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598A - 인간공학적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인간공학적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598A
KR20070009598A KR1020067020003A KR20067020003A KR20070009598A KR 20070009598 A KR20070009598 A KR 20070009598A KR 1020067020003 A KR1020067020003 A KR 1020067020003A KR 20067020003 A KR20067020003 A KR 20067020003A KR 20070009598 A KR20070009598 A KR 2007000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ser
display
buttons
contro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오 파스쿠치
Original Assignee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0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입력을 위한 인간공학적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100)는 컴퓨터 처리 유닛과 통신 연결되기 위해 적응되며, 상기 장치는, 작동면에 상기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상에 제공되는 제어패널(20)로서,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직립하는 조정부재(21)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부재(21)는 컴퓨터 환경 내에서 대응하는 입력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한, 제어패널(20); 상기 장치(100)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0) 상에 제공되는 손바닥 안착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패널(20)은 사용자 입력 버튼들(22, 23, 24)의 그룹를 더 포함하며, 각 그룹은 관련된 입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버튼들(22, 23, 24)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상기 장치(100)는 관련 제어신호 및 각 프로그래밍 가능한 버튼을 위해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수단(30, 30')을 더 포함한다.
인간공학, 사용자 인터페이스, 베이스, 제어패널, 디스플레이, 조정부재

Description

인간공학적 입력장치{Ergonomic Input Device}
본 발명은 컴퓨팅 또는 컴퓨터 관련 환경을 위한 인간공학적 수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팅 또는 컴퓨터 관련 환경에서 사용자가 제어신호들을 수동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예를 들면, 디지털 이미지들을 조정하고 처리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를 위한 제어신호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하는 수동 작동식 장치(hand-operated device)로서 특별 적용을 가지며, 본 발명을 이러한 예시적 맥락에서 기술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 적용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넒은 범위의 로봇 그리고 자동화된 기계의 제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현재, 컴퓨팅 또는 디지털 적용들에서 제어신호들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넓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범위의 수동 작동식 장치들이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더 잘 알려진 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들의 일반적인 마우스, 조이스틱, 그리고 트랙 볼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03/0103217에 기술된 본 출원인의 상대적인 최근 개 발은 두 사물의 상대적인 움직임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기구, 그리고 그러한 센서 기구를 컴퓨팅 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합하는 것에 관한다.
또한, 본 출원인의 제품 범위는, 스페이스 볼(SpaceballTM), 스페이스 마우스(SpaceMouseTM), 및 캐드맨(CadManTM)을 포함하는, 컴퓨팅 적용들을 위한 다양한 범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속(accessory) 장치들을 포함한다.
당연히, 컴퓨팅 환경에서, 특히, 특정 소프트웨어 적용들의 범위와 관련해서, 인간공학을 최적화하고 데이터와 정보를 취급하고 처리함에 있어 편이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캐드(CAD) 및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적용들의 제어를 염두에 두고, 그러한 최적화 과정의 연속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기능성(functionality)과 인간공학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CAD/CAM 및 이미지 처리 적용들에 적합한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속 장치를 창출하는 목적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제어 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입력을 위한 인간공학적 장치는 지지면에 안착되도록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베이스(base)를 포함한다. 조정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다. 상기 조정부재는 컴퓨터 환경 내에서 상응하는 입력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움직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된다. 손바닥 안착부(palm rest)가 상기 장치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손바닥 안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지지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은 상기 조정부재의 베이스 영역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올라간 형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각각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패널의 개략적인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공학적 입력장치의 측면도.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 치(100)의 개략적인 상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컴퓨터 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입력, 특히, 예를 들면, CAD, 에니메이션 설계 또는 로봇 적용들에서 2D 및 3D 스크린 대상 또는 실물 대상 움직임 제어신호들의 입력을 위해 적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평편한 베이스 부재(1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정사각형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 부재(10)의 상측(1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하측(미도시)은 테이블이나 책상의 상부와 같은 지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도록 적응되며, 지지면을 잡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진 발판들(footings)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히 하측은 지지면과 반드시 접촉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전체 인간공학적 특징들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올라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0)의 상측(11)에, 예를 들면 노브(knob) 형태의 부재인 제 1 조정부재(21)를 가지는 제어패널(20)을 포함한다. 제어패널(20)은 노브형 부재(21)에 근접하여 배치된 푸쉬 버튼형 사용자 입력 스위치들, 버튼들, 릴레이들의 세 개의 그룹들(22, 23, 2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근접하여"는 사용자의 손이 조정부재(20)에 접촉한 상태로 남아있는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제어패널 요소들(22, 23, 24)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패널 요소들(22, 23, 24)이 조정부재(20)에 대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장치(100)는 또한,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0)의 일단 영역(1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30) 및, 타단 영역(13)에 위치하는 손바닥 안착부(palm rest;40) 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패널(20)이 손바닥 안착부(40)와 디스플레이 패널(30) 사이에 필수적으로 위치한다. 여기서 제어패널(20)의 다른 위치들도 고안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손바닥 안착부(40)는 입력장치(100)를 사용자 손 그리고 선호하는 것에 따라 적응시키기 위해 교환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정부재(21)는 피드백 힘(feedback force)("힘-피드백 제어")에 대항하여 베이스 부재(10)에 대해서 병진 및 회전 상대적 움직임들(translational and rotary relative movements)을 위해 적응된다. 조정부재(21)의 임의의 회전 및/또는 병진 움직임은,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탄성 부재들(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 피드백 힘에 대항하여 홈("제로")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발생한다. 각 경우에서, 베이스 부재(10)에 대한 조정부재(21)의 움직임들은 상응하는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적응된다. 조정부재(21)는 "손가락 끝 제어(fingertip control)"에 적응되어, 노브형 부재의 회전 및/또는 병진 움직임은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손가락 힘으로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왼손용으로 설계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은 손바닥 안착부(40)에 안착되며, 노브형태의 조정부재(21)는 사용자의 가운데 세 개의 손가락과 일반적으로 정렬되며, 세 개의 가운데 손가락의 도달범위 내에 놓인다.
