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261A -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261A
KR20070009261A KR1020050064390A KR20050064390A KR20070009261A KR 20070009261 A KR20070009261 A KR 20070009261A KR 1020050064390 A KR1020050064390 A KR 1020050064390A KR 20050064390 A KR20050064390 A KR 20050064390A KR 20070009261 A KR20070009261 A KR 2007000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remote
angular velocity
control
remote cont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261A/ko
Priority to EP06008661.8A priority patent/EP1744290B1/en
Priority to US11/415,276 priority patent/US20070013775A1/en
Publication of KR2007000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261A/ko
Priority to US13/064,869 priority patent/US883648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3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user input or inte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여 표시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통합 리모콘의 각속도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각속도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찾고,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A uniting remocon and method to select a device to be controlle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통합 리모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적외선 통신으로 통합 리모콘 주위의 기기를 인식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4 및 도5는 화상 인식으로 통합 리모콘 주위의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각 기기에 부착하는 패턴 마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표시부 12:입력부
14:제어부 15:인식 데이터 저장부
16:카메라 17:적외선 송수신부
18:각속도 센서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 리모콘의 각속도(즉,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제품들을 리모콘으로 원격제어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어 각 가정에서 보유하는 리모콘의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처럼 가정에서 사용하는 리모콘의 수가 늘게 되면서 리모콘의 관리 및 필요한 때에 원하는 리모콘을 찾는 것이 어려워져 여러 리모콘의 기능이 합쳐진 통합 리모콘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통합 리모콘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5-00017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피제어기기의 다수의 기능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저장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저장부에 저장된 1이상의 기능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군 저장부와, 기능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정보 또는 기능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정보를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전시된 기능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선택하기 위해 이동하거나 선택된 다수의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기기들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경우 기능정보에 대응하는 리모콘 키코드값을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통합 리모콘은 사용자가 기능버튼을 누르면 기능목록을 LCD영역에 전시하고 사용자가 방향버튼으로 전시된 기능들을 네비게이션 하다가 선택버튼 및 실행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통합 리모콘은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다가 기능구성이 상이한 다른 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현재의 기능에서 빠져나온 후에 처음부터 기능을 다시 검색하여 원하는 기능을 찾아야 하므로 검색경로가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TV의 볼륨을 조절하다가 에어컨을 켜고자 할 때 사용자는 TV의 볼륨 조절 기능에서 빠져 나와 에어컨의 전원 온 기능을 검색하여 선택해야 하므로 검색경로가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속도로 통합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기기의 외관을 미리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통합 리모콘의 위치이동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촬영된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 기기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찾아 해당 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에 포착된 기기가 기준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화상인식범위를 줄여 상기 표시부에 기준개수의 기기만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통합 리모콘의 위치이동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상기 기기에서 전송된 기기식별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 기기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해당 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적외선 송수신부이며,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는 상기 기기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여 표시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통합 리모콘의 각속도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각속도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찾고,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고, 이 기기를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기기의 인식은 상기 통합 리모콘에 마련한 촬영부에서 상기 기기를 촬영하거나 상기 통합 리모콘에 마련한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상기 기기의 기기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10)은 표시부(11)와, 입력부(12)와, 카메라(16)와, 적외선 송수신부(17)와, 인식데이터 저장부(13)와, 각속도 센서(18)와, 제어부(14)를 포함한다.
