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388A -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388A
KR20070006388A KR1020050061681A KR20050061681A KR20070006388A KR 20070006388 A KR20070006388 A KR 20070006388A KR 1020050061681 A KR1020050061681 A KR 1020050061681A KR 20050061681 A KR20050061681 A KR 20050061681A KR 20070006388 A KR20070006388 A KR 2007000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jack
electronic device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완
Original Assignee
오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진완 filed Critical 오진완
Priority to KR102005006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6388A/ko
Publication of KR2007000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 등의 전자기기 방전 등의 경우에 일반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자기기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사용한 전자기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 출력잭이 형성된 전원부 및 일측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 출력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연결잭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자기기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기기 연결잭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폰, 충전, 배터리, 목걸이, 악세서리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A portable electric device charg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6은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7은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자기기(핸드폰) 20: 핸드폰 연결잭
30: USB 단자 40: 충전 기기
50: 일체형 충전기 52: 핸드폰 연결잭
60: 배터리 100: 휴대용 충전 장치
110: 연결부 112: 전자기기 연결잭
114: 잠금 돌기 120: 전원 연결 단추
122: 발광 램프 124: 잠금 단추
126: 안착대 128: 전원 연결잭
130: 외부 케이스 132: 힌지
134: 끈 연결 고리 136: 끈
138: 걸림 철부 140: 걸림 요홈
142: 제1몸체 144: 제2몸체
150: 전원부 152: 삽입 공간
154: 전원 출력잭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 등의 전자기기의 방전 등의 경우에 일반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자기기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로 휴대가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보급률의 증가로 속칭 휴대폰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였다. 휴대폰은 자체 특성상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통화시간이 길어지거나 수신율이 떨어지는 장소에 장시간 있는 경우 배터리 용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는 크래들 또는 차량용 전원을 사용하는 충전기/핸즈프리 등이 공급되었지만, 이와 같은 장치는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 방식이 제안되었다.
도6은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는 핸드폰(10)의 충전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핸드폰 연결잭(20)을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 USB 단자(30) 또는 충전기기(40)를 형성/연결하여 사용한다.
핸드폰 연결잭(20)은 다양한 핸드폰의 충전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USB 단자(30)는 Universal Serial Bus 규약에 따른 단자로서, 특정 핀에 전원과 접지단이 할당되어 있어서, USB 단자를 갖는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노트북 등의 전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기기(40)는 대용량 전용 충전지를 내장하여, 내장된 전원을 다양한 DC 전원을 이용하는 기기로 공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는 USB 연결 장치를 갖는 노트북 등에 연결하거나 전용 충전기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 장비를 추가로 휴대하거나 미리 충전기기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제1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소매점 등을 통해 용이하게 구입 가능한 표준형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7은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일체형 충전기(50)로 형성된다. 일체형 충전기의 내부 공간에는 표준형 배터리(60)가 수납되고, 외부에는 핸드폰(10)의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핸드폰 연결잭(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한 뿐만 아니라, 구입이 용이한 표준형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배터리를 구입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 중 핸드폰 등은 핸드폰마다 다른 규격의 충전부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규격의 충전부를 갖는 핸드폰을 구입하게 될 경우, 충전 장치를 새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한 대신, 돌출된 핸드폰 연결잭(52) 등으로 인해 연결잭(52) 부분이 휴대시에 파손될 우려가 높다.
또한, 핸드폰 연결잭(52) 부분에 잠금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충전 장치와 핸드폰에 연결한 상태에서 통화하는 도중, 쉽게 충전 장치가 핸드폰과 분리되어, 원하지 않는 통화 단절이 발생되는 문제가 상존한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잭(52)이 손상된 경우 전체 충전 장치를 폐기해야 하는 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폰의 충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으므로, 시간을 체크해야 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다양한 전자기기 연결부의 규격에 대응이 용이한 충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세사리 형태로 형성하여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이 가능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 장치와 전자기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한 전자기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 출력잭이 형성된 전원부 및 일측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 출력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연결잭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자기기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기기 연결잭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잭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둘러싸는 안착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 출력잭 형성 부분에 상기 안착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연결부는,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의 양측에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잠금 돌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 단추가 추 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연결 단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 단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 연결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는, 일측에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 철(凸)부가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제1몸체와 일측에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힌지와 대응하는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 철(凸)부에 대응하는 걸림 요(凹)홈이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힌지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연결부가 수납되는 외부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 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자기기로서, 핸드폰을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에는 핸드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컴퓨터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는 외부 케이스(130), 연결부(110) 및 전원부(150)로 구성된다.
전원부(150)는 전자기기(핸드폰)(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연결부(110)는 전원부(150)의 전원을 전자기기(10)로 공급하는 중계를 담당한다.
외부 케이스(130)는 연결부(110)를 수납한다.
