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362A -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362A
KR20070002362A KR1020050057855A KR20050057855A KR20070002362A KR 20070002362 A KR20070002362 A KR 20070002362A KR 1020050057855 A KR1020050057855 A KR 1020050057855A KR 20050057855 A KR20050057855 A KR 20050057855A KR 20070002362 A KR20070002362 A KR 2007000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sensor
mode chan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5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362A/ko
Publication of KR2007000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는,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일면에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부가 관통된 회전 레버; 하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에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게 표시 수단이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 돌출봉이 형성된 회전 커버; 상기 회전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모드 변환시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된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드 변환시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모드 변환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의 본체부로 전달하는 회로가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센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드 변경 스위치를 이용한 단순 조작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위치, 회전 스위치, 모드 변경 스위치, 모드 변경 센서

Description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de Change Switch}
도 1은 종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 모드 변경 키패드가 수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 모드 변경 키패드가 수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도,
도 3a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b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a의 A부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패널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패널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탄성 패널이 설치된 설치 상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를 설치한 설치 상태 배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하는 제 1 작동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하는 제 2 작동 상태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하는 제 3 작동 상태도,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하는 제 4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5: 센서 접촉 단자 410: 회전 레버 412: 단턱부 414, 444, 464: 관통홀 416: 결합홈 432: 제 1 접촉 단자
434: 제 2 접촉 단자 436: 제 3 접촉 단자
438: 접촉면 440: 상부 커버
442: 안착부 445: 접착 수단
446: 삽입홈 450: 회전 커버 455: 표시 수단 460: 하부 커버
462: 결합 돌출봉 462a: 결합구
466: 결합 돌기 470: 모드 변환 센서
473: 제 1 모드 변환 센서 475: 접촉부
477: 제 2 모드 변환 센서 490, 600:탄성 플레이트
602: 제 1 관통공 604: 제 2 관통공
605: 몸체부 612: 결합홈
620: 절개편 622: 제 1 절개편
624: 제 2 절개편 625: 절곡부
628: 걸림부 700, 800: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센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드 변경 스위치를 이용한 단순 조작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수단이 주된 기능을 하였으나, 최근 정보통신 산업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및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성 통화 기능 외에 게임, 인터넷 검색, 이메일의 수신/발신 및 은행 계좌를 통한 송금이나 대금 결제 등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진이나 영화, 또는 뮤직 비디오와 같은 영상 매체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에 대응하여 대량 공급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통화 기능 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영화, 음악 감상, 동영상 촬영 및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량 공급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가장 널리 보급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부(110), 본체부(110)를 개폐하는 폴더부(120), 본체부(110)에 대하여 폴더부(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 부재(130)와,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10)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112),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 등을 내장하는 본체 케이스(114), 본체 케이스(114)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전되는 배터리(116), 통화시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더부(120)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 화면(122), 액정 화면(122) 등을 내장하는 형성된 폴더 케이스(124), 상대방의 통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부터 변환하여 수신하는 수화부(12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체(110)와 폴더부(120)는 힌지 부재(130)에 의해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힌지 부재(130)의 장착을 위해서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는 힌지 부재(130)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힌지 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폴더부(120)의 하단 양측면에는 제 2 힌지 수용부(134)가 형성된다.
