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790A -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790A
KR20070002790A KR1020050058462A KR20050058462A KR20070002790A KR 20070002790 A KR20070002790 A KR 20070002790A KR 1020050058462 A KR1020050058462 A KR 1020050058462A KR 20050058462 A KR20050058462 A KR 20050058462A KR 20070002790 A KR20070002790 A KR 20070002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crystal layer
transmis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원
최수석
최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790A/ko
Publication of KR2007000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igh pretilt angles, i.e. higher than 15 degre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부와 투과부에서 동일한 광학적 효율을 보이는 동시에, 광시야각을 구현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하 배향막으로 네마틱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고, 투과부에 대응하여 상.하 배향막으로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액정패널의 상.하에 구성한 편광판과(polarizer,analyzer), 액정패널내부의 액정층의 조건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구성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이 두께를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두께보다 2 배만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구성은, 투과부와 반사부에서 동일한 광학적 효율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투과부에서는 광시야각을 얻을 수 있어, 고화질 및 광시야각을 구현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Transflective LCD}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이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종래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전압이 오프(off)되었을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전압이 온(on)되었을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에서 빛의 편광특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기판 102 : 반사판
104 : 투과전극 106a,106b : 하부 배향막(네마틱 액정 배향막)
110 : 하부 편광판 200 : 상부 기판
202 : 공통 전극 204a,204b : 상부 배향막
300 : 액정층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 투과형(반반사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백라이트(back light)의 빛과 외부의 자연광원 또는 인조광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전력소비(power consumption)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은 일반적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투과형 액정표시패널(10)은 액정층(95)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화소(P)가 정의된 상부기판(80)과 하부기판(60)이 이격 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기판(80)의 일면에는 컬러필터(82)와, 컬러필터(82)사이에 존재하는 블랙매트릭스(84)와 투명한 공통전극(86)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기판(60)의 화소영역(P)에는 반사전극(또는 반사판)(66)과 투명전극(64)으로 구성된 반투과전극과, 스위칭소자(T)가 구성되고, 화소영역(P)의 일 측과 이에 평행하지 않은 타 측을 지나가는 게이트배선(61)과 데이터배선(62)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영역(P)은 투과부(A2)와 반사부(A1)로 정의되며, 상기 반사전극(66)은 반사부(A1)에 대응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전극(64)은 투과부(A2)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전극(66)은 반사율이 뛰어난 알루미늄(Al)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전극(64)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비교적 뛰어난 투명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반사부와 투과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종래의 제 1 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60)과 제 2 기판(80)이 액정층(95)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합착되고, 제 2 기판(80)및 마주보는 제 1 기판(60)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이 정의된다.
상기 제 1 기판(60)에 정의된 화소영역(P)의 일 측과 이와는 평행하지 않은 타 측을 지나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도 1의 61)과 데이터 배선(62)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기판(60)과 마주보는 제 2 기판(80)의 일면에는 적색과 녹색과 청색을 띄는 컬러필터(미도시,82a,82b)와 각 컬러 필터 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84)가 구성되고, 상기 컬러필터(미도시,82a,82b)와 블랙매트릭스(84)의 하부에는 투명한 공통전극(86)이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화소영역(P)은 다시 반사부(A1)와 투과부(A2)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반사부(A1)에 대응하여 반사전극(64)을 형성하고 투과부(A2)에 대응하여 투명전극(66)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투과홀(H)을 포함하는 반사전극(64)을 투명전극(66)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함으로서, 투과부(A2)와 반사부(A1)가 정의 되도록 한다.
