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714A -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Google Patents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714A
KR20070005714A KR1020067022862A KR20067022862A KR20070005714A KR 20070005714 A KR20070005714 A KR 20070005714A KR 1020067022862 A KR1020067022862 A KR 1020067022862A KR 20067022862 A KR20067022862 A KR 20067022862A KR 20070005714 A KR20070005714 A KR 2007000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unnel
label switching
exit
mobil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벨레브 제나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5714A/en
Publication of KR2007000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7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Abstract

A method is provided ensuring mobility to a mobile host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eployed in the packet switched core network. When the mobile host is handed over between different domains of the radio access network connected to different egress nodes of the core network, a new data tunnel from the ingress node to the new egress node is built up. The mobile host does not change its Internet protocol address during handover. ® KIPO & WIPO 2007

Description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장치{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ECHNICAL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본 발명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등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acket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such as cellular mobile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tocols for providing routing of packet data through core networks of wireless networks.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폰 또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모바일 데이터 단말(이하, "모바일 호스트", MH라 함)은, 예를 들어, 인터넷의 서버 컴퓨터와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이동 데이터 단말과의 패킷 스위칭 데이터 접속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의 패킷 데이터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문서 또는 음성 패킷망(VoIP)과 같은 부호화 음성 및 영상 신호, 화상 회의 신호 또는 영상 스트리밍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음성 및 영상 데이터에 있어서, 또한 다른 형태의 데이터에 있어서, 전송시의 데이터 패킷의 제어되지 않은 지연 또는 손실은 실제 사용에 영향을 미쳐 무용지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전송의 특정 서비스 품질(QoS)을 확보하는 메카니즘을 관련 프로토콜에 도입하고 있다. In a wireless network, a mobile data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host", MH), such as a mobile phone or a laptop computer, is a packet, for example, with a server computer on the Internet or with another mobile data terminal on another wireless network. It has a switching data connection. Packet data in this relationship may include encoded audio and video signals, video conferencing signals or video streaming, such as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documents or voice packet networks (VoIP). In particular, in real-time audio and video data, and also in other forms of data, uncontrolled delays or losses of data packets during transmission may affect the actual use and become usele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chanism for securing a specific quality of service (QoS) of packet data transmission is introduced in the related protocol.

무선 네트워크는 소위 코어 네트워크와, 그 코어 네트워크와 모바일 호스트를 무선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GW)를 통해 예를 들어 월드 와이드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와 외부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A radio network is composed of a so-called core network and a plurality of radio access network (RAN) domains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core network and a mobile host. The core network is externally connected to other networks, such as the world wide internet via a gateway (GW).

게이트웨이(GW)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사이의 전송 기술로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을 배치하는 시나리오가 고려된다. 요구되는 QoS 조건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GW와 RAN 도메인 사이의 MPLS 기반의 터널을 셋업하여 MPLS 시그널링의 트래픽 엔지니어링(TE) 옵션을 배치한다. 터널은 네트워크의 2개의 노드 사이의 가상의 접속이며, 여기서, 페이로드 데이터는, 평이한 포인트 간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하위층 프로토콜 헤더로 캡슐화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로밍 MH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MPLS 기반의 터널 등에서 터널링된다. A scenario of de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as a transfer technology between the gateway GW and the radio access network domain is considered. To ensure the required QoS conditions, set up an MPLS-based tunnel between the GW and the RAN domain to deploy the traffic engineering (TE) option of MPLS signaling. A tunnel is a virtual connection between two nodes of a network, where payload data is encapsulated in a lower layer protocol header and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to provide a plain point-to-point connection. Data packets destined for roaming MH are tunneled through the core network in an MPLS-based tunnel or the like.

본 발명의 이러한 상황에서, RAN에서 관리되는 핸드오버 과정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트래픽(또는 데이터 터널)의 리라우팅을 가능하게 하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관리되는 핸드오버 과정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MH는 이동하는 동안에 접속 노드(node of attachment : NoA)(즉, 데이터 터널의 출구 LSR)를 변경하기 때문에, 과도한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없이 패킷 데이터가 MH에 도달하도록 코어 네트워크에서 패킷 데이터를 재방향 설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In this sit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handover procedure managed in the RAN and the handover procedure managed in the core network which likewise enables rerouting of data traffic (or data tunnel). Since the MH changes the node of attachment (NoA) (i.e., the exit LSR of the data tunnel) during the move, it redirects the packet data in the core network so that the packet data reaches the MH without undue delay or packet loss. How to do it.

예를 들어, 2세대(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 GSM)과 3세대(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이동성 관리 방법은 지적 재산적인 기술 특성을 갖는다.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는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IP)로서 알려진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네트워크내에서의 표준화된 이동성 관리를 갖는다. IP 라우팅은 목적 지점에 대한 정보로서 패킷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며, 즉, IP 어드레스는 접속 지점을 명확하게 결정한다. MIP는, MH의 현재 접속 포인트를 반영하는 2개의 IP 어드레스, 즉 정적 "홈" 어드레스와 동적 "케어 오프 어드레스(CoA)"와 모바일 호스트가 연관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서, 종래의 IP 라우팅을 확대한다. MIP의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C. Perkins 등의 RFC 3344, 2002년 8월,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mobility management methods of data communication in second generation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SM) and third generation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MTS) cellular networks have intellectual property.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has standardized mobility management within an Internet Protocol (IP) based network known as Mobile Internet Protocol (MIP). IP routing uses the packet's IP address as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point, that is, the IP address clearly determines the point of attachment. MIP extends conventional IP routing, with the possibility of associating a mobile host with two IP addresses reflecting the MH's current point of attachment, namely a static "home" address and a dynamic "care off address (CoA)". do.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of MIP is disclosed in RFC 3344, C. Perkins et al., August 2002,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MPLS 개념은 2개의 별개의 기능적인 측면, 즉, 제어 측면과 포워딩 측면을 사용한다. 제어 측면에서,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 간에 정보를 스위칭하는데 사용되어 포워딩 테이블을 구축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표준 프로토콜에는 예를 들어, "최단 경로 우선(OSPF)" 프로토콜 및 경계 경로 프로토콜(BGP)이 있다. 포워딩 측면에서, 데이터 패킷이 도달할 때, 포워딩 구성요소는 포워딩 테이블을 검색하여 각각의 패킷에 대해 라우팅을 결정한다. 포워딩 등가 등급(FEC)을 식별하는 고정된 길이의 짧은 라벨이 각각의 패킷에 부착된다. MPLS의 포워딩 측면은 라벨 스와핑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네트워크의 노드로서의 라벨 스위치(라벨 스위치 라우터(LSR)로 알려짐)는 라우팅 테이블 룩업을 수행하여, 패킷을 FEC에 매핑하고, 그 다음, 라벨 스위칭 경로(LSP)에서 다음 LSR로 전송하기 전에 패킷에 라벨을 할당한다. MPLS 개념의 상세한 설명은 E. Rosen, Floyd, A. Viswanathan 및 R. Callon의 2001년 1월, RFC 3031,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rchitecture"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The MPLS concept uses two distinct functional aspects, the control side and the forwarding side. In terms of control, standard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switch information between routers to build and store forwarding tables. Such standard protocols include, for example, the "shortest path first" (OSPF) protocol and the boundary path protocol (BGP). In terms of forwarding, when a data packet arrives, the forwarding component searches the forwarding table to determine routing for each packet. A fixed length short label identifying a forwarding equivalence class (FEC) is attached to each packet. The forwarding aspect of MPLS is based on the label swapping algorithm. A label switch (known as a label switch router (LSR)) as a node of the network performs a routing table lookup to map packets to the FEC, and then label the packets before sending them to the next LSR in the label switching path (LSP). Allocat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PLS concept is disclosed in RFC 3031,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rchitecture", in January 2001 by E. Rosen, Floyd, A. Viswanathan and R. Callon.

상술한 MPLS는 표준 IP 라우팅으로부터 이어받은 홉 단위 포워딩 패러다임을 여전히 갖고 있다. MPLS 도메인에서의 네트워크 동작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키면서, QoS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MPLS에 대한 트래픽 엔지니어링(TE) 기능이 배치될 수 있다. TE-MPLS에 대한 조건은 D. Awduche, J. Malcolm, J. Agogbua, M. O'Dell, J. McManus의 1999년 9월, RFC 2702, "Requirements for Traffic Engineering Over MPLS"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능은 사용되어 네트워크 리소스의 이용도를 최적화하고 트래픽 지향의 성능 특성을 향상시킨다. LSP에 따르는 흐름이 경로의 입구 노드에 부착된 라벨에 의해 완전히 식별되기 때문에, TE 기능에 의해 설정된 LSP를 TE-LSP 또는 LSP 터널이라 부른다. The MPLS described above still has a hop-by-hop forwarding paradigm inherited from standard IP routing. Traffic engineering (TE) functionality for MPLS may be deployed to meet QoS requirements while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network operation in the MPLS domain. Conditions for TE-MPLS are disclosed in D. Awduche, J. Malcolm, J. Agogbua, M. O'Dell, J. McManus, September 1999, RFC 2702, "Requirements for Traffic Engineering Over MPLS". . These features are used to optimize the utilization of network resources and to improve traffic-orient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ince the flow following the LSP is fully identified by the label attached to the inlet node of the path, the LSP established by the TE function is called a TE-LSP or LSP tunnel.