카메라(140)는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힌지 수용부(132)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 원통(142), 피사체의 상을 모으는 카메라 렌즈(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140)는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회전 원통(142)을 회전시키고 키패드(112)를 조작하여 카메라(140)를 제어하는데, 키패드(112)와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회전 원통(142)을 돌리는 손과 키패드(112)를 조작하는 손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촬영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140)와 같은 기구물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면서, 모드 변경을 위한 스위치 등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거나 설치를 하더라도 설계상으로 비효율적 공간이 발생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a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나 영화, 음악 감상, 동영상 촬영 및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모드 변경 버튼(22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210) 측면에 구비한 버튼 장착홈(212)에 회전 및 누름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 1 버튼(222) 및 제 2 버튼(225),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의 회전 방향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본체부(210)의 버튼 장착홈(212)에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각종 메뉴를 이동시키는 메뉴 이동 센서(250),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의 누름 방향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본체부(210)의 버튼 장착홈(212)에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 의 누름 여부에 따라 각종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키(230), 제 1 및 제 2 버튼(222, 225)을 회전시키거나 눌렀다가 놓으면제 1 및 제 2 버튼(222, 225)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제 1 버튼(222)을 눌러 각종 메뉴가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 다음 제 1 버튼(222)을 좌우 방향으로 밀어 원하는 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다시 제 1 버튼(222)을 눌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 변경 스위치(22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종래의 볼륨 버튼의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영화, 사진 동영상 촬영 등 기타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때 약간의 부주의에도 볼륨 조절 기능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모드 변경이 가능한 모드 변경 버튼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되었다. 도 3a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종래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부(310), 본체부(310)를 개폐하는 폴더부(320), 본체부(310)에 대하여 폴더(3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330)와, 전기 신호 및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공중의 RF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로 수신하거나 내부의 신호를 공중으로 내보내는 안테나(341)가 구비된 안테나 케이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주면 중앙에 안테나(341)가 구비된 안테나 케이스(340)는 그 내부에 모드 변환부(3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드 변환부(350)는 제 1 모드 변환부(352), 제 2 모드 변환부(354) 및 제 3 모드 변환부(356)로 구성되며, 제 1, 제 2 및 제 3 모드 변환부(352, 354, 356)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모드 변환부(350)는 안테나 케이스(340)의 내주면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며, 본체부(310)에 설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각 모드 변환부(350) 사이에 탄성력을 가진 돌기부(3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360) 사이에는 안테나(341)가 관통되는 원형판(380)이 설치되며, 일면에 모드 변환부(350)과 접촉하는 모드 변환 스위치(382)가 구비된다. 또한, 안테나(341)의 상부에는 모드 변환 스위치(350)에 의한 모드 변환 상태를 인식하는 표시 수단(37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게임, 인터넷 검색, 이메일의 수신/발신이나 사진이나 영화, 또는 뮤직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표시 수단(370)을 통해 현재 모드를 확인 한 후, 안테나(34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안테나(341)에 구비된 원형판(380)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원형판(380)의 상단부가 돌기부(360)와 접촉 및 압박하여 각각의 돌기부(360)를 안테나 케이스(340) 내부로 탄성 및 인입시키게 되고, 따라서 원형판(380)이 제 1, 제 2 및 제 3 모드 변환부(352, 354, 356) 중 어느 하나의 모드 변환부(350)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원형판(380)이 모드 변환부(350)에 위치하게 되면 안테나(341)를 회전시켜 원형판(380)을 회전시킴으로써, 모드 변환 스위치(382)가 모드 변환부(350)에 형성된 단자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수단(370)을 통하여 모드 변환 스위치(382)에 의한 모드 변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에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공간적 효율은 높일 수 있겠으나 모드를 변환할 때마다 안테나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안테나의 수명을 짧게 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손상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장 중요한 통화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모드 변경시 돌기부와 모드 변환 스위치 간의 잦은 마찰로 인하여 모드 변경 스위치의 파손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센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드 변경 스위치를 이용한 단순 조작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는,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일면에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부가 관통된 회전 레버; 하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에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게 표시 수단이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 돌출봉이 형성된 회전 커버; 상기 회전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모드 변환시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된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드 변환시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모드 변환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의 본체부로 전달하는 회로가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통신 기기의 각종 기능을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하기 위 한 모드 변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는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일면에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부가 관통된 회전 레버; 하부에 결합 동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에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게 표시 수단이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 돌출봉이 형성된 회전 커버; 상기 회전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모드 변환시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된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드 변환시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모드 변환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의 본체부로 전달하는 회로가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a의 A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에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405)가 