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320A -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320A
KR20070009320A KR1020050064478A KR20050064478A KR20070009320A KR 20070009320 A KR20070009320 A KR 20070009320A KR 1020050064478 A KR1020050064478 A KR 1020050064478A KR 20050064478 A KR20050064478 A KR 20050064478A KR 20070009320 A KR20070009320 A KR 2007000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ard
port
cover
port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320A/en
Publication of KR2007000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3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is provided to enable fetching/receiving operations of an external card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port cover, and selectively open the port cov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attaching/detaching operations of the external card, preventing undesired opening of the port cover and improving preferences of a produc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140) comprises the followings: a terminal main body(110) having a port(125) of which one side is opened so that an external card(15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port(125); a push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main body(110) so that the external card(150) can be fixedly received or elastically withdrawn according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ard(150); and the port cover(140) which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main body(110) so as to selectively open/close the opening of the port(125), and presses the external card(150) so that the push device can be interworked.

Description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외장형 카드의 인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thdrawal structure of an external card as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ure 3 enlarged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서, 포트 커버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5a to 5c and 6 i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ort cov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단말기 본체 120 : 본체부110: terminal body 120: main body

125 : 포트 125a : 관통홈125: port 125a: through groove

130 : 폴더부 140 : 포트 커버130: folder portion 140: port cover

141 : 결합부 142 : 덮개부141: coupling portion 142: cover portion

143 : 가압돌부 144 : 걸림돌기143: pressure protrusion 144: locking projection

145 : 손잡이부 150 : 외장형 카드145: handle portion 150: external card

160 : 푸시기구장치160: push mechanism

본 발명은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형 카드 착탈 조작의 용이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의도하지 않은 포트 커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that provides ease of external card detachable operation and prevents an unintended opening of the port cover. .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외장형 카드의 인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ure 2 is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showing a drawing structure of an external card.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부(20)와 이 본체부(20)에 절첩되며 본체부(2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2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3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20)의 상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30)에는 본체힌지부(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is folded into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body 2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 Consists of the folder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relative rotation, for this purpose, a pair of the main body hinge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20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older portion The fold hinge portion 31 is formed in the 30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hinge portions 21.

상기 폴더부(3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부(3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33)가 구비되어 있다.An LCD 32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lder unit 30, and a sign language unit 33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folder unit 30 to transmit audio from the other party.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피씨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22a)를 갖는 키패드(22)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In the main body 20, a main PC ratio (not shown)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is accommodated, and a front surface of the keypad 22 having a plurality of keys 22a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user's A talker 23 is provided for transmitting voice, and a battery 2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the talker 23.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일측에는 외장형 카드(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포트(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트(25)의 개구부에는 그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트(2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트 커버(4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is formed with a port 25 having one side opened so that the external card 50 can be inserted, and the opening of the port 25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let and dust The port cover 40 is provi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ck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port 25.

아울러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포트(25)에 삽입된 외장형 카드(50)에 일차 외력이 가해졌을 시 외장형 카드(50) 전체가 포트(25)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 고정되고, 다시금 이차 외력이 가해졌을 시 외장형 카드(50)의 일부가 포트(25)의 외부로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푸시인-푸시아웃 방식의 푸시기구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ard 50 inserted into the port 25 inside the main body 20, the entire external card 50 is completely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port 25, again secondar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push-in-push-type push mechanism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the external card 50 can be elastically drawn out of the port 25.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외장형 카드(50)를 착탈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opera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card 50 is not easy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포트 커버(40)를 손가락(또는 손톱)을 이용하여 개방시킨 후, 외장형 카드(50)에 외력을 가해 포트(25)로부터 외장형 카드(50)를 인출(또는 수납)시켜야 하는 복잡한 조작에 의해 외장형 카드(50)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어 그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못하였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after the user opens the port cover 40 using a finger (or a fingernail), an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external card 50 to draw (or store) the external card 50 from the port 25. The external card 50 is detached by a complicated operation so that the operation is not onl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ut also does not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

더욱이 상기 외장형 카드(50)가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외장형 카드(50)가 푸시기구장치로부터 이탈(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외장형 카드(50)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card 50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an operation for applying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card 50 is very inconvenient so that the external card 50 can be separated (or fixed) from the push mechanism device. .

