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891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891A
KR20070002891A KR1020050058589A KR20050058589A KR20070002891A KR 20070002891 A KR20070002891 A KR 20070002891A KR 1020050058589 A KR1020050058589 A KR 1020050058589A KR 20050058589 A KR20050058589 A KR 20050058589A KR 20070002891 A KR20070002891 A KR 2007000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istor
light emitting
data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891A/ko
Publication of KR2007000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전류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유기발광소자의 휘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트랜지스터로 발광소자에 공급할 전류의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하며, 다운-스케일링된 전류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업-스케일링될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기발광소자, 전류스케일링, 데이터전류, 구동전류, 전류상수, 휘도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UNIT FOR DRIV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도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화소회로에서 데이터전류와 구동전류를 각각 시뮬레이션한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4a는 도3에 있어서, 제 1,2스위칭소자가 모두 온(ON)일 경우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4b는 도3에 있어서, 제 1스위칭소자는 온이고, 제 2스위칭소자는 오푸일 경우의 구동을 타나낸 도면.
도4c는 도3에 있어서, 제 1,2스위칭소자가 모두 오프일 경우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도3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에 따라 데이터전류와 구동전류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데이터구동부 120: 유기발광소자
S11: 제 1스위칭소자 S12: 제 2스위칭소자
T11: 제 1트랜지스터 T12: 제 2트랜지스터
C11: 제 1커패시터 VDD: 전원전압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의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스케일링(current scaling)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체 발광타입으로서 높은 대조비(contrast ratio), 고휘도, 저소비전력빠른 응답시간 및 넓은 시야각의 특징을 갖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가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폰(mobile phone),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computer) 및 텔레비젼(television)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타입으로서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초박형 표시장치의 구현이 가능하여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청색을 비롯한 가시광선의 빛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연색에 근접한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수 마이크로초(㎲)의 빠른 응답시간을 갖기 때문에 동화상 구현이 용이하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장치로서, M×N개의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여 화상을 표현한다.
한편, 상기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전압 구동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휘도가 불규칙해지고, 청색, 녹색 및 적색 사이의 감도차에 의해 구동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전류 구동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들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장치로서, M×N개의 유기 발광화소들을 전압구동 또는 전류구동시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각각의 화소에 구비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같은 스위칭소자(switching device)를 통해 화상정보를 각각의 화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능동 매트릭스형태(active matrix type)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는 제 1,2스위칭소자(S1,S2)의 온(ON) 상태에서 전원전압(VDD)으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전류(Id1)를 조절하는 데이터구동부(10)와, 상기 데이터전류(Id1)를 충전하여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1,S2)의 오프(OFF)시 전류스케일링된 구동전류(IEL1)를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소자(20)를 발광시키는 화소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소회로에는 전류미러회로가 적용되었다. 즉, 상기 화소회로에서 데이터구동부(10)로 유입되는 전류에 일정하게 비례하는 전류를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하여 휘도를 조절한다.
상기 화소회로는 전원전압(VDD)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10)로 흐르는 데이터전류(Id1)를 업-스케일링하여 제 1커패시터(C1)에 충전되도록 하는 제 1트랜지스터(T1)와, 상기 제 1커패시터(C1)에 충전된 데이터전류(Id1)를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의 비례관계에 따라 다운-스케일링시켜 구동전류(IEL1)로 상기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하는 제 2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커패시터(C1)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에 동시에 인가된다.
상기 화소회로의 제 1,2스위칭소자(S1,S2)가 온되면, 상기 데이터구동부(10)에 데이터전류(Id1)가 유입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10)는 저항값을 조절하여 전류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를 통해 흐르는 데이터전류(Id1)에 따라 상기 제 1커패시터(C1)에는 구동전압이 충전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커패시터(C1)에 충전된 구동전압은 상 기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인가되기때문에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1,S2)가 다시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제 2트랜지스터(T2)는 상기 제 1커패시터(C1)에 충전된 구동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구동전류(IEL1)를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구동전류(IEL1)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전류상수의 비에 따라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전류상수의 비를 4:1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 2트랜지스터(T2)를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IEL1)는 데이터전류(Id1)의 1/4이 된다.
통상 유기발광소자(20)가 1㎂이하의 미세한 전류에 의해 발광하므로, 전원전압(VDD)에 의해 발생되는 큰 전류를 그대로 공급할 경우 유기발광소자(20)가 손상될 수 있기때문에 데이터전류(Id1)를 다운-스케일링한 구동전류(IEL1)를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한다.