형성된 회전 레버(410), 회전 레버(4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커버(450),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490), 모드 변환 센서(470) 및 모드 변환 센서(47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레버(4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설치되되, 배터리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레버(410)는 하부에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405)를 구비하며 상부 중앙에 회전 커버(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턱부(412)를 형성하고 있는데, 단턱부(412)의 중앙으로 관통홀(414)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회전 커버(450)에 구비된 결합 돌출봉(462)이 지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단턱부(412)의 수평면(412a)에는 다수개의 결합홈(41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다수개의 결합홈(416)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 돌기(466)가 회전 커버(450)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 레버(410)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개구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부에 형성되는 센서 접촉 단자(405)는 회전 레버(41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센서 접촉 단자(405)는 회전 레버(410)의 하단 둘레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모드 변환 센서(470)와 접촉되는 제 1 접촉 단자(432), 제 1 접촉 단자(432)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간부(432a)를 마련하고 모드 변환시 회전 레버(410)를 회전시킴에 따라 모드 변환 센서(470)와 접촉되는 제 2 접촉 단자(434), 제 2 접촉 단자(434)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간부(434a)를 마련하고 모드 변환시 회전 레버(410)를 회전 시 킴에 따라 모드 변환 센서(470)와 접촉하게 되는 제 3 접촉 단자(4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접촉 단자(434)와 제 3 접촉 단자(436)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부(434a)는 제 1 접촉 단자(432)와 제 2 접촉 단자(434)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432a)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 1 접촉(432) 단자 및 제 2 접촉 단자(434)에 구비된 각각의 접촉면(438)의 길이보다 제 3 접촉 단자(436)의 접촉면(438) 길이는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센서 접촉 단자(405) 형성되는 접촉면(438)은 각각의 센서 접촉 단자(405)의 외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접촉면(438)의 크기는 센서 접촉 단자(405)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모드 변경 센서(470)와 접촉되는 부분에만 접촉면(438)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회전 레버(410)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센서 접촉 단자(405)들은 회전 레버(410)의 하부 중심을 기점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 레버(410)의 단턱부(412)에 결합되는 회전 커버(450)는 안착부(442)가 형성된 상부 커버(440), 상부 커버(440) 일면에 현재 모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수단(455), 상부 커버(440)에 삽입되는 하부 커버(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커버(450)의 상부 커버(440)는 상부 중앙 일측에 손가락을 안착시켜 회전 레버(410)의 회전시 더욱 편안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안착부(442)가 형성되며, 안착부(442)와 대칭되는 위치에 안착부(442)와 동일 직경을 갖는 관통홀(444)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 커버(440)의 하부로 개구된 삽입홈(446)이 형성 되어 이 삽입홈(446)에 하부 커버(460)가 삽입 결합된다.
표시 수단(455)은 상부 커버(440)의 일면에 형성되지만 사용자가 현재 모드를 확인가능한 위치라면 상부 커버(440)의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표시 수단(455)은 사용자가 식별이 가능한 반구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 반구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방법, 표시 수단(455)의 위치에 상부 커버(440)와 대칭되는 색으로 도색을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겠으나 전기적 접촉 신호에 따라 발광되도록 LED(Light-Emitting Diode)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커버(460)는 상부 커버(44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446)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커버(440)에 형성된 관통홀(444)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부 커버와 동일한 관통홀(464)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464)의 상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 돌출봉(462)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돌출봉(462)은 하부 커버(460)에 결합구(462a)를 형성하여 결합 돌출봉(462)과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하부 커버(460)와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커버(440)의 하부에 결합 돌출봉(462)을 형성하고 이와 대칭되도록 하부 커버(460)에 결합구(462a)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커버(440)와 하부 커버(46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결합 돌출봉(462a)은 축 방향의 길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 커버(440)와 하부 커버(460) 사이에는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접착 수단(445)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접착 수단(445)은 접착력이 구비된 본드와 같이 접착력을 가진 수단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양면에 접착력이 구비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모드 변환 센서(470)는 회전 레버(410)를 회전시킬 때, 회전 레버(410)에 형성된 센서 접촉 단자(405)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으로 전송하는 접촉부(47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촉부(475)는 모드 변환 센서(470)의 일면에 형성되되, 각 센서 접촉 단자(405)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32a, 434a)에 안착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회전 레버(410)를 회전함으로써, 회전 레버(410)에 형성된 센서 접촉 단자(405)도 회전하면서 모드 변환 센서(470)의 접촉부(475)와 접촉하게 되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촉부(475)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센서 접촉 단자(405)와 접촉될 때, 수축되고 센서 접촉 단자(405)와 접촉 과정이 끝나면 수축된 접촉부(475)가 수축전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잦은 모드 변경에 따른 접촉부(475)의 파손에 대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모드 변환 센서(470)는 센서 접촉 단자(405) 중 제 1 접촉 단자(432)와 제 2 접촉 단자(434)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432a)에 위치하는 제 1 모드 변환 센서(473)와 제 2 접촉 단자(434)와 제 3 접촉 단자(436)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434a)에 위치하는 제 2 모드 변환 센서(477)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 레버(410)가 회전하면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센서 접촉 단자(405)와 제 1 및 제 2 모 드 변환 센서(473, 477)가 전부 접촉되지 않거나, 제 1 및 제 2 모드 변환 센서(473, 477) 중 어느 하나만 접촉이 되거나, 제 1 및 제 2 모드 변환 센서(473, 477)가 전부 접촉되면서 각기 다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모드 변경 센서(470)는 카메라 기능이나, 동영상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무선 인터넷의 접속 및 기타 다양한 모드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 레버(410)의 센서 접촉 단자(405)의 수와 모드 변경 센서(470)의 수를 동일하게 증가시킨다면, 회전 레버(410)가 회전하게되는 단계는 더욱 많아질 것이고, 이에 따라 모드 변경 센서(470)가 전송하게 될 각기 다른 전기적 신호 또한 증가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모드 변경이 가능하다.
