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140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140A
KR20070008140A KR1020050063134A KR20050063134A KR20070008140A KR 20070008140 A KR20070008140 A KR 20070008140A KR 1020050063134 A KR1020050063134 A KR 1020050063134A KR 20050063134 A KR20050063134 A KR 20050063134A KR 20070008140 A KR20070008140 A KR 2007000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ame card
field
controller
busin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803B1 (ko
Inventor
김재빈
이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03B1/ko
Priority to US11/486,204 priority patent/US8760486B2/en
Publication of KR2007000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명함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필드에서 이름으로 설정할 하나의 필드를 선택받는 과정과,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이름으로 설정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이름으로 소정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전화번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 큰 편리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 전자명함, 명함 인식, 명함, 폰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F PHONE BOOK USING BUSINESS CARD RECOGNI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 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알람(Alarm),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전자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소정개의 전화번호와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이름을 통해 검색된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개의 전화번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폰북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조작하여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면, 해당 전화번호가 엘시디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명함은 상대방의 인적사항이 담긴 중요한 자료로써, 상기 명함을 잘 활용하여야만 대인관계 및 회사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명함에는 성명, 회사이름, 직위, 이동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자택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가 담겨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명함에 나타나있는 상기 데이터들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휴대폰의 폰북에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북에 저장된 상기 명함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통화기능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 팩스 기능, 이메일 기능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휴대폰을 이용한 명함 관리는 상기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많은 수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히, 상기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지인들 로부터 받은 명함이 많을 경우, 상기 명함의 데이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상기 입력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데이터의 관리도 그만큼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할 경우에도 저장된 아이템이 많을 경우, 일일이 스크롤을 다운해서 검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명함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존 전화번호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 이미지를 이용하여 통화연결, 문자 전송, 이메일 전송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은, 명함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필드에서 이름으로 설정할 하나의 필드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이름으로 설정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이름으로 소정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Memory)(1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플래쉬롬들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1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플래쉬롬(flash ROM)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명함 이미지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13)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촬영버튼,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1)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0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03)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 및 부호화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처리부(10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 :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 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107)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09)는 상기 데이터처리부(103)의 오디오 코덱(107)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처리부(103)의 오디오 코덱(107)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15)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로,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7)는 상기 카메라부(11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17)는 상기 카메라부(11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17)는 영상코덱(119)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코덱(119)은 영상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코딩하거나, 코딩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17)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설정되는 모드에 따른 동영상신호를 생성 및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의 모드를 명함 촬영 모드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명함 촬영 모드는 지인으로부터 받은 명함을 상기 단말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캡쳐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캡쳐를 위한 키의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캡쳐를 위한 키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101)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명함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스캔 과정을 거쳐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된 필드 중 하나의 필드, 예를 들어, 도 3의 313과 같이, 가장 윗부분에 위치한 필드를 선택하여 확대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명함의 캡쳐 이미지를 명함 이미지라 통칭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07단계에서 상기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 중 인덱스로 설정할 필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사용자는 다운(down) 키 또는 업(up) 키 등의 이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덱스로 설정할 필드를 선택 및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함 이미지를 명함 디렉토리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로 설정할 이름을 지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명함 디렉토리는 캡쳐된 명함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상기 인덱스로 설정할 이름은, 상기 검색된 필드 중 하나의 필드 선택을 위한 키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인덱스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 중 "모바일 : 010-9990-0000"이 상기 인덱스로 설정할 필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명함 디렉토리에 상기 "모바일 : 010- 9990-0000" 라는 인덱스로 상기 명함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별도의 이름을 직접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이름으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인덱스로 설정하기 위한 필드의 선택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101)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필드를 스캔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인덱스로 하여 상기 명함 디렉토리에 상기 명함 이미지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명함의 인덱스는 상기 명함 디렉토리의 인덱스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갱신된 명함 인덱스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1)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명함 디렉토리의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명함 디렉토리의 선택을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101)는 213단계에서 상기 명함 디렉토리의 명함 인덱스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명함 인덱스의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명함 인덱스의 선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1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명함 인덱스로 저장된 명함 이미지를 메모리(111)에서 추출하고, 스캔 과정을 거쳐 상기 명함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필드 중 첫 번째 필드를 선택하여 확대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필 드의 선택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필드의 선택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101)는 22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예를 들어, 전화번호, 모바일 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서 지원하는 소정 기능과 연결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변환된 번호 또는 주소를 이용하여 기존 전화번호부와 같은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가 전화번호일 시, 상기 단말에서 지원하는 소정 기능은 통화기능일 수 있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101)는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텍스트가 모바일 번호일 시, 상기 단말에서 지원하는 소정 기능은 통화기능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의 제어부(10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상기 모바일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할 것인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텍스트가 이메일 주소일 시, 상기 단말에서 지원하는 소정 기능은 이메일 기능일 수 있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101)는 상기 단말의 모드를 이메일 입력모드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이메일 작성을 요구한다. 