상기 전류상수는 트랜지스터의 W/L(채널 폭/채널 길이)값에 비례하며, 트랜지스터의 전류특성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회로에서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전류상수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데이터전류(Id1)를 일정한 크기로 다운-스케일링하여 유기발광소자(20)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전류(IEL1)를 생성한다.
그런데, 실제로 상기 유기발광소자(20)에 공급되는 구동전류(IEL1)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전류상수의 비에 따라 기대되는 값과 다를수 있다. 이는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것에 기인한다.
도2는 도1의 화소회로에서 데이터전류와 구동전류를 각각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화소회로에서 전류를 스케일링하는 두 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 비를 설정하여 데이터전류(Id1)가 220㎁가 될 때, 유기발광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류(IEL1)는 60㎁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그런데, 시뮬레이션한 결과 구동전류(IEL1)는 원하는 구동전류(IEL1)에 비해 비교적 큰 값인 16㎁의 오차로 출력된다.
각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많은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공정에 의해 한 기판에 형성된다. 그러나,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된 트랜지스터라도 각각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기때문에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류스케일링을 할 경우 실제로 유기발광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는 원하는 구동전류에 비해 큰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휘도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을 동일한 트랜지스터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다운-스케일링되어 출력되는 전류가 트랜지스터간의 물성차에 따라 생기는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는 전원전압에 연결되며, 구동전류에 의해 휘도가 조절되는 유기발광소자와, 상기 전원전압으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전류를 조절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게이트전극들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 데이터전류가 유입되는 동안 그 데이터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데이터구동부로의 데이터전류 유입이 중단된 동안 상기 충전된 데이터전류를 설정비로 다운-스케일링한 구동전류를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는 전원전압(VDD)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120), 제 1트랜지스터(T11) 및 제 2트랜지스터(T12)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 1커패시터(C11)로 구성된 화소회로와; 상기 화소회로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커패시터(C11)에 충전되는 전압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유기발광소자(120)에 공급될 전류를 결정하는 데이터구동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구동부(110)와 화소회로 사이에는 제 1스위칭소자(S11)와 제 2스위칭소자(S12)가 연결되어 상기 제 1,2트랜지스터(T11,T12)와 데이터구동부(110) 사이의 전류흐름을 제어한다.
도3에 도시된 화소회로는 상기 유기발광소자(120)의 애노드가 전원전압(VDD)에 직접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 1트랜지스터(T11)의 소스전극에 직접 연결된 탑 이미션(top emission)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구동부(110)는 전원전압(VDD)으로부터 전류를 유입받으며, 그 전류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소자(120)에 공급될 전류를 조절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전류 싱크타입(current sink type)이 적용되었다.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의 W/L값은 상기 제 2트랜지스터(T2)의 W/L값보다 4배 큰 것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W/L값에 비례하는 전류상수에 있어서도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의 전류상수(k1)가 상기 제 2트랜지스터(T2)의 전류상수(k2)의 4배이다.
상기 제 1,2트랜지스터(T1,T2) 및 제 1,2스위칭소자(S11,S12)에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cide Semiconduct Transistor)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중 제 1,2스위칭소자(S11,S12)는 피-타입(P-type)과 엔-타입(N-type)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2트랜지스터(T11,T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타입이 적용되었다.
도3과 같이 구성된 전류스케일링 화소회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a 내지 도4c는 도3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의 구동과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위칭소자(S11)와 제 2스위칭소 자(S12)가 각각 온(on)되면, 전원전압(VDD)으로부터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를 통해 상기 데이터구동부(110)로 데이터전류(Id11)가 유입된다.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11,S12)가 온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이 등전위가 되어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는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 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는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11,S12)의 온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전원전압(VDD)과 상기 데이터구동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반면에 상기 제 2트랜지스터(T12)는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이 등전위가 되어 게이트-소스전압(Vgs)이 0V가 되므로, 턴-오프상태가 된다.
상기 데이터구동부(110)는 전류의 유입량을 조절하며, 이때,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에 흐르는 데이터전류(Id11)에 따라 상기 제 1커패시터(C11)에 구동전압이 충전된다. 즉, 상기 제 1커패시터(C11)에 충전될 전압레벨은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에 흐르는 데이터전류(Id11)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데이터전류(Id11)는 수학식1에서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5627990-PAT00001
여기서, k1은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의 W/L값에 비례하는 전류상수이며, Vst는 구동전압, Vth는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을 가리킨다. 즉, 상기 데이터전류(Id11)값은 제 1트랜지스터(T11)의 전류상수가 달라짐에 따라 달라진다.
