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618A -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618A
KR20070006618A KR1020060064088A KR20060064088A KR20070006618A KR 20070006618 A KR20070006618 A KR 20070006618A KR 1020060064088 A KR1020060064088 A KR 1020060064088A KR 20060064088 A KR20060064088 A KR 20060064088A KR 20070006618 A KR20070006618 A KR 20070006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oaming
network
information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538B1 (ko
Inventor
허태범
장규상
이종환
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ublication of KR2007000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로밍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션 설정을 통해 상기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가입자에게 정확하고 편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로밍, 위치, 경로, GPS, 망, 지도, 방문망, 홈망

Description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FOR ROAMING SUBSCRIB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위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밍 가입자의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서비스에서 로밍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및 경로 검색 과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밍 가입자에 대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과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WARN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WARN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밍 가입자에게 정확하고 편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전세계 어디서나 단일 번호로 통화가 가능한 글로벌 로밍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로밍이란, 클라이언트가 세계 각지를 이동하면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능으로서,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져야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국제 이동전화망간의 로밍 서비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서비스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2308 호(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기종 망간의 로밍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182235 호(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 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1042 호(이동 통신망에서의 글로벌 로밍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319196 호(국제 자동 로밍 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45588 호(이동통신망에서 타망 가입자 로밍 및 호처리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40122 호(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국제 로밍 가입자를 위한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부각되고 있다. LBS는 셀룰러폰, PCS, PDA, 노트북 컴퓨터 등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통칭한다.
LBS의 주요 서비스로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색하고, 그 주위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서비스하여 주는 교통정보 서비스, 고장 난 자동차의 위치를 자동 검색하고 견인차를 보내는 차량 긴급 상황 서비스,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한 부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가장 가까운 응급실의 위치를 서비스 하여 주는 응급상황 서비스, 이동통신 장비를 이용하는 위치에 따라서 요금을 달리하는 위치기반 지불 서비스,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깝고 저렴한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주유소, 휴게소, 음식점 등의 위치를 알려주는 생활정보 서비스, 세일 광고 등과 같은 특별한 서비스를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통보해 주는 푸쉬 서비스 등이 있고, 그 외에도 레저 정보, 도난 추적 등의 수많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LB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추적 기술로는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셀기반 기술과,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 기술(또는 GPS 기반 기술)이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 방식의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23088 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 및 위치정보 전송방법을 제안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459761 호는 모바일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하여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에 대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시스템이 제안된 적은 없다.
한편, 근래에는 GPS를 기반으로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은 CDMA망과 WCDMA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CDMA망에 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900)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902)를 포함하는 CDMA망에 연결되며, WCDMA망에 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910)는 Node B(912)를 통해 WCDMA망에 연결된다.
도 9을 참조하여 종래의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PDE(Position Determination Entity, 904)는 GPMS(Global Positioning Management System, 908)와의 연동을 통해 GPS 단말, 즉 GPS 기능이 지원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900)의 위치 측위 기능을 수행하며, N-MPC(N-Mobile Positioning Center, 906)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914)에 기록된 가입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CDMA망(셀) 기반의 위치 측위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WCDMA망에 있어서,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916)는 역시 HLR(914)를 참조하여 셀 기반으로 WCDMA 망에 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910)의 위치 측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위치 측위 정보는 S-MPC(920)를 통해 위치 정보 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 (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LBSP, 926)으로 전송되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126)은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928)로 CDMA망 또는 WCDMA망에 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110)의 위치를 제공하며, 이때, 지도 정보 서비스 플랫폼(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GISP, 924)을 통한 지도 정보가 함께 컨텐츠 프로바이더(928)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LBS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은 위치 측위 방식에 따라 셀 기반(네트워크 기반), GPS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또한 CDMA망 및 WCDMA망으로도 분리되어 망별 및 측위 방식별로 시스템이 분산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처럼 망별 및 측위 방식별로 시스템이 분산 운용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 결과를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WARN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WARN(Wireless Area Reference Network)는 위성(1000)과 통신하는 GPS 안테나(1002), NTP(Network Time Protocol, 1004), GPS 수신기(1006) 및 WARN 게이트웨이(1008)를 포함하는 CDMA PDE(1010)로 구성되어 NTP(1004)와 CDMA PDE(1010)간에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며, 이때, WARN 게이트웨이(1008)는 GPS 수신기(1006)로부터 제공 받은 위성 신호를 PDE(1010)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WARN는 단지 CDMA망에 대해서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WCDAM 망에서 GPS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WCDMA망(3G망) 가입자의 CDMA망(2G망) 로밍 시 서비스 처리 절차가 복잡해지며, 3G망에 속하는 가입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품질 저하가 야기되고, 아울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운용/유지 보수 비용의 증대와 단위 측위 기술의 기능 개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WCDMA망에 속하는 로밍 가입자에게 정확하게 산출된 위치에 기반한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해외에 로밍된 가입자에게 적절한 언어로 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가입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홈망(Home Network)을 벗어나 로밍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셀기반 또는 GPS 기반 위치정보(또는 좌표기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 또는 WCDMA망 가입자가 로밍 중인 경우에 GPS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WCDMA망 로밍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시스템의 기능, 성능 및 프로토콜 규격 등 기술 요구 사항을 개발하여 WCDMA 망에서 GPS 측위 기능을 활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에 따른 위치 결과를 효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로밍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션 설정을 통해 상기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망 시스템으로서, 상기 로밍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세션 설정을 통해 상기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홈망(100)과 방문망(120)은 각기 서로 다른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이거나 또는 다른 나라에서 운용되는 별개의 망이라고 가정한다.
