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363A -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363A
KR20070001363A KR1020050056795A KR20050056795A KR20070001363A KR 20070001363 A KR20070001363 A KR 20070001363A KR 1020050056795 A KR1020050056795 A KR 1020050056795A KR 20050056795 A KR20050056795 A KR 20050056795A KR 20070001363 A KR20070001363 A KR 2007000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list
audio file
memory
store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363A/en
Publication of KR2007000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3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A playlist edition method of a portable player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editing a previously generated playlist in a desired type of a user for an MP3 audio file, thus the user is able to easily and quickly search a song as playing the song through the edited playlist. While a playlist for more than one audio file stored in a memory is prestored, an arrangement form selected by a user is confirmed(S10,S11). The playlist is automatically edi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form(S20-S22). The automatically edited playlist is stored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S23). The audio file is an MP3 audio file.

Description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Playlist editing method of portable player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도 1은 MP3 오디오 파일의 기록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1 shows a recording format of an MP3 audio file,

도 2는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의 태그(Tag)의 기록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2 shows a recording format of a tag of the MP3 audio file.

도 3은 종래의 재생리스트 제공 형태를 예시한 것이고,3 illustrates a conventional playlist providing for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이 구현된 휴대형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playback apparatus in which a playlis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laylist editing method of the portabl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다수의 MP3 오디오 파일의 메모리 저장형태를 예시한 것이고,6 illustrates a memory storage format of a plurality of MP3 audio file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된 재생리스트의 제공형태를 예시한 것이다.7 and 8 illustrate a form of providing an edited play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메모리 20 : LCD10: memory 20: LCD

30 : 디코더 40 : 오디오 신호처리부30: decoder 40: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50 : 키 입력부 60 : 마이컴50: key input unit 60: microcomputer

본 발명은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이전 생성된 재생리스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에 따라 편집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diting a playlist of a portable playba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diting and providing a playlist previously generated for an MP3 audio file in a manner desired by a user.

도 1은 MP3 오디오 파일의 기록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MP3 오디오 파일에는, 4 바이트의 고정 길이를 갖는 헤더(Header)와 임의의 가변 길이를 갖는 프레임(Frame)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 기록되고, 상기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File_Info)가 기록되는 128 바이트의 ID3 태그(Tag)가 포함 기록된다.1 illustrates a recording format of an MP3 audio file, wherein the MP3 audio file includes a header having a fixed length of 4 bytes and at least one frame having an arbitrary variable length. A 128-byte ID3 tag (Tag) in which file information (File_Info) for the MP3 audio file is recorded is recorded.

도 2는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의 상기 태그의 기록 포맷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맨 처음 3바이트에는 태그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TAG'가 기록되며, 이어서 30바이트의 곡명(Title), 30바이트의 가수명(Artist), 30바이트의 앨범명(Album), 4바이트의 연도(Year), 30바이트의 코멘트(Comment), 그리고 1바이트의 장르(Genre)가 기록된다.FIG. 2 shows the recording format of the tag of the MP3 audio file in detail. In the first 3 bytes, 'TAG' is recorded to be recognized as a tag, followed by a 30-byte title and a 30-byte artist name. (Artist), 30-byte album name (Album), 4-byte year (Year), 30-byte comment (Comment), and 1-byte genre (Genre) are recorded.

이와 같이, 상기 태그에는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곡정보)가 기록된다.In this way, the file information (song information) for the MP3 audio file is recorded in the tag.

따라서,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장치에서는 MP3 오디오 파일에 기록된 상기 태그를 검색하여 필요데이터들을 독출하고, 이로부터 해당 파일에 대한 파일정 보(곡정보)를 액정 표시기(LCD) 등을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파일에 대하여, 헤더에 포함 기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압축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로 복원 및 재생 출력하는 일련의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in a playback apparatus such as an MP3 player, the tags recorded in the MP3 audio file are searched to read necessary data, and the file information (song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file is provid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addition, a series of reproducing operations are performed to restore and reproduce the audio data compressed and recorded in the frame into high quality audio data us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header.