전원부(150)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출력잭(154)이 형성된다. 전원 출력잭(154)의 주변으로는 후술될 연결부의 안착대(12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152)이 형성된다. 전원 출력잭(154)은 통상의 DC 전원 출력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핸드폰의 충전 뿐만 아니라 DC 전원을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원 출력잭(154)은 삽입 공간(152)의 내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휴대시에 금속 등과의 접촉에 따른 방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5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부의 표면에는 광고 문구 등을 부착 및/또는 음,양각하여 홍보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10)는 일측에 전원 출력잭(154)에 대응하는 전원 연결잭(128)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자기기의 충전부와 연결되는 전자기기 연결잭(112)이 형성된다. 전자기기 연결잭(112)의 형상은 다양한 규격의 전자기기 충전부의 특정 하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양측부에 잠금 돌기(114)가 결합된다. 잠금 돌기(114)는 연결부(110)에 결합된 잠금 단추(124)의 누름 동작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장되게 되어 전자기기(10)과 연결부(110)가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 충전시 의도하지 않은 연결부(110)의 분리로 인한 내부 회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연결 단추(120)가 추가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전원 연결 단추(12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부(150)의 전원이 전자기기(10)로 공급된다. 또한 전원 연결 단추(120)의 동작에 연동되는 발광 램프(122)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와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케이스(13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몸체(142)와 제2몸체(144)가 힌지(132)를 중심으로 상호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몸체(142)의 힌지 형성부의 반대 부분에는 걸림 철(凸)부(138)가 형성되고, 제2몸체(144)에도 걸림 철부(138)에 대응되는 걸림 요홈(140)이 형성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걸림 철부와 걸림 요홈을 사용한 결합 방법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등가의 결합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몸체(142)의 외주면 일부에는 끈 연결 고리(134)가 형성되어, 목걸이와 같은 끈(136)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142)와 제2몸체(144)의 표면에는 광고 문구가 형성되거나 광고 스티커 등이 부착될 수 있는 광고면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홍보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사용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0)는 제1단 계, 전원부(150)에 배터리를 삽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건전지 및/또는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단계, 연결부(110)를 외부 케이스(130)에서 꺼낸다.
제3단계, 전자기기(10), 연결부(110) 및 전원부(150)를 상호 연결한다.
제4단계, 연결부(110)의 전원 연결 단추(120)를 눌러 전원부(150)의 배터리에 포함된 전원을 전자기기(10)로 공급한다. 이때, 발광 램프(122)가 동시에 발광되어 사용자가 충전중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5단계, 전자기기(10) 충전이 완료되면, 발광 램프(122)의 발광 색상이 변경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자기기(10)의 완전 충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제6단계, 잠금 단추(124)를 눌러, 잠금 돌기(114)가 전자기기 연결잭(11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하여, 전자기기(10)으로부터 연결부(110)를 분리하고, 동시에 전원부(150)를 연결부(110)로부터 분리한다.
제7단계, 연결부(110)를 외부 케이스(130)에 수납하고,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걸림 철부(138)와 걸림 요홈(140)을 사용하여 결합 고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전자기기 연결부의 규격에 대응이 가능한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돌기에 의해 전자기기와 충전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여 내부 회로의 보호가 가능한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려한 형상의 외부 케이스에 연결부가 내장되고, 외부 케이스에 끈을 연결하여 악세사리로의 활용이 가능한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핸드폰마다 또는 전자기기마다 다른 규격의 충전부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규격의 충전부를 갖는 핸드폰을 구입하게 될 경우, 충전 장치를 새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전원부와 연결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결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다양한 규격의 핸드폰 뿐만 아니라, PDA, 디지털카메라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서도 연결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활용성이 높아지고 경제적인 충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는 착탈 가능하므로, 소정 케이스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연결잭이 훼손되지 않으므로 외부에 바로 노출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한 충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되므로, 연결잭이 훼손된 경우에도 제 조 비용이 높은 전체 충전 장치를 교체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연결부만 교환할 수 있는 바, 경제적인 충전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연결잭 부분에 잠금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전 장치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잠금 단추의 해제로 상기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배터리를 사용한 전자기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 출력잭이 형성된 전원부; 및
    일측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 출력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연결잭이 형성되고, 타측에 전자기기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기기 연결잭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잭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둘러싸는 안착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 출력잭 형성 부분에 상기 안착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의 양측에 잠금 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잠금 돌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 단추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연결 단추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원 연결 단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 연결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전자기기 연결잭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 램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 철(凸)부가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제1몸체;와 일측에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힌지와 대응하는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 철(凸)부에 대응하는 걸림 요(凹)홈이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힌지를 통해 서로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연결부가 수납되는 외부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KR1020050061681A 2005-07-08 2005-07-08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KR20070006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81A KR20070006388A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81A KR20070006388A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388A true KR20070006388A (ko) 2007-01-11

Family

ID=3787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81A KR20070006388A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63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476677Y1 (ko) * 2013-07-22 2015-03-20 김형일 휴대용 휴대폰 및 충전지 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77Y1 (ko) * 2013-07-22 2015-03-20 김형일 휴대용 휴대폰 및 충전지 충전기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JP6110956B2 (ja) 充電変換アダプタを携帯でき且つ二次元バーコードの識別をサポートするモバイル電源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KR101712822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H07504065A (ja) エネルギーパック及び電池用カートリッジ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CN105991801A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系统
US20060097692A1 (en) Charger
KR200442993Y1 (ko) 휴대용 비상 배터리
CN112311040A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KR20070006388A (ko)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 장치
KR20040064153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KR20060055407A (ko) 다양한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합 배터리 충전 장치
CN208522801U (zh) 移动终端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KR200426586Y1 (ko) 휴대폰용 다기능 장치
US762976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USB interface unit therein
CN217984007U (zh) 自带线移动电源
CN202134932U (zh) 手机座充组件
CN217903574U (zh) 移动电源
JP2004015932A (ja) 携帯電話機用携帯型充電器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JP5134099B2 (ja) 充電システム
CN220710797U (zh) 一种插座及其配合使用的插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