표시부(11)는 LCD패널이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있을 때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검지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1)에서는 다양한 기기들의 제어메뉴를 사용자의 터치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기기의 제품아이콘(예를 들어 TV를 제어할 때 선택할 수 있는 TV버튼, VTR을 제어할 때 선택할 수 있는 VTR버튼 등)과, 선택된 기기의 제어메뉴 아이콘(예를 들어 사용자가 TV아이콘을 터치하였을 때 표시되는 전원온 아이콘, 전원오프 아이콘 등)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12)는 휠(13a)과, 방향이동버튼(13b)과, 선택버튼(13c)과, 다양한 기능버튼들(13d)을 포함한다. 휠(13a)은 회전량에 따라 제어대상값을 조절(예를 들어 휠(13a)의 회전량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다르게 함)하는데 사용되며, 방향이동버튼 (13b)은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 사이를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선택버튼(13c)은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
적외선 송수신부(17)는 각 기기들과 적외선 통신을 하여 통합 리모콘(10)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들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메뉴를 해당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통합 리모콘(10)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들을 인식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는 주기적으로 기기식별 요구신호를 각 기기(예를 들어 도4의 21,23)에 전송하고, 각 기기(도4의 21,23)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22,24)는 기기식별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각 기기들의 ID(IDentification)번호가 실린 기기식별신호를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로 전송한다. 각 기기들로부터 전송된 기기식별신호는 제어부(14)에 전달되어 기기인식에 사용된다.
인식데이터 저장부(15)는 화상 데이터, 각 기기의 ID번호 및 위치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데이터는 통합 리모콘(10)으로 제어할 각 기기들의 외관 이미지이며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으로 기기를 제어하기 전에 인식 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기기의 제조사 및 모델 등의 기기정보를 미리 셋팅된 데이터 저장 안내툴에 맞춰 입력하고, 해당 기기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기기정보와 매칭시켜 화상 데이터로 인식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이 때 화상 데이터는 해당 기기의 외관을 촬영한 이미지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패턴마크 또는 색상마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패턴마크는 도4에서와 같이 TV(21) 및 VTR(22)과 같은 기기의 전면일측에 부착되며, 도5와 같이 기기별로 다른 패턴의 마크가 할당된다. 이처럼 기기별로 할당된 패턴마크를 화상 데이터로 저장해 두고 카메라(16)에서 촬영된 영상에 있는 패턴마크를 화상 데이터의 패턴마크와 비교하여 카메라(16)에서 촬영된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색상마크는 각 기기별로 다른 색상의 마크(예를 들어 TV는 적색, VTR은 청색 등)를 매치시켜 화상 데이터로 저장하고, 카메라(16)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발견된 색상마크를 화상 데이터의 색상마크와 비교하여 카메라(16)에서 촬영된 기기를 인식한다.
위에서 사용자가 각 기기의 제조사 및 모델 등의 기기정보를 입력하면 기기정보는 이미지와 매치되어 화상 데이터로 저장되는 한편, MBR(Multi Brand Remocon)데이터 확인과정에서 찾아진 제어메뉴와 함께 통합 리모콘 내부의 메모리(RAM 등)에 저장된다. 이 때 MBR데이터는 각 기기의 제조사, 기종, 제어메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렇게 저장된 제어메뉴들은 나중에 사용자가 제어할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면 표시부(11)에서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적외선 통신으로 각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ID번호는 기기별로 부여되며 사용자는 통합 리모콘을 사용하기 전에 적외선 통신을 하여 미리 각 기기의 ID번호를 파악한다. 즉, 화상인식의 경우처럼 사용자는 먼저 기기의 제조사 및 모델 등의 기기정보를 미리 셋팅된 데이터 저장 안내툴에 맞춰 입력하고, 각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하여 얻은 각 기기의 ID번호를 기기정보와 매칭시켜 인식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이 때에도 각 기기의 ID번호는 MBR데이터 확인과정에서 얻은 해당 기기의 제어메뉴와 함께 통합 리모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위치데이터는 실내공간에서 각 기기가 위치하는 평면상의 지점을 표시한 데이터이다. 위치 데이터도 화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통합 리모콘(10)의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야 한다. 위치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앤 드롭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1)의 좌측에 가정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들의 제품 아이콘을 나열하고, 표시부(11)의 우측에 실내공간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제품 아이콘을 하나씩 드래그하여 평면도에 배치한다. 제품 아이콘을 평면도에 드롭시킬 때 사용자는 실제 기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평면도에서 찾고 그 지점에 해당 기기의 제품 아이콘을 드롭시킨다. 만약 사용자가 현관문을 기준으로 전방에 TV 및 VTR, 우측에 에어컨이 있는 거실의 위치데이터를 입력한다면 TV 및 VTR 아이콘을 드래그 해서 평면도의 전방에 드롭하고, 에어컨 아이콘을 드래그 하여 평면도의 우측에 드롭한다. 이처럼 각 기기들의 실제 위치가 평면도에 모두 입력되면 이 데이터는 인식 데이터 저장부(15)에 위치데이터로 저장된다.
