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38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387A
KR20070002387A KR1020050057898A KR20050057898A KR20070002387A KR 20070002387 A KR20070002387 A KR 20070002387A KR 1020050057898 A KR1020050057898 A KR 1020050057898A KR 20050057898 A KR20050057898 A KR 20050057898A KR 20070002387 A KR20070002387 A KR 2007000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external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798B1 (ko
Inventor
이기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7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9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with a bidirection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5Interface arrangements synchronous, i.e. using clock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외부시스템과 패널 구동회로부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패널구동회로부로 단순히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정보)만을 전송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패널 구동회로부에 기존의 영상데이터 전송버스 외에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설계를 변경해야 하는 단점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양방향 버스로 구성하여 동기신호 타이밍에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활용해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회로부간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추가나 설계의 변경 없이 패널구동회로부와 외부시스템 사이에 양방향 정보전송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동기신호 타이밍 구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5는 패널구동회로부의 데이터 선택수신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패널구동회로부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LK : 구동클럭신호 Vsyn : 수직동기신호
Hsyn : 수평동기신호 RGB data : 영상데이터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회로부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일정간격 이격된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된 형태로 제작되며, 두 기판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현한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시스템(140), 액정패널(100),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20, 110), 타이밍 제어부(130)로 구성되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20, 110)와 타이밍 제어부(130)는 패널구동회로부(150)로 정의된다.
액정패널(100)은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및 데이터 라인(DL1~DLm)과, 두 라인(GL1~GLn, DL1~DLm)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 및 액정캐패시터(LC)로 구성된다.
외부시스템(140)은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RGB data)와 구동클럭신호(CLK), 수평 동기신호(Hsyn), 수직 동기신호(Vsyn)를 타이밍 제어부(13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외부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 data) 및 제어신호(CLK, Hsyn, Vsyn)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10)와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며, 영상 데이터(RGB data)를 데이터 드라이버(110)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타이밍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에 순차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T)의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10)는 타이밍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RGB data)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GL1~GLn)에 공급되는 박막트랜지스터(T)의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1수평라인분의 영상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DL1~DLm)으로 공급한다.
도 2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회로부 사이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패널 구동회로부(도 1의 150), 정확하게는 패널 구동회로부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부(도 1의 130)는 외부시스템(도 1의 140)으로부터 구동클럭신호(CLK),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 영상 데이터(RGB data)를 입력받으며, 구동클럭신호(CLK)는 펄스 신호가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형태이다.
수직 동기신호(Vsyn)는 한 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하는 프레임 시작 신호이며, 수평 동기신호(Hsyn)는 한 라인의 시작을 지시하는 라인 시작 신호이다. 따라서 수직 동기신호(Vsyn)와 다음 수직 동기신호(Vsyn) 사이에는 다수의 수평 동기신호(Hsyn)가 인가된다.
영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R,G,B) 데이터를 구비하여 16bit 또는 24bit로 구성되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와 동기하여 영상 데이터 전송버스를 통해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 회로부로 전송된다.
좀 더 정확하게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인가되는 동기신호타이밍에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비인가 되는 동기신호 휴지타이밍에는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즉,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는 동기신호 타이밍에는 비활성 상태가 되고, 동기신호 휴지타이밍에는 활성상태가 되어 영상 데이터를 패널구동 회로부에 전송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 회로부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와 대응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인가되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중지하고,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중단되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 회로부 사이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패널구동 회로부로 단순히 제어신호와 영상 데이터(정보)만을 전송하는 방식으로써,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구동보드에서 기존의 영상데이터 전송버스 외에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필요시마다 설계를 변경해야 하는 단점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단점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를 양방향 버스로 구성하여 동기신호 구간에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를 사용하여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회로부간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양방향데이터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추가나 설계의 변경 없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은,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시스템과,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전송버스와,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구동클럭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 영상데이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로의 영상데이터입력을 제어하는 패널구동회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는 동기신호타이밍구간에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이용해 상기 외부시스템과 상기 패널구동회로부간 디스플레이정보에 대한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는 라인번호정보, 디스플레이출력제어정보, 전원제어정보, 감마제어정보, 해상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동기신호타이밍 사이 구간동안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는 동기신호타이밍구간동안은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정보는 8비트 데이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는 16비트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양방향데이터통신은 상기 구동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시스템과;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RGB영상데이터와 디스플레이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가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을 구비한 영상데이터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로의 영상데이터입력을 제어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선택하여 입력받고,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패널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구동회로부는,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송수신을 결정하는 데이터송수신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상기 동기신호의 반전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AND 논리회로와;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 중 제1 전송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정보와 설정된 어드레스정보와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회로와; 상기 제1 AND 논리회로의 출력과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 AND 논리회로와; 상기 제2 AND논리회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 중 제2 및 제3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기입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송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상기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기신호의 특정구간을 분할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의 각 전송라인에 대한 데이터 전송방향을 제어하는 계수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수회로부는 상기 동기신호의 인가 구간을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와 상기 데이터송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에 의해 동작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전송라인은 각각 R영상데이터, G영상데이터, B영상데이터가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전송라인은 각각 8비트 데이터전송버스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외부시스템(미도시)과 패널구동 회로부(미도시)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 회로부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방법은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패널구동 회로부로 구동클럭신호(CLK),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 영상 데이터가 인가되며, 구동클럭신호(CLK)는 펄스 신호가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형태이다.
