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324A -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324A
KR20070010324A KR1020050064813A KR20050064813A KR20070010324A KR 20070010324 A KR20070010324 A KR 20070010324A KR 1020050064813 A KR1020050064813 A KR 1020050064813A KR 20050064813 A KR20050064813 A KR 20050064813A KR 20070010324 A KR20070010324 A KR 2007001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phase
value
time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이훈복
홍봉현
박성범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324A/ko
Publication of KR2007001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시간동기화방법은,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peak value)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으로부터 상기 측정된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차감함으로써 타이밍 에러값(timing error value)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에러값을 보상하여 심볼 클럭(clock)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파수동기화방법은,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측정한 후, 상기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갯수로 나눔으로써,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각각의 평균 위상 에러값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에러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무선통신망, 특히 블루투스 EDR 네트웍의 무선수신기에서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블루투스, 블루투스 EDR, 동기, 시간동기, 주파수동기

Description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METHOD OF TIME SYNCHRONIZATION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IN WIRELESS RECEIVING DEVICE}
도 1은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의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기 시퀀스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도 1에서의 패킷의 확대도
도 3은 각 DPSK 심볼의 위상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심볼의 진행에 따른 신호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심볼 타이밍 에러값을 이용하여 수신기측에서 심볼 클럭을 발생시키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
도 6는 이상적인 수신기에서의 각 DPSK 심볼의 위상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추정된 위상 에러값을 이용하여 수신기측에서 주파수 옵셋을 보상함으로써, 주파수동기화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 억세스 코드(access code)
110: 헤더(header)
115: 페이로드(payload)
120: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
205: 레퍼런스 심볼(reference symbol)
210: 각 DPSK 심볼
405, 605: SRRC(Square Root Raised Cosine Filter)
410, 610: 차동디코더(differential decoder)
415, 620: 결정(decision)부
420: 타이밍 에러 산출부
425: 심볼 클럭 제너레이터
615: 주파수 옵셋 보상부
625: 위상 에러 산출부
630: 딜레이(delay)부
본 발명은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용 무선통신망의 수신기측에서 시간동기 및 주파수동기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가 갖고 있는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발휘하기 위해서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동기화를 위하여 종래에는, 수신기가 수신한 수신신호를 업샘플링한 후에 정합필터를 이용하여 이미 알고 있는 송신신호와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수신신호의 상관도(correlation)를 구하여 그 상관값이 최고치를 갖는 순간을 심볼 타이밍으로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간동기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수신신호의 상태에 관계없이 수신신호가 열악한 경우에도 이미 알고 있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상관도를 측정하여 시간동기화를 갱신함으로써 심볼 타이밍을 잘못 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거리 통신망 중 하나인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는 페이로드(payload)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가 규정되어 있지만,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사용되는 π/4 - shifted DPSK 변조방식은 제로 교차(zero crossing)를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동기 시퀀스의 상관도를 이용하여 그 상관값의 최고치를 구하는 종래의 시간동기화 방법은 사용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주파수동기화를 이루기 위하여 최우(maximum likelihood) 추정 방식과 같은 통상적인 주파수 옵셋 추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최우 추정 방식은 레퍼런스 심볼(reference symbol)의 위상 정보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에 옵셋을 미세하게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그 구현 구조가 복잡하고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망, 특히 근거리 통신용 블루투스 EDR 네트웍의 무선수신기에서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새로운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은,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peak value)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차감함으로써 타이밍 에러값(timing error value)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 에러값을 보상하여 심볼 클럭(clock)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인것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은, 제1 DPSK 심볼(S1) 또는 제2 DPSK 심볼(S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은, 상기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레퍼런스 심볼의 위상값으로부터 최고 위상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최고 위상값으로부터 레퍼런스 심볼의 위상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수신기에서의 주파수동기화방법은,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추출한 후, 상기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갯수로 나눔으로써,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각각의 평균 위상 에러값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에러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각각의 평균 위상 에러값을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중 제n 심볼을 결정하되, 상기 제n 심볼은, 상기 통신망의 규격화된 동기 시퀀스에서의 위상값이 레퍼런스 심볼(Sref)의 위상값과 같은 위상값을 갖는 심볼이 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n 심볼에서의 위상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심볼에서의 위상값을 상기 n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n 심볼은 제8 DPSK 심볼(S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시간동기화(time synchronization) 방법의 실시예
본 발명은 무선통신 네트웍상에서 송수신되는 패킷(packet)에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 등에서는 근거리 통신규약의 그 대표적인 예로서 블루투스 EDR 네트웍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간동기화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블루투스 EDR 네트웍 및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의 패킷 구조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은 최고 2Mbps와 3Mbps의 전송속도의 향상된 데이터 전송율을 보장하는 블루투스 네트웍에서의 새로운 버전이다. 블루투스 EDR 네트웍의 이러한 데이터 전송율은 기존의 GFSK 변조방식에 더하여 π/4 - shifted DQPSK 및 8-DPSK 변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1은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의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패킷은 크게 세 개의 범주, 즉 억세스 코드(access code: 105), 헤더(header: 110) 및 페이로드(payload: 115)로 구성된다.
