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341A -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341A
KR20070002341A KR1020050057827A KR20050057827A KR20070002341A KR 20070002341 A KR20070002341 A KR 20070002341A KR 1020050057827 A KR1020050057827 A KR 1020050057827A KR 20050057827 A KR20050057827 A KR 20050057827A KR 20070002341 A KR20070002341 A KR 2007000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terminal
terminal body
accessory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341A/ko
Publication of KR2007000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블루투스 모듈를 갖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블루투스 액세서리로부터 사전설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소리가 진동 또는 무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의 정확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블루투스, 액세서리, 헤드셋, 단말기

Description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ccess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본체 15: 블루투스 모듈
20: 블루투스 액세서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 헤드셋과 같은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저변확대에 따른 수요자들의 요구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일반적 음성통화 이외에 더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예컨대 가정과 같은 특정 장소 내에 두었으나 그 정확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서 벨소리를 들은 후 찾는 일이 빈번하다. 그러나, 해당 단말기의 벨소리가 진동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무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도 벨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찾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를 예컨대 가정과 같은 특정 장소 내에 둔 정확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를 갖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블루투스 액세서리로부터 사전설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0)에는 블루투스 모듈(15)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15)은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일조를 이루는 블루투스 액세서리(20)와 무선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블루투스 액세서리(20)로는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핸드프리키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헤드셋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은 일종의 무선 이어폰 역할을 한다. 즉,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을 이용하면 일반 유선 이어폰과는 달리 단말기 본체와 무선으로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음성 다이얼링(voice dialing)과 같은 음성인식기능이 제공된다. 예컨대,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우리집"이라고 말하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은 상기 "우리집" 음성을 상기 단말기 본체(10)로 보내고, 상기 단말기 본체(10)은 상기 음성을 분석/인식하여 상기 음성에 해당되는 사전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데,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0)를 가정과 같은 특정 장소 내에 두었지만 그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에 단말기 본체와 사전약정되어 있는 예컨대 "내 핸드폰"이라는 음성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은 상기 음성을 단말기 본체(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 본체(10)은 상기 음성을 수신/분석하여 상기 음성이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설정된 음성임을 인식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벨소리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 본체(10)가 설령 진동 또는 무음(無音)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상기 사전설정된 음성에 반응하여 벨소리를 낼 때는 반드시 소정 볼륨 크기의 음향으로써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 본체(10)은 단말기 사용자가 그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 상에서 사전설정된 버튼조작을 할 때까지 계속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이상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블루투스 액세서리에 소정의 음성을 입력하여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찾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으로부터 블루투스 액세서리 상의 소정의 버튼 조작으로써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변형하는 것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소리가 진동 또는 무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의 정확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블루투스 모듈를 갖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블루투스 액세서리로부터 사전설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액세서리에 사전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본체 상에서 사전설정된 버튼조작을 할 때까지 계속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는 단말기 본체에서 진동 또는 무음(無音)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정의 음향 크기로써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57827A 2005-06-30 2005-06-30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02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27A KR20070002341A (ko) 2005-06-30 2005-06-30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827A KR20070002341A (ko) 2005-06-30 2005-06-30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341A true KR20070002341A (ko) 2007-01-05

Family

ID=3786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827A KR20070002341A (ko) 2005-06-30 2005-06-30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3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39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EP2092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to a speakerphone mode
KR20070002341A (ko)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20070008266A (ko) 이동 단말용 핸즈프리 장치
KR100801061B1 (ko)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핸즈프리 시스템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US6757387B2 (en) Supplementary hand free transceiver of a fixing network wired telephone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250500Y1 (ko) 무선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착신음 음성 출력장치
KR200184938Y1 (ko) 음성신호 진동 변환기능을 갖는 핸드폰
KR19980072187A (ko) 휴대폰의 무선 이어 마이크
JP4166723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25435Y1 (ko)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겸용 헤드폰
KR200168870Y1 (ko) 오디오 청취 및 전화기능을 갖는 다기능 키보드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100798372B1 (ko) 원격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174397Y1 (ko) 전화기를 구비한 키보드용 암레스트
KR200267247Y1 (ko) 전화기에 부속된 핸즈프리 장치
KR200340080Y1 (ko) 헤드셋 무선 전화기
KR200270494Y1 (ko) 벨소리 증폭장치를 갖는 핸드폰용 핸즈프리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