또한,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시 그에 따른 충격에 의해 사용자의 의 도와 무관하게 포트 커버(40)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때 포트(25)로부터 외장형 카드(50)가 인출되며 분실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when the portable terminal fal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 cover 40 is open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and at this time, the external card 50 is drawn out from the port 25 and may be lost. there wa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외장형 카드 착탈 조작의 용이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의도하지 않은 포트 커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that can facilitate the external card detachable operation and prevent the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port cover. There is a purpo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형 카드가 선택적으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일측이 개구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외장형 카드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외장형 카드가 수용 고정되거나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기구장치와; 상기 포트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되 개폐시 상기 푸시기구장치가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형 카드를 가압하는 포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body is formed with a port that is open at one side so that the external card can be selectively inserted out; A push mechanism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to allow the external card to be accommodated, fixed or elastically withdraw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ard; And a port cover installed on the terminal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port, and pressurizing the external card so that the push mechanism device can be interlocked when the port is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포트 커버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외장형 카드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의 개폐시 상기 외장형 카드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가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 cover,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to cover the opening part, the cover part being dispos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And a press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i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card so that the external card can be pres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또한, 상기 외장형 카드의 인출 방향을 따른 상기 포트 커버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train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flow of the port cover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그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외장형 카드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formed in the cover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can selectively pass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관통홈은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through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3.

또한,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서, 포트 커버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A to 5C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a port cover a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장형 카드(150)가 선택적으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일측이 개구된 포트(125)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10)와, 상기 외장형 카드(15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외장형 카드(150)가 수용 고정되거나 탄성적으 로 인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푸시기구장치(160)와, 상기 포트(125)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110)에 설치되되 개폐시 푸시기구장치(160)가 연동될 수 있도록 외장형 카드(150)를 가압하는 포트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3 to 4,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 125 having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drawn out is formed As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main body 110 and the external card 150, the push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terminal main body 110 so that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accommodated and fixed or withdrawn elastically. Port cover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body 1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evice 160 and the opening of the port 125, the port cover for pressing the external card 150 so that the push mechanism device 160 can be interlocked when opening and closing It is comprised including 140.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로서, 본체부(120)와 이 본체부(120)에 절첩되며 본체부(12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2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130)로 이루어진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s the terminal main body 110, a folder portion folded in the main body 120 and the main body 120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20. An example in which a clamshell portable terminal consisting of 130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상기 폴더부(130)와 본체부(12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부(120)의 상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130)에는 본체힌지부(1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main body hinge parts 121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older part 130 and the main body part 120 can be connect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130, a folder hinge part 131 is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hinge parts 121.

상기 폴더부(130)의 전면에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부(13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33)가 구비되어 있다.A display unit 132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older unit 130, and a sign language unit 133 for transmitting a voice from the other party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folder unit 130. It is.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피씨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122a)를 갖는 키패드(122)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2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1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 main PCB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20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and control communication, and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keys 122a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front thereof. 123 and a talker 123 for transmitting the user's voice are provided, and a battery 12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외장형 카드(150)가 선택적으로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포트(125)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20)의 내부 일측에는 포트(125)에 삽입된 외장형 카드(150)에 일차 외력이 가해졌을 시 외장형 카드(150) 전체가 포트(125)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 고정되고 다시금 이차 외력이 가해졌을 시 외장형 카드(150)의 일부가 포트(125)의 외부로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및 캠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푸시인-푸시아웃 방식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푸시기구장치(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125)의 개구부에는 그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트(12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트 커버(14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때 상기 푸시기구장치(160)는 포트 커버(140)가 개폐됨에 따라 외장형 카드(15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연동되며 외장형 카드(150)가 인출/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with a port 125 having one side opened so that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drawn out, and a port 125 inside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When the external card 150 is inserted into the primary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ntire external card 15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port 125, and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again a por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is a port ( 125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push mechanism device 160 made of a push-in-push-out method, including a spring (not shown), a cam member (not shown), and the like, to be elastically drawn out of the 125.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port 125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thereof, and a port cover 140 is provi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port 125. 160 is a port cover (1 As the 40 is opened and closed, the external card 150 is interlock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ternal card 150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external card 150 to be withdrawn / received.

