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862A -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62A
KR20070008862A KR1020050062718A KR20050062718A KR20070008862A KR 20070008862 A KR20070008862 A KR 20070008862A KR 1020050062718 A KR1020050062718 A KR 1020050062718A KR 20050062718 A KR20050062718 A KR 20050062718A KR 20070008862 A KR20070008862 A KR 2007000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in body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862A/en
Publication of KR2007000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mmunicate by using a connected audio input/output device if the audio input/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a module audio input/output unit, and to communicate by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transmitting audio signals, ca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module communication connector if not, thereby removing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always carry an Ear_Mic phone. A communication module(10) comprises the followings: a module communication connector(18): a module audio input/output unit(13); a connection sensor(14); a module controller(12); and a module switch(16). If the connection sensor(14) senses connection with an audio input/output device, the module switch(16) connects the module controller(12) with the module audio input/output unit(13) so that the module controller(12) can exchange audio signals, ca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input/output device. If not so, the module switch(16) connects the module controller(12) with the module communication connector(18) so that the module controller(12) can exchange the audio signals, cau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통신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통신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블럭도이고,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통신모듈의 제어블록도이고,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도 4는 도 3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블록도이고,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통신모듈 11 : RF 송수신부10: communication module 11: RF transceiver

12 : 모듈제어부 13 :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2: module control unit 13: modul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14 : 접속감지부 15 : 모듈 인터페이스부14: connection detection unit 15: module interface unit

16 : 모듈 스위칭부 17 : 모듈 데이터 커넥터16 module switching unit 17 module data connector

18 : 모듈 통화 커넥터 19 : 통화검출부18: module call connector 19: call detection unit

30 : 휴대용 전자기기 32 : 본체 회로부30: portable electronic device 32: main body circuit

33 :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 35 : 본체 인터페이스부33: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5: main body interface unit

36 : 본체 스위칭부 37 : 본체 데이터 커넥터36: main body switching unit 37: main body data connector

38 : 본체 통화 커넥터38: body call connector

본 발명은 통신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나 마이크를 통해 통신모듈에 의한 무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less call by a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speaker or a microphon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it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휴대용 전자기기,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휴대가 용이하다는 편리함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무선 인터넷이나 무선 통화 기능(이하, '무선 통화 기능'이라 함)이 부가됨으로써, 그 활용도가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their convenience of being portable. In recent years,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been added to the wireless Internet or a wireless call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reless call function"), the trend is more widespread use.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무선 통화 기능의 구현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무선 통화 기능을 내장시키는 방법과, 무선 통화 기능을 갖는 통신모듈을 별도로 마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시켜 구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the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call func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method of embedding the wireless call func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separately providing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wireless call function and combin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used.

도 1은 상기 방법 중 통신모듈을 별도로 마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갖는 종래의 통신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블럭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is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모듈은 무선신호가 송수신되는 RF 송수신부와, RF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한 다. 여기서, 모듈제어부는 RF 송수신부를 통한 무선 통화를 제어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n RF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module controlle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Here, the modul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reless call through the RF transceiver.

또한, 통신모듈은 모듈제어부와 휴대용 전자기기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모듈 인터페이스부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모듈 커넥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module interface unit for data exchange between the module control unit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모듈 인터페이스부는 모듈제어부와 휴대용 전자기기 간의 데이터 교환시 데이터를 일정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전환한다. 예컨대, 통신모듈이 CF(Compact Flash) 카드 형태인 경우, 모듈제어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CF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변환한다. 여기서, 모듈 커넥터는 모듈 인터페이스부의 규격에 대응하는 접속 구조, 예컨대, CF 카드 접속구조를 갖는다.The module interface unit converts data to a predetermined interface standard when exchanging data between the module controller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 the form of a CF (Compact Flash) card, it converts the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modul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F interface standard. Here, the module connector has a connection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module interface portion, for example, a CF card connection structure.