도 1의 홈망(100)은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108, MS 1), 이동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이동교환국(102, MSC 1), 가입자의 위치정보 및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는 홈위치 등록기(104, HLR 1) 및 로밍 중인 가입자 단말기(128, 로밍 단말기 MS 2)로부터 셀 기반의 위치정보 또는 GPS기반(또는 좌표기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106)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서, 방문망(120)은 상기 홈망(100)과는 다른 망으로서, 홈망(100)과는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문망(120)은 MS 1(108)의 가입자가 로밍 서비스를 위해 방문망에서 사용하는 가입자(로밍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128, MS 2), 이 MS 2(128)가 소속되 어 있는 이동교환국(122, MSC 2), 로밍 가입자의 위치정보 및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는 홈위치 등록기(124, HLR 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문망(120)은 MS 2(128)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 시스템(12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 MS 1 및 MS 2(108 및 128)는 무선 통신망(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한다)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교환국 MSC 1 및 MSC 2(102 및 122)와 커플링 됨으로써 음성호를 착,발신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특히, 상기 MS 1 및 MS 2(102 및 122)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가 장착된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장형 GPS 수신기를 장착한 형태로도 이용 가능하다. 이 GPS 수신기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위도 및 경도 좌표로서 수신하는 부분으로서 GPS 안테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MS 1 및 MS 2(108 및 128)는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이 서로 상이한 두망간의 로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모드(또는 다중 모드) 단말기이거나, 가입자의 MIN과 ESN 등을 수록하고 있는 가입자 식별자 카드(ID Card)의 적용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홈망과 방문망 사이의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동하고자 하는 두망간의 프로토콜의 변환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변환장치나 로밍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의 위치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호처리, 유지 보수 등에 필요한 각 종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는 반드시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망과 방문망 사이의 원활한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설계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는 홈망이나 방문망 또는 국제 교환망에 위치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동 교환국 MSC 1 및 MSC 2(108 및 128)는 다수의 전자식 교환기를 구비하여 기본 및 부가 서비스의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호의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의 처리, 타망(other network)과의 연동을 통한 로밍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교환국(108, 128)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에서의 IS-95 A/B/C, EV-DO, IS-2000 시스템 및 제 4 세대 이동 통신망을 모두 지원한다.
홈 위치 등록기 HLR 1 및 HLR 2(104, 124)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가입자 단말의 셀기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특히, 홈 위치 등록기(104, 124)는 발신 및 착신 단말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 프로파일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MIN(가입자 전화번호), ESN(이동전화기 일련 번호), 가입된 이통 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특히, 가입자가 홈망을 벗어나서 로밍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 홈망의 홈위치 등록기(104)에는 로밍 사실과 더불어 로밍을 위해 필요한 가입자 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방문망의 홈위치 등록기(124)에는 홈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홈망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제공할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 MS 2(128)의 셀기반(또는 망기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정보 제공시스템(106)은 위치정보 수집기(221), 위치정보 관리기(222), 위치정보 제공기(223)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포함한다. 이 위치정보 제공시스템(106)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응용 서버(250) 및 웹 서버(260)와 접속되어 사용자에 대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221)는 위치정보 수집조건에 도달함에 따라 방문망의 위치정보 관리장치에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셀기반 또는 좌표 기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위치정보 관리기(222)에 전달한다.