MPLS는 지적 재산적인 전송 기술보다는 오히려 일반적인 전송 기술이지만, 이동성은 명세서에서 이용가능하지 않다. 몇몇 최근의 발행물에서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MPLS의 배치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 2002년 3월, WCNC(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의 진행중, F. Chiussi, D. Khotimsky 및 S. Krishnan의 "A Network Architecture for MPLS-Based Micro-Mobility"와, 2002년 6월, ICT(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lecommunications)의 진행중, T. Yang, Y. Dong, Y. Zhang 및 D. Makrakis의 "Practical Approaches for Supporting Micro Mobility with MPLS" 문헌에서는 모바일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에서의 마이크로 이동성을 고려하고 있지만, 2001년 6월, ICC(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의 진행중, Z. Ren, C.-K. Tham, C.-C. Foo, C.-C. Ko의 "Integration of Mobile IP a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에 기재된 방법은 매크로 이동성 방법이다. MPLS에서 이동성을 배치하기 위해, MPLS 라벨 스위칭 경로(LSP) 터널 스위칭이 필요하다. 인용 문헌에 제시된 메카니즘은 모바일 IP와 MPLS 모두가 함께 배치되어, MH가 핸드오버후에 새로운 IP CoA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는 가정을 기초로 한다. MPLS is a general transmission technology rather than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mission technology, but mobility is not available in the specification. Some recent publications consider the deployment of MPLS in mobile networks. In March 2002, dur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WCNC), "A Network Architecture for MPLS-Based Micro-Mobility" by F. Chiussi, D. Khotimsky and S. Krishnan, and June 2002, International During the Conference on Telecommunications, T. Yang, Y. Dong, Y. Zhang, and D. Makrakis's "Practical Approaches for Supporting Micro Mobility with MPLS" literature considers micro-mobility within the network of mobile operators, but 2001 In Jun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CC) is underway, Z. Ren, C.-K. Tham, C.-C. Foo, C.-C. The method described in "Integration of Mobile IP a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by Ko is a macro mobility method. In order to deploy mobility in MPLS, MPLS label switching path (LSP) tunnel switching is required. The mechanism presented in the cited referenc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mobile IP and MPLS are collocated together so that the MH can obtain a new IP CoA address after handover.

미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대화식 서비스(음성 및 영상 회의)는 지원되어야 한다.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데이터 경로에서의 트래픽 흐름의 유지를 간략화하기 위해서, 쌍방향 MPLS 터널이 사용되어 게이트웨이와 NoA를 접속할 수 있다. 쌍방향 LSP의 셋업은 ("종래의" MPLS의 컨텍스트로) Internet Draft, Work in Progress, R. Dube, M. Costa의 "Bi-directional LSPs for classical MPLS", 및 (범용의 MPLS의 컨텍스트로) 2003년 1월, RFC 3473, L. Berger 외 다수의 "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GMPLS) Signallin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Extensions"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LSP 셋업에 대한 과정보다는 오히려 메시지 포맷에서만 다르다. 상술한 메카니즘을 이용하면, 쌍방향 LSP 셋업은 경로 메시지에 "업스트림 라벨"이 있다는 것으로 표시된다. 시그널링 과정에 대해서는, 단방향 터널의 셋업과는 차 이가 없다.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상술한 인용 문헌을 참조한다. In future wireless networks, interactive services (voice and video conferencing) must be supported. To simplify the maintenance of traffic flow in the downstream and upstream data paths, a two-way MPLS tunnel may be used to connect the gateway and the NoA. The setup of interactive LSP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MPLS) is based on Internet Draft, Work in Progress, R. Dube, M. Costa's "Bi-directional LSPs for classical MPLS", and (in the context of universal MPLS) 2003 In January, RFC 3473, L. Berger et al., Described in detail in "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GMPLS) Signalin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 (RSVP-TE) Extensions", rather than the process for LSP setup. Rather it differs only in message format. Using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the interactive LSP setup is indicated by the presence of an "upstream label" in the route message. For the signaling process,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setup of the unidirectional tunnel. See the above cited document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이하에서, 용어 "발신 장치(initiator)"는 LSP 셋업을 개시하는 LSR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용어 "종단 장치(terminator)"는 LSP의 다른 단부에 있는 LSR를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단방향 터널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구 LSR는 발신 장치에 대응하며, 출구 LSR은 종단 장치에 대응한다. 단방향 및 쌍방향 MPLS 터널을 세업하는 과정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단방향 터널이 고려되고, 용어 입구 및 출구 LSR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상술한 과정은 또한 쌍방향 터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e term "initiator" is used to represent an LSR that initiates an LSP setup, and the term "terminator" is used to represent an LSR at the other end of the LSP.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a unidirectional tunnel, the inlet LSR corresponds to the originating device and the outlet LSR corresponds to the terminating device. Since the process of washing the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MPLS tunnels is not differ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directional tunnel is considered, and the term inlet and outlet LSR can be used for ease of explanation. However, this is not considered to be limiting, and the above procedure can also be applied to a two-way tunnel.

쌍방향 MPLS 터널의 셋업 방법은 대칭 및 비대칭 터널 모두에 대한 수단을 제공한다. 음성 서비스 또는 화상 회의 기능을 가진 대칭의 쌍방향 터널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쌍방향 터널이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때, 업스트림 경로에 대한 대역폭이 다운스트림 경로에 있어서의 대역폭보다 낮은 비대칭 터널은 트래픽 조건에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대칭/비대칭 터널을 셋업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method of setting up a bidirectional MPLS tunnel provides a means for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tunnels. Symmetric two-way tunnels with voice services or video conferencing may be desirable. In contrast, when a two-way tunnel is used to support video streaming, an asymmetric tunnel where the bandwidth for the upstream path is lower than the bandwidth for the downstream path can be optimized for traffic condition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oes not affect the process of setting up a symmetric / asymmetric tunnel.

MPLS 구조는 단일 라벨 분배 프로토콜을 가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어 측면에서, 라벨 분배 프로토콜(LDP) 및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RSVP) 등의 상이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초기에, RSVP는 표준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QoS를 구현하는 통합 서비스(IntServ) 개념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몇몇 추가 개체(object)를 이용한 RSVP에서의 확장을 이용하면, RSVP를 MPLS에서의 TE를 사용 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확장된 RSVP는 RSVP-TE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2001년 12월, RFC 3209, D. Awduche, L. Berger, D. Gan, T. Li, V. Srinivasan, G. Swallow의 "RSVP-TE : Extensions to RSVP for LSP Tunnels"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특히, 확장된 RSVP 프로토콜은 리소스 예약으로 또는 리소스 예약 없이, 명백한 라우팅 LSP의 실증을 지원한다. 또한, LSP 터널의 자연스러운 리라우팅, 사전 비움(pre-emption) 및 루프 검출을 지원한다. The MPLS architecture does not assume a single label distribution protocol, and therefore, in terms of control, different signaling protocols such as label distribution protocol (LDP) and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may be used. Initially, RSVP was designed to meet the concept of integrated services (IntServ), which implements QoS in standard IP-based networks. Using extensions in RSVP with some additional objects, RSVP can be used as a signaling protocol using TE in MPLS. Extended RSVP is known as RSVP-TE, which is described in December 2001 by RFC 3209, D. Awduche, L. Berger, D. Gan, T. Li, V. Srinivasan, G. Swallow. Extensions to RSVP for LSP Tunnels ". In particular, the extended RSVP protocol supports the demonstration of explicit routing LSPs, with or without resource reservations. It also supports natural rerouting, pre-emption, and loop detection of LSP tunnels.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RSVP-TE는 예시적인 시그널링 프로토콜로서 고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터널을 제공하는 다른 특정 프로토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RSVP-TE에 2개의 메카니즘이 현재 이용가능하며, 이로써, 기존의 LSP 터널에 대한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메카니즘은 MPLS 기반 복구 메카니즘과, RFC3209에 제안된 LSP 변경 메카니즘이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SVP-TE is considered as an exemplary signaling protocol. However,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specific protocols for providing data tunnels in packet switching networks. Two mechanism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RSVP-TE, which allows to implement changes to existing LSP tunnels. These mechanisms include the MPLS-based recovery mechanism and the LSP change mechanism proposed in RFC3209.

MPLS 기반 복구 메카니즘은 링크 또는 노드 실패가 발생할 때 LSP의 리라우팅을 확인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대한 프레임워크는 RFC 3469에 개시되어 있으며, 제안된 해결책은, 로컬 복구에 대한 2개의 상이한 기술, 즉, 일대일 백업(로컬 복구의 각각의 잠재 포인트에 우회(detour) LSP를 형성)과 사용자 기능 백업(바이패스 터널을 형성하여 잠재적인 고장 포인트를 검출)이 제안된 "Fast Reroute Extensions to RSVP-TE for LSP Tunnels"에서 찾을 수 있다. The MPLS-based recovery mechanism verifies the rerouting of the LSP when a link or node failure occurs. A framework for this mechanism is disclosed in RFC 3469, and the proposed solution consists of two different techniques for local recovery: one-to-one backup (forming a detour LSP at each potential point of local recovery) and User function backups (forming bypass tunnels to detect potential failure points) can be found in the proposed "Fast Reroute Extensions to RSVP-TE for LSP Tunnels".