이후, 상기 이메일의 전송이 요구되면, 상기 이메일 주소로 상기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캔이 잘못되어 해당 필드의 텍스트 변환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편집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단말의 모드를 명함 촬영 모드(301)로 설정하고, 캡쳐 키(305)를 이용하여 명함(303)의 이미지를 캡쳐한다. 이후,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스캔과정을 거쳐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307)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하고, 상기 필드(307) 중 첫 번째 필드(309)를 확대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이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필드(307) 중 하나의 필드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필드(309)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인덱스로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명함(303)의 재 촬영을 위해 취소키(311)를 누를 수 있으며, 상기 취소키(311)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명함을 재촬영하기 위한 명함 촬영 모드로 변경된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이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필드(307) 중 하나의 필드(309)를 선택하여 저장 키를 입력하면,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21)에 상기 인덱스(309)를 포함(315)하는 명함 디렉토리(313)의 인덱스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인덱스(309)로 상기 명함 이미지(307)가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는 특정 수신자로 문자를 보내거나 전화를 걸기 위해 상기 명함 디렉토리(313)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는 상기 명함 디렉토리(313)의 인덱스 리스트가 표시되고, 특정 수신자의 인덱스(315)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상기 캡쳐된 이미지(317)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표시는 스캔과정을 통해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307)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필드(307) 중 첫 번째 필드(309)를 확대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이동키를 이용하여 다른 필드(319)를 선택할 수 있고, 특정 필드(319)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필드(319)는 텍스트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기능에는 통화 연결 기능, SMS 기능, 팩스 기능, 이메일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위해 촬영된 이미지를 별도의 디렉토리에 저장함으로써, 기존 전화번호부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스크롤을 다운해서 저장된 내용을 검색하는 대신 명함 디렉토리에서 바로 전체 명함을 통해 전화번호 및 기타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일이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던 불편함을 줄이고, 단순히 명함을 찍어서 저장하여 기존의 전화번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큰 편리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명함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필드에서 이름으로 설정할 하나의 필드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이름으로 설정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이름으로 소정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소정 디렉토리가 선택될 시, 표시부에 이름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름 리스트 중 하나의 이름이 선택될 시, 해당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스캔하여 문자로 인식되는 필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에서 하나의 필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필드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소정 기능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통화 연결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 팩스 기능, 이메일 기능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63134A 2005-07-13 2005-07-1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KR10068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34A KR100689803B1 (ko) 2005-07-13 2005-07-1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US11/486,204 US8760486B2 (en) 2005-07-13 2006-07-13 Method for providing phone book using business card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134A KR100689803B1 (ko) 2005-07-13 2005-07-1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140A true KR20070008140A (ko) 2007-01-17
KR100689803B1 KR100689803B1 (ko) 2007-03-08

Family

ID=3766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134A KR100689803B1 (ko) 2005-07-13 2005-07-1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60486B2 (ko)
KR (1) KR100689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65B1 (ko) * 2010-07-23 2011-09-15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명함첩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3089532A2 (ko) * 2011-12-15 2013-06-20 Kim Han Seok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75764A (zh) * 2013-08-21 2013-12-25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联系人的方法和装置,联系人的分类方法和装置
CN105791503A (zh) * 2016-04-28 2016-07-2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将名片信息存储到通讯录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1675B2 (en) * 2007-06-29 2017-02-1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ing images in contact lists maintained in electronic devices
US20180210911A1 (en) * 2017-01-23 2018-07-26 Oliver Wendel Gamble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Notation, Text Data Storage and Management on a Mobile Device.
KR102167774B1 (ko) * 2019-06-14 2020-10-19 최현준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324A1 (en) * 1999-12-13 2001-11-22 Peter Carayiannis Cellular telephone
JP2003303180A (ja) * 2002-04-11 2003-10-24 Hidenori Takahashi 名刺の画像転送による携帯端末への住所録登録システム
KR20040017376A (ko) * 2002-08-21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명함인식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100547738B1 (ko) * 2003-08-12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주소록 관리 장치및 방법
KR101024433B1 (ko) * 2003-12-18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자동 저장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65B1 (ko) * 2010-07-23 2011-09-15 주식회사 디오텍 전자 명함첩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3089532A2 (ko) * 2011-12-15 2013-06-20 Kim Han Seok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89532A3 (ko) * 2011-12-15 2013-08-08 Kim Han Seok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75764A (zh) * 2013-08-21 2013-12-25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联系人的方法和装置,联系人的分类方法和装置
CN105791503A (zh) * 2016-04-28 2016-07-2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将名片信息存储到通讯录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803B1 (ko) 2007-03-08
US20070013769A1 (en) 2007-01-18
US8760486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US805989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n image processing function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6898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US2007007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1606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3020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계산기 모드 동작 방법
KR20110088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47738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주소록 관리 장치및 방법
US72459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265578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n a wireless terminal
KR2007007599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에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하여저장하기 위한 방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0437204B1 (ko) 휴대전화기상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의한 단축기능설정방법및 장치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20050053887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81036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메모리의 파일 실행방법
KR1006781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키 설정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6177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처리 방법
KR1013405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및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8101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발신정보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11153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