)의 편광 부재(10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음원 신호(560a)는 상기 편광 부재(100)의 스피커 필름 양단자에 출력된다.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560 converts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503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and outputs the same to the polarizing member 100 of the display unit 570. Specifically,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is output to both terminals of the speaker film of the polarizing member 100.

상기 표시부(570)는 액정표시패널(40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편광 부재(100)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57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00 and a polarization member 100 disposed above or below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00.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복수의 소스 배선들(DL)과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부들(P)이 형성된다. 각각의 화소부(P)는 스위칭 소자(TFT)와,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00,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P defined by a plurality of source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formed. Each pixel portion P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TFT, a liquid crystal capacitor CLC, and a storage capacitor CST.

상기 편광 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필름(110), 진동 활성층(120), 스피커 필름(130), 보호 필름(140) 및 배선부(151, 152)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polarizing member 100 includes a polarizing film 110, a vibration active layer 120, a speaker film 130, a protective film 140, and wiring portions 151 and 152.

상기 편광 필름(110)은 압력 감지 점착층(PSA)(111), 제1 보호층(TAC)(112), 편광자층(PVA)(113) 및 제2 보호층(TAC)(114)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감지 점착층 (111)은 점착제를 포함하며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112, 114)은 상기 편광자층(113)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The polarizing film 110 include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SA) 111, a first protective layer (TAC) 112, a polarizer layer (PVA) 113,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TAC) 114. d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1 includes an adhesive and is formed in a film form, and is adhered by a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layers 112 and 114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layer 113, respectively.

상기 편광자층(113)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편광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킨다.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상기 제2 보호층(114) 위에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진동 활성층(120)은 공기층을 포함하거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polarizer layer 113 divides incident light into two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transmits only one of them, and absorbs or disperses the other components.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s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14 to activate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130. The vibration active layer 120 includes an air layer o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스피커 필름(130)은 상기 압전 필름(131)과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132) 및 상기 압전 필름(13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은 제1 및 제2 배선(151, 15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배선(151, 152)을 통해 상기 제2 음원 신호(560a)가 상기 스피커 필름(130)에 인가된다. The speaker film 130 may include the first metal electrode 132 formed on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131. 133.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respectively.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is applied to the speaker film 13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음원 출력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FIG. 1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illustrated in FIG. 13.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 출력부(560)는 입력부(561), 증폭부(562) 및 변환부(56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변환부(563)의 출력 신호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배선(151, 152)에 입력된다.1 and 14,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560 includes an input unit 561, an amplifier 562, and a converter 563. The output signal of the converter 563 i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of the speaker film 130.

상기 입력부(56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음원 신호(503)가 입력된다. 상기 증폭부(562)는 상기 제1 음원 신호(503)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 다. 상기 변환부(transformer)(563)는 증폭된 제1 음원 신호(503)를 제2 음원 신호(560a)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음원 신호(560a)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을 구동하기 위한 승압된 전압이다. The input unit 561 receives a first sound source signal 503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he amplifier 562 amplifies and outputs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503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transformer 563 converts the amplified first sound source signal 503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and outputs the converted sound. In detail,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is a boosted voltage for driving the speaker film 130.

상기 변환부(563)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배선(151, 152)를 통해 상기 제2 음원 신호(560a)는 상기 스피커 필름(13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에 인가된다.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of the speaker film 13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563. 132, 133.

상기 스피커 필름(130)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132, 133)에 제2 음원 신호(560a)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압전 필름(131)은 진동하여 해당하는 음파를 방사한다. As the speaker film 130 is applied with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560a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132 and 133, the piezoelectric film 131 vibrates to emit corresponding sound wav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구현함으로써, 음향 출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부재는 편광 필름과 스피커 필름 사이에 진동 활성층을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피커 필름의 진동을 보다 원활하게 활성화시켜 음질 및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경박단소화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may be realized by implementing a polarizing member including a speaker film. The polarizing member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peaker film through the vibration active layer to more smoothly activate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thereby improving sound quality and acoustic properties. As a result, a light and small display device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can be obtained.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Claims (22)