이때, 반사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투과부(A2)와 반사부(A1)에서의 색차를 줄이는 동시에, 투과부(A2)와 반사부(A1)에서의 광학적 효율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반사부(A1)를 통과하는 빛은 외부에서 입사되어 상기 반사판(64)에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컬러필터를 두 번 통과하게 되고, 액정셀갭이 d라면 2d의 거리를 통과하게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반사부(D)의 액정층(95)을 통과할 때 빛이 느끼는 위상지연값은 2dΔn(n은 액정의 굴절률)이고, 투과부(A1)의 액정층(95)을 통과할 때 빛이 느끼는 위상지연값은 dΔn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사부(A1)와 투과부(A2)에 대응한 빛의 위상지연값이 다르기 때문에 반사부(A1)와 투과부(A2)에서 동일한 광학적 효율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판(80)의 상부에 QWP(quater wave plate,96a), HWP(half wave plate,96b)로 구성된 상부 위상차 필름(96)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기판(60)의 하부에도 QWP(quater wave plate,98a), HWP(half wave plate,98b)로 구성된 하부 위상차 필름(98)을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96)은 반사부(A1)의 편광특성을 위해 구성한 것이고, 상기 제 1 기판(60)의 하부에 구성한 하부 위상차 필름(98)은 상기 상부 위상차 필름(96)에 의해 상기 투과부(A2)에서 그레이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보상(compensation)하기 위해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부(A2)와 투과부(A1)에서 액정층(95)을 동일한 두께로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액정패널의 상부 하부에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경쟁력이 매우 낮고 또한 액정패널에 4매의 위상차 필름을 더욱 구성함으로써 휘도가 매우 낮아지고 시야각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부와 투과부에 대응하여 형성한 액정층의 두께가 동일한 구조에서,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투과부와 반사부에서 동일한 광학적 효율을 얻을 수 있고, 상기 투과부에서 광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이격 하여 구성되고, 반사부와 투과부로 구성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사이에 구성된 액정층과;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고, 네마틱 액정 배향막인 상.하 배향막과;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고,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인 상,하 배향막과; 상기 상부 배향막과 제 1 기판 사이에 위치한 공통 전극과;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배향막과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한 투명전극과;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배향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구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편광판의 광축과 수평한 광축이 되도록 구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한다.
전압이 온 상태(off state)일 경우,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은 장축이 수직 배열한 상태이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장축이 수평 배열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압이 오프 상태(on state)일 경우,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은 장축이 수평배열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상기 장축이 45o도를 이루 도록 수평 배열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네마틱 액정 배향막의 프리틸트각은 액정을 수직배열하도록 하는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상,하부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의 표면 프리틸트 각은 액정을 수평배열하도록 하는 각이고, λ/8의 위상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층이 두께는 반사부와 투과부에 대응한 두께비가 1:2이고, 반사부에 대응한 부분은 /4의 위상값을 가지며, 투과부에 대응한 부분은 λ/2의 위상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층이 λ/2의 위상값을 가질 경우, 전압이 온상태(on state)일 때, 구동전압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4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2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특징은, 반사부와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고,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하 배향막으로 네마틱 액정 배향막을 구성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여 상.하 배향막으로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층(300)을 사이에 두고 반사부(A1)와 투과부(A2)로 구성된 하부 기판(100)과 상부기판(200)을 이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100,200)과 상기 액정층(300)의 사이에 상.하 배향막(204a,204b,106a,106b)을 형성하는데, 상기 반사부(A1)에 대응하는 상,하 배향막(204a,106a)으로 네마틱 액정 배향막을 구성하고, 상기 투과부(A2)에 대응하는 상,하 배향막(204b,106b)으로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마틱 액정배향막(106a,204a)은 액정이 수직 배열하도록 하도록 하고, 상기 강유전성 액정계 상.하부 배향막(106b,204b)은 λ/8의 위상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A1)에 대응하는 하부 배향막(106a)과 기판(100) 사이에는 반사판(102)을 구성하고, 상기 투과부(A1)에 대응하는 하부 배향막(106b)과 기판(100) 사이에는 투명전극(104)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기판(200)과 상부 배향막(204a,204b)의 사이에는 공통 전극(202)을 구성하며, 각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반사전극 및 투명전극(102,104)과 공통전극(202)사이에는 수직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전극 형태에서, 상기 반사전극(102)을 반사판으로 구성할 경우, 반사부(A1)와 투과부(A2)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전극(104)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액정층(300)은 λ/4의 위상값을 가지며,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하부 배향막의 초기 프리틸트각에 의해 수직 배열하고,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여 수평 배열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하 편광판(206,110)은 광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반사부(A1)를 지나는 빛은, 상기 상부 편광판(206)과 액정층(300)과, 하부 배향막(106a)을 거쳐 상기 반사판(102)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액정층(300)을 지나 상기 상부 편광판(206)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투과부(A2)를 지나는 빛은 하부 편광판(110)과, 하부 배향막 위상차 필름(108)과 액정층(네마틱 액정층, 300,λ/4의 위상값을 가짐)과 상부 편광판(206)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빛은 다수의 구성층을 통과하면서, 각 구성층이 갖는 위상값에 따라 편광특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전압이 온(on)되었을 경우와 오프(off)되었을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 및 표시특성을 알아본다.