각속도 센서(18)는 회전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통합 리모콘(10)의 좌우회전 또는 상하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을 잡고 손을 움직이면 각속도 센서(18)는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에 따른 각속도를 감지하여 디지털 값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4)는 화상인식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10) 주위의 기기들을 인식하고, 각속도 센서(18)의 출력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제어하려고 하는 기기를 찾는다. 카메라(16)에서 촬영된 영상이 제어부(14)에 전달되면 제어부(14)는 이 영상을 인식 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카메라(14)에 포착된 기기를 인식한다. 이 때 제어부(14)는 촬영된 기기의 이미지 자체를 미리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기를 식별하거나, 각 기기에 부착된 패턴마크 또는 색상마크를 분석하여 카메라(16)에서 촬영된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적외선 통신으로 각 기기에서 전송된 기기식별신호에 실린 ID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기기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TV의 ID번호가 01, VTR의 ID번호가 03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신된 기기식별신호에 실린 ID번호가 01로 확인되면 해당 기기를 TV로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14)는 각속도 센서(18)의 출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찾는다.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을 들고 자신이 제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통합 리모콘(10)을 향하게 하면 각속도 센서(18)는 각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4)는 각속도 센서(18)의 출력으로 통합 리모콘(1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였는지 상하방향으로 움직였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을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위치데이터에서 찾아 그 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 선택한다.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찾을 때 제어부(14)는 화상인식 또는 적외선 통신으로 통합 리모콘(10)의 전방에 위치한 기기를 인식하여 현재 통합 리모콘(10)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먼저 인식한 후에 각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방향을 찾고, 위치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식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6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으로 원하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의 전원을 켜면 카메라(16)는 포착된 영상을 제어부(14)로 출력한다(30). 제어부(14)는 카메라(16)에서 출력된 영상을 인식 데이터 저장부(15)의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카메라(16)에 포착된 기기들을 식별한다(30). 그리고 식별된 기기들의 제품 아이콘을 표시부(11)에 표시한다(32). 위에서 제어부(14)는 카메라(16)에서 계속 영상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카메라(16)에서 포착되는 기기들이 바뀌면 표시부(11)에서 표시하는 제품 아이콘도 함께 변경시킨다. 또한, 제어부(14)는 카메라(16)에 포착된 기기의 수가 기준개수 보다 많을 때에는 화상인식의 범위를 한정하여 표시부(11)에 기준개수의 제품 아이콘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개수를 4개로 설정해 두었을 때 카메라(16)에 6개의 기기가 포착되면 4개의 기기만 포착될 수 있도록 화상인식의 범위를 줄여 4개의 제품아이콘만 표시부(11)에 표시해준다.
