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183A -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183A
KR20070002183A KR1020050057572A KR20050057572A KR20070002183A KR 20070002183 A KR20070002183 A KR 20070002183A KR 1020050057572 A KR1020050057572 A KR 1020050057572A KR 20050057572 A KR20050057572 A KR 20050057572A KR 20070002183 A KR20070002183 A KR 2007000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isplay
unit
lenticular lens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0404B1 (en
Inventor
김은수
신동학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은수
신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은수, 신동학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404B1/en
Publication of KR2007000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1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A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solution reduction of a 3-dimensional image by using plural image display units and to remove a part of the 3-dimensional image distorted by the lens by arranging the image display units and a lenticular lens in many ways. A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image display unit(310) outputting plural first base images; a first lenticular lens unit(320) representing a 3-dimensional image by producing the first base images; a second image display unit(340) vertically combined with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to output plural second base images, which are the same as the first base images; a second lenticular lens unit(350) representing the 3-dimensional image by producing the second base images and having a lens projecting the second base image,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base image projected around peripheral parts(320,360) of a lens of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to the center; and a light splitter(37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 display units to transmit the first base image and reflect the second base image by splitting the incident light.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간 결합부에 의해 투영된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는 원인을 도시한 모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ason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projected by the inter-lens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owered.

도 2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nticular len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모식도.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출력된 해상도가 낮은 입체 영상을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low-resolution stereoscopic image output by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된 입체 영상을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output to a first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된 입체 영상을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output to a secon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0 : 제1 영상 표시부310: first image display unit

320 :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 first lenticular lens unit

340 : 제2 영상 표시부340: second image display unit

350 :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 second lenticular lens unit

370 : 광 분할기370: Optical Splitter

320, 360 : 렌즈 주변부에 의해 해상도가 낮아지는 부분320, 360: parts where the resolution is lowered due to the lens periphery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적 영상(integral imaging) 방식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Volumetric image)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 volumetric image by using an integrated imaging method.

입체영상 표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홀로그래피나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에 기초하여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홀로그래피 방식은 이상적인 입체영상 표시방식이라고 여겨지나, 코히어런트 광원이 필요하고, 먼거리의 큰 물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은 양안시차를 갖는 두 2차원 영상을 사람의 양쪽 눈에 각각 분리해서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2개의 평면 영상을 사용하므로 구현이 간단하고 높은 해상도와 큰 깊이감을 갖는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은 영상을 보는 눈의 수렴각과 초점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하여 시각 피로감이 커질 수 있으며, 시점이 하나로 고정되어 있거나 몇 개로 고정되어 있어 서(다시점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의 경우) 불연속적인 단점이 있다. The study of stereoscopic display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mainly based on holography or stereoscopic method. The holography method is considered an ide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but it requires a coherent light sourc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ord and reproduce a large object over a long distance. In contrast, the stereoscopic method causes two-dimensional images with binocular disparity to be displayed separately on both eyes of a person to induce a stereoscopic feeling. Since this method uses two planar images, it is simple to implement and has an advantage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having a high resolution and a large depth. However, stereoscopy can increase visual fatigue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convergence angle and the focus of the eye viewing the image. There is this.

최근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의 단점을 피하기 위해 집적 영상 방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는 본래 완전 사진술이라는 이름으로 1908년 리프만(Lippmann)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것으로, 영상표시패널과 CCD와 같은 광소자를 이용하여 실시간 완전 사진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종래의 집적 영상 방식은 렌즈어레이를 이용하여 입체 물체로부터 기초 영상을 CCD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기초 영상의 엘리멘트(element)들은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기초영상은 LCD에 다시 표현되고 렌즈어레이를 통하여 입체 영상으로 재생된다. Recently, researches on integrated imaging methods have been conducted to avoid the disadvantages of stereoscopic methods. It was originally proposed by Lippmann in 1908 under the name of full photography, real-time full photography using optical devices such as image display panel and CCD. The conventional integrated imaging method records a basic image from a stereoscopic object using a CCD using a lens array. Elements of the base image have a small square or rectangle. This basic image is displayed on the LCD again and reproduced as a stereoscopic image through the lens array.