한편,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재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회로부와, 본체 회로부와 통신모듈의 모듈제어부와의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본체 인터페이스부와, 통신모듈의 모듈 커넥터가 접속되는 본체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는 자체 마이크와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circuit unit performing the re-fun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main body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data exchange between the main body circuit unit and the module control unit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module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It includes a body connector.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with its own microphone and speaker.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 인터페이스부 및 본체 커넥터는 통신모듈에 대응하는, 예컨대 CF 카드 인터페이스 규격을 따른다.Here, the main body interface unit and the main body connecto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orm to the CF card interface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통신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조에 있어서,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모듈에 마련된 오디오 입출력 잭에 이어폰과 해드폰 기능을 갖는 Ear_Mic 폰을 삽입하여, Ear_Mic 폰을 통해 통화를 하여야 하는 바, Ear_Mic 폰을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By the way,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f you want to make a wireless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Ear_Mic phone by inserting the Ear_Mic phone having earphone and headphone function into the audio input and output jack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To make a call through,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always carry the Ear_Mic phone.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나 마이크를 통해 통신모듈에 의한 무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perform a wireless call by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speaker or a microph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한 통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오디오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 통화 커넥터와; 외부의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오디오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와; 상기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에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와; 무선 통화를 관리하는 모듈제어부와;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듈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모듈제어부와 상기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듈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모듈제어부와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모듈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odule detachable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odule call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changing an audio signal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audio input / output device to exchange audio signals with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A conn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A module controller for managing a wireless call; When the connection of the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is detected by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the module control unit connects the module control unit and the modul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to exchang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the connection detection And a module switching unit connecting the module control unit and the module call connector to exchang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nnection of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not detected by the unit. It is achieved by a communication module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 데이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제어부는 상기 모듈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PCMCIA 인터페이스 규격과 CF 인터페이스 규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 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nd further comprising a module data connector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module controller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CMCIA interface standard and the CF interface standard through the module data connector.

그리고, 상기 접속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상기 모듈제어부의 상기 무선 통화 제어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통한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교환에 대한 무선통화신호를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통화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transmit a wireless call signal for exchanging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and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all is controlled by the module controlle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ll detection unit output to the devic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와; 상기 통신모듈의 상기 모듈 데이터 커넥터가 접속되는 본체 데이터 커넥터와; 상기 통신모듈의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가 접속되는 본체 통화 커넥터와; 상기 본체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회로부와; 상기 본체 회로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본체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를 통해 입출력되도록 스위칭되는 본체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achable communication module, the main body audio input and output unit; A main body data connector to which the module data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A main body call connector to which the module call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A main body circuit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via the main body data connector; And a main body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one of an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and an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to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main body audio input and output unit. Can also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본체 스위칭부는 상기 본체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무선통화신호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switching unit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 및 휴대용 전자기기(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은 휴대용 전자기기(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용 전자기기(30)는 통신모듈(10)을 통해 무선 인터넷이나 무선 통화 기능이 부가된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is a wireless Internet or wireless call fun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 Is added.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통화 커넥터(18),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 접속감지부(14), 모듈제어부(12) 및 모듈 스위칭부(16)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모듈(10)은 RF 송수신부(11), 모듈 인터페이스부(15) 및 모듈 데이터 커넥터(17)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call connector 18, a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a connection detection unit 14, a module control unit 12, and a module switching unit. (16).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may include an RF transceiver 11, a module interface 15, and a module data connector 17.

모듈제어부(12)는 통신모듈(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RF 송수신부(1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모듈제어부(12)는 모듈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30)와 소정의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한다.The module controller 12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nd process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 Here, the module control unit 12 exchanges data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ace standard through the module interface unit 15.

예컨대, 모듈 인터페이스부(1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이 CF(Compact Flash) 카드 형태를 갖는 경우, CF 카드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모듈제어부(12)로부터의 데이터를 모듈 데이터 커넥터(17)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30)에 전달하고, 휴대용 전자기기(30)로부터 모듈 데이터 커넥터(17)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듈제어부(12)로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F (Compact Flash) card form, the module interface unit 15 receives data from the module control unit 12 according to the CF card interface standard. And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rough the module data connector 17 to the module controller 12.

또한, 모듈 인터페이스부(1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이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규격을 따르는 경우, 모듈 인터페이스부(15)는 모듈제어부(12)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PCMCIA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module interface unit 15,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orms to the 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standard, the module interface unit 15 receives data from the module control unit 12 The connector is converted to PCMCIA standard and transferr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는 외부의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 예컨대, Ear_Mic 폰이 접속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 (13)에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경우 Ear_Mic 폰을 통해 무선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is provided in a form to which an external audio input / output device, for example, Ear_Mic phone,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when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through the Ear_Mic phone.

모듈 통화 커넥터(18)는 휴대용 전자기기(30)에 마련된 후술할 본체 통화 커넥터(38)에 접속된다. 여기서, 통신모듈(10)은 무선통화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모듈 통화 커넥터(18)를 통해 교환할 수 있다.The module call connector 18 is connected to a main body call connector 38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10 may exchange the audio signal for the wireless call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접속감지부(14)는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감지부(14)는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접지 여부가 결정되어 해당 논리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잭 디텍팅(Jack Detect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14 detects whether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Here,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jack detection (Jack Detecting) method of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logic value is determined whether the ground according to whether the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connected, in addition, If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it may have another form.