상기 위치정보 관리기(222)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위치정보 테이블을 구축하고, 특정 로밍 단말기가 위치정보 수집조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위치정보 수집기(221)로부터 전달되는 새로운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기(223)는 응용 서버(250)로부터 특정 로밍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검색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는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별로 가장 최근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는 소정 형태의 위치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이 위치정보 테이블은 가입자 번호, 서비스 타입, 갱신 주기, 위치정보, 위 치타입 및 갱신 시간 등과 같은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입자 번호는 MIN을 의미하고, 서비스 타입은 위치정보의 수집조건이 "on-demand"인지 아니면 주기적 갱신인지를 나타내며, 위치 타입은 해당 가입자 단말에 대해 수집 가능한 위치정보가 셀 기반인지 GPS 기반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방문망에 등록되어 로밍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입자 단말이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 타입은 GPS 기반이 되고,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타입은 셀 기반이 된다.
상기 응용 서버(250)는 웹서버(26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위치기반 서비스 요청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106)에 대응 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위치정보 제공기(223)로부터 전달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한다.
웹서버(26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기반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응용 서버(250)로부터의 위치기반 리소스를 웹문서의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에 대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 MS 1(108)을 이용하여 홈망(100)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홈망(200)에서 MS 1(108)은 HLR 1(104)을 홈으로 하는 가입자 단말로서, 이 가입자 단말 MS 1(108)이 MSC 1(102)의 서비스 영역에서 위치 등록을 시도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MS 1(108)에서 발생된 위치등록 메시지는 기지국을 통해서 MSC 1(102)으로 전달된다. MSC 1(102)에서는 위치 등록을 요구한 MS 1(108)의 가입자 번호(MIN)를 분석하여 위치정보가 저장되어야 할 홈위치 등록기를 결정한다.
MSC 1(102)의 내부 데이터에 따라 위치등록을 시도한 가입자 단말의 홈인 HLR 1(104)에서는 가입자 위치데이터가 갱신되고, MSC 1(102)에 위치등록 응답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때, MSC 1의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에 해당 가입자의 데이터가 생성되며, 향후의 호처리 및 데이터 처리 등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홈망(100)에서 방문망(120)으로 이동한 가입자의 로밍 서비스 등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망(120)으로 이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입자는 로밍 연결 처리 장치(110)에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국제 로밍 서비스 활성화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로밍 연결 처리 장치(110)는 로밍 서비스 활성화를 요청한 가입자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한다.
가입자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로밍 요청 가입자의 홈위치 등록기인 HLR 1(104)으로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무조건 호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전송한다. 이때, 호 전환 번호는 MS 2(128)의 단말기 번호에 국가 번호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에는 MS 2(128)의 위치 타입 정보(셀기반, GPS 기반)가 포함된다.
상기 호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수신한 홈망의 HLR 1(104)은 해당 가입자 에 대해 무조건 호전환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호 전환용 착신번호에는 로밍 연결 처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방문망(120)에서 사용하는 단말기 MS 2(128)의 착신번호가 수록된다. 국제 로밍을 위한 호전환 서비스 등록이 완료되면, HLR 1(104)은 로밍 연결 처리 장치(110)에 서비스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방문망에서 로밍중인 가입자의 위치등록 절차는 상기 홈망에서의 위치등록 절차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로밍 서비스 등록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과거에 개발되었거나 또는 앞으로 개발될 모든 로밍 서비스 과정을 본 발명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로밍 서비스 등록과 방문망에서의 위치 등록을 마친 로밍 가입자에 대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106)의 위치 정보 관리기(222)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참조하여 로밍중인 가입자의 서비스 타입을 확인한다. 즉, 가입자의 위치정보 수집조건이 "on-demand"인지 아니면 "주기 갱신"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 타입이 주기 갱신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갱신 주기"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가입자의 위치정보에 대한 갱신 주기가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반면에, 서비스 타입이 "on-demand"인 경우에는 응용 서버(250)로부터 위치정보 제공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 수집 조건이 충족되면, 위치정보 관리기(222)는 해당 가입자 단말 MS 1(108)에 대한 가입자 번호를 위치정보 수집 기(221)에 전달한다.
