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275A -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 Google Patents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4275A KR20070004275A KR1020050059749A KR20050059749A KR20070004275A KR 20070004275 A KR20070004275 A KR 20070004275A KR 1020050059749 A KR1020050059749 A KR 1020050059749A KR 20050059749 A KR20050059749 A KR 20050059749A KR 20070004275 A KR20070004275 A KR 20070004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control
- communication
- switch
- home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lamp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of a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 리모콘 200 : 스위치100: remote control 200: switch
210 : 메인프로세서 220 : 적외선(IR) 송수신부210: main processor 220: infrared (IR) transceiver
230 : 통신레지스터 240 : RS-485통신 모듈230: communication register 240: RS-485 communication module
250 : 전등제어부 260 : SSR-3회 모듈250: light control unit 260: SSR-3 times module
270 : 메모리 280 : 전원부270: memory 280: power supply
300 : 전원 콘센트 400 : 홈서버300: power outlet 400: home server
402 : 메인프로세서 404 : 통신레지스터402: main processor 404: communication register
406 : 메모리 430 : RS-485통신 모듈406: memory 430: RS-485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나 전원 콘센트에 적외선(IR) 송수신 모듈과 RS-485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홈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세대 거주자가 댁 내의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각 방의 전등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n infrared (I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and an RS-485 communication module are installed in a switch or a power outlet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a villa to communicate with a home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lights of each room in a remote location by using the remote control even in a place.
일반적으로 세대 내의 각 방에 있는 조명장치(전등)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들과 독립적으로 연결된 전원 스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세대 거주자가 있는 방의 조명장치(전등)를 제어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한 제어에서는 실수로 장치를 켜둔 상태에서 다른 볼 일을 볼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손실되고, 장치의 불필요한 사용으로 인하여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며, 과열로 인한 누전으로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trol lighting devices (lights) in each room in the household, a user directly operates a power switch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m, or controls a lighting device (lighting) in a room where a household is located by using a remote control. In this way, in case of user's manual operation, if you accidentally turn on the device and see other things, unnecessary power is lost, and the life of the device is shortened due to unnecessary use of the device. There was a causal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대 내외에 설치된 조명장치(전등)를 타이머수단을 통한 시간예약제어와 원격지에서 국선을 통한 제어 등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기술들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y efforts and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uch as time reservation control through a timer means and control over a CO line at a remote location.
특히, 대한민국실용등록번호 20-0326735(출원일 : 2003년 6월 5일, 발명의 명칭 : 다기능 제어기,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05-0033985(출원일 : 2003년 10월7일, 발명의 명칭 : 홈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이하 '선행기술2'),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05-0047270(출원일 : 2003년 11월 17일, 발명의 명칭 : 리모콘 무선제어가 가능한 시간 조절용 전원플러그 장치, 이하 '선행기술3') 등이 제안되었다. In particular, Republic of Korea Utility Registration No. 20-0326735 (application date: June 5, 2003, the name of the invention: multi-func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3985 (application date: 2003 October 7, the title of the invention: home network server and its control method, hereinafter 'prior ar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7270 (Application Date: November 17, 2003, Name of the invention: remote control wireless Time control power plug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hereinafter 'prior art 3'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1 같은 경우 통합제어기로부터 지령을 받아 한 곳에서 각 방에 분산된 가전 제품 및 조명장치(전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제어수단을 제공하지만, 웹을 이용하여 제어하고, 별도의 가상 유에이알티(Virtual UART)를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떨어지는 조명장치(전등)들은 한 장소에서 편하게 제어하는 데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고, 또한 실내외의 환경에 대한 정보입력 수단이 없어 실용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1, although it provides a multi-function control means that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s and lighting devices (lights), etc. distributed in each room in one place by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control using a web, and Because of the use of virtual UARTs, incompatible lighting devices (lights) were inconvenient to comfortably control in one place, an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practicality was poor because there was no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
상기 선행기술2 같은 경우는 리모콘에 무선 랜카드를 설치하고, 이더넷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각 지점에 엑세스포인터(AP)를 두어 모드 단위 또는 기기 단위로 분산된 가전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만, 리모콘에 별도의 무선 랜카드를 장착하고 홈 네트워크 구축, 엑세스포인터(AP) 등을 설치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경비를 지출해야하고, 엑세스포인터(AP)를 이용한 무선방식을 사용하다보니 다른 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2, a wireless LAN card is installed in a remote controller, a home network is configured with Ethernet, and an access point (AP) is provided at each point to provide a means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distributed in units of units or units. However, installing a separate wireless LAN card on the remote control and installing a home network, access point (AP), etc. should spend a lot of manpower and expense, and using the access point (AP) wireless method to other generations There was a problem affecting.