모듈 스위칭부(16)는 통신모듈(10)이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3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스위칭된다.The module switching unit 16 is switched so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10 can selectively exchang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with any one of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즉, 모듈 스위칭부(16)는 접속감지부(14)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접속된 것이 감지된 경우, 모듈제어부(12)가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모듈제어부(12)와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를 연결한다.That is, when the module switching unit 16 detects that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by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14, the module control unit 12 is connected to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wireless call. The module control unit 12 and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are connected to exchange audio signals.

반면, 모듈 스위칭부(16)는 접속감지부(14)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접속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모듈제어부 (12)가 휴대용 전자기기(30)와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모듈제어부(12)와 모듈 통화 커넥터(18)를 연결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ule switching unit 16 detects that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by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14, the module control unit 12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e module control unit 12 and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are connected to exchange audio signals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통화시,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에는 접속된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고,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13)에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모듈 통화 커넥터(18)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30)로 전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during the wireless call, the user can make a call using the connected audio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13. When not connected,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may be transferr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to perform the call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는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 본체 데이터 커넥터(37), 본체 통화 커넥터(38), 본체 회로부(32), 본체 인터페이스부(35) 및 본체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a main body data connector 37, a main body call connector 38, a main body circuit unit 32, a main body interface unit 35, and a main body switching unit. can do.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는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 통신모듈(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와 본체 회로부(3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입력된다.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outputs any one of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nd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or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s input.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는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33a)와, 외부의 오디오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3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33a)와 마우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30)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자가 무선 통화시 송화기 및 수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eaker 33a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microphone 33b for inputting an external audio signal. Here, the speaker 33a and the mouse, as shown in Figure 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e user during the wireless phone call An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used as a receiver.

본체 데이터 커넥터(37)에는 통신모듈(10)이 휴대용 전자기기(30)에 접속될 때, 통신모듈(10)의 모듈 데이터 커넥터(17)가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 인터페이스부(35)는 통신모듈(1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5)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규격, 예컨대, 전술한 CF 인터페이스 규격 또는 PCMCIA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체 회로부(32)로부터의 데이터를 CF 인터페이스 규격 또는 PCMCIA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본체 데이터 커넥터(37)를 통해 통신모듈(10)에 전달한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e module data connector 17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data connector 37. In addition, the main body interface unit 35 supports an interface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nterface unit 15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CF interface standard or PCMCIA interface standard. Accordingly, data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CF interface standard or the PCMCIA interface standard and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rough the main body data connector 37.

본체 통화 커넥터(38)에는 통신모듈(10)이 휴대용 전자기기(30)에 접속될 때, 통화 모듈의 모듈 통화 커넥터(18)가 접속된다. 여기서,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가 통신모듈(10)과 휴대용 전자기기(30) 간에 교환된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the main body call connector 38 is connected to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of the call module. Here, through the body call connector 38,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is exchang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본체 스위칭부는 본체 회로부(32)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 통신모듈(10)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를 통해 입출력되도록 스위칭된다.The main body switching unit is switched so that any one of the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and the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is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즉, 본체 스위칭부가 본체 회로부(32)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 간을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경우, 본체 회로부(3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의 스피커(33a)로 전달되게 하고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의 마이크(33b)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본체 회로부(32)에 전달되게 한다.That is, when the main body switching unit is switched to connect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and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is transferred to the speaker 33a of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3b of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circuit unit 32.

반면, 본체 스위칭부가 본체 통화 커넥터(38)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 간을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경우,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 통신모듈(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의 스피커(33a)로 전달되게 하고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의 마이크(33b)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 통신모듈(10)로 전달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dy switching unit is switched to connect between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and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is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The speaker 33a of FIG. 33 is transmitted,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3b of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여기서, 본체 스위칭부는 본체 통화 커넥터(38)를 통해 통신모듈(10)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통화신호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신모듈(10)은 모듈 통화 커넥터(18)를 통해 무선통화신호를 출력하는 통화검출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switching unit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38.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communication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call detector 19 outputting a wireless call signal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통화검출부(19)는 접속감지부(14)에 따른 감지 결과와 모듈제어부(12)의 무선 통화 제어 여부에 기초하여 모듈 통화 커넥터(18)를 통한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교환에 대한 무선통화신호를 출력한다.The call detection unit 19 performs a wireless call for exchanging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wireless call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14 and whether the modul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wireless call. Output the signal.