이후의 처리 과정은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서비스에서 로밍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의 순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정보 수집기(221)는 가입자 단말 MS 1(108)이 소속되어 있는 이동 교환국 MSC 1(102)에 대해 위치정보의 수집을 요청한다(단계 100).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106)으로부터 위치정보 수집 요청을 수신한 이동 교환국 MSC 1(102)은 상기 가입자 단말 MS 1(108)이 등록되어 있는 홈위치 등록기 HLR 1(104)에 대해 해당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단계 102).
MSC 1(102)으로부터 위치정보 요구를 전달 받은 홈위치 등록기 HLR 1(104)은 해당 가입자가 국제 로밍을 위해 호전환 서비스 등록을 마친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설정된 호전환 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위치정보 응답메시지를 상기 MSC 1(102)에 전달한다(단계 104)
착신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달 받은 MSC 1(102)은 이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전환번호를 이용하여 MS 2(128)가 소속된 방문망(300)의 이동교환국 MSC 2(122)로 로밍 가입자 위치정보 수집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단계 106).
이때, 상기 로밍 가입자 위치정보 수집 요청 메시지에는 착신 전환 번호와 더불어 위치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단계 104 및 단계 106의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홈위치 등록기 HLR 1(104)은 해당 가입자가 로밍 가입자로 등록되었다는 사실만을 이동교환국 MSC 1(102)에 전달하고, 로밍을 위해 방문중인 망과 착신전환 번호에 대한 정보는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로밍 가입자 위치정보 수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문망의 MSC 2(122)는 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타입 정보(셀기반 또는 GPS기반)를 확인하고, 로밍 가입자 단말 MS 2(128)가 등록되어 있는 홈위치 등록기 HLR 2(124)나 측위 시스템(126)에 대해 셀기반 위치정보 또는 좌표기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단계 107 내지 단계 108)
즉, 로밍 가입자 단말의 위치 타입이 GPS 기반인 경우에는 측위 시스템(126)에 대해 좌표기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셀 기반인 경우에는 홈위치 등록기(124)에 대해 셀기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동 교환국 MSC 2(122)로부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위치 등록기 HLR 2(124)나 측위 시스템(126)은 셀 기반의 위치정보 또는 좌표기반의 위치정보(경도, 위도)를 MSC 2(122)에 응답한다(단계 109 내지 단계 110).
측위 시스템(126)의 위치 정보 산출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홈위치 등록기(124)나 측위 장치(126)로부터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달 받은 이동 교환국 MSC 2(128)는 이 메시지에 포함된 셀기반 위치정보 또는 좌표기반 위치정보를 홈망(100)의 이동교환국 MSC 1(102)으로 리턴한다. 이때,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를 경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단계 112).
MSC 1(102)은 방문망(120)으로부터 수신한 로밍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106)의 위치정보 수집기(221)에 전달하고, 위치정보 관리기(222)는 이 새로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24)의 해당 "위치 정보" 필드를 새롭게 갱신한다(단계 114).
이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on-demand)이나 갱신 주기에 근거하여 제 3 의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로밍중인 가입자에 대해서도 홈망에 위치한 다른 가입자에 상응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의 응용 서버(250)는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106)로부터 언제든지 로밍중인 가입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홈망(100) 및 방문망(120) 각각은 CDMA망(2G망)과 WCDMA망(3G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방문망(120)에 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301)에 대해 통합적으로 GPS 기반의 경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가입자의 경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방문망의 측위 시스템(126)에서 로밍 가입자의 위치를 측위하며, 이때 로밍 가입자를 위해 홈망(100)에서 로밍 가입자에게 적합한 지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을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위 시스템(126)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위 시스템(126)은 CDMA망(2G망)과 WCDMA망(3G망)에 연결될 수 있으며, 2G GP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Position Determination Entity, 310, 이하 'PDE'라 함), 가입자가 2G 또는 3G 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Dual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316, 이하 'DGMLC'라 함), 3G GP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Positioning Server, 330, 이하 'PS'라 함), 2G 또는 3G망에서의 GPS 기반 위치 정보를 LBS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320, 이하 'LBSP'라 함)으로 전달하는 수단(Mobile Positioning Center, 318)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망(120)에 속하는 로밍 가입자가 위치를 요청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PS(330)는 GPMS(Global Positioning Management System, 위성 항법 관리 시스템, 332), LBS O&M(Location Based Service Operation & Management,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 및 관리, 336) 및 하나 이상의 WARN(Wireless Area Reference Network, 340, 342)와 연결되어 3G망에서의 로밍 단말기의 GPS 기반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이를 MPC(318)에 제공한다.