그러나 종래의 집적 영상 기술은 2차원 구조의 렌즈어레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극히 낮은 3차원 영상이 구현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하는 집적 영상 방식이 보고되었다. 이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하는 집적 영상 방식에 의해 출력된 입체 영상은 다수의 렌즈들이 서로 결합하는 부분에 영상이 투영되는 경우 렌즈 자국이 입체 영상에 출력되어 출력된 입체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integrated imaging technology uses a two-dimensional lens array, an integrated imaging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has been reported.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by the integrated image method using the lenticular lens has a problem in that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is reduced when the lens marks are output to the stereoscopic image when the image is projected on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len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

본 발명은 다수의 영상 표시부(LCD, CRT 등)를 이용함으로써 렌즈의 주변부에 의해 입체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is lowered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by us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units (LCD, CRT, etc.).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영상 표시부와 렌티큘러 렌즈를 여러 방법으로 배열함으로써 출력된 입체 영상에서 렌즈에 의해 왜곡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a portion distorted by a lens in an output stereoscopic imag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units and a lenticular lens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제1 기초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영상 표시부, 다수의 제1 기초 영상을 결상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제1 렌티큘러 렌즈부, 다수의 제1 기초 영상과 동일한 다수의 제2 기초 영상을 출력하며, 제1 영상 표시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영상 표시부, 다수의 제2 기초 영상을 결상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재생하며, 제1 렌티큘러 렌즈부에 포함된 각각의 렌즈의 주변부에 투영된 제1 기초 영상과 동일한 제2 기초 영상을 중심부에 투영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티큘러 렌즈부, 제1 영상 표시부와 제2 영상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며 입사된 광을 분할함으로써 제1 기초 영상은 투과하고, 제2 기초 영상은 반사하는 광 분할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mag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a first lenticular lens unit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and the same as the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Outputs a plurality of second basic images, a second image display unit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and reproduces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 basic images, and each lens included in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A second lenticular lens unit including a lens for projecting a second basic image,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basic image proj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center, to the center by dividing the incident light between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splitter that transmits the first base image and reflects the second base imag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물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imaging the stereoscopic object at different ang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입체 물체에 대응하는 제1 기초 영상 및 제2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basic image and a second bas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captured by the camera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기초 영상 및 제2 기초 영 상의 크기, 색도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for at least one of the size, chromaticity and luminanc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집적결상방식에 대한 입체 영상 출력 원리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prior to describing in detail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hree-dimensional image output principle for the integrated imaging method.

도 2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렌티큘러 렌즈부(220, 260), 촬상부(230), 영상 표시부(250)를 포함하며, 입체 물체(210), 기초 영상(240) 및 입체 영상(270)이 도시되어 있다.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displays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nticular lens. Referring to FIG. 2,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lenticular lens unit 220 and 260, an imaging unit 230, and an image display unit 250. The stereoscopic object 210, the base image 240, and the stereoscopic image ( 270 is shown.