한편, 상기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장치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각 MP3 오디오 파일의 파일정보 등에 근거하여 재생리스트(Play List)를 생성, 상기 메모리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는 한편, 이를 액정 표시기 등을 통해 제공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재생리스트 생성시 무조건 상기 MP3 오디오 파일의 저장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재생리스트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재생리스트의 제공형태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다.Meanwhile, in a playback device such as the MP3 player, a playlist is generated for one or more MP3 audio files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based on file information of each MP3 audio file, and stored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This is provided through a liquid crystal display, etc. In the related art, the playlist is unconditionally generated based on the storage order of the MP3 audio file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playlist, and the form of providing the playlis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in FIG. 3. Same as one.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재생리스트 생성시 무조건 MP3 오디오 파일의 저장순서에 근거하므로 만약 사용자가 재생리스트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메모리에 MP3 오디오 파일을 무작위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재생리스트의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곡 검색이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해 원하는 곡 재생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playlists are unconditionally based on the order of storing MP3 audio files when a playlist is created, when a user randomly stores MP3 audio files in memory without considering the playlist at all, as shown in FI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ng is not easy to search because the sorting is not performed, which causes unnecessary playback of the desired song.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재생리스트의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로부터 동일 가수의 곡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연속 재생하는 동작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playlists are not aligned as in FIG. 3,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of selectively continuously playing songs of the same singer is difficult.

또, 종래에는 한번 생성된 재생리스트에 대해서는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 사용자가 재생리스트의 정렬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을 모두 삭제한 다음 원하는 정렬방식( 예를 들어, 가수명 순)에 따라 MP3 오디오 파일을 순서대로 선택, 메모리에 저장하였다.In addition, there is no conventional way to edit the playlist once created, if the user want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orting the playlist, delete all MP3 audio file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n sort the desired MP3 audio files were selected in ord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xample, artist name) and stored in the memory.

그러나, 이와 같이 원하는 정렬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MP3 오디오 파일을 순서대로 선택 저장하고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정렬된 재생리스트가 생성되었다 하더라도, 메모리에 MP3 파일을 추가적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새로운 재생리스트가 생성되는데, 이때에는 추가로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로 인해 정렬되지 않은 재생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어 정렬된 재생리스트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을 모두 삭제후 원하는 정렬방식에 따라 MP3 오디오 파일을 순서대로 다시 선택 저장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user selects and stores the MP3 audio files in order according to the desired sorting method, and if an ordered playlist for the stored MP3 audio files is generated, the new playlis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MP3 files are stored in the memory. In this case, an unsorted playlist may be generated due to the additionally stored MP3 audio file. If a sorted playlist is desired, delete all the MP3 audio files stored in the memory as described above, and then select the desired sorting method. As a result, MP3 audio files have to be reselected and stored in ord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이전 생성된 재생리스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편집 가능토록 함으로써, 재생리스트를 통한 곡검색 및 재생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llowing the user to edit the playlist previously created for the MP3 audio file in a manner desired by the user, it is easy to search and play the music through the playli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diting a playlist of a portable playback device that can be made quick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 리스트 편집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렬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렬방식에 따라 상기 재생리스트를 자동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과,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diting a play list of a portable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utomatically editing the playlist according to the sorting method; And storing the automatically edited playlis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재생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오디오 파일 이동시, 그 이동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일 이동에 따라 상기 재생리스트를 수동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동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각각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a moving position when a user moves an audio file on the playlist while a playlist for one or more audio files stored in the memory is already stored; Manually editing the playlist as the file moves; And storing the manually edited playlis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laylist editing method of a portabl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이 구현된 휴대형 재생장치,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다수의 MP3 오디오 파일 및 이에 대한 재생리스트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10); 재생리스트, 파일정보(곡정보), 장치의 현재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20); 압축 오디오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30);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 오디오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40);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50); 및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생리스트 편집 및 재생동작 등을 제어 및 수행하 는 마이컴(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playback apparatus, for example, an MP3 player, in which a playlis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e memory 10 stores a plurality of MP3 audio files and playlists thereof. ); An LCD 20 for displaying a playlist, file information (song information), a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and the like; A decoder 30 for decoding the compressed audio data into original audio data; An audio signal processor 40 for processing the decoded audio data into a reproduced audio signal; A key input unit 50 for a user input; And a microcomputer 60 for controlling and performing the playlist editing and playback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메모리(10)는 플래시 롬(Flash RO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메모리 카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mory 10 may be configured as a flash ROM, and may also be configured as a memory car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4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laylist editing method of a portabl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laylist editing method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FIG. 4. Explain.

우선, 상기 메모리(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MP3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데, 그 저장형태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다.First, at least one MP3 audio file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memory 10, and the storage format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6.

한편, 상기 메모리(10)의 별도의 영역에는 상기 마이컴(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가 저장되는데, 상기 재생리스트 생성시,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저장된 각 오디오 파일에 대한 파일정보를 상기 메모리(10)에 저장된 해당 오디오 파일에서 각각 독출하게 되는데, 즉 오디오 파일 각각에는 파일정보(File_Info)가 기록되는 128 바이트의 ID3 태그(Tag)가 포함 기록되므로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태그에 기록된 파일정보 등을 참조하여 상기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고(S10) 이를 상기 메모리(10)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S11).Meanwhile, a playlist for the stored MP3 audio file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60 is stored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10. When the playlist is generated, the microcomputer 60 stores the stored audio. The file information of the file is read out from the corresponding audio file stored in the memory 10. That is, each audio file includes a 128-byte ID3 tag in which file information File_Info is recorded. 60 generates the playlist with reference to the fil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ag (S10) and stores i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10 (S11).