상기 선행기술3 같은 경우는 전원플러그에 클럭발생부를 두어 상기 리모콘에서 설정한 시간과 클럭발생부의 자체계수기를 통하여 생성된 시간이 일치하게 되면 전원플러그를 오프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단순한 시간설정을 위한 부가기능만을 추 가했기 때문에 전원플러그에 연결되는 가전 제품이나 조명장치(전등) 등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3, a clock generator is placed on the power plug to turn off the power plug when the time set by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time generated by the clock generator are matched with each other. Since only the function was added, it was inconvenient because there was no direct control or status monitoring of home appliances or lighting devices (lights) connected to the power plu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댁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나 전원 콘센트에 리모콘과 홈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설치하여 세대 거주자가 댁 내의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각 방에 있는 전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home server in the switch or power outlet installed in the house,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household resid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light in each room at a remote location and monitoring a state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at any pla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아파트나 빌라 등의 댁 내에서 리모콘과 각 방의 스위치나 콘센트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외선(IR) 통신을 이용하여 각 방의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상기 스위치로 송신하고, 그 제어결과와 상태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IR)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하여 그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홈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받아 해당 전등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받아, 상기 해당 전등을 제어하는 각 스위 치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송신하여 각 방의 전등을 제어하게 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n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a light by using a remote control and communication between a switch and an outlet of each room in an apartment or a villa, and the like. A remote control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for controlling the light to the switch, receiving the control result and status, and displaying the result to the user; and infrared rays for controlling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 (IR) Receive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and transmit the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to the home server, and control the light from the home server.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for receiving the switch to control the light and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for controlling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 An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including a home server which receives the off light and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to each switch that controls the corresponding light. This is provi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lamp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1,
본 발명은 리모콘(100), 스위치(200), 전원 콘센트(300), 홈서버(400), 전등(도시안됨)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 리모콘(100)은 다기능 리모콘으로써 적외선(IR) 통신방식을 사용하며, 리모콘의 하부에는 가전기기(전등, TV, DVD 등)에 대한 선택키가 있고 상부에는 하부의 선택키를 누르면 선택키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전등에 관한 선택키를 누르면 현재 각 방에 있는 전등의 상태(온/오프)를 확인할 수 있다.The
상기 리모콘(100)은 적외선(IR) 통신을 이용하여 각 방의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200)로 송신하고, 그 제어결과와 각 방의 전등 상태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The
상기 스위치(200)는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IR)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하여 그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홈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받아 해당 전등을 제어한다. The
상기 홈서버(400)는 현재 각 방의 전등과 상태(온/오프) 등의 실시간 정보를 상기 스위치(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수신받아, 상기 해당 전등을 제어하는 각 스위치로 제어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를 송신하여 각 방의 전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of a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메인프로세서(210), 적외선(IR) 송수신부(220), 통신레지스터(230), RS-485통신 모듈(240), 전등제어부(250), SSR-3회로 모듈(260), 메모리(270), 전원부(28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로세서(210)는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적외선(IR) 제어정보를 수신받아 홈서버(400)와의 통신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홈서버(400)에서 송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등을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The
상기 적외선(IR) 송수신부(220)는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적외선(IR) 제 어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전등의 제어결과 및 댁 내의 전등 상태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infrared (IR)
상기 통신레지스터(230)는 상기 홈서버(400)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신 버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The
상기 RS-485통신 모듈(240)은 상기 홈서버(400)와의 통신기능을 지원하고 각 방의 전등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RS-485통신 모듈(240)은 RS-232C통신, RS-422통신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S-485