상기 억세스 코드(105) 및 헤더(110)는 동기와 패킷에 대한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억세스 코드(105) 및 헤더(110)는 1Mbps의 전송율을 갖는 GFSK 변복조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페이로드(115)는 유저(user)가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페이로드(115)는 각각 2Mbps 및 3Mbps의 전송율을 갖는 π/4 - shifted DQPSK 및 8-DPSK 변복조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헤더(110)와 페이로드(115) 사이에는 상기 페이로드(115)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를 위한 동기 시퀀스(120)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동기 시퀀스(120)는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11㎲가 할당되도록 규격화 되어있고, π/4 - shifted DQPSK 및 8-DPSK 변복조방식이 적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동기 시퀀스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상기 패킷의 확대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동기 시퀀스(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상기 페이로드(115)의 변복조를 DPSK로 할 경 우, 상기 동기 시퀀스(120)는 1개의 레퍼런스 심볼(reference symbol: 205)과 10개의 DPSK 심볼(210)로 구성되며, 상기 DPSK 심볼들(210)간의 위상 변화는 이하 수학식 1과 같이 규격화되어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1
이때, 상기 동기 시퀀스(120)의 변복조방식을 π/4 - shifted DQPSK로 할 경우, 그 동기를 위한 각 비트 시퀀스(bit sequence)는 이하 수학식 2와 같이 규격화되어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2
또한, 상기 동기 시퀀스(120)의 변복조방식을 8-DPSK로 할 경우, 그 동기를 위한 각 비트 시퀀스(bit sequence)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규격화 되어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3
이하에서는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규격화된 상기 동기 시퀀스(120)의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수신기측에서 시간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을 통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기에서 수신한 후,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부(미도시)에서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한 후의 상기 동기 시퀀스(120)의 각 DPSK 심볼(210)의 위상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3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t)축이고, 세로축은 상기 각 DPSK 심볼(210)의 진행에 따른 위상의 변화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심볼 Sref와 제1 DPSK 심볼 S1 사이의 위상 변화값은 3π/4 가 되고, 상기 제1 DPSK 심볼 S1 과 제2 DPSK 심볼 S2 사이의 위상 변화값은 -3π/4 가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DPSK 심볼 S2의 위상은 상기 레퍼런스 심볼 Sref의 위상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EDR 네트웍에서 각각의 DPSK 심볼의 위상이 변화되는 시간은 1㎲로 규격화 되어있다(이하, 규격화된 시간을 'tr'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값이 0(zero)으로부터 3π/4 까지 변화되어,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값이 제1 피크값(peak value)이 되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1)은 1㎲로 규정 되어있고, 상기 제2 DPSK 심볼 S2의 위상값이 상기 레퍼런스 심볼 Sref의 위상으로 되돌아와 제2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2)도 1㎲로 규정 되어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값이 0(zero)으로부터 변화하여, 상기 제2 DPSK 심볼 S2의 위상값이 상기 제2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은 1㎲ + 1㎲ = 2㎲ 가 된다.
따라서, 상기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부에서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된 후의 상기 동기 시퀀스(120)에 있어서,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값이 3π/4 까지 변화되어,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값이 제1피크값(peak value)이 되는 시점을 t1이라고 하고, 상기 제2 DPSK 심볼 S2의 위상값이 다시 -3π/4 까지 변화되어, 상기 제2 DPSK 심볼 S2의 위상값이 제2피크값이 되는 시점을 t2라고 한다면, 심볼 타이밍 에러(symbol timing error)값은 상기 제1 DPSK 심볼 S1의 위상이 변화되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 1㎲로부터 상기 t1을 차감한 값이 된다.
또는, 상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은 상기 제1 및 제2 DPSK 심볼 S1, S2의 위상이 변화되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 2㎲로부터 상기 t2을 차감한 값이 된다.