상기 재생리스트의 생성시,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저장된 각 오디오 파일에 대하여 가수명, 곡명, 확장자명 등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When the playlist is generated, the microcomputer 60 checks a singer name, a song name, an extension name, etc. for each of the stored audio files, and generates a playlist therefrom.

그리고,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재생리스트의 각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상기 메모리(10)의 저장위치를 알고 있다.The microcomputer 60 knows the storage location of the memory 10 for each MP3 audio file of the playlis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생리스트 요청시 또는 장치의 전원이 온됨에 따라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생성 저장된 재생리스트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7개)의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를 상기 LCD(20) 상에 출력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3 형태로 제공 가능하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quests a playlist or when the device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60 plays a preset number (for example, seven) of files based on the generated and stored playlist. The list is output on the LCD 20 and provided in this case.

한편, 사용자는 상기 MP3 플레이어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통해, 또는 상기 키 입력부(50)의 기 지정된 단축키 입력 등을 통해 상기 재생리스트의 편집이 가능한데, 즉 상기 마이컴(60)은 사용자의 재생리스트 편집 요청시(S20), 재생리스트 편집화면을 상기 LCD(20) 상에 출력 제공하여(S21)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정렬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dit the playlist through the menu screen provided by the MP3 player or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of the key input unit 50, that is, the microcomputer 60 edits the playlist of the user. Upon request (S20), a playlist edit screen is output on the LCD 20 (S21)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sorting method.

그 예로서, 사용자는 곡명 순, 가수명 순, 확장자명 순 등과 같이 원하는 정렬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sorting method such as song name, artist name, extension name, and so on.

이와 같이 재생리스트 정렬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선택된 정렬방식에 따라 상기 저장된 재생리스트를 자동으로 편집하게 되는데(S22), 그 예로서 만약 상기 저장된 재생리스트가 도 3의 형태이고 상기 선택된 정렬방식이 가수명 순이라면, 상기 마이컴(60)은 도 3 형태의 기존의 재생리스트를 상기 선택된 정렬방식(가수명 순)에 따라 도 7 형태로 편집하게 되고, 이와 같이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10)의 별도 영역에 대체 저장하게 된다(S23). 즉,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메모리(10)에 기 저장된 재생리스트를 삭제한 다음 상기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저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재생리스트의 편집시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대해서는 삭제하지 않는다.When the playlist sorting method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60 automatically edits the stored playlist according to the selected sorting method (S22). For example, if the stored playlist is in the form of FIG. If the selected sorting method is in the order of the artist name, the microcomputer 60 edits the existing playlist of FIG. 3 according to the selected sorting method (in the order of the female name) in FIG. 7, and edits the playlist thus edited. Substituting and storing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10 (S23). That is, the microcomputer 60 deletes the playlist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0 and stores the edited playlist. When the playlist is edited, the microcomputer 60 is stored in the stored audio file. Do not delete i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생리스트 요청시 또는 장치의 전원이 온됨에 따라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편집 저장된 재생리스트에 근거하여 도 7 형태의 정렬된 재생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로부터 사용자의 곡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state, upon request of the user's playlist or as the device is powered on, the microcomputer 60 searches for the user's song therefrom by providing the sorted playlist of FIG. 7 based on the edited and stored playlist. This is done easily.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편집된 재생리스트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만약 사용자가 정렬방식으로 확장자명 순을 선택한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기존의 재생리스트를 상기 선택된 정렬방식(확장자명 순)에 따라 도 8 형태로 자동 편집 및 저장하게 된다.8 illustrates another form of a playlist edi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selects the extension order by the sorting method, the microcomputer 60 selects the existing playlist in the selected sorting method (extension). Order) automatically edit and save in the form of FIG.

한편, 상기 재생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선택된 MP3 오디오 파일에 대한 저장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10)로부터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검색, 이에 대한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재생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any one audio file is selected in the playlist, the microcomputer 60 knows a storage location for the selected MP3 audio file, and thus searches for the selected audio file from the memory 10 and plays a playback operation therefor. This operation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의 헤더에 포함 기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압축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0)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디코더(30)는 상기 독출되는 압축 오디오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40)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40)에서는 상기 복원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오디오신호로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통상적인 재생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이 고음질의 오 디오 데이터로 재생 출력된다.The microcomputer 60 reads the audio data compressed and recorded in the frame from the memory 10 by us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selected audio file, and the decoder 30 reads the compressed audio data read out. The audio signal processor 40 restores the original audio data and outputs the audio data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40. Accordingly, the audio signal processor 40 performs a normal playback operation by processing the restored audio data as a reproduced audio signal. The selected audio file is reproduced and output as high quality audio data.