사용자 입력 버튼들의 제 1 그룹(22)은 여섯 개의 버튼들을 포함하며,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중 다섯 개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노브형 부재(21)의 하부의 우측에 미칠 수 있는 곳에 근접하여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여섯 개의 버튼들의 제 1 그룹(22)은 "보기(views)" 버튼들이라고 불리어진다. 원을 형성하는 네 개의 버튼들은 기준인 "전방(Front)", "위(Top)", "우측(Right)", 및 "스케치 플레인(Sketch Plain)"에 대응하는 F, T, R, 및 S로 표시된다. 제 1 그룹(22)의 버튼들은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끝과 마주하거나 끝을 향하는 절두원추(frusto-conical) 형상의 스텁(stub) 또는 돌출부의 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접근과 인간공학적 특징들을 더 용이하게 한다. 이 그룹(22)의 제 6 버튼은 "FIT"로 표시되며 "보기(Views)" 버튼들과 기능적으로 같이 속한다. 이것은 선택된 이미지 부분을 사용자 모니터 스크린에 끼워 맞추는 "리핏(re-fit)"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사용자 입력 버튼들의 제 2 그룹(23)(SHIFT, CTRL, ALT, 및 ESC로 표시됨)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이 노브형 부재(21)의 상부의 좌측에 도달하는 곳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버튼들의 제 2 그룹(23)은 "고빈도(high frequency)" 또는 "키보드" 버튼들로 불리어진다. 이 버튼들은 대응하는 키보드 키들과 같은 이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버튼들(23)은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그들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접근되고 동작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 상의 이러한 "키보드" 버튼들의 유용성은, 그렇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키보드에 대해 빈번히 발생하는 손 동작을 줄이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시간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패널(20)은 1, 2, 3, 및 4로 표시된 사용자 입력 버튼들의 제 3 그룹(24)을 포함한다. 이러한 버튼들 중 두 개는 제어패널(20)의 가장 좌측에 배치되며, 버튼들 중 두 개의 버튼은 제어패널(20)의 가장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들의 제 3 그룹(24)은 적용 버튼들(application buttons)이다. 이러한 네 개의 버튼들(24) 각각은 프로그램밍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그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특정 소프트웨어 적용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대안들에서 선택한 후 이 그룹(24)의 버튼들 각각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중요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부 단부 영역(12)을 가로지르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단일 큰 액정(LC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이다. 이것은 선택적으로, 1 내지 4로 표시된 버튼들 각각을 위해 프로그래밍된 특정 기능을 사용자에 보여주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에서 알 수 있으며, 도 1은 버튼의 숫자와 그 버튼을 위해 프로그래밍된 대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간단한 설명 또는 키워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도시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시간(31) 및, 장치(100)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특정 소프트웨어 적용의 이름(32)뿐 아니라 다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사용자가 한눈에 디스플레이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장치가 지지되고 있는 테이블이나 책상의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약 45°도로 기울어진 베이스 부재(10) 위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약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패널(20)을 위한 자세한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버튼들의 제 1 그룹(22)은 변경되지 않았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 5 "스페이스 바" 버튼을 포함하고 있지만, 버튼들의 제 2 그룹(23)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제어패널(20) 자체가 네 개의 개별적 윈도우들 또는 스크린들(33)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수단(30')을 통합하고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윈도우 또는 스크린은 버튼 그룹(24)에서 1 내지 4로 번호 매겨진 네 개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버튼들의 각각 개별적 버튼과 관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버튼들(24)의 그룹은 제어패널(20)의 상부의 좌측에 함께 배치되어 있다. 윈도우들 또는 스크린들(33)의 각각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일 수 있으며, 또는 더 간단하게는 버튼들(24) 중 대응하는 하나를 누르자마자 선택되는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나타내는 조명으로 적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이러한 버튼들(24) 각각은 노브형 조정부재(21)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30')은 긴 메세지나 지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필드(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24)과 한 줄에 있는 제 5 버튼(2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턴온 및 턴오프 하기 위한 파워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버튼 그룹(24)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재개시 또는 재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어패널(20)을 위한 개략적 배치도의 상부 우측에 제공되는 또 다른 버튼(26)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전위차계(potentiometer)의 형태인 민감도 제 어기(sensitivity controller)이다. 