렌티큘러 렌즈부(220)를 이용하여 입체 물체(210)로부터 기초영상(240)을 촬상부(230)(예를 들면, CCD)를 사용하여 기록한다. 촬상부(230)에 기록되는 기초 영상(240)의 엘리멘트들은 렌티큘러 렌즈부(220)에 대응하여 세로로 길쭉한 형태를 가진다. 기초 영상(240)의 엘리멘트(element)들은 렌티큘러 렌즈부(220)의 배열에 상응하여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기초 영상(240)은 영상 표시부(250)에 다시 표현되고 렌티큘러 렌즈부(260)를 통하여 입체 영상(270) 으로 재생된다. 여기서 영상 표시부(250)는 액정 표시 장치(LCD), 평면 CRT 또는 프로젝션 장치 등 종래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촬상부(230)와 영상 표시부(250) 사이에 촬상부(230)에서 생성된 기초 영상(240)을 압축, 깊이감 조절, 또는 요소영상의 확대/축소와 같은 영상처리를 하여 영상 표시부(250)로 전달하는 영상 처리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basic image 240 is recorded from the stereoscopic object 210 using the lenticular lens unit 220 using the imaging unit 230 (eg, a CCD). The elements of the base image 240 recorded in the image capturing unit 230 have a vertically long form corresponding to the lenticular lens unit 220. Elements of the base image 240 have a small square or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lenticular lens unit 220. The base image 240 is reproduced on the image display unit 250 and reproduced as a stereoscopic image 270 through the lenticular lens unit 260. The image display unit 25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 conventional imag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lat panel CRT, or a projection device. The image display unit 250 may be processed between the image capturing unit 230 and the image display unit 250 by performing image processing such as compression, depth control, or enlargement / reduction of the element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30.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기초 영상(240)에 포함되는 다수의 영상들이 영상 표시부(250)와 렌티큘러 렌즈부(260)에 포함되는 각각의 렌즈를 통과하면서, 렌즈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영상은 해상도가 높게 출력되지만,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하는 영상은 렌즈 자국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낮게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250) 및 렌티큘러 렌즈부(260)를 다수개로 구비하고, 하나의 렌티큘러 렌즈부에 포함된 렌즈의 주변부에서 통과하는 영상이 다른 하나의 렌티큘러 렌즈부에 포함된 렌즈의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렌티큘러 렌즈부를 통과한 영상이 하나로 합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렌즈 주변부에 의해 해상도가 낮아진 부분을 다른 영상 표시부에 의해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표시부(250) 및 렌티큘러 렌즈부(260)는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고, 영상 표시부(250) 및 렌티큘러 렌즈부(260)의 종류도 미리 설정된 구조에 상응하는 정해질 수 있다. Here, while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base image 240 passes through each len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unit 250 and the lenticular lens unit 260,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ens is output with high resolution.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is relatively low resolution output by the lens mark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250 and the lenticular lens unit 260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are provided in plural, and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included in one lenticular lens unit passes through the other lenticular lens unit. It allow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cluded lens, and allows the image passing through each lenticular lens unit to be combined into one. Therefore, the portion where the resolution is lowered by the lens peripheral portion can be compensated by the other image display portion. Here, the image display unit 250 and the lenticular lens unit 260 include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 type of the image display unit 250 and the lenticular lens unit 260 may also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structure can be determin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부를 이용하여 렌즈 자국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표시부(310),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 제2 영상 표시부(340),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 및 광 분할기(370)를 포함하며, 렌즈 주변부에 의해 해상도가 낮아지는 부분(320, 360) 및 관찰자의 눈이 도시되어 있다.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method of removing lens marks by using a lenticular lens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 first lenticular lens unit 320, a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a second lenticular lens unit 350, and a light. The part 320, 360, which includes a divider 370 and whose resolution is lowered by the lens periphery, and the observer's eye are shown.

제1 영상 표시부(310)와 제2 영상 표시부(340)는 입체 물체에 대한 동일한 기초 영상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영상 표시부(310)에서 출력하는 기초 영상을 제1 기초 영상이라 하고, 제2 영상 표시부(340)에서 출력하는 기초 영상을 제2 기초 영상이라 한다. 제2 영상 표시부(340)는 다수의 제1 기초 영상과 동일한 다수의 제2 기초 영상을 출력하며, 제1 영상 표시부와 수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수직은 수학적으로 정확한 수직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 분할기(370)에서 광을 분할하기에 충분한 기울기로 결합되어 있을 정도로 실질적으로 수직한 경우도 포함한다.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nd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output the same basic image of the stereoscopic object. Here, the base image output from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is called a first base image, and the base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is called a second base image.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outputs a plurality of second basic images identical to the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The vertical here is not limited to mathematically accurate vertical, but also includes a case where the vertical is substantially vertical such that the light splitter 370 is coupled with a slope sufficient to split the light.