상기 전등제어부(250)는 상기 메인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전등을 직접 제어하고,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SSR-3회로모듈(260)을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메모리(270)는 상기 스위치(2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온/오프상태, 송수신 정보 등을 저장하는 램과 롬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전원부(280)는 상기 스위치(200)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스위치(200)는 전원 콘센트(300)에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가지게 끔 접목시켜, 상기 리모콘(100)으로 상기 전원 콘센트(200)와의 적외선(IR)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는 조명기구, 선풍기, 커피포트, 세탁기, 냉장고, TV 등의 가전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내부 블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3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홈서버(400)는 메인프로세서(402), 통신레지스터(404), 메모리(406), RS-485통신 모듈(430) 등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메인프로세서(402)는 상기 RS-485통신을 이용하여 댁 내의 모든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전등의 현재상태와 실시간 정보를 저장하면서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스위치(200)의 온/오프 및 예약시간설정까지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통신레지스터(404)는 상기 스위치(200)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신 버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The
상기 메모리(406)는 상기 홈서버(4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각 방의 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상태, 예약시간설정정보, 송수신 관련정보 등을 저장하는 램과 롬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RS-485통신 모듈(430)은 상기 스위치(200)와의 통신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스위치(200)에 의해 제어되는 각 방의 전등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RS-485통신 모듈(430)은 RS-232C통신, RS-422통신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S-485
상기 전원부(344)는 상기 홈서버(344)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한다.The power supply unit 344 applies power for driving the home server 344.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먼저, 댁 내에 거주하고 있는 세대 거주자가 베란다에서 작업하기 위해 전등을 켜두었다가 깜빡하고 전등을 꺼지 않고 그냥 안방으로 왔고, 상기 리모콘으로 각 방의 전등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뒤늦게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베란다의 전등이 켜져 있는 것을 알게된 세대 거주자는 안방에서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베란다의 전등을 꺼려고 시도 중이라고 가정하자.First, the householder who lives in the house turned on the lamp to work on the veranda and forgot to turn off the lamp, but just came to the room, and later found out the fact that the remote control checks the light status of each room. Suppose a householder who finds that the light on the veranda is on attempts to turn off the light on the veranda using the remote control in the home.
상기 세대 거주자는 상기 리모콘에서 전등메뉴를 누르고 리모콘의 표시부에 나타난 베란다의 전등을 선택한 후 리모콘의 적외선(IR) 통신을 이용하여 그 제어정보(예를 들면, 전등위치: 베란다, 전등번호 : 11, 온/오프 : 오프, 온/오프 예약시간 등)를 안방의 전등을 제어하는 스위치나 전원 콘센트로 보내게 된다. 상기 안방의 스위치는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된 제어정보(예를 들면, 전등위치: 베란다, 전등번호 : 11, 온/오프 : 오프, 온/오프 예약시간 등)를 수신하고 제어부에 의해 RS-485통신 방식으로 변경된 후 RS-485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홈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홈서버는 수신된 제어정보(예를 들면, 전등위치: 베란다, 전등번호 : 11, 온/오프 : 오프, 온/오프 예약시간 등)를 분석하여 온/오프 예약시간이 설정된 경우는 그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예약된 시간에 베란다의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베란다의 전등 스위치로 전송하게 된다. The household resident presses the light menu on the remote control, selects the light of the veranda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n uses the infrared (IR) communi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o control its information (for example, light position: veranda, light number: 11, ON / OFF: Off, ON / OFF reservation time, etc. are sent to the switch or power outlet to control the lamp of the room. The switch of the room receives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for example, light position: porch, light number: 11, on / off: off, on / off reservation time, etc.) and RS-485 communication by the control unit After change to the method, it is transmitted to home server by using RS-485 communication module. The home server analyzes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lamp position: veranda, lamp number: 11, on / off: off, on / off reservation time, etc.) and controls the control when the on / off reservation time is set. After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lights of the veranda at the scheduled time is transmitted to the light switch of the veranda.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정보와 미리 저장된 댁 내의 전등에 관한 정보(전등위치, 전등번호, 온/오프 등등)를 비교 분석한 후 일치하면 베란다의 전등을 제어하는 베란다의 스위치로 그 제어정보를 RS-485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홈서버로부터 제어정보(예를 들면, 전등위치: 베란다, 전등번호 : 11, 온/오프 : 오프)를 수신한 베란다의 스위치는 그 제어정보에 따라 스위치의 전등제어부가 베란다의 해당 전등을 오프시키게 된다.If not, compare the control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lights in the house (light position, light number, on / off, etc.), and match the control information with the veranda switch that controls the porch light. Transmit using 485 communication module. The switch of the porch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light position: veranda, light number: 11, on / off: off) from the home server, the light control unit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to turn off the corresponding light of the veranda. Let's go.