화소를 통해 다양한 계조의 화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유기발광소자(120)의 휘도를 다양하게 조절해야하며, 이러한 다양한 계조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구동부(120)는 유입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를 통해 제 1커패시터(C11)에 다양한 레벨의 구동전압이 충전되도록 한다.
다음,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위칭소자(S11)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스위칭소자(S12)만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제 1커패시터(C11)는 충전된 구동전압을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제 2트랜지스터(T12)도 그대로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스위칭소자(S12)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스위칭소자(S11)도 오프상태가 될 경우 상기 화소회로와 데이터구동부(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완전히 끊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와 제 2트랜지스터(T12)의 게이트전극에는 상기 제 1커패시터(C11)에 저장된 구동전압이 동시에 인가되어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와 제 2트랜지스터(T12)가 모두 턴-온된다.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11,S12)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전압(VDD)과 접지 사이의 유기발광소자(120), 제 1트랜지스터(T11) 및 제 2트랜지스터(T12)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므로, 이 노드(node)를 통해 구동전류(IEL11)가 흐른다.
상기 구동전류(IEL11)는 직렬로 연결된 제 1트랜지스터(T11)와 제 2트랜지스터(T12)의 전류상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하, 수학식2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05035627990-PAT00002
여기서, k2는 제 2트랜지스터(T12)의 W/L값에 비례하는 전류상수이다.
도3에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T12)의 전류상수의 비를 4:1로 설정하였다. 그런데, 상기 수학식2에 의하면 데이터전류(Id11)와 구동전류(IEL11)의 비는 5:1가 된다.
상기 수학식2를 좀 더 단순화한 수학식3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5035627990-PAT00003
상기 수학식3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IEL11)/데이터전류(Id11)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의 전류상수/제 2트랜지스터(T11)의 전류상수보다 항상 작은값이 나온다. 즉, 본 발명에서 제 1커패시터(C11)에는 유기발광소자(120)를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전류(IEL11)에 비해 종래보다 더 큰 데이터전류(Id11)를 충전시킬 수 있다. 화소회로의 업-스케일링 기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트랜지스터(T11)와 제 2트랜지스터(T12)는 화소회로 내에서 전류의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에 모두 관여한다. 동일한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이 수행되므로, 종래에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을 별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수행할때에 비해 트랜지스터의 물성에 따른 구동전류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류의 업-스케일링시 제 1트랜지스터(T11)의 전류상수에 따라 데이터전류(Id11)를 충전하고, 다운-스케일링시 제 1,2트랜지스터(T12)의 전류상수에 따라 데이터전류(Id11)를 구동전류(IEL11)로 변환시키므로, 상기 데이터전류(Id11)와 구동전류(IEL11)를 종래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결과적으로, 전류스케일링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되어 원하는 값에서 오차가 적은 구동전류(IEL11)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소자(120)의 휘도 조절도 용이해진다.
한편, 도4a 내지 도4c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트랜지스터(T11)와 제 2트랜지스터(T12)는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을 등전위로 연결하거나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을 등전위로 연결하여 다이오드(diode)와 같이 동작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도5는 도3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에 따라 데이터전류와 구동전류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데이터전류(Id11)는 1㎂로 설정되고, 이에 따른 구동전류(IEL11)는 150㎁가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다. 실제로 출력되는 구동전류(IEL11)도 오차가 11㎁로서, 종래에 비해 오차가 줄어들어 원하는 값에 근접한 구동전류(IEL11)를 얻을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3과 거의 동일한 회로로서, 도3에 도시된 제 1스위칭소자(S11)와 제 2스위칭소자(S12)를 구체화시켜 제 3트랜지스터(T23)와 제 4트랜지스터(T24)로 대체하였다.
상기 제 3트랜지스터(T23)와 제 4트랜지스터(T24)의 게이트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ON/OFF전압에 의해 동시에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구성되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서는 전류 싱크 타입의 데이터구동부와 피-모스 트랜지스터가 적용되었으나, 도7에서는 전류 소스 타입의 데이터구동부(310)와 엔-모스 트랜지스터가 적용되었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구동부는 도3에 도시된 구동부와 비교하여 전류의 방향만 달라질뿐 구동의 특징은 동일하다.
전원전압(VDD)과 접지 사이에는 제 1트랜지스터(T31), 제 2트랜지스터(T32) 및 유기발광소자(320)가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소자(320)는 접지, 즉, 저전위 레벨측에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구동부(310)와 화소회로 사이에는 제 1스위칭소자(S31)와 제 2스위칭소자(S32)가 연결되어 상기 제 1스위칭소자(S31)와 제 2스위칭소자(S32)가 온이 될 경우 상기 데이터구동부(310)는 데이터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제 2트랜지스터(T32)는 데이터전류에 따른 구동전압을 제 1커패시터(C31)에 충전시킨다.