즉, 상기 포트 커버(140)는 본체부(120)에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141)와, 상기 포트(125)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일단이 결합부(141)의 타단에 연결되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부(1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142)와, 상기 외장형 카드(150)에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덮개부(142)의 개폐시 외장형 카드(150)가 가압될 수 있도록 덮개부(142)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돌부(143)와, 상기 덮개부(142)의 선단부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port cover 140 has a coupling part 14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and one end thereof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141 to cover the opening of the port 125. The cover part 142 is disposed to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d the external card 150 when the cover part 142 is opened and closed so as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xternal card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14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42 and the handle portion 145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to the front end of the cover portion 142 to be pressed.

또한, 상기와 같은 포트 커버(140)는 구속수단에 의해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 방향을 따른 유동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구속수단은 덮개부(142)의 측부에 그 폭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기(144)와, 상기 걸림돌기(144)가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포트(125)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본체부(120)에 형성되는 관통홈(125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rt cover 140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the flow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restraining means, the restraining means is on the side of the cover portion 142 The main body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125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144 integrally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44 can be selectively passed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rough groove (125a) formed in the portion 120.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44)와 관통홈(125a)은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 방향을 따른 포트 커버(140)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포트(125)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144 and the through groove 125a may be spaced along the length of the opening of the port 125 so that the flow of the port cover 140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restrained stably. It is preferred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spaced apart.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포트 커버(140)의 개폐조작과 동시에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수납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port cover 140.

즉, 도 5a와 같이 외장형 카드(150)의 일부가 본체부(1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포트(125)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포트 커버(140)를 덮어주게 되면, 포트 커버(140)의 내면에 형성된 가압돌부(143)에 의해 외장형 카드(150)의 상단부가 가압됨과 동시에 푸시기구장치(160)가 작동되며 외장형 카드(150) 전체가 포트(125)의 내부에 수용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 por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is accommodated in the port 125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FIG. 5A and covers the port cover 140 as shown in FIG. 5B, the port cover 140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card 150 is pressed by the pressure protrusion 14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mechanism device 160 and the entire external card 150 can be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port 125. Will be.

그 후, 도 5c와 같이 포트 커버(140)의 덮개부(142)를 본체부(120)에 대해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상대 이동시키면 외장형 카드(150)가 약간 상향 이동(이때 역시 외장형 카드(150)는 그 전체가 포트(12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이지만 가압돌부(143)에 의해 가압될때 보다는 약간 상향 이동된 상태이다)됨과 동시에 가압돌부(143)의 정부(頂部)가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장형 카드(150) 의 외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5C, when the cover part 142 of the port cover 140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120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external card 150 moves slightly upward (in this case, the external type also). The card 150 is in a state in which the whole is accommodated in the port 125 but moved slightly upward than when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143), and at the same time, the top of the pressing protrusion 143 is formed at the opening portion of the opening 125. It can be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external card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 이와 반대로, 외장형 카드(150)를 인출시키기 위해 수납시와 반대로 본체부(120)에 대해 덮개부(142)를 상대 이동시키면 가압돌부(143)에 의해 외장형 카드(150)에 이차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며 푸시기구장치(160)가 작동되어 외장형 카드(150)의 일부가 포트(125)의 외부로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lid 142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120 in order to withdraw the external card 150, the external force is secondary to the external card 150 by the pressing protrusion 143. When the push mechanism device 160 is applied, a por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may be elastically drawn out of the port 125.