상기 베란다의 해당 전등을 오프시키면 그 결과와 상태를 다시 홈서버로 전송하고 홈서버에서는 그 결과와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다시 스위치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는 그 결과와 상태를 리모콘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세대 거주자는 리모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베란다의 해당 전등이 오프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방의 전등 상태는 상기 세대 거주자가 리모콘의 선택키를 통해서 선택만 함으로써 그 상태(온/오프)를 확인할 수도 있다.When the lamp of the veranda is turned off, the result and state are transmitted back to the home server, and the home server stores the result and state in a memory and then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witch. The switch transmits the result and the status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householder can confirm that the corresponding lamp of the verand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turned off.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light in each room can be checked by the household resident only by selecting through the sel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on /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최적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meaning or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은, 세대 거주자가 댁 내의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리모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댁 내의 각 방에 있는 전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s in each room of the home and monitor the status simply by using the remote control, no matter what place in the home. ,
다른 효과로는 리모콘의 적외선(IR)을 이용하여 각 방의 전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다른 세대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한 곳에서 댁 내의 모든 전등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Another effect is to control the lights in each room using the infrared (IR) of the remote control, so you can control all the lights in your home from one place without affecting other generations,
또 다른 효과로는, 상기 스위치나 전원 콘센트에 적외선(IR)통신 모듈만을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고,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As another effect, by installing only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odule in the switch or the power outlet, it is possible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existing home automation systems and reduce cost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749A KR100749046B1 (en) | 2005-07-04 | 2005-07-04 |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749A KR100749046B1 (en) | 2005-07-04 | 2005-07-04 |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4275A true KR20070004275A (en) | 2007-01-09 |
KR100749046B1 KR100749046B1 (en) | 2007-08-13 |
Family
ID=378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9749A KR100749046B1 (en) | 2005-07-04 | 2005-07-04 |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9046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3726A (en) * | 2001-10-24 | 2003-05-01 | 주식회사 매지넷 |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 power |
KR20040073041A (en) * | 2003-02-13 | 2004-08-19 | (주)유비큐 | Method for configurating home control network using an electric switch or light unit |
-
2005
- 2005-07-04 KR KR1020050059749A patent/KR100749046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9046B1 (en) | 2007-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67243B (en) | Intelligent lamp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equipment | |
CN102354194B (en) | Smart home control system | |
CN103503377B (en) | For being encoded and being linked to electric device with controlled and state report method and apparatus | |
US6713975B2 (en) | Lighting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home electric appliance | |
US20090256708A1 (en) | System and method of rfid wireless control | |
US20130066442A1 (en) | Method and system of programming at least one appliance to change state upon the occurrence of a trigger event | |
JP4658566B2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 |
CN105867145A (en) |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KR20120067608A (en) |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 |
JP2010213367A (en) | Energy saving system using ubiquitous sensor and intelligent table tap | |
CN104898453A (en) | Intelligent hous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WO2014185174A1 (en) | Energy management controller,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CN104932283A (en) | Energy-saving household control system | |
CN104460625A (en) | Intelligent home switching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 |
CN202230364U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household device | |
CN113176848B (en) |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interface, storage medium and intelligent home control panel | |
CN104121526A (en) | Lamp with infrared emission to control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49046B1 (en) | Electric ligh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emote-Controler | |
CN103002625A (en) | Multi-protocol power switch control system | |
CN210578664U (en) |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outer | |
KR20080082516A (en) | System and methods for linking utility control devices | |
KR20030012909A (en) | Home network system by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 charging equipment and the same control method | |
KR100405278B1 (en) | The Recessed Type Concent for reclamation timer and that control means | |
KR100598701B1 (en) | Home network automation system using electric power line | |
CN204883345U (en) | Intelligence house supervisory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