도 4는 전압이 오프(off)되었을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앞서 도 3에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전압이 오프 상태(off state)일 때 화이트(white)를 표시하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로 설계된 것이며, 전압이 오프(off)인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 모두 화이트 상태(white state)가 되어야 한다.
이때, 전압이 오프(off)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반사부에서 액정은 수직배열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한 액정은 수평배열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빛의 편광특성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1)전압이 오프(off)되었을 경우, 반사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 및 표시특성.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상부 편광판(206)에 입사한 빛은 상부 편광판(206)의 광축과 평행한 선편광(350)만이 상기 선편광판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통전극 및 상부 배향막(202,204a)을 선편광상태로 통과하여 하부의 액정층(300a)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선편광(350)은 상기 수직 배열한 액정층(300a, 위상값이 없음)을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선편광(350)은 하부 배향막(106a)및 반사판(102)과 다시 하부 배향막(106a)과 상부의 액정층(300a)을 동일하나 편광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300a)을 통과한 선편광(350)은 상부 편광판(206)의 광축과 평행한 성분의 선편광(350)이므로, 상기 상부 편광판(350)을 통과함으로 액정패널은 화이트(white)를 표시하게 된다.
(2)전압이 오프(off) 되었을 경우, 투과부에서 빛의 편광특성 및 표시특성.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백라이트(미도시)로 부터 하부 편광판(110)에 입사한 빛은 하부 편광판(110)의 광축과 평행한 선편광(150)만이 하부 배향막(204b) 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편광(204b)은 하부 배향막(104b)과 상기 수평배열한 액정층(300b)을 그대로 통과하여 상부 편광판(206)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선편광(350)은 상부 편광판(206)의 광축과 평행한 성분이므로 상부 편광판(206)을 통과하게 되고 액정패널은 화이트(white)를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전압이 온(on)되었을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전압이 온(on)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반사부 및 투과부에서 액정은 장축이 수평으로 45o만큼 움직여 배열하게 된다.
(1)전압이 온(on)되었을 경우, 반사부에서의 빛의 편광특성 및 표시특성.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상부 편광판(206)에 입사판 빛은 상부 편광판의 광축과 평행한 선편광만(350)이 상부 편광판(206)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선편광(350)은 상부 배향막(204a)을 지나 하부의 액정층(300a)을 지나면서 원편광(352)이 되고, 상기 원편광(352)은 하부의 반사판(102)에 다시 반사되어 상기 액정층(300a)을 지나면서 상기 상부 편광판(206)과 수직한 성분의 선편광(354)으로 편광특성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300a)을 통과한 선편광(354)은 상기 상부의 편광판(206)에 흡수되므로, 액정패널은 블랙을 표시하게 된다.
