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686A -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686A
KR20070002686A KR20050058318A KR20050058318A KR20070002686A KR 20070002686 A KR20070002686 A KR 20070002686A KR 20050058318 A KR20050058318 A KR 20050058318A KR 20050058318 A KR20050058318 A KR 20050058318A KR 20070002686 A KR20070002686 A KR 2007000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name
coordinates
digital
sear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섭
이종호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5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686A/ko
Publication of KR2007000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686A/ko

Links

Image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성 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컨텐츠를 부가된 위치 정보에 따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명칭 수신부와, 상기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좌표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입력된 좌표의 명칭이 속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컨텐츠, 컨텐츠 메타 데이터, 행정 구역, 관심 지점, 격자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에 대응되어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정 구역과 관심 지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좌표 수신부 220 : 명칭 수신부
230 : 컨텐츠 생성부 240 : 저장부
250 : 검색부 26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성 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컨텐츠를 부가된 위치 정보에 따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휴대폰 및 PDA 등에 부가됨으로써 즉석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가 늘어가는 추세이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동영상도 포함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휴대폰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는 고유의 파일명을 갖게 되는데, 파일명은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횟수로 이루어지며, 날짜 및 횟수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는 하나의 동일한 논리적 위치에 저장되는데, 이는 기 설정된 별도의 논리적 위치에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논리적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어느 것이든 사용자에 의한 작업이 요구되는데, 사용자는 자 신이 촬영한 디지털 컨텐츠를 시간적인 구별보다는 공간적인 구별에 의한 그룹화를 선호한다. 즉, 어제 또는 오늘 촬영한 디지털 컨텐츠를 그룹화하기보다는 집, 회사, 학교, 길거리 등에 의해 그룹화하기를 선호한다는 것인데, 이를 위한 장치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될 때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인공위성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수신하여 정지 또는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 측정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 GPS는 추적된 궤도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성에서 관측점까지 전파 도달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공간적 위치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따라서, 위성과의 거리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간이며, GPS 위성에는 지극히 안정도가 높은 원자 시계를 탑재하고 있다. 위성에 탑재된 시계와 수신기의 시계가 정확히 일치한다면, 3개의 위성과의 거리만으로도 3차원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성에 탑재된 원자 시계는 매우 고가이므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여 수신기에는 저가의 비교적 정도가 낮은 시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4개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위성 시각과 수신기 시각에서 발생하는 미지의 시간차를 제거하게 된다.
각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2개의 반송파, 3개의 코드 및 위성 메시지 등이 있다. 반송파와 코드는 기준주파수라 불리는 10.23MHz의 정배수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위성 메시지는 저주파인 50Hz를 사용하고 있다. GPS 위성에서 발 신하는 반송파는 기준주파수의 154배인 1575.42MHz(L1, 파장은 19cm)와 120배인 1,227.60MHz(L2, 파장은 24.4cm)가 있다.
코드는 의사 난수 코드(PRN, Pseudo Random Noise)인 C/A(Coarse/Acquisition) 코드, P(Precision) 코드 및 Y 코드가 있다. C/A 코드는 L1 반송파에 실리며, 주파수는 기준주파수의 0.1배인 1,023MHz로서 1/1,000초(1ms)마다 반복된다. P 코드는 L1, L2 두 개의 반송파에 실리며, 주파수는 기준주파수의 10배인 102.3MHz로서 267일의 주기를 갖고 있다. Y 코드는 P 코드와 유사한 코드로서 P 코드를 대신할 수 있으며, P 코드의 공식은 공개되어 있지만 Y 코드의 공식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위성 메시지는 위성의 위치와 상태를 담고 있으며, 실시간의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C/A 코드는 일반에게 공개되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P 코드는 군사용으로서 정부간의 협정에 의해서 한정된 범위 안에서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GPS의 L1 코드와 C/A 코드가 일반에 공개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기술이 유적 조사, 항법 장치 분야, 측지 분야, GIS 분야 및 군사 분야 등에 적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항법 기술 및 GIS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의 위치 추적 방식으로는 이동 전화망을 이용한 셀 추적(Cell Tracking) 방식 및 주파수 공용 방식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수신 전파 신호 감지를 통한 거리 계산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다. 