제1 영상 표시부(310)에서 출력된 제1 기초 영상은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를 통과하여 광 분할기(370)를 투과한 후 관찰자에게 입체 영상을 재생한다. 또한, 제2 영상 표시부(340)에서 출력된 제2 기초 영상은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를 통과하고 광 분할기(370)에서 반사된 후 관찰자에게 입체 영상을 재생한다. 여기서, 제1 영상 표시부(310) 및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는 제2 영상 표시부(340) 및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와 각각 광 분할기(370)에 렌즈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영상이 서로 다르도록 배열된다. The first basic image output from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320, passes through the light splitter 370, and reproduces the stereoscopic image to the viewer. In addition, the second basic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ticular lens unit 350 and is reflected by the light splitter 370 to reproduce a stereoscopic image to the viewer. Here,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nd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320 are images of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and the second lenticular lens unit 350 and the optical splitter 370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ens, respectively. Are arranged to be different.

도 3을 참조하면, 선분 a와 b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 기초 영상과 제2 기초 영상은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제2 영상 표시부(340) 및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가 광 분할기(370)와 이격된 거리는 제1 영상 표시부(310) 및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가 광 분할기(370)와 이격된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렌즈의 주변부(320, 360)이 서로 엇갈리게 되고, 제2 렌티큘러 렌즈부(350)의 주변부에서 출력된 제2 기초 영상(선분 b를 따라 출력되는 기초 영상)은 제1 렌티큘러 렌즈부(320)의 중심부에서 출력된 제1 기초 영상(선분 a를 따라 출력되는 기초 영상)에 의해 보상되어 관찰자가 바라보는 입체 영상은 해상도가 높은 영상이 된다. 여기서, 제1 영상 표시부(310) 및 제2 영상 표시부(340)가 광 분할기(370)와 이격된 거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1 영상 표시부(310) 및 제2 영상 표시부(340)에서 출력되는 기초 영상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영상 보정을 해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output from the line segments a and b, respectively, are identical to each other. However,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and the second lenticular lens unit 350 may include the light splitter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nd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32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plitter 370. Accordingly, the peripheral portions 320 and 360 of the lens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basic image (the basic image output along the line segment b) output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lenticular lens portion 350 is the first lenticular lens portion 320. The stereoscopic image viewed by the viewer is compensated by the first basic image (the basic image output along the line segment a) output from the center of the image to be a high resolution image. Here, although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nd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340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a distance separated from the light splitter 370,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310 and the second image ar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distance. The same imag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s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34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물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입체 물체를 촬상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입체 물체에 대응하는 제1 기초 영상 및 상기 제2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생성된 제1 기초 영상 및 상기 제2 기초 영상의 크기, 색도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capturing stereoscopic objects at different angles. That is, in configuring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 apparatus for capturing a stereoscopic objec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basic image and the second bas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at least one of the size, chromaticity, and luminanc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generated afterward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과 비교되는 종래 기술 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출력된 해상도가 낮은 입체 영상(4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된 입체 영상(50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된 입체 영상(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low-resolution stereoscopic image 400 output by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mpared with a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stereoscopic image 500 output to a first image display device, and FIG. 6 illustrates a stereoscopic image 600 output to a secon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400)에서 입체감은 있으나, 세로로 렌즈의 주변부에 의해 발생한 렌즈 자국이 출력된다. 도 5을 참조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310)에 출력된 입체 영상(500)은 렌즈의 주변부에 의해 발생한 렌즈 자국을 포함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영상 표시 장치(340)에 출력된 입체 영상(600)은 렌즈의 주변부에 의해 발생한 렌즈 자국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 렌티큘러 렌즈(320)의 배열과 제2 렌티큘러 렌즈(350)의 배열은 하나의 렌즈 중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다른 하나의 렌즈 주변부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하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제1 영상 표시 장치(310)에 의해 재생된 입체 영상(500)은 제2 영상 표시 장치(340)에 의해 재생된 입체 영상(600)에 의해 렌즈 자국이 보상되므로,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입체 영상이 재생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stereoscopic image 400, although there is a stereoscopic effect, lens marks generated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are output vert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stereoscopic image 500 output to the first image display device 310 includes lens marks generated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the stereoscopic image 600 output to the second image display device 340 includes lens marks generated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lenticular lens 320 and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lenticular lens 350 are determined relative to each other such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center of one lens is the same as the image output from the periphery of the other lens. Accordingly, since the lens marks are compensated for by the stereoscopic image 600 reproduced by the first image display apparatus 310, the stereoscopic image 500 reproduced by the second image display apparatus 340 may result in high stereoscopic resolution. The video is played back.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다수의 영상 표시 부를 이용함으로써 렌즈의 주변부에 의해 입체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by us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uni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다수의 영상 표시부와 렌티큘러 렌즈를 여러 방법으로 배열함으로써 출력된 입체 영상에서 렌즈에 의해 왜곡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moving the distorted portion by the lens in the output stereoscopic image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units and the lenticular lens in various ways.