아울러 상기와 같이 포트 커버(140)가 덮어질 경우(도 5b 참조)에는 도 6의 (a)와 같이 포트 커버(140)의 걸림돌기(144)가 본체부(120)에 형성된 관통홈(125a)을 통과하며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포트 커버(140)의 덮개부(142)가 본체부(120)에 대해 일정구간 상대 이동된 후에는 도 6의 (b)와 같이 걸림돌기(144)가 관통홈(125a)의 사이에 해당되는 본체부(120)의 내면에 구속되며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 방향을 따른 포트 커버(140)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rt cover 140 is covered as described above (see FIG. 5B),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engaging protrusion 144 of the port cover 14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20. 6)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20 so as to be relatively slidable, and after the cover part 142 of the port cover 140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120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b), the locking protrusion 144 is constra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groove 125a, and the flow of the port cover 140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is constrained. To be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트 커버(140)의 개폐조작과 동시에 외장형 카드(150)의 인출/수납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외장형 카드(150) 착탈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ithdrawal / storing operation of the external card 150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ort cover 14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the external card 150 detachable operation as well as the user. To meet their needs and improve the value and preference of their products.

또한, 본 발명은 걸림돌기(144)와 관통홈(125a)으로 구성된 구속수단에 의해 포트 커버(140)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게 하며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포트 커버(140)가 개방됨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ning of the port cover 140 can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restraining means composed of the engaging protrusion 144 and the through groove 125a and the port cover 140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is caused by open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포트 커버의 개폐조작과 동시에 외장형 카드의 인출/수납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포트 커버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외장형 카드 착탈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포트 커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external car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rt cover, and opening of the port cover can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making it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external card detachable operation,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port cover, as well as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and to improve the value and preference of the product. There is.

Claims (5)

외장형 카드가 선택적으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일측이 개구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와;A terminal body having a port open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external card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pulled out; 상기 외장형 카드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외장형 카드가 수용 고정되거나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기구장치와;A push mechanism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to allow the external card to be accommodated, fixed or elastically withdraw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ard; 상기 포트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되 개폐시 상기 푸시기구장치가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장형 카드를 가압하는 포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A port cover installed on the terminal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port, and pressurizing the external card so that the push mechanism device can be interlocked when the port is opened or close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트 커버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와;The port cover may include a coupl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와;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art to cover the opening part, the cover part being dispos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상기 외장형 카드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의 개폐시 상기 외장형 카드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가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And a pressurizing protrusion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card so that the external card is pressurized when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장형 카드의 인출 방향을 따른 상기 포트 커버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And a restrain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flow of the port cover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그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외장형 카드의 인출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The restrain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ver part, and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allow the locking protrusion to selectively pass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port cov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관통홈은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through groove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KR1020050064478A 2005-07-15 2005-07-15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KR200700093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78A KR20070009320A (en) 2005-07-15 2005-07-15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78A KR20070009320A (en) 2005-07-15 2005-07-15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320A true KR20070009320A (en) 2007-01-18

Family

ID=3801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478A KR20070009320A (en) 2005-07-15 2005-07-15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3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640A (en) * 2012-04-20 201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880181B1 (en) * 2011-07-21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Insert type card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81B1 (en) * 2011-07-21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Insert type card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118640A (en) * 2012-04-20 201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634B1 (en) slide mechanism and portable phone using the slide mechanism
US9661116B1 (en) Card-receptible semiautomatic slide case for mobile phone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GB2384389A (en) Sliding cover having openings aligned with microphone in mobile phone housing
KR200308165Y1 (en) Sliding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20070009320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port cover
KR100341992B1 (en) Opening device for slide cover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30090549A (en) Portable phone having a slinding part curvedly extending
KR101155196B1 (en) Port cover of portable terminal
KR200319967Y1 (en) Sliding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KR10065274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cover
KR10074745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oth fold type and slide type
JP2001022509A (en) Input pen holding structur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0664128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otation
KR200230378Y1 (en) Double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6001033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asy for opening and closing of cover
KR20010073865A (en) A sliding cover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108047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change type cover
KR100703394B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70116842A (en) Connection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KR970000295Y1 (en)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telephone handy set cover
KR100690765B1 (en) Folding combined using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3875A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for mobile phone
KR101208523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