입사광 중 편광축과 평행한 축을 가지는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olarizer layer for transmitting light having an axis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among the incident lights; 상기 편광 필름 위에 배치되어,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하는 스피커 필름;A speaker film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to emit sound waves;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스피커 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의 진동을 활성화시키는 진동 활성층; 및A vibratio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peaker film to activat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And 상기 스피커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And a wir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to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필름은 상기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 film compris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which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And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압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 Hybrid type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iezoelectric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진동 활성층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부; 및The display devic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And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2 전극에 접착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And a protective film adher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선; 및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wiring part comprises: a first wir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상기 전도성 접착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And a second wir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The hybrid polariz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comprises an air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상기 스피커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을 지지하는 볼록부와,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The hybrid type polarizing film of claim 5,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comprises a convex portion for supporting the speaker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and a concave portion with the air layer formed there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스페이서와, 탄성 재질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The hybrid type polariz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comprises a spacer and an adhesive layer of an e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편광자층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자층을 투과한 광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The hybrid polariz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film further includes a retardation layer disposed under the polarizer layer to change a phas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er layer.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fabric including a polarizer layer; 상기 편광 필름 원단 위에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vibration active layer on the polarizing film fabric; 상기 진동 활성층 위에 스피커 필름 원단을 접착하는 단계;Bonding a speaker film fabric onto the vibration active layer; 상기 스피커 필름 원단이 접착된 제1 결과물을 표시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단계;Cutting the first result product to which the speaker film fabric is adher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절단된 제2 결과물의 진동 활성층 일단부에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at one end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of the second resulted product; 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2 전극 위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Bond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oat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on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peaker film; And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도성 접착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을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Forming a first wiring and a second wir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adhesiv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ybrid type polarizing fil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orming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상기 편광 필름 원단 위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Coating a synthetic resin on the polarizing film fabric; And 음각의 엠보싱 패턴을 갖는 금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 수지를 양각의 엠보싱 패턴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And a step of molding the synthetic resin into an embossed embossed pattern by using a mold having an intaglio embossed patter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orming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상기 편광 필름 원단 위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Coating a synthetic resin on the polarizing film fabric; And 마스크를 이용해 상기 합성 수지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synthetic resin by using a mask to form a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orming of the vibration active layer 상기 편광 필름 원단 위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Coating a synthetic resin on the polarizing film fabric; And 상기 합성 수지 내에 기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a hybrid type polarizing film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bubbles in the synthetic resi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탄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ibrating active layer comprises an elastic adhesive layer including a spac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진동 활성층의 일단부에 액상의 전도체를 주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by injecting a liquid conductor into one end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필름의 제1 및 제2 전극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speaker film are each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a source wiring and a gate wiring, 입력된 제1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의 제2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배선에 출력하는 소스 구동부;A source driver converting the input first data signal into an analog second data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first data signal to the source wiring line; 상기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A gate driver for outputting a gate signal to the gate wiring; 입력된 제1 음원 신호를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및A sound source output unit converting the input first sound source signal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ound; And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편광축과 평행한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음원 신호에 응답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transmit light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and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는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larizing member 입사광 중 편광축과 평행한 축을 가지는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polarizer layer for transmitting light having an axis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axis among the incident lights; 상기 편광 필름 위에 배치되어,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하는 스피커 필름;A speaker film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to emit sound waves;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스피커 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 필름의 진동을 활성화시키는 진동 활성층; 및A vibratio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peaker film to activate vibration of the speaker film; And 상기 스피커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wir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film to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출력부는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상기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to which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is input; And 상기 제1 음원 신호를 전위차를 갖는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배선부에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having a potential difference and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to the wir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The display panel of claim 17,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화소 전극;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ing element;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제1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제2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를 정의하는 반사 전극; 및A reflection electrode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to define a reflection part that reflects first light and a transmission part that transmits second light; And 상기 제1 반사부에 대응하여 제1 셀 갭과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여 제2 셀 갭을 갖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liquid crystal layer having a first cell gap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lecting part and a second cell gap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ing par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는 편광축과 평행한 광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0, wherein the polarizing member comprises a phase difference layer for changing a phase of light parallel to a polarization axi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The display panel of claim 17,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상기 스위칭 소자에 응답하여 구동하는 구동 소자와 연결된 화소 전극;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a driving element driving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element;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A bank layer defining a light emitting region on the pixel electrode; 상기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 및 An emission layer formed in the emission region; And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counter electrod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KR1020050065293A 2005-07-19 2005-07-19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10573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293A KR20070010573A (en) 2005-07-19 2005-07-19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A2006101058170A CN1900748A (en) 2005-07-19 2006-07-12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197361A JP2007028641A (en) 2005-07-19 2006-07-19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489,307 US20070019134A1 (en) 2005-07-19 2006-07-19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293A KR20070010573A (en) 2005-07-19 2005-07-19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573A true KR20070010573A (en) 2007-01-24

Family

ID=3765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293A KR20070010573A (en) 2005-07-19 2005-07-19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10573A (en)
CN (1) CN190074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57B1 (en) * 2008-02-22 2010-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ybrid electric device using piezo-electric polymer substrate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2015219528A (en) * 2014-05-20 2015-12-07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Display device
US11626570B2 (en) 2019-12-30 2023-04-1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40515B2 (en) 2019-09-04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697B1 (en) * 2011-12-01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Optical adhesive,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061748B1 (en)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05101695A (en) * 2014-05-07 2015-11-25 朱德义 Protective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in airtight environment
US10129646B2 (en) 2016-03-28 2018-11-13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KR20170114471A (en)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12609B1 (en) 2017-12-29 2023-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N110275348A (en) 2018-03-15 2019-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530589B1 (en) * 2018-09-20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57B1 (en) * 2008-02-22 2010-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ybrid electric device using piezo-electric polymer substrate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2015219528A (en) * 2014-05-20 2015-12-07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Display device
US20190116406A1 (en) * 2014-05-20 2019-04-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310576B2 (en) 2014-05-20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40515B2 (en) 2019-09-04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626570B2 (en) 2019-12-30 2023-04-1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0748A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0573A (en) Hybrid type polariz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028641A (en)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741128B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flat panel speaker
JP4007308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US2008009434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light sensor on light guide plate thereof
JP5893256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081230B2 (en)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reduced light leakage
KR20070070080A (en) Display device
US10939213B2 (en) Backlight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596980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80020565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08676A (en) Bidirectional display device
CN101957516B (en) Display device, polariz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10011823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6316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108883A (en) Polariz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165132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6008371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153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11484B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49281B2 (en) Apparatus
KR20080023154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264686A (en) Touch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6343920A (en) Touch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52872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