상술한 메카니즘 둘 다의 공통점은 RSVP-TE의 "경로" 메시지의 SESSION 개체(RFC 3209를 참조)가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며, 이는 LSP ID뿐만 아니라, LSP 터널의 입구 및 출구 노드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MH를 가지고 있어, 출구 LSR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상술한 메카니즘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시그널링에 사용될 수 없다. Common to both of the above mechanisms is that the SESSION entity of RSVP-TE's "path" message (see RFC 3209) remains the same, which means that the entry and exit nodes of the LSP tunnel as well as the LSP ID are not changed. it means. Thus, with the mobile MH and the location of the exit LSR changes, none of the mechanism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the signa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패킷 데이터의 연속적인 라우팅을 가능하게 하면서,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을 무선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호스트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Accordingly, what is needed is a method that provides for mobility for mobile hosts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eployed in the core network while enabling continuous routing of packet dat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PECIFIC LABEL EDGE ROUTER OPERATION WITHIN A CORE AND EDGE NETWORK"의 CA2292252에서, 패킷 스위칭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 기능으로 구성된 모바일 특정 라벨 에지 라우터(MLER)를 이용한다. MLER은 현 서빙 무선 기지국과 연관된 제 1 MLER로의 라벨 스위칭 경로로부터 목표 기지국과 연관된 제 2 MLER에 대한 다른 라벨 스위칭 경로까지의 호출의 핸드 오버를 지원한다. 상술한 방법에서, 경로는 라벨 에지 라우터(LER)와 BS 사이에서 이용가능하다. 핸드오버에서, 라벨 에지 라우터는 신 기지국을 목표로 하는 MPLS 라벨을 가진 구 기지국으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의 MPLS 헤더를 변경한다. CA2292252는 MPLS 도메인 내에서의 LSP의 분할을 제안하며, 여기서, 중간 LER은 패킷의 헤더를 변경한다. 이는 중간 LER의 기능 확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의 중간 노드에 대한 최소한의 추가 조건을 가진 간략한 방법이 요구된다. In CA2292252 of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PECIFIC LABEL EDGE ROUTER OPERATION WITHIN A CORE AND EDGE NETWORK", the packet switching communication network uses a mobile specific label edge router (MLER) configured with mobility management. The MLER supports handover of calls from the label switching path to the first MLER associated with the current serving wireless base station to another label switching path for the second MLER associated with the target base station. In the method described above, a path is available between the label edge router (LER) and the BS. In handover, the label edge router changes the MPLS header of the data packet destined for the old base station with the MPLS label targeting the new base station. CA2292252 proposes partitioning of LSPs within the MPLS domain, where the intermediate LER changes the header of the packet. This requires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L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implified method with minimal additional requirements for intermediate nodes in the core network.

"PUBLIC MOBILE DATA COMMUNICATIONS NETWORK"의 WO0045560A2는 홈/외부 에이전트 모델을 이용한 공중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예이며, 여기서,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는 데이터 터널을 통한 공중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모바일 IP 패킷은 MPLS LSP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홈 에이전트는 인터넷 백본 부근에 존재하는 포인트에 위치하며, 각각의 기지국은 외부 에이전트 기능을 실행하였다. 데이터 터널은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 중 하나와의 사이에 설정된다. WO0045560A2는 MPLS LSP를 통해 동작하는 모바일 IP를 가정하고 있다. 이는 모바일 호스트로부터의 기능 확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관리 작업을 상당히 경감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WO0045560A2 of "PUBLIC MOBILE DATA COMMUNICATIONS NETWORK" is an example of a public mobile access network using a home / external agent model, where a home agent and an external agent transmit data packets through a public mobile access network via a data tunnel. Mobile IP packets are sent using MPLS LSPs. The home agent is located at a point near the Internet backbone, with each base station executing an external agent function. The data tu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home agent and one of the external agents. WO0045560A2 assumes mobile IP operating over an MPLS LSP. This requires expanding functionality from the mobile host. Thu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mobility management of mobile hosts.

"MPLS DATA TRANSMISSION IN PACKET-ORIENTED MOBILE RADIO NETWORKS"의 WO2003030467A2에 개시된 방법에서, 고유 MPLS 라벨이 각각의 단말에 할당된다. 이러한 MPLS 라벨에 의해, 데이터 패킷의 단말로의 명확한 어드레싱을 가능하게 한다. 라우터는 MPLS 또는 다른 터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 패킷을 터널링한다. 고유 MPLS 라벨에 대해 MPLS 라우터에 통지하는 단말용 방법을 제공한다. 그 다음, MPLS 라우터는 라벨 스태킹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에 터널링한다. WO2003030467A2에는, 각각의 단말이 입구 포인트로부터 모바일 호스트로의 터널링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 MPLS 라벨을 갖고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시그널링의 채택을 필요로 한다. MPSL 기능에 모바일 호스트를 포함시키지 않는 방법이 필요하다. In the method disclosed in WO2003030467A2 of "MPLS DATA TRANSMISSION IN PACKET-ORIENTED MOBILE RADIO NETWORKS", a unique MPLS label is assigned to each terminal. This MPLS label enables explicit addressing of the data packet to the terminal. Routers tunnel information packets using MPLS or other tunneling protocols. Provided is a method for a terminal that notifies an MPLS router about a unique MPLS label. The MPLS router then tunnels the data packet to the terminal using label stacking. WO2003030467A2 discloses that each terminal has a unique MPLS label that enables tunneling from the entry point to the mobile host. This requires the adoption of signaling in radio access networks.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not include a mobile host in MPSL functionality.

모바일 네트워크에의 MPLS의 도입은 QoS(특히 실시간 서비스에 관련됨)와 TE를 제공할 수 있는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의 장점을 포함한다. MH는 BS 사이(결과적으로, AR 사이)를 로밍하기 때문에, MPLS의 종단에 있는 입구 LSR는 핸드오버 동안에 변할 것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MH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방법 이 요구된다. MPLS에서의 이동성을 사용하는 현재 알려진 방법은 모바일 IP를 기초로 하며, 새로운 AR에 등록할 때 MH가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받는 것을 필요로 한다. The introduction of MPLS into mobile networks includes the advantages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that can provide QoS (particularly related to real-time services) and TE. Since the MH roams between BSs (and consequently between ARs), the inlet LSR at the end of the MPLS will change during the handover. In such a scenario, an appropriate method of providing mobility to the MH is required. Currently known methods of using mobility in MPLS are based on mobile IP and require the MH to receive a new IP address when registering for a new AR.

특히, 입구 노드가 핸드오버 동안에 변경되는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호스트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간단한 방법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if the entry node changes during handover,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simple method of providing mobility for mobile hosts in a wireless network.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이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호스트에 개선된 간단한 방법으로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호스트가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패킷 스위칭 접속의 사전정의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mobility in an improved simple way for mobile hosts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eployed in the core network.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 capable of maintaining a predefined quality of service of a packet switching connection while the mobile host is moving within the service area of a wireless network.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방법 및 시스템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 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independent claims. Possibl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fin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a) 입구 노드로부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서빙하는 제 1 출구 노드까지의 제 1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와, 모바일 호스트가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면, (b) 입구 노드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서빙하는 제 2 출구까지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계 (b)에서 IP 어드레스를 가진 모바일 호스트는 단계 (a)에서 모바일 호스트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동일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setting up a firs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an ingress node to a first egress node serving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Moving from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b)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let node to the second outlet serv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Setting up, wherein the mobile host with the IP address in step (b) is the same as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mobile host in step (a).

기존의 터널을 리라우팅하는 대신에 새로운 터널을 제 2 (새로운) 출구 노드에 셋업하는 방법은, 터널 엔트 포인트 어드레스가 터널 식별자의 일부이기 때문에, 기존의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과의 호환가능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중간 노드에서 추가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입구 노드에서 관리될 수 있어, MH의 기능에 대한 요건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 조정이 간단해진다. The method of setting up a new tunnel at the second (new) exit node instead of rerouting the existing tunnel provides the advantage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s because the tunnel endpoint address is part of the tunnel identifier. do. Mobility coordination is simplified because it can be managed at the inlet node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functionality at the intermediate node, thereby reducing the requirement for the functionality of the MH.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MPLS 터널은 제 1 MPLS 터널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과 같은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MH가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내측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서비스 품질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MPLS tunnel may have a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such as a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of the first MPLS tunnel. Thus, when the MH moves inside the service area of the wireless network, the quality of service may not change.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MPLS 터널의 식별자간의 차이점은 터널 엔드 포인트 어드레스뿐이다. 이로써, 간단한 시그널링의 장점을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시그널링에 대해 필요한 트래픽을 감소시킨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rs of the first and second MPLS tunnels is the tunnel endpoint address.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simple signaling and reduces the traffic required for signaling in the core network.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MPLS 터널은 제 1 MPLS 터널이 해제(tear down)되기 전에 구축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패킷의 손실 위험을 회피하는 개선된 신뢰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MPLS tunnel is established before the first MPLS tunnel is teared down.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ed reliability that avoids the risk of loss of data packets.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MPLS 터널의 셋업은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etup of the second MPLS tunnel may be initiated from the first exit node.

이러한 실시예는 제 1 (구) 출구 노드는 새로운 터널의 셋업을 제 2 (신) 출구 노드에 요청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시그널링 장점을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 simple signaling advantage since the first (old) exit node has all the information needed to request the second (new) exit node to set up a new tunnel.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c) 제 1 출구 노드에 핸드오버에 대해 통지하는 단계와, (d) 제 1 출구 노드에 의해, (d1) 접속 확인 신호를 제 2 출구 노드에, (d2)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입구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입구 노드에 의해, (d2)에 규정된 메시지의 수신시에, 제 2 출구 노드에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f)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d1)에 정의된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에 관하여 입구 노드로부터 시그널링한 후에,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g) 터널 셋업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 1 터널로부터 제 2 터널로의 트래픽을 입구 노드에 의해 스위칭하는 단계와, (h) 입구 노드에 의해 제 1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c) notifying the first exit node of the handover, (d) by the first exit node, (d1) sending a connect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second exit node, (d2) sending a message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it node to the entry node, and (e) upon receipt of the message specified in (d2) by the entry node, a second to the second exit node; Initiating the setup of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nd (f) receiving, by the second exit node, the connection confirmation signal defined in (d1) from the inlet node with respect to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fter signaling, completing a handover procedure in the network, (g) switching traffic from the first tunnel to the second tunnel by the ingress node upon receiving a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h ) Release of the first tunnel by the entry node It may contain.