즉, 통화검출부(19)는 모듈제어부(12)가 무선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접속감지부(14)에 의해 접속감지부(14)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본체 스위칭부가 본체 통화 커넥터(38)와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를 연결하게 하는 무선통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모듈(10)을 통해 무선 통화를 할 때, Ear_Mic 폰 등의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를 통신모듈(10)에 접속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의 마이크(33b)와 스피커(33a) 등의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33)를 이용하여 무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all detection unit 19 switches the main body when the module controller 12 performs the wireless call function and the connection detection unit 14 does not detect the connection of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by the connection detection unit 14. A wireless call signal for connecting the additional main body call connector 38 and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may be output. Accordingly, when the user makes a wireless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 when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n Ear_Mic phone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 the microphone 33b and the speak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made using the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33 such as 33a).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과 휴대용 전자기기(30) 간의 결 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0)은 CF 카드 형태나 PCMCIA 카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CF 카드 인터페이스 규격 또는 PCMCIA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모듈 데이터 커넥터(17)의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F card form or a PCMCIA card form. And a module data connector 17 according to the CF card interface standard or the PCMCIA interface standard.

여기서, 통신모듈(10)의 모듈 통화 커넥터(18)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10)의 외측에 커넥팅 패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의 본체 통화 커넥터(38)의 구조는 통신모듈(10)의 모듈 통화 커넥터(18)의 구조에 대응하여 통신모듈(10)을 향해 돌출된 스피링 접촉(Spring Contact)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of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as shown in Figure 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pad on the outsid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Correspondingly,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call connector 38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of the module call connector 18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 Spring Contact) may be provided.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나 마이크를 통해 통신모듈에 의한 무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hat can perform a wireless call by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speaker or a microph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Claims (5)

휴대용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한 통신모듈에 있어서,In the communication module detachable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오디오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 통화 커넥터와;A module call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exchange audio signals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외부의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오디오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와;A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audio input / output device to exchange audio signals with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상기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에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감지부와;A conn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audio input / output unit; 무선 통화를 관리하는 모듈제어부와;A module controller for managing a wireless call;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듈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모듈제어부와 상기 모듈 오디오 입출력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접속감지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입출력 디바이스의 접속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듈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모듈제어부와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모듈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When the connection of the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is detected by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the module control unit connects the module control unit and the modul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to exchang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the connection detection And a module switching unit connecting the module control unit and the module call connector to exchange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nnection of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is not detected by the unit. Communic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 데이터 커넥터를 더 포함 하고;Further comprising a module data connector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모듈제어부는 상기 모듈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PCMCIA 인터페이스 규격과 CF 인터페이스 규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And the module control uni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CMCIA interface standard and the CF interface standard through the module data connecto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속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상기 모듈제어부의 상기 무선 통화 제어 여부에 따라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통한 상기 무선 통화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교환에 대한 무선통화신호를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통화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The wireless call signal for the exchange of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module call connec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nection detecting unit and the wireless call control of the module controller.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call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제3항에 따른 통신모듈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achabl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3, 본체 오디오 입출력부와;A main body audio input / output unit; 상기 통신모듈의 상기 모듈 데이터 커넥터가 접속되는 본체 데이터 커넥터와;A main body data connector to which the module data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상기 통신모듈의 상기 모듈 통화 커넥터가 접속되는 본체 통화 커넥터와;A main body call connector to which the module call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상기 본체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회로부와;A main body circuit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via the main body data connector; 상기 본체 회로부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본체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본체 오디 오 입출력부를 통해 입출력되도록 스위칭되는 본체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d a main body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ny one of an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main body circuit unit and an audio signal input and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to be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main body audio input and output unit. .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본체 스위칭부는 상기 본체 통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무선통화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d the main body switching unit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radi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or.
KR1020050062718A 2005-07-12 2005-07-12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08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18A KR20070008862A (en) 2005-07-12 2005-07-12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18A KR20070008862A (en) 2005-07-12 2005-07-12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62A true KR20070008862A (en) 2007-01-18

Family

ID=3801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718A KR20070008862A (en) 2005-07-12 2005-07-12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8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5559B (en) Audio route is transmitted in comprehensive distributed network
KR101221592B1 (en) A combination antenna an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475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41588A (en) Audio device selec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TW200708036A (en) Mobile device interface for input devices
WO2020259296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terminal
US109989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for supporting antenna switching and device including same
CN114450971A (en) External audio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link
CN108834013B (en) Wearable equipment electric quantity balanc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US7065354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with a wire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US9300778B2 (en)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phone
KR1006512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EP1596306A3 (en)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ircui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25661A (en) Earphone type hands free using bluetooth module
KR20070008862A (en) Communicat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181286A1 (en) Hand-held wireless device with a PCIE interface
KR20090008572A (en) A compound bluetooth headset
KR200257665Y1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being coupled/separated to/from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22246B1 (en) Mobile phone having uart line switch
JP20022296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extension unit
JP4188830B2 (en) Modular data device
KR100698136B1 (en) A data transmission receiving method of using a mobile phone
CN110784569B (en) Protective sleeve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CN101547017A (en) Wireless transceiver device
KR200228761Y1 (en) Earphone type hands free using bluetooth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