즉, 상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은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4
다만, 상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DPSK 심볼 S1, S2만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다른 DPSK 심볼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심볼의 진행에 따른 신호 전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세로축은 그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다. 신호 전력은 I-Q 평면상에서 심볼의 cosine 성분과 sine 성분을 각각 제곱하여 더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는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위상이 레퍼런스 위상값에서 피크값에 이르는 중간에, 또는 위상이 피크값에서 레퍼런스 위상값에 이르는 중간에 전력은 최고치(peak)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 경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은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5
도 5는 상기 수학식 4의 심볼 타이밍 에러값을 이용하여 수신기측에서 정확한 심볼 클럭을 발생시키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대역으로 다운 컨버팅된 수신 신호 I(n) 및 Q(n){여기서, 상기 I(n)은 cosine 성분을 갖는 신호이고, 상기 Q(n)은 sine 성분을 갖는 신호임}은 심볼간 간섭제거를 위해 SRRC(Square Root Raised Cosine Filter: 405)를 통과한 후, 차동디코더(differential decoder: 410) 및 결정(decision)부(415)를 거쳐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다운 컨버팅된 수신신호 I(n) 및 Q(n) 중 동기 시퀀스(120)의 DPSK 심볼(210)은 타이밍 에러 산출부(420)로 추출되어 상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을 산출한 후, 심볼 클럭 제너레이터(symbol clock generator: 425)에서 상기 심볼 타이밍 에러값을 보상하여 클럭을 발생시킴으로써, 정확한 심볼 클럭을 발생시키게 된다.
주파수동기화 (frequency synchonization ) 방법의 실시예
도 6은 블루투스 EDR 네트웍을 통해 전송된 패킷을 이상적인 수신기에서 수신한 후, 다운컨버팅부에서 기저대역으로 다운 컨버팅한 후의 동기 시퀀스의 각 DPSK 심볼의 위상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적인 수신기에서의 상기 동기 시퀀스의 각 DPSK 심볼은 위상 에러값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제8 DPSK 심볼 S8 후의 위상값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0(zero)값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수신기가 아닌 보통의 수신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주파수 옵셋(offset)에 기인하여 상기 각 DPSK 심볼은 각각의 위상 에러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8 DPSK 심볼 S8 후의 위상값은, 제1 DPSK 심볼 S1으로부터 제8 DPSK 심볼 S8까지 위상이 변하면서 그동안 각 심볼의 위상 에러값이 누적되어 나타나게 된다. 즉, 한 DPSK 심볼의 위상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위상 에러값을 ΔωT 라고 한다면, 상기 제8 DPSK 심볼 S8 후의 위상 에러값의 누적값은 8ΔωT 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8 DPSK 심볼 S8 후의 위상값을 추출한 후 그 위상값을 8로 나누면, 한 DPSK 심볼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위상 에러값 ΔωT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추정된 위상 에러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8 DPSK 심볼 S8 만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이상적인 수신기에서의 위상값이 0(zero)값이 되는 다른 DPSK 심볼(예를 들어, 제6 DPSK 심볼 S6)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 심볼간의 위상 에러를 모두 구한 후 이 값의 평균을 구하는 방식으로 한 DPSK 심볼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위상 에러값 ΔωT를 추정하 고 있다. 다음의 수학식 6, 7 및 8은 그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만약 동기 시퀀스 심볼 하나가 진행할 때마다 ΔωT의 위상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면, 신호의 상태는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될 것이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6
그러므로 인접 심볼간 위상의 차이는 다음 수학식 7의 지수와 같이 될 것이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7
상기 결과를 수학식 8과 같이, 수학식 1의 위상을 갖는 신호들로 나누면,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8
연산의 결과는 아래 수학식 9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09
상기 결과에서 보이는 위상값은 모두 약간씩의 차이를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결과는 아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5038737300-PAT00010
상기 수학식 10의 각 신호의 위상의 평균을 구하면 동기 시퀀스 심볼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위상 에러의 평균 ΔωT를 구할 수 있으며, 이 값을 가지고 주파수 옵셋을 보상한다.
도 6은 상기 추정된 위상 에러값을 이용하여 수신기측에서 주파수 옵셋을 보상함으로써, 주파수동기화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대역으로 다운 컨버팅된 수신 신호 I(n) 및 Q(n)은 SRRC(605)를 통과한 후, 차동디코더(610), 주파수 옵셋 보상부(615) 및 결 정부(620)를 거쳐 출력된다.
이때, 위상 에러 산출부(625)는, 상기 다운 컨버팅된 수신신호 I(n) 및 Q(n) 중 동기 시퀀스의 DPSK 심볼을 추출하여 위상 에러값을 산출한 후, 그 위상 에러값을 상기 주파수 옵셋 보상부(615)로 입력하여 주파수 옵셋을 보상함으로써, 주파수동기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위상 에러 산출부(625)에서 상기 위상 에러값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 DPSK 심볼을 추출하는 경우, 상기 위상 에러 산출부(625)는, 위상 에러값 산출을 위해 한 DPSK 심볼과 그 다음 DPSK 심볼(예를 들어, 제8 DPSK 심볼, 이는 제n DPSK 심볼로 나타낼 수 있다)을 비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한 DPSK 심볼은 딜레이부(630)를 거쳐 상기 위상 에러 산출부(625)로 입력되고 그 다음 DPSK 심볼은 상기 딜레이부(6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위상 에러 산출부(625)로 입력됨으로써, 위상 에러값 산출을 위한 동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에 의하면, 무선통신망, 특히 블루투스 EDR 네트웍과 같 은 근거리 통신규약에 의한 무선수신기에서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중 어느 하나의 심볼의 진폭이 피크값(peak value)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린 시간(t)을 차감함으로써 타이밍 에러값(timing error value)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타이밍 에러값을 보상하여 심볼 클럭(clock)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은,
    제1 DPSK 심볼(S1) 또는 제2 DPSK 심볼(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은,
    상기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레퍼런스 심볼(Sref)의 위상값으로부터 최고 위상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피크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tr)은,
    상기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심볼의 위상이 최고값으로부터 레퍼런스 심볼(Sref)의 위상값을 갖는데 걸리는 규격화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방법.