셀 추적 방식은 기지국 간의 전 파 감도의 분석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그 오차의 범위는 500~1,500m에 이른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폰 카메라 및 PDA 카메라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관리 및 디스플레이 기능이 적절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촬영한 정지 영상 및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하나의 논리적 저장 영역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저장된 순서대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생성된 논리적 저장 영역에 컨텐츠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한 사용자의 부가적인 작업이 요구되며, 하나의 논리적인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도 설정된 일련의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관련 기술인 한국 공개 특허 2003-0028770은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사진 촬영 전자 장치에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장착함으로써, 촬영된 디지털 사진을 디지털 지도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디지털 지도에 촬영된 사진을 매칭한 것이므로 디지털 지도와 함께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른 디지털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커다란 디스플레이 수단이 요구되며, 실제로 촬영을 수행한 디지털 사진 촬영 전자 장치의 소형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는 디스플레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생성 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컨텐츠를 부가된 위 치 정보에 따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을 아이콘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명칭 수신부와, 상기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좌표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입력된 좌표의 명칭이 속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현재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좌표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 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입력된 좌표의 명칭이 속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에 대응되어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도면에서의 시스템은 GPS 위성(120), GPS 수신기(110),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위성(120)은 1575.42MHz의 L1 주파수에 C/A 코드를 실어서 GPS 수신기(11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데, GPS 수신기(110)는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좌표를 측정한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GPS 수신기(110)가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 GPS 수신기(11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GPS 수신기(110)도 GPS 위성(120)이 송신하는 신호와 동일한 코드를 발생시켜 수신된 GPS 위성(120)의 코드와 비교하여 GPS 위성(120)의 신호가 GPS 위성(120)을 떠나 GPS 수신기(110)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 따라서, 광속(위성 신호의 속도) x 소요 시간으로 GPS 위성(120)과 GPS 수신기(110)간의 거리가 측정된다.
C/A 코드는 그 자체가 거의 잡음에 가까운 의사 잡음 부호(Pseudo Random Noise Code)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측정된 거리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의사 거리(Pseudo Range)라고 부른다.
GPS 수신기(110)는 4개의 위성을 관측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좌표를 계산하는데, 이는 4개의 미지수(Ux, Uy, Uz 및 Cb)를 해결하는데 4개의 관측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Ux, Uy, Uz)는 지구의 중심에 대한 GPS 수신기(110)의 위치를 의미하며, Cb는 시간 오차를 의미한다.
GPS 수신기(110)의 역할을 다시 설명하면, 자신이 최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GPS 위성(120)들을 추적한 후에 선택된 GPS 위성(12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전리층 및 대기권 보정치, 위성 궤도 및 항법 데이터 등에 대한 보정 처리를 하고, 자신의 좌표를 계산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 1에서는 지리적 좌표를 측정하기 위하여 GPS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GPS 방식 뿐만 아니라, Cell ID,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는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지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구체적으로, 소정 좌표에 따른 지점의 명칭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특정 좌표를 수신한 후에 그 좌표에 해당하는 지점의 명칭을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점의 명칭으로는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명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특정 좌표에 따른 지점의 명칭을 제공하는 것인데,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의 기능은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여부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관심 지점은 일반 사용자들에 의해 흔히 불려지는 지역 명칭 또는 시설물 명칭 등으로서, 행정 구역 명칭과는 무관한 영역에 대한 명칭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관심 지점은 두 개의 행정 구역에 걸쳐서 존재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된 위치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그룹화하고 그룹화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고,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좌표를 GPS 수신기(110)에 요청한다. 그리고, GPS 수신기(110)로부터 좌표를 전달 받은 후에 이 를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로 송신하고, 그 응답으로 좌표에 해당하는 지점의 명칭을 수신하며 마지막으로, 촬영된 디지털 컨텐츠에 전달받은 좌표 및 지점의 명칭 등을 부가하여 저장한다. 이 때, 저장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생성된 지역적 범위에 따라 계층적으로 형성된 그룹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지역적 범위는 행정 구역 상의 범위, 지도 상의 일정 범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심 지점 상의 범위이거나 사용자가 촬영한 지점에서의 컨텐츠 밀집 범위일 수 있다.