인쇄 회로 기판은 모드 변환 센서(470)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 전송하는 연성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 플레이트(600)는 도 6a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커버(450)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탄성 플레이트(600)는 회전 커버(450)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나 회전 레버(41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되, 센서 접촉 단자(405)의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600)의 중앙 하단에는 회전 커버(450)에 형성된 관통홀(444)과 대칭되는 제 1 관통공(602)이 형성되며, 회전 커버(450)에 형성된 결합 돌출봉(462)이 관통되는 제 2 관통공(6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 관통공(604)은 제 1 관통공(60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 1 관통공(60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600)의 몸체부(605)에는 후술하 게 될, 이동통신 단말기(700)의 본체부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구(7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6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홈(612)은 제 1 관통공(602) 및 제 2 관통공(604)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 2 관통공(604)들 사이, 제 1 관통공(602) 및 제 2 관통공(604)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식으로 그 위치는 삼각형의 각 꼭지점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 플레이트(60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절개편(6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편(620)은 탄성 플레이트(600)의 원호를 따라 서로 마주보게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 1 절개편(622)과 탄성 플레이트(600)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절개편(6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절개편(622, 624)은 회전 레버(410)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625)가 형성되는데, 제 1 절개편(622)은 절곡부(625)가 회전 레버(410) 방향 즉,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절개편(624)은 절곡부(625)가 제 1 절곡편(622)과 반대되는 방향 즉, 하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절개편(622, 624)의 일측에는 반구 형상의 걸림부(62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부(628)는 제 1 및 제 2 절개편(622, 624) 각각에 형성된 절곡부(625)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어 회전 레버(410)와 직접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 플레이트(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700)의 본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탄성 플레이트(6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부 즉, 배터리가 장착되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700)에는 탄성 플레이트(600) 의 결합홈(612)에 결합되는 결합구(710)가 탄성 플레이트(600)의 결합홈(612)과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60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700)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융착 등의 접착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탄성 플레이트(6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경 스위치를 설치한 설치 상태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배면부 즉, 배터리가 장착되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본체에 결합된 탄성 플레이트(600) 상부로 회전 레버(410)가 장착되게 된다. 이 때, 회전 레버(410)의 상부에는 회전 커버(450)가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회전 커버(4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440)와 하부 커버(460) 사이에 접착 수단(455)을 구비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본체에 탄성 플레이트(600)를 결합한 뒤 회전 커버(450)가 결합된 회전 레버(410)를 장착한 다음 스크류 등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800)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410)가 작동하면서 각각의 센서 접촉 단자(405)와 각각의 모드 변경 센서(473, 477)들이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 카메라 촬영, 동영상 촬영 및 MP3 사용에 대한 모드 변경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410)에 구비된 표시 수단(455)이 중립 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접촉 단자(432)와 제 2 접촉 단자(434) 사이의 공간부(432a)에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의 접촉부(475)가 안착된다. 그리고, 제 2 모드 변경 센서(477)는 각 센서 접촉 단자(432, 434, 436)의 공간부(432a, 434a)가 아닌 회전 레버(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위해 회전 레버(4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촉 단자(434)가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와 접촉하게 되고 제 2 모드 변경 센서(477)는 중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탄성 플레이트(600)에 의해 중립의 위치에서 사진 촬영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탄성 플레이트(600)에 형성된 절개편(620)에 의해 회전 레버(410)에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는 제 2 접촉 단자(434)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전송하고, 인쇄 회로 기판은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본체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촬영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를 사용하기 위해서 현재 표시 수단(455)이 위치한 상태를 확인 한 뒤 회전 레버(41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가 회전 레버(4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중립의 위치에 있던 제 2 모드 변경 센서(477)가 제 3 접촉 단자(436)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모드 변경 센서(477)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본체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MP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전 레버(4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모드 변경 센서(473)는 제 1 접촉 단자(432)와 접촉하게 되고, 제 2 모드 변경 센서(477)는 제 3 접촉 단자(436)와 접촉하게 되어 제 1 및 제 3 모드 변경 센서(432, 436)로부터 전송 받은 전기적 신호를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800)의 본체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다시 중립의 위치로 변경을 원할 때는, 회전 레버(4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모드 변경 센서가(432, 436) 모두 중립의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변 경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센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드 변경 스위치를 이용한 단순 조작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각종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는,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일면에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부가 관통된 회전 레버;