이러한 실시예는, 새롭게 도입되어야 하고 현 표준의 일부가 아닌 프로토콜 내의 하나의 구성 요소만을 필요로 하면서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그널링의 장점을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s of fast and reliable signaling while requiring only one component within the protocol that must be newly introduced and not part of the current standard.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c)는 (c1)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모바일 호스트의 IP 어드레스와 제 1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에 관하여 제 2 출구 노드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c2)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step (c) comprises (c1) notifying, by the mobile host, the second exit node of the mobile host's IP address and the IP address of the first exit node; and (c2) the second exit node; Requesting, by the node, authentication from the first exit node.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d2)에서의 메시지는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메시지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기존의 프로토콜과의 호환성의 장점을 제공한 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essage in step (d2) is a dedicated message in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rotocols.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d2)에서의 메시지는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개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양 터널에 공통인 동일 구성 요소가 단계 (d2)에서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토콜과의 호환성의 장점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essage in step (d2) includes a dedicated entity in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rotocols, since the same components common to both tunnels are not repeated in step d2, while at the same time minimizing signaling traffic.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출구 노드는 단계 (c)에서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제 2 출구 노드의 식별자에 대해 또한 핸드오버에 대해 통지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및 제 2 출구 노드간의 직접적인 접속이 없는 경우에, 예를 들어, 느슨하게 결합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과의 직접적인 접속이 없는 경우에 실행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xit node notifies the handover as well as the identifier of the second exit node by the mobile host in step (c). In addition,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absence of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it nodes through the core network, for example in the absence of a direct connection with a loosely couple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노드는 단계 (c)에서 제 1 출구 노드를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의 다른 이용가능한 터널에 대해 체크하고, 각각의 이러한 터널에 대해 제 2 출구 노드로의 터널의 셋업을 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 1 출구 노드가 동일 MH로의 모든 기존의 터널에 대해 단 1회만 단계 (d2)에서의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제 1 출구 노드와 입구 노드 사이의 시그널링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entry node checks for other available tunnels to the mobile host via the first exit node in step (c) and initiates setup of the tunnel to the second exit node for each such tunnel. do. This embodimen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gnaling between the first exit node and the ingress node since the first exit node has to send the message in step (d2) only once for all existing tunnels to the same MH. That provides the benefits.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은 제 2 출구 노드로부터 개시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is initiated from the second exit node.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i)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제 2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에 대해 제 1 출구 노드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k) 제 1 출구 노드 로부터 제 2 출구 노드로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l) 제 2 출구 노드로부터 입구 노드로 요청을 전송하여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와, (m) 입구 노드에 의해, 단계 (c)에 정의된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 2 출구 노드로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의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n)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에 관하여 입구 노드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o) 입구 노드에 의해, 터널 셋업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구 터널로부터 제 2 터널로 트래픽을 스위칭하는 단계와, (p) 입구 노드에 의해 구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includes (i) informing the first exit node of the IP address of the second exit node by the mobile host, and (k) from the first exit node to the second exit node. Transmitting the context information, (l) setting up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by sending a request from the second exit node to the entry node, and (m) by the entry node, defined in step (c) After receiving the received request, initiating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o the second exit node, and (n) by the second exit node, regarding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the entry node. After receiving the signaling from the network, completing the handover process in the network, and (o) switching traffic from the old tunnel to the second tunnel when the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entry node. And (p) releasing the old tunnel by the inlet node.

이러한 실시예는 새롭게 도입되어야 하고 현 표준의 일부가 아닌 프로토콜 내의 하나의 구성 요소만을 필요로 하면서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그널링의 장점을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 of fast and reliable signaling while requiring only one component in the protocol that must be introduced new and not part of the current standard.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l)에서의 요청은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개체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양 터널에서 공통인 동일 구성 요소가 단계 (l)에서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토콜과의 호환성의 장점을 제공하면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quest in step (l) may be a dedicated entity in th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his embodiment minimizes signaling traffic while providing the advantage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rotocols since the same components common in both tunnels are not repeated in step (l).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노드는 단계 (m)에서 제 1 출구 노드를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의 다른 이용가능한 터널에 대해 체크하여, 각각의 이러한 터널에 대하여 제 2 터널의 셋업을 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 1 출구 노드가 동일 MH로의 모든 기존의 터널에 대하여 단 1회만 단계 (l)에서의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 에, 제 1 출구 노드와 입구 노드 사이의 시그널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entry node checks for another available tunnel to the mobile host via the first exit node in step (m), initiating setup of a second tunnel for each such tunnel. Since the first exit node has to send the message in step (l) only once for all existing tunnels to the same M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gnaling between the first exit node and the entrance node as much as possible. To provide.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wireless network is a cellular network.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advantage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cellular networks.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기존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wireless network i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his embodiment provides compatibility with existing local area networks.

실시예에서, 원격 통신 시스템은, 노드 중 하나가 입구 노드로서 구성되어 외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노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라벨 스위칭 라우터를 구비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구비하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호스트와, 각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이 상기 노드 중 하나와 상기 모바일 호스트를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호스트가 위치한 제 1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1 출구 노드로의 제 1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호스트가 자신의 위치를 상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상기 제 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제 2 서비스 영역으로 변경하면,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로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며, 상기 모바일 호스트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변경하지 않는다. In an embodiment, the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es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label switching routers, wherein one of the nodes is configured as an entry node to form a node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switching network, and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A mobile host configured to receive packet data, and each radio access network domain comprises a plurality of radio access network domains configured to wirelessly connect one of the nodes and the mobile host, the network from the inlet node, the mobile; And to set up a firs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a first egress node that connects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belonging to a first service area in which the host is located, wherein a mobile host determines its location in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Changing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main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establishes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gress node to a second exit node connect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Setup, the mobile host does not change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과의 호환성으로 인해 기존의 시스템을 갱신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중간 노드에서의 추가적인 기능에 대한 요건이 없으며, MH의 기능에 대한 요건이 감소된다. The tele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by updating the existing system due to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There is no requirement for additional functionality at the intermediate node, and the requirement for functionality of the MH is reduced.

다른 실시예에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의 입구 노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의 제 1 출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상기 모바일 호스트의 핸드오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상기 입구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exit of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configured to receive packet data from an ingress node of the network via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nd transmit the packet data to a mobile host through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he apparatus forming the node, aft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handover of the mobile host from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connects the second egress node to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Sending an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ingress node and a message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outlet node.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의 출구 노드로서 바람직하게 작용할 수 있다.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preferably act as an exit node of the tele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까지의 입구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의 제 1 출구 노드 및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상기 모바일 호스트의 위치 가 핸드오버되고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상기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부터의 터널 셋업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터널로부터 상기 제 2 터널로 트래픽을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an inlet node from an external packet switching network to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is formed, and packet data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network to convert the packet data into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n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to a mobile host via a first exit node and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may send a message with information about a second exit node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mobile host is handed over and attaches to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After receiving from the first exit node, initiating setup of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the second exit node, and after receiving a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second exit node; From the first tunnel to the second tunnel And switching the pick and releasing the first tunnel.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으로 입구 노드(게이트웨이)로서 바람직하게 작용할 수 있다. Th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preferably act as an entrance node (gateway) to a tele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1 illustrates an exemplary structure of a wireless network;

도 2는 코어 네트워크의 2개의 출구 노드 사이의 모바일 호스트의 핸드오버를 도시하는 도면, 2 illustrates handover of a mobile host between two exit nodes of a core network;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엔티티의 프로토콜 적층을 도시하는 도면, 3 shows a protocol stack of the entity shown in FIG. 2;

도 4는 새로운 MPLS 터널의 셋업이 제 1 (구) 출구 노드로부터 개시되는 경우에 핸드오버 과정에 연관된 엔티티 간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4 illustrates the signaling flow between entities involved in the handover process when the setup of a new MPLS tunnel is initiated from a first (old) exit nod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ignaling flow shown in FIG. 4;

도 6은 새로운 MPLS 터널의 셋업이 제 2 (신) 출구 노드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에 핸드오버 과정에 연관된 엔티티 간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6 shows the signaling flow between entities involved in the handover process when the setup of a new MPLS tunnel is initiated by a second (new) exit node, FIG.