(2)전압이 온(on) 되었을 경우, 투과부에서 빛의 편광특성 및 표시특성.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백라이트(미도시)로 부터 하부 편광판(110)에 입사한 빛은 하부 편광판(110)의 광축과 평행한 선편광(150)만이 상부의 액정층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편광(150)은 상기 하부 배향막(106b,λ/8)과 상기 액정층(300b,λ/4)과 상기 상부 배향막(204b,λ/8)을 지나면서, 상기 상부 편광판(206)의 광축과 수직한 성분의 선편광(152)이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300b)을 통과한 선편광(152)은 상기 상부의 편광판(206)에 흡수되어 블랙(black)을 표시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블랙을 표시하기 위한 또 다른 조건으로, 상기 액정층이 λ/2의 위상값을 가지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전압이 온상태(on state)일 때, 구동전압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4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2가 되도록 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제 2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투과부와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두께비를 2: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 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층(600)을 사이에 두고 반사부(A1)와 투과부(A2)로 구성된 하부 기판(400)과 상부기판(500)을 이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400,500)과 상기 액정층(600)의 사이에 상.하 배향막(504a, 504b, 408a,408b)을 형성하는데, 상기 반사부(A1)에 대응하는 상,하 배향막(408,504a)으로 네마틱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고, 상기 투과부(A2)에 대응하는 상,하 배향막(408b,504b)으로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A1)에 대응하는 하부 배향막(408a)과 기판(400) 사이에는 반사판(404)을 구성하고, 상기 투과부(A2)에 대응하는 하부 배향막(408b)과 기판(400) 사이에는 투명전극(406)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기판(500)과 상부 배향막(504a,504b)의 사이에는 공통 전극(502)을 구성하며, 각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반사전극 및 투명전극(404,406)과 공통전극(502)사이에는 수직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전극 형태에서, 상기 반사전극(404)을 반사판으로 구성할 경우, 반사부(A1)와 투과부(A2)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전극(406)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액정층(600)은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하부 배향막의 초기 프리틸트 각에 의해 수직 배열하고,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여 수평 배열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하 편광판(506,412)은 광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특징적인 것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두께를 상기 투과부와 비교하여 2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λ/2의 위상값을 가지며,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λ/4의 위상값을 가진다.
추가적적으로, 상기 투과부 및 반사부(A1,A2)에 대응하는 액정층(600)의 추가적인 위상값(λ)으로 ~100nm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투과부에서 투과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구성은, 투과부에 대응하는 상.하 배향막을 강유전성 액정계 액정배향막을 사용하여, 수직전계에 의해 액정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액정의 움직임은 In-Plane-Switching모드의 횡전계에 의한 액정의 움직임과 같으며 이로 인해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장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부와 투과부에 대응하여 동일한 액정 셀갭을 구성한 구조에서 반사부와 투과부에서 동일한 광학적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과부에 대응하여 강유전성 액정 물질을 배향막으로 사용함으로써, 액정(액정의 장축)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효과로 인해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격 하여 구성되고, 반사부와 투과부로 구성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사이에 구성된 액정층과;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고, 네마틱 액정 배향막인 상.하 배향막과;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위치하고,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인 상,하 배향막과;
    상기 상부 배향막과 제 1 기판 사이에 위치한 공통 전극과;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배향막과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한 투명전극과;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배향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구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편광판의 광축과 수평한 광축이 되도록 구성된 하부 편광판
    을 포함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이 오프 상태(off state)일 경우,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은 장축이 수직 배열한 상태이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장축이 수평 배열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이 온 상태(on state)일 경우,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상기 액정층은 장축이 수평배열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상기 장축이 45o도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네마틱 액정 배향막의 프리틸트각은 ~89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상,하부 강유전성 액정계 배향막은 액정이 수평배열하도록 표면처리되고, λ/8의 위상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 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λ/2의 위상값을 가질 경우, 전압이 온상태(on state)일 때, 구동전압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반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4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의 위상값이 λ/2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두께는 반사부와 투과부에 대응한 두께비가 1:2이고, 반사부에 대응한 부분은 λ/2의 위상값을 가지며, 투과부에 대응한 부분은 λ/4의 위상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58462A 2005-06-30 2005-06-30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462A KR20070002790A (ko) 2005-06-30 2005-06-30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462A KR20070002790A (ko) 2005-06-30 2005-06-30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790A true KR20070002790A (ko) 2007-01-05

Family

ID=3786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462A KR20070002790A (ko) 2005-06-30 2005-06-30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39B1 (ko) * 2008-08-29 201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39B1 (ko) * 2008-08-29 201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280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제작방법
US74032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39354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US2005022569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1008314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138262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20070117821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KR100813472B1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JP3575607B2 (ja) 液晶表示装置
JP412690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02790A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4846231B2 (ja) 液晶表示装置
JP412731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82444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28233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43837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02791A (ko)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1124396B1 (ko) 반사.투과모드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JP3575608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1955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376417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パネル
KR101254064B1 (ko)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00421955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224092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0632215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