다음으로 제어부(14)는 카메라에 포착된 기기가 복수인지 판단한다(34). 만약 카메라(16)에 포착된 기기가 하나이면 카메라(16)에 포착된 기기의 제어메뉴를 메모리에서 찾아 표시부(11)에서 제어메뉴 아이콘으로 표시해 준다(40). 그러나 복수의 기기가 카메라에 포착되었으면 각속도 센서(18)에서 기준값 이상의 각속도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36). 이 때의 기준값은 사용자가 실제로 통합 리모콘(10)을 움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것처럼 제어부(14)가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한 값으로 각속도 센서(18)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각속도 센서(18)에서 기준값 이상의 각속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4)는 벡터성분인 각속도의 방향 및 각속도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방향 및 움직인 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위치데이터를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인식한다(38). 예를 들어 TV, VTR의 우측에 오디오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실내공간에서 사용자가 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의 방향을 TV,VTR,오디오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면 카메라(16)는 TV,VTR,오디오를 포착하고, 표시부(11)는 이들의 제품 아이콘을 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의 방향을 오디오의 방향(즉, 우측)으로 더 돌리면 각속도 센서(18)는 통합 리모콘(10)의 각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4)는 통합 리모콘(10)의 각속도 방향을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우측으로 회전했음을 파악한다. 그리고 위치데이터로부터 현재 포착된 기기들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기기가 오디오 임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가 오디오인 것으로 파악한다. 제어부(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6)에서 계속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카메라(16)에서 포착되는 기기가 변경되면 표시부(11)에서 표시하는 제품 아이콘도 변경시키지만, 각속도 센서(18)에서 기준값 이상의 각속도가 감지될 때는 카메라(16)에서 바뀐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찾으면 제어부(14)는 해당 기기의 제어메뉴가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그 중에서 하나 의 제어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42). 만약 사용자가 제어메뉴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입력부(12)를 사용하여 하나의 제어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4)는 선택된 제어명령이 적외선 송수신부(17)에서 제어대상기기(즉,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10)으로 원하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의 전원을 켜면 적외선 송수신부(17)는 기기식별 요구신호를 전송한다(50). 통합 리모콘(10)에서 기기식별 요구신호가 송신되면 통합 리모콘(10)에서 방사된 적외선 신호의 전파범위 내에 위치하는 기기들의 적외선 송수신부(17)는 기기식별 요구신호를 수신하고(52), 각 기기의 ID번호가 실린 기기식별신호를 송신한다. 각 기기에서 송신된 기기식별신호는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에서 수신되어 제어부(14)로 입력된다.
제어부(14)는 기기식별신호가 전달되면 그 신호에 실린 ID번호를 인식하고 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ID번호와 비교하여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전파범위에 있는 기기들을 식별한다. 그리고 이 기기들의 제품 아이콘을 표시부(11)에 표시한다(54). 위에서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는 주기적으로 기기식별 요구신호를 송신하여 통합 리모콘(10)주위의 기기들로부터 송신되는 기기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4)는 기기식별신호를 분석하여 수신된 기기식별신호가 변경되면 표시부(11)에서 표시하는 제품 아이콘도 그에 따라 함께 변경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4)는 기기식별신호를 송신한 기기가 복수인지 판단한다(56). 만약 기기식별신호를 송신한 기기가 하나이면 기기식별신호를 송신한 기기의 제어메뉴를 메모리에서 찾아 표시부(11)에서 제어메뉴 아이콘으로 표시해 준다(62). 그러나 복수의 기기가 기기식별신호를 전송하였으면 각속도 센서(18)에서 기준값 이상의 각속도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58). 이 때의 기준값은 사용자가 실제로 통합 리모콘을 움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것처럼 제어부(14)가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한 값으로 각속도 센서(18)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각속도 센서(18)에서 기준값 이상의 각속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4)는 벡터성분인 각속도의 방향 및 각속도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움직인 방향 및 움직인 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위치데이터를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인식한다(60). 예를 들어 TV, VTR의 우측에 오디오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실내공간에서 TV, VTR, 오디오가 통합 리모콘의 기기식별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기기식별신호를 송신하면 통합 리모콘(10)의 적외선 송수신부(17)는 이 신호들을 수신하고, 표시부(11)는 이들의 제품 아이콘을 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의 방향을 오디오의 방향(즉, 우측)으로 더 돌리면 각속도 센서(18)는 통합 리모콘(10)의 각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4)는 통합 리모콘(10)의 각속도 방향을 고려하여 통합 리모콘(10)이 우측으로 회전했음을 파악한다. 그리고 위치데이터로부터 현재 포착된 기기들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기기가 오디오 임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가 오디오인 것으로 파악한다.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찾으면 제어부(14)는 해당 기기의 제어메뉴가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그 중에서 하나의 제어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64). 만약 사용자가 제어메뉴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입력부(12)를 사용하여 하나의 제어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4)는 선택된 제어명령이 적외선 송수신부(17)에서 제어대상기기(즉,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을 위한 것이지만 통합 리모콘 자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홈패드, 웹패드, PDA 및 휴대폰 등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6) 및 적외선 송수신부(17)가 통합 리모콘의 상부(도1의 A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 기술하였으나 카메라 및 적외선 송수신부도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인식 및 적외선 통신과 함께 각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서로 인접한 복수의 기기중에서 하나의 기기를 제어할 때에도 사용자가 통합 리모콘을 해당 기기 방향으로 향하게만 하면 해당 기기를 정확히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1)