행정 구역 상의 범위는 행정 구역의 단계에 따른 계층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위 계층인 행정 구역 상의 범위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는 그 상위 계층인 행정 구역 상의 범위 내에는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계층의 행정 구역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하여금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지도 상의 일정 범위는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좌표 또는 횡단(Transverse Mercator) 좌표에 의해 결정되는 범위로서 최하위 계층인 영역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는 그 상위 계층인 영역들에는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계층의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하여금 디지털 컨텐츠를 일정 범위로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관심 지점 상의 범위는 행정 구역 및 지도 상의 일정 범위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지형지물, 시설물 또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 의 행정 구역 또는 좌표에 걸쳐 설치된 놀이 공원, 유원지, 산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범위는 행정 구역 명칭 또는 좌표에 의한 구분보다는 일반적으로 명명된 명칭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계층의 관심 지점 명칭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하여금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의 격자로 구분하고, 그 격자 안에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구현되는데, 사용자는 해당 격자 안에 포함된 하위 계층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위 계층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폰, PDA, 랩톱 및 데스크톱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어느 것이든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부가적으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수단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표 수신부(210), 명칭 수신부(220), 컨텐츠 생성부(230), 저장부(240), 검색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표 수신부(210)는 자신의 지리적 좌표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리적 좌표는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 중 적어도 하나로서, Cell ID, AOA, TOA, TDOA, GPS, A-GPS, E-OTD 및 WAP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적된 좌표일 수 있다. 좌표의 추적은 별도의 GPS 수신기(110) 등 외장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GPS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내장된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명칭 수신부(220)는 좌표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좌표의 명칭은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 명칭 중 적어도 하나로서, 소정의 디지털 지도에 포함된 좌표의 명칭일 수 있다. 좌표의 명칭에 대한 검색은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디지털 지도를 저장한 후에 저장된 디지털 지도를 통해 명칭 검색을 수행하는 내장된 별도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 지도는 특정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의 명칭 즉,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을 제공할 수 있는 지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지도일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30)는 좌표 수신부(210) 및 명칭 수신부(220)로부터 좌표 및 좌표의 명칭을 각각 수신하고, 이들이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로서, 좌표 및 좌표의 명칭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의 헤더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데이터로서 파일에 추가될 수 있다.
좌표 및 좌표의 명칭을 포함한 기타 데이터를 이하 컨텐츠 메타 데이터라 하는데, 컨텐츠 메타 데이터에는 촬영 시간, 미디어의 종류, ID, WGS84 좌표, 횡단 좌표, 행정 구역 명칭, 관심 지점 명칭 및 그룹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디지털 컨텐츠에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인데, 컨텐츠 메타 데이터는 다시 저장부(240)에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부(240)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그 구현 여부에 따라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만을 저장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에는 ID만을 삽입하고,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그룹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검색부(250)는 저장부(24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을 입력 받거나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의 이름 등을 입력 받고 그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그룹화 하여 추출하는 것인데,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위치에 따라 그룹화되어 저장된 경우 검색부(250)는 저장된 순서 또는 저장 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으며, 촬영된 위치에 무관하게 저장된 경우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즉, 검색부(250)가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부(250)는 우선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검색한 후에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고 그 ID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화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단계 및 검색부(250)에 의해 검색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검색부(250)에 의해 검색되는 단계에 수행되는 경우,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존재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검색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지명 또는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의 이름 등을 이용하여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 및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 주변의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60)는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촬영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을 복수 개로 구분한 격자 안에 디스플레이되는데, 해당 그룹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체의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x3의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9개의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그 위치에 따라 각각의 격자 안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여분의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여부가 결정된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예를 들면 전자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 영역을 이동 시킴으로써 그룹 전체의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최초로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사용자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의 컨텐츠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 등을 입력하여 그룹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하위 계층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상위 계층 그룹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디스플레이부(260)는 그 구현 여부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지털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및 디지털 컨텐츠가 모두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의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의 입력은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및 디지털 컨텐츠 모두에게 적용되며, 특정 격자의 선택에 의한 하위 계층 또는 상위 계층으로의 이동 시에도 모두 적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은 촬영 시간, 미디어의 종류, ID, WGS84 좌표, 횡단 좌표, 행정 구역 명칭, 관심 지점 명칭 및 그룹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거리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은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될 때 갱신되는 테이블로서 이에 대해 생성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부가될 수도 있다.