    하부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에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게 표시 수단이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 돌출봉이 형성된 회전 커버;
    상기 회전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모드 변환시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된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드 변환시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모드 변환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의 본체부로 전달하는 회로가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부에 단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단턱부의 중앙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수평면에는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 센서는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되는 센서 접촉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접촉 단자는 상기 회전 레버의 하단 둘레면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드 변환 센서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 1 접촉 단자;
    상기 제 1 접촉 단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드 변환 센서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 2 접촉 단자; 및
    상기 제 2 접촉 단자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레버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접촉면의 길이가 상기 제 1 접촉 단자 및 상기 제 2 접 촉 단자의 접촉면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된 제 3 접촉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단자와 상기 제 2 접촉 단자 사이에는 상기 모드 변환 센서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단자와 상기 제 3 접촉 단자 사이에는 상기 모드 변환 센서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접촉 단자 및 상기 제 2 접촉 단자에 형성되는 공간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 센서는 상기 센서 접촉 단자 중, 제 1 접촉 단자 및 제 2 접촉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센서 접촉 단자 중, 제 2 접촉 단자 및 제 3 접촉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모드 변환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는 상부 중앙 일측에 손가락을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표시 수단이 형성되며,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의 상측으로 결합 돌출봉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의 단턱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는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커버의 삽입홈에 접착 수단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은 양면에 접착력이 구비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중앙 하단에 상기 회전 커버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과 대칭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커버의 결합 돌출봉과 대칭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개편을 형성하되 절개편의 상측 일면에 반구형상의 결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은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킨 제 1 절개편;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중앙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킨 제 2 절개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4. 휴대용 전자 통신 기기의 각종 기능을 용이하게 변경 및 설정하기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는 다수개의 센서 접촉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일면에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부가 관통된 회전 레버;
    하부에 결합 동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레버에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게 표시 수단이 형성되되, 하부에 결합 돌출봉이 형성된 회전 커버;
    상기 회전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모드 변환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모드 변환시 상기 회전 레버에 형성된 상기 센서 접촉 단자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드 변환시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 변환 센서; 및
    상기 모드 변환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의 본체부로 전달하는 회로가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경 스위치.
KR1020050057855A 2005-06-30 2005-06-30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02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55A KR20070002362A (ko) 2005-06-30 2005-06-30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55A KR20070002362A (ko) 2005-06-30 2005-06-30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362A true KR20070002362A (ko) 2007-01-05

Family

ID=3786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855A KR20070002362A (ko) 2005-06-30 2005-06-30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95A1 (ko) * 2015-04-08 2016-10-13 홍사원 회전식 스마트 폰 작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95A1 (ko) * 2015-04-08 2016-10-13 홍사원 회전식 스마트 폰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4835B (zh) 行動通訊終端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8331107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0460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3259888A (zh) 移动终端
EP1850211A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861157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uct for transmitter
JP4549391B2 (ja) 積層型携帯端末
KR101176943B1 (ko)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EP1871079A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US8738096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090052888A1 (en) Ke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90259551A1 (en) Mobile terminal
CN114070342A (zh) 卡托固定装置及其电子设备
KR20070002362A (ko)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0800307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KR101474440B1 (ko) 휴대 단말기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CN216793521U (zh) 按键组件及终端设备
CN208190692U (zh) 移动终端
KR20100025413A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23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