Claims (4)

다수의 제1 기초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영상 표시부;A first image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상기 다수의 제1 기초 영상을 결상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제1 렌티큘러 렌즈부;A first lenticular lens unit configured to reproduce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the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상기 다수의 제1 기초 영상과 동일한 다수의 제2 기초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제1 영상 표시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영상 표시부;A second image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second basic images identical to the plurality of first basic images, and to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상기 다수의 제2 기초 영상을 결상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재생하며, 상기 제1 렌티큘러 렌즈부에 포함된 각각의 렌즈의 주변부에 투영된 상기 제1 기초 영상과 동일한 상기 제2 기초 영상을 중심부에 투영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티큘러 렌즈부; 및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the plurality of second basic images, and projecting the second basic image identical to the first basic image projected to the periphery of each lens included in the first lenticular lens unit to a central portion. A second lenticular lens unit including a lens; And 상기 제1 영상 표시부와 상기 제2 영상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며 입사된 광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제1 기초 영상은 투과하고, 상기 제2 기초 영상은 반사하는 광 분할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nd a light splitt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mag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image display unit to split the incident light so that the first basic image is transmitted and the second basic image is reflec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입체 물체를 서로 다른 각도로 촬상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nd a camer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cap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t different angles.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입체 물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기초 영상 및 상기 제2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And an im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basic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picked up by the camera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기초 영상 및 상기 제2 기초 영상의 크기, 색도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nd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image processing on at least one of the size, chromaticity, and luminance of the first base image and the second base image.
KR1020050057572A 2005-06-30 2005-06-30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KR100730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572A KR100730404B1 (en) 2005-06-30 2005-06-30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572A KR100730404B1 (en) 2005-06-30 2005-06-30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183A true KR20070002183A (en) 2007-01-05
KR100730404B1 KR100730404B1 (en) 2007-06-19

Family

ID=378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572A KR100730404B1 (en) 2005-06-30 2005-06-30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4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276B1 (en) * 2009-12-24 2012-02-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using multiple screens
KR101445489B1 (en) * 2013-05-31 2014-09-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 dimensional interal imaging display system with function of focusing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6555B1 (en) 1993-12-01 2003-03-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for 3D images
GB2337388A (en) * 1998-05-12 1999-11-17 Sharp Kk Directional autereoscopic 3D display having directional illumination system
KR100349206B1 (en) * 2000-07-04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A stereoscopic video display system using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liquid crystal type display panel
KR20010088919A (en) * 2001-08-01 2001-09-29 김정호 3-dimensional imag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wo identical 3-dimensional images by dividing 3-dimensional image using two concave mirrors or flat mirr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404B1 (en)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7544B (en) 3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4328311B2 (en) Method and program for creating multi-viewpoint image for 3D image display
KR100947366B1 (en) 3D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0616556B1 (e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out loss
KR20150068299A (e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images for multi-surface display
JP2010078768A (en)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system
Takaki Development of super multi-view displays
CN116990983B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based on viewpoint morphology record
JP2006333400A (en)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program
RU2340116C1 (en) Method of playing back stereoscopic images from camcorder with converging axes
JP3676916B2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0730404B1 (en) Volumetr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JPS6238695A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KR100274624B1 (en)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or using accumulative liquid display
Arai Three-dimensional television system based on spatial imaging method using integral photography
KR100652204B1 (en) Method for displaying volumetric im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0636165B1 (en) Three-dimensional imaging display apparatus
JPH05191838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Izmantoko et al. Implementation of anaglyph method for stereo microscope image display
KR101345129B1 (e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 image display and record
JP3080777B2 (en) Projection type stereoscopic display
JP3463960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JP3831853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JP3708174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Arai Three-dimensional television system based on integral phot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