수직 동기신호(Vsyn)는 한 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하는 프레임 시작 신호이며, 수평 동기신호(Hsyn)는 한 라인의 시작을 지시하는 라인 시작 신호이다. 따라서 수직 동기신호(Vsyn)와 다음 수직 동기신호(Vsyn) 사이에는 다수의 수평 동기신호(Hsyn)가 인가된다.
영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R,G,B) 데이터를 구비하여 16bit 또는 24bit로 구성되며, 양방향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를 통해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 회로부로 전송된다.
정확하게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인가되는 동기신호 타이밍에 동기하여 동기신호 타이밍 사이의 구간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가 인가 되는 동기신호 타이밍에 종래에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상데이터 전송버스가 비활성 상태가 되었으나,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는 외부시스템과 패널 구동회로부 사이에 디 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방향 데이터 통신으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로는 라인번호정보, 디스플레이 출력제어정보, 전원제어정보, 감마제어정보, 해상도정보 등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동기신호 타이밍에 이루어지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동기신호 타이밍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로써,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 전송용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구비하고, 각 영상 데이터 전송버스는 8bit로 구성된 경우의 예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적색(R)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는 어드레스 전송 버스로 활용하고, 녹색 및 청색(G,B)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는 디스플레이 정보 전송 버스로 활용한다.
즉, 8bit는 어드레스 전송용으로 활용하고, 16bit는 디스플레이 정보 전송용으로 활용하는데, 이러한 용도 구분은 사용 조건 및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 있듯이,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기신호라 함)에 동기하여 동기신호 타이밍 사이 구간에는 영상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고,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동기신호 타이밍에는 디스플레이 정보의 양방향 전송용으로 사용된다.
이 때, 양방향 데이터 통신은 구동클럭신호(CLK)에 동기되어 수행되며, 양방 향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구간의 시작과 끝에는 정보 신호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00)가 자리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정보의 유효 데이터가 양방향 전송되는 구간은 이러한 신호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 된다.
한편,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 회로부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은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며, 그 일예를 다음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방향 클럭 카운트 어드레스 이름 내용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1 FFh Line Number 0 ~ 1024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2 FEh LCD Output Control Line Driver Output Control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3 FDh Power Control TMD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4 FCh Gamma Control TMD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1)/2 7Fh Picture Size 1:640X400, 2:800X600…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2)/2 7Eh TMD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3)/2 7Dh TMD
외부시스템 ←패널구동회로부 (N-4)/2 7Ch TMD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8bit의 적색 영상데이터 전송버스를 통해 00~FF까지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으며, 00~7F의 어드레스는 패널구동회로부에서 외부시스템으로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고, 80~FF의 어드레스는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회로부의 정보 전송에 사용된다.