여기서, GPMS(332)는 OSS 마스터 데이터베이스(Operation Subsystem Master Database, 334)와 연결되며, LBS O&M(336)은 LBS O&M 데이터베이스 서버(338)에 연결되어 PS(330)가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WARN은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위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CDMA망에서만 제공되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WARN은 CDMA의 PDE(406) 이외에 WCDMA PDE(412)를 구비하고 있어 WCDMA망에 속하는 로밍 단말기에 대해서도 GPS 기반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를 요청하는 로밍 단말 기(128)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MPC(318) 및 PS(330) 사이에서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LBSP(320)에는 경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 로밍 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된 경우,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경로 요청을 수신한다는 점에서 경로 요청 수신부로, LBSP는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는 점에서 위치 요청 수신부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단말기(128)는 소정 키 신호에 의해 경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공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로밍 가입자가 경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에 접속하여 경로 서비스의 인증을 요청하며, 이에 따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인증 게이트웨이(324)에 해당 경로 요청을 하는 로밍 가입자가 경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인지를 조회한다.
인증 게이트웨이의 인증 과정은 로밍 단말기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로밍 단말기의 모델 정보가 추후에 MPC(318)로 전송될 수 있다.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본인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 이(322)는 LBSP(32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GMLC(316)가 2G 및 3G 기지국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MPC(318)는 LBSP(320)로부터 위치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DGMLC(316)로 로밍 가입자의 망 정보를 요청하고, DGMLC(316)로부터 망 정보를 수신한다.
만일, 로밍 가입자가 3G 망에 있는 경우, MPC(318)는 PS(330)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이때 PS(330)는 MPC(318)로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맺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세션 설정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PS(330)는 MPC(318)로 PS 정보를 전송하는데, 여기서 PS 정보는 PS(330)로의 접속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PS URL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PS 정보는 MPC(318)를 통해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되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와 같은 PS 정보를 통해 PS(330)와 상호 접속하게 된다.
상호 접속을 통해 PS(330)는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위치 결과는 MPC(318)로 전송되고, MPC(318)는 이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PS(330)에서 본인 위치, 즉 경로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페이지 재요청, 즉, 위치 결과 제공 요청을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한다.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상기에서 PS(330)에 의해 계산된 위치 결과 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목적지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밍 단말기에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로밍된 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언어로 작성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해당 지도 정보에 계산된 로밍 가입자의 위치를 매핑시켜 로밍 가입자에게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가입자가 있는 지역(방문망이 속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는 홈망(100)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106) 내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 서비스 플랫폼(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GISP, 107)에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목적지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로밍 연결 처리 장치(110)를 경유하여 GISP(107)으로 목적지에 상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목적지 리스트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로밍 가입자는 해당 목적지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가입자가 선택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로 요청하고, 경로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경로 결과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의 경로 결과를 수신한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며,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밍 단말기의 인증, 망 정보 확인, PS 정보를 통한 세션 설정 과정 및 위치 정보 계산 과정을 수행하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지도 정보를 전송하여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로밍 단말기의 위치 결과에 상응하는 지도 정보를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PS(330)가 3G망에 속하는 로밍 단말기에 대해 세션을 설정하고, GPS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계산하기 때문에 WCDMA망에 속하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경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에 있는 가입자에게 우리나라 언어로 작성된 지도 정보를 통해 경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서비스에서 경로 요청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경로 서비스 제공이 있어서, 우선 경로를 요청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로밍 단말기에 설치된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경로 서비스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단계 500).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해당 가입자가 경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인지 여부를 인증 게이트웨이(324)에 요청하며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502).
이때, 인증 게이트웨이(324)는 방문망(120)에 있을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홈망(100)에 있으면서 요청 시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경로 서비스 인증 응답을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단계 504), 만일 정상적으로 가입된 사용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내 위치 정보, 즉 경로 요청 단말기의 위치를 요청한다(단계 506).
이후,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LCSM 정보(Location Service Manager 정보), 즉 위치 계산 정보를 LBSP(320)로 요청하며(단계 508), LBSP(320)는 MPC(318)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510).