도 7은 모바일 호스트로의 멀티 터널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ordinating a multi-tunnel to a mobile host;

도 8은 MPLS 터널 식별자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8 illustrates the form of an MPLS tunnel identifier;

도 9는 RSVP-TE의 SESSION_ATTRIBUTE 개체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9 is a diagram showing the form of a SESSION_ATTRIBUTE entity of RSVP-TE;

도 10은 RSVP-TE의 PATH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message of RSVP-TE;

도 11은 입구 노드로부터 새로운 MPLS 터널의 셋업을 요청하는 RSVP-TE의 새로운 메시지의 가능성을 도시하는 도면, 11 illustrates the possibility of a new message of RSVP-TE requesting setup of a new MPLS tunnel from an ingress node;

도 12는 입구 노드로부터 새로운 MPLS 터널의 셋업을 요청하는 RSVP-TE의 새로운 개체의 가능성을 도시하는 도면.12 illustrates the possibility of a new entity of RSVP-TE requesting the setup of a new MPLS tunnel from an ingress node.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일부를 포함한다. 도면은 본 발명이 형성되고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예시하고 설명하는 하나의 예로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아야 한다.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하의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m a part of and includ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n order to explain the theo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re not to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invention to only one example that illustrates and describes examples of how the invention may be formed and used.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more detailed description, a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 구성 요소 및 구조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like elements and structure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코어 네트워크(113)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TE MPLS를 배치하는 네트워크 구성(100)의 예를 나타낸다. RAN에서, 몇몇 액세스 기술, 예를 들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3세대 RAN 및 4세대 RAN 또는 DECT 등의 무선 기술이 지원될 수 있다. 각각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은 액세스 라우터(AR)에 의해 관리되는 무선 액세스 도메인에 지역적으로 편성된다. AR은 코어 에지 라우터(CER)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13)에 접속된다. 3G 및 4G 액세스 도메인(104, 105)은 CER(28)에 접속된다. 1 shows an example of a network configuration 100 for deploying TE MPLS in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core network 113 and a radio access network (RAN). In the RAN, several access technologies may be supported, such a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hird generation RAN and fourth generation RAN or DECT. Eac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y is organized locally in a radio access domain managed by an access router (AR). The AR is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113 via a core edge router (CER). 3G and 4G access domains 104 and 105 are connected to CER 28.

MPLS 터널(4 또는 5)은 모바일 네트워크(예, 게이트 웨이, GW)내의 입구 LSR(1)와 출구 노드 LSR(2 또는 3), 예를 들어, NoA(AR 또는 기지국, BS) 사이에서 셋업된다. MH(6)으로 향하는 패킷은 입구 LSR(1)에 캡슐화되어(즉, MPLS 라벨은 IP 헤더에 부가된다), 이전의 셋업 MPLS 터널(4)을 통해 전송되고, 출구 LSR(2)를 캡슐 해제하여, 원래의 IP 어드레스(7)에 따라서 추가로 전송된다. GW(1)는 MIP 사양 RFC 3344에 기재된 외부 에이전트(FA)의 기능을 또한 수행하고, 전체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에서 유효한 외부 MH(6)에 CoA 어드레스(7)를 할당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출구 LSR(2)는, MH(6)가 핸드오버에서 인증을 필요로 하는 NoA에서 실행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구조에서, NoA는 AR이지만,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BS일 수 있다. MH(6)는 MPLS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액세스 도메인(104) 내에서의 패킷 전송이 계층 2에서 수행된다고 가정하고, 하나의 무선 액세스 도메인은 어느 한 종류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를 형성하기 때문에, 도 1로부터, MPLS 터널은 AR에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MPLS 터널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노드, 예를 들어, BS에서 끝날 수 있다. The MPLS tunnel 4 or 5 is set up between the entry LSR 1 and the exit node LSR 2 or 3, eg, NoA (AR or base station, BS) in the mobile network (e.g., gateway, GW). . Packets destined for the MH 6 are encapsulated in the inlet LSR 1 (i.e., the MPLS label is added to the IP header), transmitted through the previous setup MPLS tunnel 4, and decapsulating the outlet LSR 2. The data is further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IP address 7. It is contemplated that the GW 1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an external agent (FA) described in MIP specification RFC 3344, and assigns a CoA address 7 to a valid external MH 6 within the overall mobile network 100. . The exit LSR 2 is executed at the NoA where the MH 6 requires authentication in handover. In the system architecture shown in FIG. 1, the NoA is an AR, but in other scenarios it may be a BS. MH 6 does not support MPLS. Further, assuming that packet transmission within the radio access domain 104 is performed at layer 2, since one radio access domain forms any kind of local area network (LAN), from FIG. You can see that it ends in AR. However, the MPLS tunnel may end at another node, eg BS, that perform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H(6)은 노트북 또는 3G의 유저 장치(UE) 등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이다. MH(6)는 BS(113)과 무선 링크로 접속되어, 무선 통신을 끝내고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다른 엔티티와의 유선 패킷 스위칭 지향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BS는 최종 엔 티티일 수 있으며, 이는 MPLS 터널(4)을 끝낸다. The MH 6 is a mobile computing device such as a notebook or 3G user device (UE). The MH 6 is connected to the BS 113 over a wireless link, end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enabling wired packet switching oriented connection with other entities in the mobile network. The BS may be the last entity, which terminates the MPLS tunnel 4.

MH(6)가 BS(114)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고, BS(113)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주변에 있도록, MH(6)가 화살표 방향(115)으로 이동할 때, BS(113)와 BS(114) 사이 뿐만 아니라, 제 1 RAN 도메인(104)과 제 2 RAN 도메인(105) 사이에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데이터 패킷을 MH(6)에 계속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는 제 2 출구 노드(3)에 새로운 LSP(5)를 구축한다. MH의 위치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내에 배치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되고 저장되는 입구 LSR에 집중된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입구 LSR은 IP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각각의 입력 데이터 패킷을 MPLS 터널에 매핑할 수 있다. 따라서, MH가 동일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하는 한, MH의 IP 어드레스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When the MH 6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15 so that the MH 6 enters the service area of the BS 114 and is out of the service area of the BS 113, the BS 113 and BS ( In addition to 114, handover between the first RAN domain 104 and the second RAN domain 105 is required. In order to continue sending data packets to the MH 6, the network builds a new LSP 5 at the second exit node 3. The location database of the MH is not placed in the network, but is concentrated in the inlet LSR where the database is formed and stored. Using a database, the ingress LSR can map each input data packet to an MPLS tunnel based on the IP address. Thus, as long as the MH roams within the same wireless network,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MH's IP address.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모바일 호스트(6)는 구 출구 LSR(2)에 무선 접속되어, 제 1 터널 또는 LSP(4)를 통해 게이트웨이 또는 입구 LSR(1)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도 2의 예에서, LSP는 코어 에지 라우터일 수 있는 하나의 중간 LSR(8)을 통과한다. 다른 예에서, LSP(4)는 이러한 복수의 중간 LSR를 통과할 수 있다. 핸드오버 후에, MH(6)는 새로운 출구 LSR(3)과 무선 접속하고 있다. 새로운 LSP(5)는 입구 LSR(1)로부터 새로운 출구 LSR(2)까지 구축되며, 데이터 트래픽은 LSP(4)로부터 LSP(5)로 스위칭된다. 그 후에, 구 LSP(4)는 해제될 수 있다. 2,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100 is shown. First, the mobile host 6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old exit LSR 2 and receives data packets from the gateway or inlet LSR 1 via the first tunnel or LSP 4. In the example of FIG. 2, the LSP passes through one intermediate LSR 8, which may be a core edge router. In another example, LSP 4 may pass through this plurality of intermediate LSRs. After the handover, the MH 6 is in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new exit LSR 3. The new LSP 5 is built from the inlet LSR 1 to the new outlet LSR 2, and data traffic is switched from the LSP 4 to the LSP 5. After that, the old LSP 4 can be released.

도 3은 MPLS 네트워크의 데이터 측면에서의 프로토콜 적층을 도시한다. 301은 게이트웨이(1)의 프로토콜 적층이며, 302는 중간 LSR(8)에 속하고, 303은 각각 의 출구 LSR(2 또는 3)에 속하고, 304는 모바일 호스트(6)에 속한다. 네트워크 내의 이웃 노드 쌍마다 MPLS 프로토콜 측면에서 쌍방향 데이터 접속(305, 306)을 유지한다. MPLS 터널(307)은 입구 노드(1)로부터 출구 노드(2 또는 3)까지의 가상 포인트 간 접속이다. 이는 MPLS 데이터 접속(305, 306)을 통해 캡술화된 데이터 패킷을 홉 방식으로 전송하여 실행된다. 출구 노드(2 또는 3)는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계층 2에서의 접속(308)을 통해 수신 데이터 패킷을 MH(6)로 전송한다. 3 shows the protocol stacking on the data side of an MPLS network. 301 is the protocol stack of the gateway 1, 302 belongs to the intermediate LSR 8, 303 belongs to each exit LSR 2 or 3, and 304 belongs to the mobile host 6. Each pair of neighboring nodes in the network maintains bidirectional data connections 305 and 306 in terms of the MPLS protocol. The MPLS tunnel 307 is a virtual point-to-point connection from the entry node 1 to the exit node 2 or 3. This is done by hopping the encapsulated data packet over the MPLS data connections 305 and 306. The egress node 2 or 3 sends the received data packet to the MH 6 via connection 308 at layer 2 of the radio access network protocol, for example.

도 4는 입구 노드로부터 모바일 호스트가 핸드오버하여 모바일 호스트가 지금까지 접속된 구 출구 노드에 의해 개시했던 새로운 출구 노드까지의 새로운 MPLS 터널을 셋업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구 출구 노드가 (1) MH의 인증 및 접속 세션 파라미터, (2) MPLS 터널의 입구 노드, (3) 터널 트래픽 파라미터 및 (4) 신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정확히 알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신 MPLS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4 illustrates an example method of setting up a new MPLS tunnel from an inlet node to a new outlet node that the mobile host has handed over and initiated by the old outlet node to which the mobile host has been connected so far. 4 shows that the old exit node correctly matches (1) the authentication and connection session parameters of the MH, (2) the entry node of the MPLS tunnel, (3) the tunnel traffic parameters, and (4) the IP address of the new exit node. It has the advantage of knowing. The steps for setting up a new MPLS tunnel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단계 401에서 MH가 새로운 NoA(새로운 출구 LSR이 됨)를 검출할 때, 단계 402에서 MH는 인증을 필요로 하고 자신의 IP 어드레스와 현 (구) NoA(구 출구 LSR)의 IP 어드레스에 대해 통지한다. When the MH detects a new NoA (which becomes a new exit LSR) in step 401, in step 402 the MH requires authentication and notifies about its IP address and the IP address of its current (old) NoA (old exit LSR). do.