지금까지 상기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정렬방식 선택에 따라 재생리스트가 자동으로 편집되는 경우로서,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50)를 통해 상기 재생리스트를 수동으로 편집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Thus fa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 case in which the playlist is automatically edited according to the user's sorting method selection. Alternatively, the user may manually edit the playlist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 Is as follows.

만약, 상기 재생리스트에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선택한 다음 상기 키 입력부(50)의 방향 이동 키버튼(예를 들어, '▲', '▼')을 눌러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리스트의 현재위치로부터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이동에 따라 수동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10)의 별도 영역에 대체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의 요청시 도 7 또는 도 8 형태의 정렬된 재생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로부터 사용자의 곡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f a specific audio file is selected in the playlist, the selected audio file is pressed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laylist by pressing a direction shift key button (for example, '▲' or '▼') of the key input unit 50. The microcomputer 60 may store the manually edited playlis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udio file, and at the user's request, FIG. 7 or FIG. By providing 8 types of sorted playlists, users can easily search for songs from them.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change, and substitut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Or addition may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은, 저장된 MP3 오디오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선택한 정렬방식 에 따라 기 저장된 재생리스트를 자동으로 편집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편집하고 이로부터 정렬된 재생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곡검색 및 재생동작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The playlist editing method of the portabl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edits or manually edits the previously stored playlist according to the sorting method selected by the user without deleting the stored MP3 audio file. By providing a sorted playlist from the user, it is a very useful and convenient inven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the song search and playback operation.

Claims (7)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With playlists already stored for one or more audio files stored in memory, 사용자가 선택한 정렬방식을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the sorting method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정렬방식에 따라 상기 재생리스트를 자동 편집하는 단계; 및Automatically editing the playlist according to the sorting method; And 상기 자동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storing the automatically edited playlis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디오 파일은, MP3 오디오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said audio file is an MP3 audio fi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렬방식은, 가수명 순/곡명 순/확장자명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the sorting method is in order of artist name / song name / extension n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별도 영역에 저장된 이전의 재생리스트 삭제후 상기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별도 영역에 대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the storing step replaces and stores the edited playlist in the separate area after deleting the previous playlist stored in the separate are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생리스트를 통한 사용자의 오디오 파일 선택시,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의 저장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검색,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selecting and reproducing the selected audio file from the memory based on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elected audio fi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udio file through the playlist. How to edit.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With playlists already stored for one or more audio files stored in memory, 상기 재생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오디오 파일 이동시, 그 이동위치를 확인하는 단계;When the user moves the audio file on the playlist, checking the movement position; 상기 파일 이동에 따라 상기 재생리스트를 수동 편집하는 단계; 및Manually editing the playlist as the file moves; And 상기 수동 편집된 재생리스트를 상기 메모리의 별도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storing the manually edited playlist in a separate area of the memory.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파일 이동은, 방향 이동 키버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리스트 편집방법.And the file move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direction movement key button.
KR1020050056795A 2005-06-29 2005-06-29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KR200700013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95A KR20070001363A (en) 2005-06-29 2005-06-29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95A KR20070001363A (en) 2005-06-29 2005-06-29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63A true KR20070001363A (en) 2007-01-04

Family

ID=3786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795A KR20070001363A (en) 2005-06-29 2005-06-29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3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524B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MXPA04002233A (en) Extension of m3u file format to support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tasks in a digital audio player.
JP2001291365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US7460443B2 (en) Folder indexing method for quickly accessing media files
KR100745995B1 (en) Device for managing meta data and method thereof
JP2004349778A (en) 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mmary reproducing function and summary reproducing method
KR20060128664A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ent data reproduction apparatus
KR20070001363A (en)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of mp3 player
JP2004227285A (en) Audio reproduction device
JP2004326907A (en) Audio reproducing device
KR101070748B1 (en) Method for providing file information of MP3 player
JP3773235B2 (en) Distribution system,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100655370B1 (en) Method for searching music file in high speed
KR20070001365A (en) Method for generating play list file of mp3 player
JP4587014B2 (en) Audio playback system
JPH0561492A (en) Karaoke (orchestration without lyrics) changer system for multi-media
KR20080015997A (en)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song using a mood pattern
JP4093225B2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2004030116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reproduction
JP2011134160A (en) Content retrieval device, program and content retrieval method
JP2003178533A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4171684A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system
WO2018229846A1 (en) Video/audio playback device and video/audio playback method
JP4252525B2 (en) Music player
KR10082901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ong information search of audio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