본 발명에 따른 MPC(318)는 DGMLC(316)에 해당 경로 요청 단말기의 망 정보를 요청하며,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512).
상기 단계 512에서 해당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PS(330)로 위치를 요청하며(단계 514), 이때, PS(330)에 포함되는 LCSM(Location Service Manager, 위치 정보 서비스 관리자)는 PS 정보 즉, PS(330)로의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PS URL 및 포트 정보를 MPC(318)로 전송한다(단계 516).
PS 정보는 MPC(318)에서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되며(단계 518),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이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단계 520).
PS 정보의 전송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PS(330)와 경로 요청 단말기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며, PS(330)는 도 4에 도시된 WARN 시스템 정보를 참조하여 경로 요청 단말기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GPS 기반으로 산출하게 된다(단계 522).
한편, 산출된 위치 결과는 PS(330)에서 MPC(318)로 전송되며, MPC(318)는 이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한다(단계 524).
이후,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페이지 재요청, 즉 위치 결과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단계 526),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위치 결과를 LBSP(320)로 재요청하며, 위치 결과를 수신한다(단계 528).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수신된 위치 결과에 대한 페이지를 생성하여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단계 530).
경로 서비스에 있어서 본인 위치, 즉 경로 서비스를 요청한 로밍 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된 후에 목적지 검색 및 경로 검색 과정이 수행되는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및 경로 검색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도 5에서 위치 결과에 대한 페이지를 수신한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로밍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목적지 검색 요청을 전송한다(단계 600).
이때, 로밍 가입자의 목적지 검색 요청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와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를 거쳐 홈망(1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홈망(100)에 구비된 GISP(107)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요청한 목적지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반환한다(단계 604).
반환 역시 로밍 연결 처리장치(110)를 경유할 수 있다.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수신된 목적지 리스트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단계 606).
가입자가 해당 목적지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에 요청하며(단계 608),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해당 경로를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에 요청한다(단계 610).
이때,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가 방문망(120)에 존재하는 경우, 목적지 정보는 방문망(120)에서의 적용되는 언어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밍 단말기(128)는 로밍 가입자가 목적지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또는 목적지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방문망(120)에서 처리 가능한 언어로 변환하여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로 전송할 수 있다.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325)는 가입자의 현재 위치 결과와 선택된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최단 경로 등을 계산하며, 계산된 경로 결과를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전송한다(단계 612).
여기서,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로밍 단말기(128)에 해당 국가의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지도 정보는 홈망(100)의 GISP(107)에서 제공할 수 있다.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가 산출된 경로 결과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 션으로 전송하여 경로 안내에 대한 준비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614).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과정의 순서도로서, 도 7은 로밍 단말기가 PS(330)에서 계산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에게 경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로 결과를 수신한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경로 안내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단계 700).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LBSP(320)로 로밍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단계 702), LBSP(320)는 해당 경로 요청 단말기의 인증을 인증 게이트웨이(324)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704).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LBSP(320)는 MPC(318)로 위치를 요청하며(단계 706), MPC(3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DGMLC(316)로 경로 요청 단말기에 대한 망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710).
경로 요청 단말기가 3G망에 있는 경우, MPC(318)는 PS(330, PS LCSM)로 PS 정보를 요청하며(단계 710),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712).
MPC(318)가 수신한 PS 정보, 즉 PS의 URL 및 포트 정보는 LBSP(320) 및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를 통해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된다(단계 714 내지 718).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PS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경로 요청 단말기의 소정 API(Application Protocol Interface)를 요청하며(단계 720), 이에 따라 경로 요청 단말기가 상기에서 수신된 PS 정보를 이용하여 PS(330)로의 접속 요청을 하게 된다(단계 722).
이후, PS(330) 내부에서는 접속에 관한 정보 처리(단계 726), 경로 요청 단말기로의 세션 연결 통보(단계 728), 위치 계산 초기화(단계 730),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보조 정보 제공(단계 732),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단계 734) 및 내부 처리 과정(단계 736)을 수행한다.
한편, 경로 요청 단말기에서는 상기한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며 제1 위치 정보를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단계 738).
제1 위치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로 제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정보를 요청하며(단계 740),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322)는 GISP(107)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742).