촬영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시간으로서, 연도부터 초 단위까지 명시될 수 있다.
미디어의 종류는 촬영된 디지털 컨텐츠의 정지 영상, 동영상 또는 파일 포맷에 대한 구분으로서, 디스플레이부(260)에 의해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이용된다. 즉, 디스플레이부(260)는 이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며,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에는 미디어의 종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한 가지 종류의 미디어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미디어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60)는 화면의 일부(격자)에 대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ID는 각 디지털 컨텐츠에 부여된 고유한 코드로서, 촬영되어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파일에는 ID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각 디지털 컨텐츠 파일에는 ID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해당 디지털 컨텐츠는 그룹화되어 작성된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는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지점의 좌표로서, 좌표 수신부(210)로부터 전달 받은 좌표이다.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는 GPS 수신기 등에 의해 연산된 값으로서, GPS 방식 뿐만 아니라, Cell ID, AOA, TOA, TDOA, A-GPS, E-OTD 및 WAP 등에 의한 방식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추출된 좌표는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로 송신되어 그 응답으로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 등을 수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행정 구역 명칭은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지점의 행정 구역 명칭으로서, 이는 행정 구역의 구분에 따라 몇 단계의 계층(L1, L2, L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심 지점 명칭은 지역 명칭 또는 시설물 명칭 등 일반 사용자에 의해 불려지는 명칭으로서, 행정 구역 명칭과 마찬가지로 몇 단계의 계층(L1, L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 명칭은 디지털 컨텐츠를 그룹화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디지털 컨텐츠에는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이 부여된다. 여기서, 그룹이란 좌표를 포함하는 행정 구역 또는 관심 지점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데 예를 들어, A, B, C, D의 행정 구역에서 A 안에 B와 C가 포함되어 있고, B 안에 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가 촬영된 좌표가 D이면, 디지털 컨텐츠는 D 그룹, B 그룹 및 A 그룹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상위 계층의 그룹은 그 하위 계층에 포함된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D 그룹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A, B, D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D 그룹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A 또는 B 그룹을 선택하였는데 해당 디지털 컨텐츠가 A 또는 B 그룹이 대표 컨텐츠가 아닌 경우 해당 위치에 있는 격자를 선택함으로써 하위 계층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그룹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거리는 해당 그룹의 중심에 위치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하나의 계층의 그룹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때, 그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이에 따라 각 격자에는 위치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컨텐 츠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 영역 안에 형성된 격자 안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및 디지털 컨텐츠 중 하나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며, 모두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데, 도 4는 모두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여부에 따라 세로 방향(400) 또는 가로 방향(450)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 영역은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 아이콘 영역(420) 및 부가 정보 영역(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은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복수 개의 격자로 구분된다. 격자의 가로 및 세로의 개수는 홀수 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역 명칭을 입력되었을 때 그 중심이 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가운데에 위치한 격자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는 가로 및 세로의 개수가 3개인 격자를 나타내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260)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는 늘어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각 격자에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 때, 특정 격자에 복수의 디지털 컨텐츠가 포함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장소에서 복수 개의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인데 이 때, 그 격자에는 복수 개의 디지털 컨텐츠 중 대표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나머지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 때, 나머지 디지털 컨텐츠는 특정 격자의 위치에서 순서대로 하나씩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모든 격자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특정 격자의 하위 계층에 포함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는 특정 격자를 선택해야 하는데, 격자 선택을 위하여 장치에 구비된 상하좌우 버튼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하여 커서를 움직일 수 있고, 커서의 움직임에 따라 특정 격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선택된 특정 격자에 대해 동일 계층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하위 계층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는 별도의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아이콘 영역(420)에는 디지털 컨텐츠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아이콘 영역(420)의 내용이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내용과 일대일 대응하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420)의 격자 개수는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격자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아이콘 영역(420)이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상위 계층의 내용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격자 개수가 동일할 필요는 없고, 아이콘 영역(420)의 가운데 격자가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의 내용을 대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 아이콘 영역(420)은 추가로 격자의 가장자리로 일련의 격자가 더 형성된다. 