이러한 민감도 버튼(26)은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100)가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적용에서 민감도를 조정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모델의 시점을 자유롭게 조정하고, 줌과 팬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소형이며 매우 사용자에게 친숙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00)는 컴퓨터 환경에서, 특히, CAD/CAM 또는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적용 내에서, 2차원 및 3차원적 이미지들 및 디자인들을 개발하고 조정하기 위한 매우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키보드" 또는 "고빈도" 버튼들(31)의 그룹을 통합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작동하는 키보드에 가하는 빈번한 손 동작을 만들 필요성을 줄인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일반 컴퓨터 모니터 및 키보드, 및 일반 컴퓨터 마우스와 관련한 동작을 위해 고안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왼손용으로 고안되었으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일반적인 마우스를 동작시킬 것이다. 일반적인 마우스 및 키보드는 전체 설계 공정의 통합적인 요소들로 유지되어, 상기 마우스는 예를 들면, 기하학적 도형을 스케칭하고 명령을 선택하고 확인하기 위한 "스케칭 단계(sketching phase)"인 2D 드래프팅 모드에서 사용된다. 한편, 키보드는 숫자들(예를 들면 차원) 및 텍스트(예를 들면 파일이름)를 입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특히 3D 모델들, 대상들 및 디자인들을 사용하는 움직임 제어 입력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홀들, 라운드들, 모따기들(chamfers), 스레드(threads)들과 같은 디자인 세부사항들이 더해지는 "완료단계(finishing phase)", 구성요소들의 차원들이 제어되고 수정되며, 완성된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립되는 "편집, 조립, 및 이해 단계들(editing, assembling and understanding phase)"에서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2D 모드에서의 동작(예를 들면 2D 버튼(22)의 활성화)에 또한 적응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일반적인 마우스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간공학적 입력장치(100)의 측면형상은 특정 쐐기(wedge)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부재(10)의 상부면(200)은 손바닥 안착부의 영역(201)에서 조정부재의 베이스의 영역(202)으로, 그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의 영역(204)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가는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의 상부 윤곽의 기울기는 디스플레이(30)의 기울어진 배향(알파(alpha) 각)을 인간공학적으로 도와주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가장 경사가 급하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부재(10)의 상부 윤곽(200)은 손바닥 안착부의 단부에서 필수적으로 평편할 수 있으며, 단지 디스플레이 측에서는 높은 레벨로 올라간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이러한 경사로 인해, 사용자의 관점은 더 수직적 각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에 영향을 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명암대비를 향상 시키고 반사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부재(1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영역(203)에서 타단(20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입력장치(100)의 인간공학적 특징들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부재(21)의 중심축은 지지면(300) 상의 수직선에 대해 베타(beta) 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도 알 수 있듯이, 베이스 부재(10)의 적어도 일단 지역의 하측(204)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30)의 영역의 하측(204)은 지지면(300)에 마주하면서 상승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성(functionality)과 인간공학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CAD/CAM 및 이미지 처리 적용들에 적합한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컴퓨터 제어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적 입력을 위한 인간공학적 장치(100)로서, 상기 장치(100)는:
    지지면(3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하도록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베이스(10);
    컴퓨터 환경 내에서 대응하는 입력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한 수동적 조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된 조정부재(21);
    상기 베이스(10) 상에 제공된 디스플레이(30); 및
    상기 장치(100)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는 손바닥 안착부(40);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조정부재(21)는 상기 디스플레이(30)와 상기 손바닥 안착부(40) 사이에 배치되는, 인간공학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기 지지면(300)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지는, 인간공학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안착부(40)는 교환가능한, 인간공학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은 상기 조정부재(21)의 베이스 영역에서보다 상기 디스플레이(30)의 영역에서 더 높은, 인간공학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21)의 중심축은 상기 지지면 상의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인간공학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상기 손바닥 안착부(40)에 위치할 때, 상기 조정부재(21)가 사용자의 가운데 세 개의 손가락과 정렬을 이루고 세 개의 손가락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위치하며, 버튼들(22, 23, 24)의 제 1 그룹이 (i)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근접하거나; 또는 (ii)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에 근접하는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인간공학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버튼들의 적어도 두 그룹들(22, 24)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의 중 하나(24)는 기능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버튼들을 포함하며, 다른 그룹(22)은 예비 설정 또는 소정의 동작을 가지는 버튼들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중 하나(22)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근접해서 배치되며, 다른 그룹(24)은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인간공학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일단부의 적어도 하부측(204)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30)의 영역의 하부측은 지지면에서부터 상승되는(도 4), 인간공학적 장치.