상기 제 1트랜지스터(T31)와 제 2트랜지스터(T32)는 게이트전극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 1,2스위칭소자(S31,S32)가 모두 오프될 경우 상기 제 1커패시터(C31)에 저장된 구동전압을 동시에 인가받는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유기발광소자(320)에 공급될 구동전류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T31)와 제 2트랜지스터(T32)의 전류상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는 전류의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을 동일한 트랜지스터로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류스케일링된 전류를 유기발광소자에 공급하여 유기발광소자의 휘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됨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동일한 트랜지스터로 발광소자에 공급할 전류의 업-스케일링과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하며, 다운-스케일링된 전류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화소; 및
    상기 화소에 업-스케일링될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2. 전원전압에 연결되며, 구동전류에 의해 휘도가 조절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전원전압으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전류를 조절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게이트전극들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로 데이터전류가 유입되는 동안 그 데이터전류를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상기 데이터구동부로의 데이터전류 유입이 중단된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전류를 설정비로 다운-스케일링한 구동전류를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 및 제 2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와 데이터구동부 사이에는 모두 온 상태일 때 상기 제 2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고, 제 1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데이터구동부로 데이터전류가 흐르게하고, 모두 오프 상태일때 상기 데이터구동부로의 데이터전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제 2트랜지스터를 모두 턴-온시켜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제 2트랜지스터를 통해 구동전류가 흐르게하는 제 1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는 개별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는 하나의 신호에 의해 동시에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게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는 모두 피(P)-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소자 및 제 2스위칭소자는 모두 엔(N)-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트랜지스터는 상기 데이터구동부로 데이터전류가 유입되는 동안 턴-오프되고, 상기 데이터구동부로의 데이터전류 유입이 차단된 동안 턴-온되어 제 1트랜지스터와 데이터전류를 다운-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비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상수는 트랜지스터의 W/L값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되는 데이터전류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전류로부터 다운-스케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는
    Figure 112005035627990-PAT00004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전류 싱크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는 전원전압에 직접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에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7. 접지에 연결되며, 구동전류에 의해 휘도가 조절되는 유기발광소자;
    데이터전류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전원전압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구동부가 데이터전류를 출력하는 동안 그 데이터전류를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상기 데이터구동부의 출력이 중단된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전류를 설정비로 다운-스케일링하여 구동전류로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 및 제 2트랜지스터는 엔(N)-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비는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와 제 2트랜지스터의 전류상수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KR1020050058589A 2005-06-30 2005-06-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KR20070002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89A KR20070002891A (ko) 2005-06-30 2005-06-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89A KR20070002891A (ko) 2005-06-30 2005-06-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91A true KR20070002891A (ko) 2007-01-05

Family

ID=3786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89A KR20070002891A (ko) 2005-06-30 2005-06-3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8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85B1 (ko) * 2007-06-28 2014-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257072B2 (en) 2013-05-27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CN109767724A (zh) * 2019-03-11 2019-05-17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和像素驱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85B1 (ko) * 2007-06-28 2014-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257072B2 (en) 2013-05-27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CN109767724A (zh) * 2019-03-11 2019-05-17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和像素驱动方法
US11295668B2 (en) 2019-03-11 2022-04-05 Hefei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Pixel circui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pixel driv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9929B2 (en) Pixel driver circuit with load-balance in current mirror circuit
KR100584796B1 (ko) 표시 장치
US7432891B2 (en) Active matrix drive circuit
TWI286305B (en) Display device
KR10120204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7355459B2 (en) Electronic circuit, method of driving electronic circuit, electronic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689833B (zh) 显示装置
US2005005236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reof
EP2200010B1 (en) Current-driven display
TW200903417A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JP2009258330A (ja) 表示装置
KR2007011163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화소 회로
KR20060023534A (ko) 화소회로, 표시장치 및 화소회로의 구동방법
JP2004531772A (ja) Oled電流駆動画素回路
JP2005134880A (ja) 画像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プリチャージ電圧設定方法
JP2005316380A (ja) 電流駆動型の能動行列の有機電界発光ディスプレー装置
CN108281112A (zh) 像素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073544B2 (ja) 表示装置
JP2006047787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153349B1 (ko) 전압보상방식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JP200609192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80231566A1 (en) Minimizing dark current in oled display using modified gamma network
KR101157265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CN111868815A (zh) 显示装置
US8314758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