MH가 네트워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인증되면, 신 출구 LSR은 모르며, 단계 403에서, 여전히 MH를 서빙하는 구 출구 LSR로부터 인증을 요청한다. 확대가능 인증 프로토콜(EAP)은 MH와 신 출구 LSR 사이와, 신 출구 LSR과 구 출구 LSR 사이에서 통신이 진행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If the MH is authenticated using network resources, the new exit LSR is not known and, at step 403, requests authentication from the old exit LSR still serving the MH.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represents one possibility for communication to proceed between the MH and the new exit LSR and between the new exit LSR and the old exit LSR.

신 출구 LSR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때, 구 출구 LSR은 단계 404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한다. MH가 구 출구 LSR에 의해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다면(즉, 인증되어 동작중인 터널이 게이트웨이로부터 개설되면), LSR은 2개의 동작을 개시하여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i) 접속 확인 신호를 신 출구 LSR에 전송하고, (ii) 신 출구 LSR을 갱신하여 메시지(406)를 입구 LSR로 전송한다. 후자의 메시지는 예를 들어, MH의 IP 어드레스와 신 출구 LSR를 포함한다. 입구 LSR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 MH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며, 여기서, 입력 IP 패킷은 MH의 IP 어드레스에 따라 MPLS 터널에 분류된다. Upon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new exit LSR, the old exit LSR checks the database at step 404. If the MH is currently being serviced by the old exit LSR (ie, an authenticated and operating tunnel is opened from the gateway), the LSR initiates two operations to enable handover. (i) send a connect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new exit LSR, and (ii) update the new exit LSR to send a message 406 to the entrance LSR. The latter message includes, for example, the IP address of the MH and the new exit LSR. Since the ingress LSR needs to update the database, it needs information about the associated MH, where the incoming IP packet is classified in the MPLS tunnel according to the IP address of the MH.

출구 LSR로부터 갱신 메시지를 수신할 때, 입구 LSR은 단계 407에서 구 터널과 동일한 파라미터로 신 출구 LSR로의 신 TE 터널의 셋업을 개시한다. 셋업 과정중에, 입구 LSR은 여전히 구 터널에 대한 MH의 트래픽을 전송한다. Upon receiving an update message from the exit LSR, the entrance LSR initiates the setup of a new TE tunnel to the new exit LSR with the same parameters as the old tunnel in step 407. During the setup process, the inlet LSR still transmits the MH's traffic for the old tunnel.

접속 확인 신호 및 터널 셋업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신 출구 LSR은 MH의 전체 핸드오버를 달성하기 위해서 RAN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한다. After receiving the connection confirmation signal and tunnel setup signaling, the new exit LSR completes the handover procedure in the RAN to achieve full handover of the MH.

최종적으로, 입구 LSR에 의해 터널 셋업 확인 신호(408)를 수신할 때, 단계 409에서, 구 터널로부터 신 터널로 트래픽을 변경하여 단계 410에서 구 터널을 해제한다. Finally, upon receiving the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408 by the ingress LSR, in step 409 the traffic is changed from the old tunnel to the new tunnel to release the old tunnel in step 410.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403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의 다른 방법으로, 구 출구 LSR은 단계 501에 도시된 MH에 의해 신 출구 LSR의 식별자(예,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에 의해 신 출구 LSR과 구 출구 LSR 간의 직접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예, RAN 도메인 간의 느슨한 결합으로), 이러한 획득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MH는 신 NoA(신 출구 LSR)에 대해 구 출구 LSR에 통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 출구 LSR은 입구 LSR로의 시그널링을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5, as another method of the signaling flow shown in 403 of FIG. 4, the old exit LSR may obtain an identifier (eg, an IP address) of the new exit LSR by the MH shown in step 501. This acquisition may be possible i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new exit LSR and the old exit LSR is not possible (eg due to loose coupling between the RAN domains) due to the network configuration. In such a scenario, the MH may notify the old exit LSR about the new NoA (new exit LSR), and as a result, the old exit LSR initiates signaling to the inlet LSR.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방법의 장점은 구 출구 LSR이 신 출구 LSR의 식별자(예, IP 어드레스)를 입구 LSR로 직접 시그널링할 수 있어, 다른 방법으로 필요할 수 있는 추가 시그널링의 지연을 절약하여 과정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The advantage of the method shown in Figs. 4 and 5 is that the old exit LSR can signal the identifier (e.g. IP address) of the new exit LSR directly to the entrance LSR, saving the delay of additional signaling that might otherwise be needed. This can speed up the process.

도 6은 신 출구 LSR에 의해 시그널링이 개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옵션은, 신 출구 LSR와 구 출구 LSR이 예를 들어, 기존의 터널 트래픽 파라미터 등의 트래픽 컨텍스트 파라미터를 스위칭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는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터에서, 트래픽 콘텍스트 파라미터를 PDP 콘텍스트라 한다. 단계 601에서, 신 출구 LSR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버전 6의 경우에, 예를 들어, 라우터 공시 메시지가 3초마다 전송된다. 메시지를 수신한 후, MH는 단계 602에서 신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에 대하여 구 출구 노드에 통지한다. 결과적으로, 구 출구 LSR은 단계 603에서 트래픽 컨텍스트를 신 출구 LSR로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 출구 LSR은 입구 LSR의 식별자(IP 어드레스)에 대하여 통지하며, 이는 콘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MPLS 터널 파라미터의 일부이다. 여기서, 신 출구 LSR은 단계 604에서 입구 LSR과 접촉할 수 있으며, 신 출구 LSR로의 신 MPLS 터널의 셋업을 필요로 한다. 시그널링은 도 4와 연관시키기 전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계 605 내지 608에 의해 완료된다. 6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ignaling is initiated by a new exit LSR. This option may be possible if the new exit LSR and the old exit LS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witch traffic context parameters, such as, for example, existing tunnel traffic parameters. In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ors, the traffic context parameter is called the PDP context. In step 601, the new exit LSR periodically sends a broadcast message. In the case of version 6 of the Internet protocol, for example, a router announcement message is sent every three seconds. After receiving the message, the MH notifies the old exit node of the IP address of the new exit node in step 602. As a result, the old exit LSR communicates the traffic context to the new exit LSR in step 603. In this way, the new exit LSR informs about the identifier (IP address) of the inlet LSR, which is part of the MPLS tunnel parameter included in the context. Here, the new exit LSR may contact the inlet LSR at step 604 and requires the setup of a new MPLS tunnel to the new exit LSR. Signaling is completed by steps 605 through 608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before associating with FIG. 4.

상술한 과정에서, 사용자 당 하나의 MPLS 터널의 셋업이 고려된다. 그러나, 본 방법은 하나의 사용자가 다수의 터널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접속되는 경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이 상이한 QoS 요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터널이 애플리케이션마다 셋업되는 경우이다. 다수의 터널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MH의 사용자가 새로운 NoA로 이동할 때, 상술한 방법 중 하나가 터널 각각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과정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입구 LSR가 구 출구 LSR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신 출구 LSR로의 하나의 신 터널을 설정할 때, 입구 LSR는 과정 700을 개시한다. 먼저, 단계 701에서, 요청 메시지에 제 1 엔트리로서 정의된 기존의 MPLS 터널을 가진 새로운 리스트가 형성된다. 그 다음, 입구 LSR은 단계 702에서 동일 사용자에 대한 다른 사용가능한 터널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한다. 이러한 검색 결과로 찾게 된 다른 터널은 리스트에 추가된다. 단계 703에서, 입구 노드는 리스트 내의 제 1 엔트리에 대하여 신 출구 LSR로의 신 MPLS 터널을 셋업하며, 이 리스트는 단계 704에서 삭제된다. 단계 705에서, 리스트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비어 있다면, 단계 706에서 과정이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703으로 진행하여 리스트 내의 다음 엔트리를 취급한다. In the above process, setup of one MPLS tunnel per user is considered. However, the method can also be applied when one user is connected to a gateway through multiple tunnels. This is the case when a tunnel is set up per application because different applications may have different QoS requirements. When a user of an MH connected to a gateway through multiple tunnels moves to a new NoA,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each tunnel individually. However, this process may be optimized with the example process shown in FIG. 7 in other embodiments. When the entrance LSR receives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old exit LSR and establishes one scene tunnel to the new exit LSR, the entrance LSR begins process 700. First, in step 701, a new list with an existing MPLS tunnel defined as a first entry in the request message is formed. The entrance LSR then checks the database for other available tunnels for the same user in step 702. Other tunnels found as a result of this search are added to the list. At step 703, the entry node sets up a new MPLS tunnel to the scene exit LSR for the first entry in the list, which is deleted at step 704. In step 705, it is checked whether the list is empty. If empty, the process ends at step 706. Otherwise, go to Step 703 to handle the next entry in the list.

상술한 방법은 단방향 및 쌍방향 MPLS 터널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쌍방향 터널의 셋업이 입구 LSR(개시자)에 의해 실제로 개시되고, 단방향 터널과의 차이점은 단지 RSVP-TE 메시지 형태이기 때문에, 둘 다의 경우에서 동일할 수 있다. 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both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MPLS tunnels.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may be the same in both cases, since the setup of the two-way tunnel is actually initiated by the inlet LSR (initiator), and the difference from the one-way tunnel is only in the form of an RSVP-TE message.