  9. 컴퓨터 제어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입력을 위한 인간공학적 장치(100)로서, 상기 장치(100)는:
    지지면(300)에 안착되도록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베이스(10);
    컴퓨터 환경 내에서 대응하는 입력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조정부재(21); 및
    상기 베이스(10)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상기 지지면(300)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인간공학적 장치.
  10. 컴퓨터 제어환경에서 제어신호들의 수동입력을 위한 인간공학적 장치로서, 상기 장치(100)는:
    지지면(300)에 안착되도록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베이스(10);
    컴퓨터 환경 내에서 대응하는 입력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조정부재(21); 및
    상기 베이스(10)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은 조정부재(21)의 베이스 영역에서보다 상기 디스플레이(30)의 영역에서 더 높은, 인간공학적 장치.
KR1020067020003A 2004-03-17 2004-12-17 인간공학적 입력장치 KR20070009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06381A EP1586970A1 (en) 2004-03-17 2004-03-17 User interface device
EP04006381.0 2004-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598A true KR20070009598A (ko) 2007-01-18

Family

ID=3492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003A KR20070009598A (ko) 2004-03-17 2004-12-17 인간공학적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64995A1 (ko)
EP (1) EP1586970A1 (ko)
JP (1) JP2007538307A (ko)
KR (1) KR20070009598A (ko)
CN (1) CN101002153A (ko)
WO (1) WO2005091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9899A1 (ja) * 2010-10-15 2012-04-19 株式会社図研 入力情報処理装置、入力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B2505413A (en) * 2012-08-28 2014-03-05 Ge Aviat Systems Ltd An input device with a touch screen, track ball and palm rest
US9715286B2 (en) 2014-01-28 2017-07-25 Solid Art Labs, Inc. Hand-controllable signal-generating devices and systems
EP3347796B1 (en) 2015-09-08 2021-03-17 Apple Inc. Stand alone input device
USD834020S1 (en) * 2016-02-24 2018-11-20 Société Civile “GALILEO 2011” Computer input device
GB202110408D0 (en) 2021-07-20 2021-09-01 Agco Int Gmbh Configurable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5000B1 (fr) * 1990-07-19 1994-09-30 Source Dev Appareil de consultation de donnees.
US6583783B1 (en) * 1998-08-10 2003-06-24 Deutsches Zentrum Fur Luft- Und Raumfahrt E.V. Process for performing operations using a 3D input device
US6385037B2 (en) * 1999-05-19 2002-05-07 Dell Products L.P. User configured palm rests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DE20006843U1 (de) * 2000-04-14 2001-04-19 Vos Gabriele Handpadauflage für Mouse
JP3684183B2 (ja) * 2001-09-11 2005-08-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DE10146471A1 (de) * 2001-09-21 2003-04-17 3Dconnexion Gmbh 3D-Eingabegerät mit integriertem Touch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2153A (zh) 2007-07-18
JP2007538307A (ja) 2007-12-27
US20070164995A1 (en) 2007-07-19
EP1586970A1 (en) 2005-10-19
WO2005091103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993A1 (en) Computer mouse
US8587517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232976B2 (en) Physically reconfigurable input and output systems and methods
US5936612A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3-D direct manipulation of graphic objects
US8259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user command 3-dimensionally and method for employing the same
EP1691263A1 (en) Display actuator
US20050156885A1 (e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309172A (en) Computer data and command entry device
JP2009187530A (ja) ユニバーサル入力装置及びシステム
US7372453B2 (en) Foot operated computer mouse
KR20070009598A (ko) 인간공학적 입력장치
US20090295727A1 (en) Configu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operation and computer system
WO1998043194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ving a cursor on a computer display and specifying parameters
US11537219B2 (en) Feedback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080316172A1 (en) Manual input device
JP2005228043A (ja) ジョグダイヤル入力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ディスプレーを有する機器
Cardoso et al. Adapting 3D controllers for use in virtual worlds
WO2023285599A1 (de) Eingabegerät
WO2021186200A1 (en) Electronic controller, comprising touchpad
WO2006112768A1 (en) Pointer control device
JP2000148378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JP2002222027A (ja) 液晶タッチパネル付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3459427B2 (ja) 立体キーボード
WO2004053673A2 (en) Thumb-typing keyboard alternative for handheld computer devices
US20070222759A1 (en) Computer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