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806A - 문짝용 경첩 - Google Patents

문짝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806A
KR20070000806A KR1020050056438A KR20050056438A KR20070000806A KR 20070000806 A KR20070000806 A KR 20070000806A KR 1020050056438 A KR1020050056438 A KR 1020050056438A KR 20050056438 A KR20050056438 A KR 20050056438A KR 20070000806 A KR20070000806 A KR 20070000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eating
base
se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234B1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102005005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2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5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 E05F3/226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with means to adjust the closed position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는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와, 수직트렌치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로 이루어져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디부; 결합된 수직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스핀들; 스핀들 본체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 결합된 상기 수평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볼의 후단에 설치된 케이지와, 케이지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후단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강압조절을 할 수 있는 스톱바로 이루어지는 일시고정부; 바디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복수의 커버; 커버의 엣지부에 바디부의 외측을 따라 부착되는 탄성부재;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중심에 역 원뿔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베이스안착부와, 상기 베이스안착부의 중앙에 베이스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홈과, 바디스톱바와 90° 고정되게 하는 바닥스톱바와, 스톱바를 끼우기 위한 스톱바홀과, 밀폐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와, 안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과, 스크류로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짝용 경첩{hinge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스핀들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안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부 20 : 볼 30 : 스핀들
40 : 일시고정부 50 : 커버 60 : 스러스트베어링
70 : 안착부 80 : 밀폐부 90 : 보호덮개
100 : 벽
본 발명은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는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용 경첩은 문틀에 고정착설되는 고정브라켓트와 문짝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트와 회동브라켓트는 스핀들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문의 복귀되는 현상 은 유리문의 바닥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는 유압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핀들은 고정브라켓트나 회동브라켓트 중 일측 브라켓트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측 브라켓트에는 스핀들이 삽입 설치되어 있어 스핀들이 홀에 삽입되어 회전방향으로 섭동되므로 회동브라켓트에 고정되는 문짝이 용이하게 회동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없어 사용후 일일이 수동으로 문을 복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짝용 경첩은 문을 기구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댐퍼를 설치하는데 이때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을 열거나 닫은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유압힌지를 사용해야하며 유압힌지를 사용하기위해서는 콘크리트 속에 매립해야 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도록 하고 매립하지 않고 간편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문짝용경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미관이 수려한 문짝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와, 수직트렌치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로 이루어져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디부; 결합된 수직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스핀들; 스핀들 본체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 결합된 상기 수평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볼의 후단에 설치된 케이지와, 케이지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후단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강압조절을 할 수 있는 스톱바로 이루어지는 일시고정부; 바디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복수의 커버; 커버의 엣지부에 바디부의 외측을 따라 부착되는 탄성부재;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중심에 역 원뿔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베이스안착부와, 상기 베이스안착부의 중앙에 베이스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홈과, 바디스톱바와 90° 고정되게 하는 바닥스톱바와, 스톱바를 끼우기 위한 스톱바홀과, 밀폐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와, 안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과, 스크류로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문짝용 경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안착부의 상부에 분할 형성되어 안착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끼워지고 금속끼리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고무탄성부재로 씌워지는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승하강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져 균형 을 맞추면서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유리문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문지지보조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스핀들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안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바디부(10)와, 바디부(10)에 삽입되는 스핀들(30)과, 스핀들(30)본체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60)과, 바디부(10)가 스핀들(30)에 일시고정되는 일시고정부(40)와, 바디부(10)가 삽입되는 커버(50)와, 커버(50)의 엣지부에 바디부(10)의 외측을 따라 부착되는 탄성부재(54)와, 베이스(38)가 안착되는 홈(78)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베이스안착부(72)와, 스핀들(30)의 베이스(38)가 안착되는 안착부(70)와, 안착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80)와, 안착부(7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76)으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12)와, 수직트렌치(12)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14)로 이루어진다.
수직트렌치(12)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핀들(30)이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을 갖고 상부와 하부의 이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의 직 경은 하부의 직경과 동일하다. 또한,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는 유리문을 받쳐주기 위한 보조기구로서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가 삽입되는 홈(15)에 안착되고,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서는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가 삽입되는 홈(15)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스크류와 볼트가 필요하다.
여기서,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유리문지지보조기구(13)의 하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트렌치(14)는 수직트렌치(12)의 양측에 수평트렌치(14)와 연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후술하는 일시고정부(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트렌치(14)가 수직트렌치(12)를 중심으로 2단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트렌치(14)가 1단이나 3단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무방함은 물론이다.
한편, 바디부(10)에는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크류(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16)는 커버부(50)를 고정할 수 있고, 홈(10a)은 스러스트 베어링이 안착되게 한다.
스핀들(30)은 수직트렌치(12)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안착홈(30b)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34)와 본체(3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38)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안착홈(30b)이 2단으로 형성되어 문이 열렸다 닫히면서 가이드홈(30c)을 따라 이동후 안착홈(30a)에 안착한다.
본체(34)에는 후술하는 볼(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안착홈 (30a)(30b)(30c)이 일정한 높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안착부(72)는 홈(74)에 고정시킨다.
베이스(38)는 본체(34)의 하단에 본체(34)와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베이스안착부(72)의 홈(74)에 삽입 설치된다.
일시고정부(40)는 수평트렌치(14)에 삽입되는 볼(20)과, 볼(20)을 보유하도록 설치된 케이지(44)와, 케이지(44)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46)과, 스프링(46)의 후단에 스프링(4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스톱바(48)로 이루어진다.
볼(20)은 수평트렌치(14)에 삽입되고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핀들(30)의 안착홈(30b)에 삽입된다.
케이지(44)는 수평트렌치(14)에 삽입되며 볼(20)의 후단에 설치되어 볼(20)을 보유한다.
스프링(46)은 수평트렌치(14)에 삽입되며 케이지(44)의 후단에 탄성설치되어 볼(20)을 스핀들(30)의 안착홈(30b)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스핀들(30)에는 90° 고정되게 하는 정지홈(30a)과, 볼(20)과 동일한 크기의 안착홈(30b)과, 가이드홈(30c)이 스핀들(30)의 측면에 다수개 형성된다.
스톱바(48)는 수평트렌치(14)의 2중홈(43)에 삽입되고 스프링(46)의 후단에 설치되어 스프링(46)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평트렌치(14)의 2중홈(43)에 삽입된 스톱바(48)는 강압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셋트스크류(17)에 의하여 수평트렌치(14)에 고정설치된다.
커버(50)의 내측면에 ‘L’자형상의 탄성부재(54)가 부착설치된다.
안착부(70)는 상방으로 돌출된 베이스안착부(72)와 베이스안착부(72)의 중앙에 베이스(38)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홈(7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문짝용 경첩이 90° 정지될 수 있도록 안착부(70)를 중심으로 좌,우 2개의 바닥스톱바(7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70)을 중심으로 사방 4개의 승하강수단(76)이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수단(76)은 볼트(76) 4개로 이루어져 균형을 맞추면서 안착부(7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또한, 장공(117)은 안착부(7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베이스안착부(72)는 하부중심에 역 원뿔 형태의 돌출부가 있어 중심회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바닥스톱바(71)는 도어 개폐시 90°에서 정지되게 하기위해서 바디스톱바(49)가 필요하고, 스톱바홀(73)은 바닥스톱바(71)를 고정 할 수 있으며, 밀폐부고정홀(75)은 밀폐부(8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밀폐부(80)는 안착부(70)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안착부(70)의 상부에 분할 형성된다. 이러한 밀폐부(80)는 분할된 상면과 상면의 분할면을 제외한 엣지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벽(1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면의 분할면 중간에는 안착부(7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밀폐용 경첩을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 2개의 홀(79)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70)의 승하강수단(76)을 상하로 이동시킬때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홀(89)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덮개(90)는 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끼워지고 금속끼리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고무탄성부재로 씌운다. 이러한 보호덮개(90)는 문짝용 경첩의 보호를 위하여 고무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문(W)을 회전시키면 유리문(W)을 잡고 있는 바디부(10)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46)에 의해 가압되어 스핀들(30)의 안착홈(30b)에 삽입되어 있던 볼(20)이 바디부(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46)의 탄성력을 이기고 수평트렌치(14)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스핀들(34)의 외주면에서 공전(idling)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리문(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스핀들(30)의 외주면에서 공전하고 있던 볼(20)은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 안착홈(30a)으로 삽입되어 안착홈(30a)에 밀착된다.
따라서, 볼(20)이 안착홈(30a) 또는 안착홈(30b)으로부터 이탈되고 삽입되므로 유리문(W)이 회동과 고정을 반복하게 되고, 유리문(W)을 열거나 닫은 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설치되는 문짝용 경첩은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용 경첩은 콘크리트 속에 유압힌지를 매립하지 않아도 되며, 시공 방법 또한 매우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5)