즉, 외부 시스템에서 패널구동 회로부로 전송하는 라인번호(Line number)정보는 FF 어드레스로, 디스플레이출력제어정보는 FE 어드레스로, 전원제어정보는 FD 어드레스로, 감마제어정보는 FC 어드레스로 각각 설정하고, 패널구동회로부에서 외부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해상도정보는 7F 어드레스로 설정하며, 나머지 어드레스에 대해서도 이러한 방식을 각각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 회로부 사이에 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호 디스플레이정보를 교환하며,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 회로부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은 목적 및 조건에 따라서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해 패널구동 회로부는 영상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정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와, 동기신호에 따라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결정하는 데이터송수신회로부를 포함하며,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패널구동 회로부의 데이터 선택수신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식적 단순화를 위해 어드레스가 FF인 경우만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선택 수신 회로부(260)는 구동클럭신호(CLK)와 동기신호(Sync)의 반전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AND 논리회로(514)와, 영상데이터 전송버스 중 제1 전송버스(522;R)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와 설정된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비교회로(512)와, 제1 AND 논리회로(514)의 출력과 비교회로(512)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 AND 논리회로(516)와, 제2 AND 논리회로(516)의 출력에 따라 영상데이터 전송버스 중 제2 및 제3 전송버스(524, 526;G,B)를 통해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입하는 레지스터(5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 선택 수신 회로부(26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제1 AND 논리회로(514)가 구동클럭신호(CLK)와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현재 영상데이터 전송버스의 사용목적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회로(512)는 제1 전송버스로 인가되는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면, 제2 AND 논리회로(516)가 이를 조합하여 조건이 충족되면 레지스터(500)가 제2 및 제3 전송버스(524, 526)의 디스플레이정보를 기입하도록 레지스터(5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다시 말해서,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인 동기신호 타이밍에 제1 전송버스(522)로 FF라는 어드레스가 인가되면, 제1 및 제2 AND 논리회로(514, 516)와 비교회로(512)에 의해 레지스터(500)에 구동신호가 공급되어 제2 및 제3 전송버스(524, 526)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레지스터(500)에 기입된다.
한편, 상술한 회로도는 일예로써 목적 및 사용 조건에 따라서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6은 패널구동회로부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270)는 구동클럭신호(CLK)와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동기신호의 특정구간을 분할하여 영상데이터 전송버스의 각 전송버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방향을 제어하는 계수회로부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양방향 버스로 구성된 영상데이터 전송버스(R,G,B)와, 동기신호 및 구동클럭신호(Sync, CLK)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카운터와, 양방향 버스로 구성된 각 전송버스에 형성되며, 카운터의 출력에 의해 전송버스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트리거 버퍼(T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송버스의 방향성 제어는 카운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카운터는 동기신호(Sync)가 인가되는 구간에 동작하여 00~7F 까지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80~FF 까지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동기신호(Sync)가 인가되는 구간인 동기신호 타이밍의 앞 반구간은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 회로부로 정보전송이 이루어지고, 뒤 반구간은 패널구동 회로부에서 외부시스템으로 정보전송이 이루어져 방향성이 제어된다.
이 때, 방향을 정하는 구간은 조건 및 사용목적에 따라 가변할 수 있으며, 동기신호가 비인가되는 동기신호 타이밍 사이 구간에는 카운터는 리셋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시스템(240), 액정패널(200),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220, 210), 타이밍 제어부(230)로 구성되며,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220, 210)와 타이밍 제어부(230)는 패널구동회로부(250)로 정의된다.
액정패널(200)은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및 데이터 라인(DL1~DLm)과, 두 라인(GL1~GLn, DL1~DLm)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 및 액정캐패시터(LC)로 구성된다.