  6.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기저대역(base band)으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ng)하는 단계;
    상기 다운 컨버팅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추출한 후, 상기 위상 에러값의 누적분을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의 갯수로 나눔으로써,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각각의 평균 위상 에러값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상 에러값으로부터 주파수 옵셋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주파수동기화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블루투스 EDR(bluetooth Enhanced Data Rate)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주파수동기화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각각의 평균 위상 에러값을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 중 제n 심볼을 결정하되, 상기 제n 심볼은, 상기 통신망의 규격화된 동기 시퀀스에서의 위상값이 레퍼런스 심볼(Sref)의 위상값인 심볼이 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n 심볼에서의 위상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심볼에서의 위상값을 상기 n값으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주파수동기화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심볼은 제8 DPSK 심볼(S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주파수동기화방법.
KR1020050064813A 2005-07-18 2005-07-18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KR20070010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13A KR20070010324A (ko) 2005-07-18 2005-07-18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13A KR20070010324A (ko) 2005-07-18 2005-07-18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324A true KR20070010324A (ko) 2007-01-24

Family

ID=3801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813A KR20070010324A (ko) 2005-07-18 2005-07-18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3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6019A3 (en) * 2007-06-28 2009-03-05 Intel Corp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synchronizing wireless network and bluetooth communications
WO2009057888A1 (en) * 2007-10-3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WO2009069876A1 (en) * 2007-11-26 2009-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ursive de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857268A (zh) * 2012-09-08 2013-01-02 无锡中科苏惠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无线通讯的现场级蓝牙通讯监控模块
CN110970040A (zh) * 2018-09-28 2020-04-07 炬芯(珠海)科技有限公司 无线蓝牙装置的音频同步方法及无线蓝牙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6019A3 (en) * 2007-06-28 2009-03-05 Intel Corp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synchronizing wireless network and bluetooth communications
WO2009057888A1 (en) * 2007-10-3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WO2009069876A1 (en) * 2007-11-26 2009-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ursive de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138824B2 (en) 2007-11-26 2012-03-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ursive de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857268A (zh) * 2012-09-08 2013-01-02 无锡中科苏惠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无线通讯的现场级蓝牙通讯监控模块
CN110970040A (zh) * 2018-09-28 2020-04-07 炬芯(珠海)科技有限公司 无线蓝牙装置的音频同步方法及无线蓝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538E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942917B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phase compensation method, and optical reception device
US20020094048A1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nd method
KR102041342B1 (ko) 다중 상관 검출을 이용하여 패킷 검출, 심볼 타이밍 포착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동시에 병렬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블루투스 장치
US9722845B2 (en) Bluetooth low energy frequency offset and modulation index estimation
KR20170079147A (ko) 개선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50008101A1 (en) Computationally efficient demodulation for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US20170324595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in fsk communications
KR20070010324A (ko) 무선수신기에서의 시간동기화 및 주파수동기화 방법
CN107682294B (zh) 一种基于FPGA的高速16apsk信号的相位模糊校正方法
US5511097A (en) Delay detection circuit
JP5522572B2 (ja) 光msk変調/任意偏移量cpfskの光サンプリング復調方法
US8514987B2 (en) Compensation for data deviation caused by frequency offset using timing correlation value
US200702585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Carrier Frequency of an Offset Quadrature Phase-Modulated Signal
CN113115430A (zh) 一种高速突发数字解调系统
EP1003312A2 (en) Carrier recovery from digitally phase modulated signals
US8175202B2 (en) Receiver with clock drift compensation
KR100534592B1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12823500B (zh) 对遥测信号进行日期标记的方法
JP3973332B2 (ja) ディジタル変復調の同期方式
KR101942293B1 (ko) 위상오차를 보상하는 위상검파 장치
US10097340B1 (en) Receiver for determining sample phase and method of determining sample phase
KR20100073062A (ko) 주파수 오차 추정기 및 그것의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
US20020136336A1 (en) Reduced MIPS pulse shaping filter
JP2003218969A (ja) 復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