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165A -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165A
KR20070008165A KR1020050063192A KR20050063192A KR20070008165A KR 20070008165 A KR20070008165 A KR 20070008165A KR 1020050063192 A KR1020050063192 A KR 1020050063192A KR 20050063192 A KR20050063192 A KR 20050063192A KR 20070008165 A KR20070008165 A KR 2007000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munication device
body housing
portable communication
hing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535B1 (ko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5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디엠비 모드나 게임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시적으로 제2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5037880476-PAT00001
멀티미디어, 디엠비, 표시 장치, 거치, 게임.

Description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하우징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하우징이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표시 장치가 경사지게 거치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의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본 발명은 셀룰러 폰, PDA, HHP, PCS, 카메라 폰, 디엠비 폰, 게임 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환경의 다양한 모드에서 각각 사용하기에 편리한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진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 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예를 들어 스윙 타입 휴대 통신 장치에서, 두 개의 하우징이 대면하면서 하나의 하우징의 스윙 동작에 의해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이 개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윙 타입 휴대 통신 장치는 표시 장치와, 다수개의 키들을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하나,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 예를 들어, 다양한 환경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화 환경에서, 하나의 휴대 장치는 단지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게임, 음악 청취, 티브이나 비디오 시청, 채팅, 인터넷 등의 기능을 전부 포함하는 융합화현상으로 가고 있으 며, 이러한 이동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환경이 대두되었다.
특히, 향후에는 휴대 장치에 엔터테인먼트 요소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음악청취 기능, 디엠비 기능 등이 필수적으로 추가될 것이며, 이러한 모드들 모두에 최적 편리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하나의 휴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에서, 가장 중요하게 간주되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싱 환경과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싱 환경의 편리성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더욱이,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 통신 장치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 통신 장치도 멀티미디어화되가는 환경에서 다양한 모드들 모두에 최적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언급된 사용 편리성이란 데이터 출력 장치의 사용 상태나 데이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를 의미하며, 데이터 출력 장치의 사용 상태는 표시 장치가 가로 보기가 상태가 되어서 보다 광폭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어야 하고, 데이터 출력 장치의 사용 상태는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이 편리해야 하며, 특히 부가적 장치인 카메라 렌즈와 관련된 모드에서는 동영상 촬영이나 피사체 촬영 자세가 편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서 보다 융합화되어가는 멀티미디어 장치에서는 다양한 모들 들에 최적의 편리성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환경의 다양한 모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여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보거나 키 조작이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환경 중, 특히 게임 모드와 디엠비 모드 시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가로 보기가 되고,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며, 키 조작이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엠비 모드에서 표시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이고,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며, 키 조작이 편리하여 각종 동영상의 시청이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 모드에서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와,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과, 양손을 이용한 키조작 가능한 상태를 제공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에서 경사지게 거치되어서 시청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가 두 번의 경사진 거치 상태가 제공되어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와 관련된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 모드에 편리하고, 원하는 피사체의 촬영 모드 시에 모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 거치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가 경사진 거치상태에서, 본체 상면에 배열된 키들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키들의 긁힘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시적으로 제2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폴딩 타입의 장치로서, 본체 하우징(10)과, 회전 하우징(20)과, 보조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회 전 하우징(20)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본체 하우징(10)에서 제1회전 이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져서 경사지게 거치되고, 제2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다시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는 회전 하우징(2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회전 하우징(2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그의 양측 단이 각각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회전 하우징(20)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짐으로서, 상기 보조 하우징(30)의 양측 단에 각각 제1,2힌지축(A1,A2)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접혀진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었고, 펼쳐진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제1힌지축(A1)과, 상기 제1힌지축(A1)과 평행한 제2힌지축(A1)을 중심으로 동시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경사지게 거치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었다. 즉,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제1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10)에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거치 상태는 유지되며, 유지되는 힘은 미 도시된 힌지 모듈이 제공한다.
즉,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제1각도 이내에서는 닫히려는 힘을 받고, 상기 제1각도 이상 내지 제2각도 이내에서는 열리려는 힘을 받으며, 상기 제2각도에서는 정지힘을 제공받아서 경사진 거치상태를 유지한다. 또 한, 또한,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보조 하우징(30)에서 제3각도 이내에서는 닫히려는 힘을 받고, 상기 제3각도 내지 제4각도에서는 열리려는 힘을 받으며, 상기 제4각도에서는 정지힘을 받아서 경사진 거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회전 하우징의 회전힘은 미도시된 힌지 모듈에서 제공하고, 미도시된 힌지 모듈은 공지의 힌지 샤프트, 힌지 캠 및 힌지 스프링으로 제공된다.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힌지 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상기 회전 하우징(20)이 제2각도에서 정지힘을 받아서 경사진 거치 상태가 보여지고, 도 3에는 상기 제4각도에서 정지힘을 받아서 경사진 거치 상태가 보여진다.
상기 제1회전 이동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20)이 상기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져지는 것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의 일측단(203)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최대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제2회전 이동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타측단(204)이 상기 보조 하우징(30)에서 최대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 이동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닫힌 상태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유지고, 상기 제2회전 이동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보조 하우징(30)과 이격된 상태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1)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0,112)가 배치된다. 상기 제1키패드는 모드에 따라서 사용되는 제1키들(110)과, 제2키들(112)로 구분된다. 상기 제1키들(110)은 채팅 모드나 게임 모드 시에 사용되고, 상기 제2키들(112)은 디엠비 모드 시에 사 용된다. 즉, 상기 제1키들(110)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주로 사용되고, 상기 제2키들(112)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주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제2회전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경사진 거치상태가 된 경우, 상기 회전 하우징의 타측단(204)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1)과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측단(204)이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접촉된 상태로 거치된 상태가 지지되면,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101)에 배치된 제1키패드(110,112)와 접촉하여 눌려지거나, 긁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상기 보조 하우징(30)에서 매달리는 방식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회전 이동시에도 상기 타측단(204)이 상기 상면(101)과 접촉하지 못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거치된 상태가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접촉되어 거치되게 구성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면(201)에는 제1스피커 장치(210)와,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212)가 배치된다. 상기 제2키패드(212)는 3×4키 배열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저면(202)에는 제1표시 장치(214)와, 제2,3스피커 장치(216,218)가 배치된다. 상기 제1표시 장치(214)의 양측으로 상기 제2,3스피커 장치(216,218)가 각각 장착되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피커 장치(216) 바로 옆에 제1카메라 렌즈(220)가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그의 상면(301)에 제2표 시 장치(310)와,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패드(312)가 배치된다. 상기 제2표시 장치(310)는 공지의 액정 표시 장치가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통화 모드로 사용된다. 즉, 통화 모드에서는 상기 가로 보기 상태의 제2표시 장치(310)와 제2,3키패드(212,312)가 사용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채팅 모드나 게임 모드 등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표시 장치(214)와 제1키패드(110,112)와, 제2,3스피커 장치(216,218)가 사용된다. 물론, 게임 모드 시에는 상기 제1키패드9110,112)가 양 손을 이용하여 사용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디엠비 모드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키패드의 제2키들(112)이 주로 사용된다. 물론, 상기 제2,3스피커 장치(216,218)에서 스테레오 사운드가 발산되어서 상기 제1표시 장치(214)의 가로 보기와, 제2,3스피커 장치(216,218)의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으로 실감나는 동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일차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약 130 내지 150도 정도로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20)은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동시적으로 0도 내지 70도 사이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회전 하우징(20)의 개폐 과정은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하우징의 개폐힘을 반 자동으로 구성할 경우, 이미 언급된 공지의 힌지 모듈, 즉 공지의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이 사용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20) 의 개폐힘을 자동으로 구성할 경우, 공지의 모터와, 기어 배열로 이루어진 공지의 감속 모듈과,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등을 제어하는 공지의 모터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 저면(102)에는 제2카메라 렌즈(120)가 배치된다. 상기 제2카메라 렌즈(120)는 원하는 피사체를 찍거나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환경 하의 다양한 모드들, 예를 들어 통화 모드, 게임 모드, 디엠비 모드, 카메라 모드 각 각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가로 보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경사진 거치 상태,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 및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게임 모드에서 편리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가로보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경사진 거치 상태,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으로 디엠비 모드에서 시청이 편리하고, 카메라와 관련된 모드, 예를 들어 화상 통화 모드나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두 번의 경사진 거치 상태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서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보조 하우징에 매달리게 연겨되어 본체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본체 상면에 배치된 키들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키들의 오동작이나 긁힘 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0)