  1.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기기의 외관을 미리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통합 리모콘의 위치이동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촬영된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 기기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통합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찾아 해당 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포착된 기기가 기준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화상인식범위를 줄여 상기 표시부에 기준개수의 기기만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5.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통합 리모콘의 위치이동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와,
    상기 기기에서 전송된 기기식별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 및 상기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 기기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통합 리모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로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에 있는 기기를 해당 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각속도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통합 리모콘이 움직인 방향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외선 송수신부이며,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는 상기 기기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
  9.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기기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통합 리모콘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여 표시하고,
    인식된 기기가 복수이면 상기 통합 리모콘의 각속도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각속도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각속도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찾고,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기기를 인식하고, 이 기기를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선택하는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인식은 상기 통합 리모콘에 마련한 촬영부에서 상기 기기를 촬영하거나 상기 통합 리모콘에 마련한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상기 기기의 기기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의 제어기기 선택방법
KR1020050064390A 2005-07-15 2005-07-15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KR20070009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90A KR20070009261A (ko) 2005-07-15 2005-07-15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EP06008661.8A EP1744290B1 (en) 2005-07-15 2006-04-26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US11/415,276 US20070013775A1 (en) 2005-07-15 2006-05-02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US13/064,869 US8836487B2 (en) 2005-07-15 2011-04-21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90A KR20070009261A (ko) 2005-07-15 2005-07-15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261A true KR20070009261A (ko) 2007-01-18

Family

ID=3801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90A KR20070009261A (ko) 2005-07-15 2005-07-15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4532A3 (en) * 2009-06-12 2011-04-0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KR101446088B1 (ko) * 2007-08-23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를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메뉴제공방법
KR101499133B1 (ko) * 2008-10-28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88B1 (ko) * 2007-08-23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를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메뉴제공방법
KR101499133B1 (ko) * 2008-10-28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US10048782B2 (en) 2008-10-28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nu in a wireless terminal
WO2010144532A3 (en) * 2009-06-12 2011-04-0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4290B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selec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KR101287497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US10089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mand input
EP3176766B1 (en) Remote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devices
US9607505B2 (en) Closed loop universal remote control
EP2386189B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controllable devices sources and method for enabling such control
US9355557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EP2093650B1 (en)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pointing device
US8232859B2 (en) Multi-dimensional controlling device
US20090285443A1 (en) Remote Control Based on Image Recognition
US20070075971A1 (en) Remote controlle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TW200924543A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CN107688298B (zh) 远程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CN102893242A (zh) 用于增强型遥控功能的系统及方法
KR102507254B1 (ko) 실시간 실내 영상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EP2579142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KR20070009261A (ko)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선택방법
US8780279B2 (en) Television and control device having a touch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levision using the control device
JP2005354543A (ja) リモコン装置
KR20120056698A (ko) Uwb 통신 기반의 모션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75226B1 (ko)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인식방법
KR20070009262A (ko)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기기 인식방법
US11700063B2 (en) Appliance remote control
KR101471304B1 (ko) 가상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