외부시스템(240)은 영상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RGB data)와 구동클럭신호(CLK), 수평 동기신호(Hsyn), 수직 동기신호(Vsyn)를 타이밍 제어부(23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230)는 외부시스템(24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 data) 및 제어신호(CLK, Hsyn, Vsyn)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10)와 게이트 드라이버(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며, 영상 데이터(RGB data)를 데이터 드라이버(210)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20)는 타이밍 제어부(23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에 순차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T)의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드라이버(210)는 타이밍 제어부(230)로부터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RGB data)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GL1~GLn)에 공급되는 박막트랜지스터(T)의 구동신호에 동기하여 1수평라인분의 영상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DL1~DLm)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의 패널 구동회로부(250)는 데이터 선택 수신 회로부(260)와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 수신 회로부(260)는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인 동기신호 타이밍에 제1 전송버스로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제2 및 제3 전송버스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270)는 구동클럭신호(CLK)와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동기신호 타이밍의 특정구간을 분할하여 영상데이터 전송버스의 각 전송버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 방향(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회로부로, 또는 패널구동회로부에서 외부시스템으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데이터 선택 수신 회로부(260)와 데이터 송수신 회로부(270)는 각각 타이밍 제어부(230)와 별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타이밍 제어부(230)에 포함시켜 하나의 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일예로 양방향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상이한 해상도의 구동보드를 연결할 경 우 하드웨어의 추가나 설계변경 없이 해상도를 자동인식 지원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외부시스템에서 패널구동회로부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하며, 이런 경우 동기신호 대신에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Vsyn, Hsyn)와 같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방법은 외부시스템과 패널구동회로부 사이의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양방향 버스로 구성하여, 동기신호가 인가되는 구간동안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널구동회로부와 외부시스템간에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설계의 변경없이 자유로이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시스템과,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전송버스와,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구동클럭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 영상데이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로의 영상데이터입력을 제어하는 패널구동회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는 동기신호타이밍구간에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를 이용해 상기 외부시스템과 상기 패널구동회로부간 디스플레이정보에 대한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는 라인번호정보, 디스플레이출력제어정보, 전원제어정보, 감마제어정보, 해상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동기신호타이밍 사이 구간동안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는 동기신호타이밍구간동안은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
  4.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정보는 8비트 데이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는 16비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데이터통신은 상기 구동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구동방법.
  6.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외 부시스템과;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RGB영상데이터와 디스플레이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가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을 구비한 영상데이터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전송버스와;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영상데이터와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로의 영상데이터입력을 제어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선택하여 입력받고,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패널구동회로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동회로부는,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송수신을 결정하는 데이터송수신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청구항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상기 동기신호의 반전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1 AND 논리회로와;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 중 제1 전송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정보와 설정된 어드레스정보와의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회로와;
    상기 제1 AND 논리회로의 출력과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 AND 논리회로와;
    상기 제2 AND논리회로의 출력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 중 제2 및 제3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정보의 기입을 수행하는 레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청구항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와 상기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기신호의 특정구간을 분할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전송버스의 각 전송라인에 대한 데이터 전송방향을 제어하는 계수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청구항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회로부는 상기 동기신호의 인가 구간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청구항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택수신회로부와 상기 데이터송수신회로부는 상기 구동클럭신호에 의해 동작주파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전송라인은 각각 R영상데이터, G영상데이터, B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전송라인은 각각 8비트 데이터전송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057898A 2005-06-30 2005-06-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KR10115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98A KR101151798B1 (ko) 2005-06-30 2005-06-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98A KR101151798B1 (ko) 2005-06-30 2005-06-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387A true KR20070002387A (ko) 2007-01-05
KR101151798B1 KR101151798B1 (ko) 2012-06-01

Family

ID=3786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898A KR101151798B1 (ko) 2005-06-30 2005-06-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504B1 (ko) 2014-02-25 2020-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798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8492B2 (en) Display drive control circuit
US8421779B2 (en) Display and method thereof for signal transmission
US20070001980A1 (en) Timing controllers for display devices,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256063A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ource driv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clock signals of the source drivers
KR20040057805A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US20050168429A1 (en) [flat panel display and source driver thereof]
KR102105410B1 (ko) Ddi, 상기 ddi를 포함하는 장치들, 및 이의 동작 방법
CN1953331B (zh) 接口空闲引脚处理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接口设备
KR101341028B1 (ko) 표시 장치
US200702629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CN101334978A (zh) 显示设备、其驱动方法和合并了显示设备的电子装置
KR100435114B1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
US20100289834A1 (en) Field color sequential display control system
KR1011517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구동방법
US775558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and pixel data signals to source drives of an LCD
KR101054349B1 (ko) 데이터 속도를 보완하는 고화질 전광판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944113A (ja) Lcd駆動用タイミングジェネレータ
US11217197B2 (en) Data driving method based on charge sharing timing table
TWI730866B (zh) 顯示系統及整合型源極驅動電路
KR100425091B1 (ko) 표시 소자의 제어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599953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방법
TWI771716B (zh) 源極驅動電路、平面顯示器及資訊處理裝置
KR20060072174A (ko)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CN117809542A (zh) 向显示设备的rgb接口传输信号的方法、装置
KR20040062102A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킨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