이렇게 수신된 지도 정보는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며(단계 744), 경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지도 정보에 따라 산출된 단말기의 제2 및 제3 위치 정보를 경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단계 746 내지 단계 748).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홈망에서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 여행중인 가입자에 대해서도 국내와 동일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가입자가 WCDMA망에 속하는 방문망에 속하는 경우,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가입자에게 가입자에게 적합한 지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경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로밍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션 설정을 통해 상기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망은 포지셔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로밍 단말기가 상기 포지셔닝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셔닝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포지셔닝 서버의 URL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망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밍 단말기로부터 경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망으로 상기 방문망에 매칭되는 지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홈망으로부터 수신된 지도 정보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는 상기 홈망에 포함된 지도 정보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망으로 상기 목적지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망으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망은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적지 리스트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경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d) 단계는 상기 홈망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수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조건은 상기 로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갱신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홈망으로부터 방문망으로 이동한 로밍 가입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망 시스템으로서,
    상기 로밍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및
    상기 로밍 단말기가 3G망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밍 단말기와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세션 설정을 통해 상기 로밍 단말기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 및 위치 계산 수단은 포지셔닝 서버이며,
    상기 포지셔닝 서버는 상기 로밍 단말기로 상기 포지셔닝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여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포지셔닝 서버의 URL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망은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상기 로밍 단말기로부터 경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홈망으로 상기 방문망에 매칭되는 지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홈망으로부터 수신된 지도 정보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는 상기 홈망에 포함된 지도 정보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로밍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홈망으로 상기 목적지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홈망으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망은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상기 목적지 리스트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경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 및 위치 계산은 상기 홈망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수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조건은 상기 로밍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갱신 주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60064088A 2005-07-08 2006-07-07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1893 2005-07-08
KR1020050061893 200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618A true KR20070006618A (ko) 2007-01-11
KR100775538B1 KR100775538B1 (ko) 2007-11-15

Family

ID=3787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088A KR100775538B1 (ko) 2005-07-08 2006-07-07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32B1 (ko) * 2007-08-07 2009-0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시스템, 해외 로밍 컨텐츠서버 및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69282B1 (ko) * 2008-06-11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9287B1 (ko) * 2008-11-07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의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8933B1 (en) 1997-05-06 2001-03-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system that communicates position information of roaming mobile stations
KR100441145B1 (ko) * 2002-06-11 2004-07-21 (주) 콘텔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자동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459761B1 (ko) * 2002-07-25 2004-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KR100964658B1 (ko) * 2002-12-27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드 서비스처리방법
US7424293B2 (en) 2003-12-02 2008-09-0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User plane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message tunneling to support roaming
KR20060036164A (ko)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서비스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32B1 (ko) * 2007-08-07 2009-0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시스템, 해외 로밍 컨텐츠서버 및 로밍 지역 로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69282B1 (ko) * 2008-06-11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9287B1 (ko) * 2008-11-07 201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의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538B1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09B1 (ko) 방문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정보 제공
KR101085633B1 (ko) 로밍 중인 이동단말기의 위치 서버 선택방법 및 그 장치와그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JP413549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位システム並びに測位方法
CN104429154B (zh) 利用移动通信系统的定位
KR100545351B1 (ko) 듀얼 스택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 추적 방법
KR20060101790A (ko) 위치 정보의 제공
CN101361392A (zh) 安全用户平面位置定位过程中的终端状态发现
WO2004036930A1 (fr) Procede de positionnement d'un combine agps dans des reseaux de communication mobile
KR20060134023A (ko)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057477A2 (en) Roaming gateway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roaming for user plane in cdma networks without requiring use of a mobile positioning center (mpc)
CN101147407A (zh) 通过在wlan和移动通信网络之间交互工作而提供位置信息服务的终端、系统和方法
KR100775538B1 (ko)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5536B1 (ko) 로밍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342B1 (ko) 측위 시스템 간의 연동을 통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66605B1 (ko) 로밍된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 시스템을 통한 위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0397941C (zh) 位置业务中对漫游目标用户的定位方法
US20070167158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roaming on dem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1317483A (zh) 用于将蜂窝移动终端连接到需要定位该终端的帮助服务的方法
KR100692641B1 (ko) 구급 요청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457B1 (ko) 아이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및 시스템
KR100802081B1 (ko) 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340B1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89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6331999A (zh) 在移动通信网中对agps手机进行定位的方法
KR101115492B1 (ko) 로밍 망의 기지국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통신 환경에서 로밍된 가입자 단말기를 측위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