이는 동일 계층 즉, 동일 그룹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 중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디지털 컨텐츠를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 방향에 존재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 개수를 확인하고,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격자를 선택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아이콘 영역(420)의 격자에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이 포함되어 종합적인 조망을 제공하며, 해당 격자의 동일 계층 또는 하위 계층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부가 정보 영역(430)에는 디지털 컨텐츠 영역(410) 또는 아이콘 영역(42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점의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이 표시되고, 해당 그룹의 컨텐츠 개수 및 전체 그룹의 컨텐츠 개수가 표시되고, 방위가 표시되며, 방위의 주위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그룹과 동일한 계층의 인접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이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정 구역과 관심 지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행정 구역 명칭과 관심 지점 명칭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으므로, 복수의 행정 구역에 하나의 관심 지점이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행정 구역 A안에 행정 구역 B와 C가 포함되며, B와 C의 구역에 걸쳐서 관심 지점 a가 존재하며, a는 다시 관심 지점 b와 c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x1, x2, x3, x4, x5, x6의 지점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었을 때 , 각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을 입력하여야 한다. 즉, 행정 구역 명칭을 이용하는 경우 x1, x2, x3, x4에 대해 행정 구역 명칭 A 또는 B를 입력하여야 하며, x4, x5, x6에 대해 행정 구역 명칭 A 또는 C를 입력하여야 한다. 또한, 관심 지점 명칭을 이용하는 경우 x2, x5에 대해 관심 지점 명칭 a를 입력하여야 하며, x3에 대해 관심 지점 명칭 b를 입력하여야 하며, x4에 대해 관심 지점 명칭 c를 입력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A그룹에는 x1~x6이 포함되고, B그룹에는 x1~x4가 포함되고, C그룹에는 x4~x6가 포함되며, a그룹에는 x2~x5가 포함되고, b그룹에는 x3가 포함되고, c그룹에는 x4가 포함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촬영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촬영을 통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다. 촬영을 통한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면 좌표 수신부(210)는 현재의 지리적 좌표를 수신한다(S610). 여기서, 지리적 좌표는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 중 적어도 하나로서, Cell ID, AOA, TOA, TDOA, GPS, A-GPS, E-OTD 및 WAP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적된 좌표일 수 있다.
현재의 좌표가 수신되면, 수신된 좌표는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로 송신되고 명칭 수신부(220)는 그 응답으로 해당 좌표에 대한 명칭을 수신한다(S620). 여기서, 좌표의 명칭은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 명칭 중 적어도 하나로서, 소 정의 디지털 지도에 포함된 좌표의 명칭일 수 있다. 좌표의 명칭에 대한 검색은 이를 수행하는 전술한 디지털 지도 제공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저장된 디지털 지도를 통해 명칭 검색을 수행하는 내장된 별도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좌표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좌표 및 명칭 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된 좌표의 명칭은 컨텐츠 생성부(230)로 전달되고, 컨텐츠 생성부(230)는 촬영된 디지털 컨텐츠에 전달 받은 좌표 및 좌표의 명칭 등이 부가된 새로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다(S630). 부가되는 정보인 컨텐츠 메타 데이터에는 촬영 시간, 미디어의 종류, ID, WGS84 좌표, 횡단 좌표, 행정 구역 명칭, 관심 지점 명칭 및 그룹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는 저장부(240)에 저장되는데, 이 때, 좌표 또는 좌표의 명칭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부가된 디지털 컨텐츠뿐만 아니라 컨텐츠 메타 데이터 또한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이 저장된 경우 디지털 컨텐츠에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전체가 아닌 ID만이 삽입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행정 구역 명칭 또는 관심 지점 명칭을 수신하거나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이름 등을 입력 받으면(S640), 검색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 또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 즉, 디지털 컨텐츠에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부 가된 경우,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고, 디지털 컨텐츠에 ID만 부가된 경우 컨텐츠 메타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ID를 추출한 후에 해당 ID를 갖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 때, 검색부(250)는 검색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존재하는 디지털 컨텐츠까지 검색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이 추출될 수도 있다.