도 8을 참조하면, MPLS 터널을 명확하게 식별하는 예시적인 데이터 구조(800)가 도시되어 있다. RSVP-TE 프로토콜로부터 2개의 개체, 즉, SESSION 개체(801) 및 SENDER_TEMPLATE 또는 FILTER_SPEC 개체(802)를 포함한다. SESSION 개체(801)는 터널 엔드 포인트, 즉, 네트워크의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803), 터널 식별자(805) 및 확장된 터널 식별자(806)를 포함한다. 필드(804)는 본 발명에서는 별 의미가 없으며, 0으로 채워져 있다. SENDER_TEMPLATE 또는 FILTER_SPEC 개체는 터널 전송자, 즉 네트워크의 입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와 터널 식별자(809)를 포함한다. 또한, 필드(808)는 0으로 채워진다. 도 8의 구조는 터널을 식별하는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동일 목적을 행하는 다른 구조가 생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n example data structure 800 is shown that clearly identifies an MPLS tunnel. It includes two entities from the RSVP-TE protocol: SESSION entity 801 and SENDER_TEMPLATE or FILTER_SPEC entity 802. SESSION entity 801 includes the IP address 803, tunnel identifier 805, and extended tunnel identifier 806 of the tunnel endpoint, that is, the exit node of the network. Field 804 has no mea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illed with zeros. The SENDER_TEMPLATE or FILTER_SPEC entity contains the IP address and tunnel identifier 809 of the tunnel sender, i.e., the entry node of the network. In addition, field 808 is filled with zeros. The structure of FIG. 8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that identifies a tunnel. Other structures may be envisioned that serve the same purpose.

도 9는 QoS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조의 일예로서 RSVP-TE 내의 SESSION_ATTRIBUTE 개체(90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필드(901 내지 903)는 옵션이며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필드(904)는 리소스를 추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트래픽과 비교하여 터널의 우선 순위를 정의하고, 0과 7 사이의 값을 예상할 수 있다. 필드(905)는 리소스를 저장하기 위해 터널의 우선 순위를 정의한다. 플래그(906)는 터널의 라우팅에 관한 제어 스위치이며, 본 단락에서는 상세히 고려되지 않는다. 필드(908)는 0으로 채워진 세션명을 포함하며, 필드(907)는 이 이름의 길이를 포함한다. 다른 프로토콜에서, 도 9에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구조는 터널의 서비스 품질을 정의하는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9 illustrates a data structure of the SESSION_ATTRIBUTE entity 900 in RSVP-TE a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for conveying QoS information. Fields 901 through 903 are optional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Field 904 defines the priority of the tunnel relative to other traffic with respect to extracting the resource, and may expect a value between 0 and 7. Field 905 defines the priority of the tunnel for storing the resource. Flag 906 is a control switch regarding the routing of the tunnel and is not considered in detail in this paragraph. Field 908 contains the session name padded with zeros, and field 907 contains the length of this name. In other protocols, structure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9 may serve the same purpose of defining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tunnel.

도 10은, 각각 도 4 및 도 6의 단계 407 및 단계 605에서와 같이, 새로운 터널을 구축하기 위해서, 입구 노드에 의해 전송된 RSVP-TE PATH 메시지(1000)의 구 조를 도시한다. 이는 도 8과 결부시켜 설명한 SESSION 개체(801), 도 9로부터의 SESSION_ATTRIBUTE 개체(900) 및 도 8로부터의 SENDER_TEMPLATE 개체를 포함한다. EXPLICIT_ROUTE 개체는 터널의 라우트에 의해 통과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정의하는 하위 개체를 포함한다. PATH 메시지(1000)의 다른 필드는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FIG. 10 shows the structure of the RSVP-TE PATH message 1000 sent by the ingress node to establish a new tunnel, as in steps 407 and 605 of FIGS. 4 and 6, respectively. This includes the SESSION entity 801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FIG. 8, the SESSION_ATTRIBUTE entity 900 from FIG. 9, and the SENDER_TEMPLATE entity from FIG. 8. The EXPLICIT_ROUTE object contains child objects that define network nodes that must be traversed by the route in the tunnel. The other fields of the PATH message 1000 are not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 터널과 신 터널 사이의 식별자의 차이는 터널 엔드 포인트 어드레스(803) 뿐이다. 이는 변경된 SESSION(801) 및 EXPLICIT_ROUTE(1005) 개체와 함께 동일의 SENDER_TEMPLATE 및 FILTER_SPEC 개체(802)가 신 MPLS 터널의 경로와 함께 경로 메시지(1000)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조작자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완전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신 터널의 경로는 고속으로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only difference in identifier between the old tunnel and the new tunnel is the tunnel endpoint address 803. This means that the same SENDER_TEMPLATE and FILTER_SPEC entity 802 along with the modified SESSION 801 and EXPLICIT_ROUTE 1005 entities are sent in route message 1000 along with the route of the new MPLS tunnel. Since the mobile operator is fully aware of the topology of the network, the path of the scene tunnel can preferably be determined at high speed.

제안된 방법의 실행에 있어서, 새로운 개체 또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단계 406 또는 604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터널에 대한 신 MPLS 터널을 셋업하라는 요청에 대하여 프로토콜에 필요하다.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a new entity or message is required in the protocol for a request to set up a new MPLS tunnel for an existing tunnel, for example used in step 406 or 604.

도 11은 이러한 메시지(1100)의 가능한 구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다. 새롭게 요청된 터널의 식별자가 엔드 포인트 어드레스만이 기존의 구 터널의 식별자와 다르기 때문에, 메시지(1100)는 헤더(1101)의 옆에 구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가진 구 SESSION 개체와, 신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가진 신 SESSION 개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1100)는 바람직하게 짧게 유지될 수 있다. 11 shows an example of a possible structure of such a message 1100. Because the identifier of the newly requested tunnel is different from the identifier of the existing old tunnel, only the endpoint address differs from the old 1 SESSION entity with the IP address of the old exit node next to the header 1101, and the new exit node. It can only contain scene SESSION objects with IP addresses. Thus, the message 1100 may preferably be kept short.

프로토콜 내의 새로운 개체(1200)(보통, 경로 메시지 내에 포함됨)가 새로운 터널의 셋업 요청에 사용되는 경우는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안에서, 개체(1200)는 SESSION 개체(801)의 확장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신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1201)가 첨부된다. A case where a new entity 1200 (usually contained within a route message) in the protocol is used for a setup request for a new tunnel is illustrated in FIG. 12. In this proposal, entity 1200 can be obtained by extension of SESSION entity 801, appended with the IP address 1201 of the new exit node.

가능한 장점으로서, 대응하는 부분과의 접속은 핸드오버 동안에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에 의해, MH에 대한 끊김없는 이동성이 가능하다. 이들 핸드오버는 동일 또는 상이한 액세스 기술 둘 다의 범위에서 기지국 간에 있을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술한 핸드오버 과정은 터널의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며, 패킷 손실없이 고속으로 이러한 이동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트래픽이 새로운 터널 상에서 스위칭되기 전에 새로운 MPLS 터널이 셋업되고, 마지막으로 구 터널이 해제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성은 "make-before-brake"의 이론에 의해 달성된다. As a possible advantage, since the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part is maintained during the handover, the process shown in Figs. 4 to 6 enables seamless mobility to the MH. These handovers may be between base stations in the range of both the same or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The above handover procedure in the core network enables tunnel mobility and can satisfy this mobility at high speed without packet loss. This mobility is achieved by the theory of "make-before-brake" because the new MPLS tunnel is set up before the traffic is switched on the new tunnel and finally the old tunnel is released.

트래픽 컨텍스트에 대한 엔티티를 관리하는 MH와 네트워크 사이의 세션 QoS 파라미터의 교섭(negotiation)을 피하기 위해서, 제안된 방법은 구 터널에서와 같이 동일 터널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제안된 방법의 다른 장점은, 입구 LSR 및 출구 LSR과는 별개로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구현에 있어서 그 배치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중간 LSR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의해, 이용가능한 RSVP-TE 시그널링을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order to avoid negotiation of session QoS parameters between the MH and the network managing the entity for the traffic context,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same tunnel parameters as in the old tunnel. Another 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 is that, apart from the inlet LSR and the outlet LSR, the implementation of the signaling protocol does not require a change of arrangement. In other words, no change in intermediate LSR is required. In addition, by the proposed method, the available RSVP-TE signaling can be widely used, and the necessary change can be minimized.