  1.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시적으로 제2회전이동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거치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이동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일측 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최대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제2회전 이동은 상기 회전 하우징의 타측단이 상기 보조 하우징에서 최대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면에는 제1스피커와, 다수 개 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가 배치되어지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저면에는 제1표시 장치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패드는 모드에 따라서 사용되는 제1키들과, 제2키들로 구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 장치의 양측으로 각각 제2,3스피커 장치가 장착되어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스피커 장치와 이웃하게 카메라 렌즈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제2표시 장치와,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패드가 배치되며, 그의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보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면에는 슬롯이 제공되어 상기 접혀진 보조 하우징을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회전 이동으로 상기 연결 장치와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고, 상기 제2회전 이동으로 상기 연결 장치와 경사져서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 경사지게 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에 매달려 상기 본체 하우징 상과 이격되게 경사지게 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제1각도 이내에서는 닫히는 힘을 받고, 상기 제1각도 이상 내지 제2각도 이내에서는 열리는 힘을 받으며, 상기 제2각도에서는 정지힘을 받고,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에서 제3각도 이내에서는 닫히는 힘을 받고, 상기 제3각도 내지 제4각도 이내에서는 열리는 힘을 받으며, 상기 제4각도에서는 정지힘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KR1020050063192A 2005-07-13 2005-07-13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8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92A KR100689535B1 (ko) 2005-07-13 2005-07-13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92A KR100689535B1 (ko) 2005-07-13 2005-07-13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165A true KR20070008165A (ko) 2007-01-17
KR100689535B1 KR100689535B1 (ko) 2007-03-02

Family

ID=3801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192A KR100689535B1 (ko) 2005-07-13 2005-07-13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853A3 (en) * 2008-01-23 2009-10-29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Folder typ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73A (ko)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853A3 (en) * 2008-01-23 2009-10-29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Folder type electronic device
KR100976116B1 (ko) * 2008-01-23 2010-08-16 (주)엘티엠에이피 이중 폴더형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535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66342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US7610067B2 (en) Sw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30098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44305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20060043993A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40500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60105307A (ko)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US20070054522A1 (en) Portable terminal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2005000978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842600B1 (ko) 광송수신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703449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40495B1 (ko) 디엠비 시청이 편리한 휴대 장치
KR20040056780A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20070080063A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
KR101155250B1 (ko) 휴대 장치
KR100800844B1 (ko) 멀티미디어용 폴더형 휴대 장치
KR20060119455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폴딩형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