추출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은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S650). 이 때, 그룹의 기본 디지털 컨텐츠가 격자의 가운데에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디지털 컨텐츠들은 기본 디지털 컨텐츠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그 주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위치 관계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의 상대적 거리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에 구비된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하여 그룹에 포함된 전체 디지털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으며, 격자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하위 계층 또는 상위 계층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생성 시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부가된 디지털 컨텐츠를 부가된 위치 정보에 따라 그룹화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을 아이콘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소형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범위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며,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검색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Claims (20)

  1.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명칭 수신부;
    상기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좌표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입력된 좌표의 명칭이 속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는 Cell ID, AOA, TOA, TDOA, GPS, A-GPS, E-OTD 및 WAP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적된 좌표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는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의 명칭은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의 명칭은 상기 좌표가 포함된 내장된 디지털 지도 또는 외부 디지털 지도로부터 추출된 명칭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된 지역적 범위에 따른 계층적인 집합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정의 격자 안에 해당 그룹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체의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메타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격자 중 하나가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격자의 하위 또는 동일 계층 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격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좌표의 명칭 및 해당 격자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해당 그룹의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상기 해당 그룹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체의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1. 현재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표의 명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좌표 및 상기 수신된 좌표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표의 명칭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입력된 좌표의 명칭이 속하는 그룹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는 Cell ID, AOA, TOA, TDOA, GPS, A-GPS, E-OTD 및 WAP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추적된 좌표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는 WGS84 좌표 및 횡단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의 명칭은 행정 구역 명칭 및 관심 지점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의 명칭은 상기 수신된 좌표가 포함된 내장된 디지털 지도 또는 외부 디지털 지도로부터 추출된 명칭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된 지역적 범위에 따른 계층적인 집합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소정의 격자 안에 해당 그룹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체의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메타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격자 중 하나가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격자의 하위 또는 동일 계층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격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좌표의 명칭 및 해당 격자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그룹의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버튼 또는 포인팅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상기 해당 그룹에 포함된 일부 또는 전체의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의 아이콘 또는 상기 검색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050058318A 2005-06-30 2005-06-30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02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8318A KR20070002686A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8318A KR20070002686A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686A true KR20070002686A (ko) 2007-01-05

Family

ID=378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8318A KR20070002686A (ko) 2005-06-30 2005-06-30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6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49B1 (ko) * 2008-05-02 2011-01-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관심정보 관리 및 통합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339807B1 (ko) * 2013-01-25 2013-12-10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49B1 (ko) * 2008-05-02 2011-01-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관심정보 관리 및 통합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339807B1 (ko) * 2013-01-25 2013-12-10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WO2014115975A1 (ko) * 2013-01-25 2014-07-31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utilizing images of a geographical location
US75267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path-enhanced” multimedia
CN10288440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和程序
KR101423928B1 (ko) 전자지도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이미지 재생장치, 이의 재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8543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first-person world view of content
US9497581B2 (en) Incident reporting
Schöning et al. PhotoMap: using spontaneously taken images of public maps for pedestrian navigation tasks on mobile devices
CN102037466A (zh) 文件创建方法及系统
KR102340027B1 (ko) 위치 오차 반경 결정 기법
CN101516058A (zh) 图像管理装置
CN102080963A (zh) 建立兴趣点与对应兴趣点图像间的关联关系的方法和装置
CN105917329B (zh) 信息显示装置和信息显示程序
Simon et al. Geopointing: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orientation-aware location-based interaction under real-world conditions
KR20070002686A (ko)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9020753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bject in sight
Y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gis for field data collection
Sugiharja et al. The RPTR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in Central Jakarta City using the Dijkstra algorithm based on Android
Naharudin et al. GIS Data Collection for Pedestrian Facilities and Furniture Using MAPinr for Android
Knoetze et al. Arrowhead: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using wi-fi positioning for indoor contexts
Deidda et al. A tourist location based service (lbs) for the Cagliari city
Al-Omari et al. Smart tourism and location-based services architectural model
Selvasofia et al. Mobile Mapping System for Updation of Existing Topo Map and Creation of Value Addition
WO20060453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geo-coded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