상술한 방법의 다른 장점은 게이트웨이와 MH를 제외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마이크로 이동성 모바일 IP를 실행할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라우터의 대부분은 MPLS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면에서만 핸드오버 과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이동성 MIP 확장에 비해 시그널링 및 프로세싱의 수고가 감소된다. 또한, MH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전달되는 이동성 관리 작업으로부터 경감된다. 이는 프로세싱 전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소비 전력을 적게 하여 배터리와 MH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Another advantage of the method described above is that there is no need to implement micro mobility mobile IP at the network entity except for the gateway and the MH. Since most of the router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capable of MPL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as a handover process only from the network side. The effort of signaling and processing is reduced compared to micro mobility MIP extension. In addition, MH is mitigated from mobility management tasks delivered by network equipment. This reduces processing power, resulting in lower power consumption, which allows for smaller battery and MH.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따라서 구성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수정 및 개선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또한 상술한 교시의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 익숙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embodiments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in terms of. In addition, parts considered to be famili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not described in order not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1)

게이트웨이와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 사이의 전송 기술로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of a mobile host to a wireless network us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s a transfer technology between a gateway and a plurality of radio access network domains, the method comprising: a) 입구 노드로부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에 서비스하는 제 1 출구 노드까지의 제 1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와, a) setting up a firs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let node to the first outlet node serving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상기 모바일 호스트가 상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면, If the mobile host moves from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b)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에 서비스하는 제 2 출구 노드까지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b) setting up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let node to a second outlet node serv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를 포함하되,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모바일 호스트는 상기 단계 a)에서의 상기 모바일 호스트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동일한 상기 단계 b)에서의 IP 어드레스를 갖는The mobile host has an IP address in step b) that is the same as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mobile host in step a).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How to provide mobility for a mobile hos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은 상기 제 1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동일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갖는 모바 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wherein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has the same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as the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of the firs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식별자 간의 차이점은 단지 터널 엔드 포인트 어드레스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r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s is merely a tunnel endpoint addres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은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이 해제(torn-down)되기 전에 셋업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is set up before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is torn down.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상기 셋업은 상기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개시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said setup of said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is initiated from said first exit nod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c) 상기 핸드오버에 대해 상기 제 1 출구 노드에 통지하는 단계와, c) notifying the first exit node about the handover; d) 상기 제 1 출구 노드에 의해, d1)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접속에 대한 확인과, d2) 상기 입구 노드에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d) sending, by the first exit node, a message for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exit node; d2) a message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it node to the entry node; e) 상기 입구 노드에 의해, d2)에 정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상기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e) initiating, by the ingress node, the setup of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the second outlet node upon receiving the message defined in d2); f)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d1)에 정의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상기 셋업에 관해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시그널링한 후에,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f) completing a handover procedure in the network after receiving, by the second exit node, an acknowledgment signal defined in d1) and signaling from the inlet node regarding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do that, g) 상기 입구 노드에 의해, 터널 셋업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 1 터널로부터 상기 제 2 터널로 트래픽을 스위칭하는 단계와, g) switching traffic from the first tunnel to the second tunnel when a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ingress node; h) 입구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 releasing said first tunnel by an ingress node;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How to provide mobility for a mobile hos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계 c)는 Step c) is c1) 상기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호스트의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1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c1) notifying, by the mobile host, the second exit node about the IP address of the mobile host and the IP address of the first exit node; c2)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2) requesting, by the second exit node, authentication from the first exit node;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How to provide mobility for a mobile host.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d2)에서의 상기 메시지는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메시지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said message in step d2) is a dedicated message in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d2)에서의 상기 메시지는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개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wherein said message in step d2) comprises a dedicated entity in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 1 출구 노드는 상기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에 대하여 또한 상기 제 2 출구 노드의 식별자에 대하여 통지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In step c), the first exit node is informed by the mobile host about the handover and about the identifier of the second exit nod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입구 노드는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제 1 출구 노드를 통해 상기 모바일 호스트로의 다른 이용가능한 터널에 대하여 체크하여, 각각의 이러한 터널에 대하여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터널의 셋업을 개시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The ingress node checks for another available tunnel to the mobile host via the first outlet node in step e) and initiates setup of the tunnel to the second outlet node for each such tunnel. How to provide mobility for the hos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상기 셋업은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부터 개시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said setup of said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is initiated from said second exit node.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i) 상기 모바일 호스트에 의해, 상기 제 2 출구 노드의 IP 어드레스에 대해 상기 구 출구 노드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i) notifying, by the mobile host, the old exit node of the IP address of the second exit node; (k) 상기 구 출구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k) transmitt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old exit node to the second exit node; (l)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부터 상기 입구 노드로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는 단계와, (l) setting up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by sending a request from the second exit node to the inlet node; (m) 상기 입구 노드에 의해, 상기 단계 (c)에 정의된 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의 상기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m) initiating, by the entry node,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o the second exit node after receiving the request defined in step (c); (n)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의해, 상기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상기 셋업에 관한 시그널링을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하는 단계와, (n) completing, by the second exit node, a handover procedure in the network after receiving signaling from the ingress node regarding the setup of the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gress node; (o) 상기 입구 노드에 의해, 터널 셋업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구 터널로부터 상기 제 2 터널로 트래픽을 스위칭하는 단계와, (o) switching traffic from the old tunnel to the second tunnel when a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ingress node; (p) 상기 입구 노드에 의해 상기 구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 releasing the old tunnel by the inlet node;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How to provide mobility for a mobile host.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단계 l)에서의 상기 요청은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메시지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said request in step l) is a dedicated message in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단계 l)에서의 상기 요청은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 내의 전용 개체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said request in step l) is a dedicated entity in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입구 노드는 상기 단계 m)에서 상기 구 출구 노드를 통해 상기 모바일 호스트로의 다른 이용가능한 터널에 대하여 체크하여, 각각의 이러한 터널에 대한 제 2 터널의 셋업을 개시하는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the ingress node checks for another available tunnel to the mobile host via the old exit node in step m) to initiate setup of a second tunnel for each such tunnel.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wherein said wireless network is a cellular network. 제 1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 16,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인 모바일 호스트의 이동성 제공 방법.And wherein said wireless network i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노드 중 하나가 입구 노드로서 구성되어 외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노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라벨 스위칭 라우터를 구비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와,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label switching routers, wherein one of the nodes is configured as an inlet node to form a node connected to an external packet switching network;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구비하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호스트와, A mobile host hav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configured to receive packet data; 각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이 상기 노드 중 하나와 상기 모바일 호스트를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A plurality of radio access network domains, each radio access network domain configured to wirelessly connect one of the nodes and the mobile host 을 포함하되, Including,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호스트가 위치한 제 1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1 출구 노드로의 제 1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도록 구성되며, The network is configured to set up a firs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let node to a first egress node connecting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belonging to a first service area in which the mobile host is located; 상기 모바일 호스트가 자신의 위치를 상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상기 제 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의 제 2 서비스 영역으로 변경하면, If the mobile host changes its location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a second service area of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상기 입구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로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셋업하며, Set up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from the inlet node to a second outlet node connect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상기 모바일 호스트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변경하지 않는The mobile host does not change the internet protocol address 원격 통신 시스템. Telecommunication systems.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을 통해 멀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의 입구 노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멀티 프로토 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의 제 1 출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A first outlet of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configured to receive packet data from an inlet node of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through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nd transmit the packet data to a mobile host through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In the apparatus for forming a node, 상기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으로부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으로의 상기 모바일 호스트의 핸드오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Upon receipt of information about the handover of the mobile host from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send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a second exit node connect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Wow, 상기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상기 입구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Further configured to execute the step of sending a message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it node to the entrance node. 제 1 출구 노드 형성 장치.First outlet node forming apparatus. 외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로 입구 노드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 상기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의 제 1 출구 노드 및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통해 모바일 호스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An inlet node is formed from an external packet switching network to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and receives packet data from the external network to convert the packet data into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a first exit node of the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and a first A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o a mobile host through a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he device comprising: 상기 모바일 호스트가 핸드오버되는 제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도메인을 접속하는 제 2 출구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메시지를 상기 제 1 출구 노드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의 제 2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터널의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와, A secon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unnel to the second exit node upon receipt of a message from the first exit node with information about a second exit node connecting the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main to which the mobile host is handed over; Initiating the setup of; 상기 제 2 출구 노드로부터의 터널 셋업 확인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제 1 터널로부터 상기 제 2 터널로 트래픽을 스위칭하는 단계와, Upon receiving a tunnel setup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second exit node, switching traffic from the first tunnel to the second tunnel; 상기 제 1 터널을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Further configured to execute the step of releasing the first tunnel. 입구 노드 형성 장치. Inlet node forming device.
KR1020067022862A 2006-10-31 2004-03-31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KR200700057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862A KR20070005714A (en) 2006-10-31 2004-03-31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862A KR20070005714A (en) 2006-10-31 2004-03-31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714A true KR20070005714A (en) 2007-01-10

Family

ID=378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862A KR20070005714A (en) 2006-10-31 2004-03-31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57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85B1 (en) * 2009-07-16 2011-07-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etwork based global mobi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 next generation network enviro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85B1 (en) * 2009-07-16 2011-07-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etwork based global mobi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 next generation network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5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based data flow aggregation in a third generation (3G)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7464177B2 (en) Mobile network that routes a packet without transferring the packet to a home agent server
RU2350028C2 (en) Double-linked reservation of service quality (sq) in mechanism of intrastrip signaling
JP5320618B2 (en) Route control method and access gateway apparatus
JP2008518532A (en) Method and label switch router for providing mobility to a mobile hos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US8385332B2 (en) Network-based macro mobility in cellular networks using an extended routing protocol
US8411691B2 (en) Transfer of mobile subscriber context in cellular networks using extended routing protocol
JP4543041B2 (en) New route sett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route management device
Vassiliou et al. M-MPLS: Micromobility-enabl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JP2006502658A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QoS in vertical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EP1759494A1 (en)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ip address when changing from one service area into another in a mpls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72377A (en) Method for guaranteeing transmission service quality in internet
WO2005096556A1 (en)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EP1684471A1 (en) Method, mobile host and router providing packet switched connection during handover
WO2013178013A1 (en) Mobile node registration method, inter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and network element
US20090190551A1 (en) Route Setting Method and Route Management Device
WO2006015614A1 (en) Providing mobility to a mobile host in a network employing point-to-multipoint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JP2006352444A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transfer
KR20070005714A (en) Providing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WO200601156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cket transfer device, and path re-establishing method
Mavromoustakis et al. QoS in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an analytical study
JP2007274658A (en) Mobile control network system, router and mobile terminal
Liu et al. An approach of end-to-end diffserv/MPLS qos context transfer in HMIPv6 net
KR1010752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anteeing Quality of Multimedia Transmission Service Using Next Generation Signaling Protocol
Vassiliou et al. Supporting mobility events within a hierarchical mobile IP-over-MPL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