  1.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와, 상기 수직트렌치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로 이루어져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바디부;
    결합된 상기 수직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 본체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
    결합된 상기 수평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의 후단에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후단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스톱바로 이루어지는 일시고정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복수의 커버;
    상기 커버의 엣지부에 바디부의 외측을 따라 부착되는 탄성부재;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부중심에 역 원뿔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베이스안착부와, 상기 베이스안착부의 중앙에 베이스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홈과, 바디스톱바와 90° 고정되게 하는 바닥스톱바와, 스톱바를 끼우기 위한 스톱바홀과, 밀폐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와, 안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공과, 스크류로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분할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끼워지고 금속끼리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고무탄성부재로 씌워지는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져 균형을 맞추면서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문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문지지보조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경첩.
KR1020050056438A 2005-06-28 2005-06-28 문짝용 경첩 KR10068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38A KR100684234B1 (ko) 2005-06-28 2005-06-28 문짝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38A KR100684234B1 (ko) 2005-06-28 2005-06-28 문짝용 경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18U Division KR200396924Y1 (ko) 2005-06-28 2005-06-28 문짝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06A true KR20070000806A (ko) 2007-01-03
KR100684234B1 KR100684234B1 (ko) 2007-02-22

Family

ID=3786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438A KR100684234B1 (ko) 2005-06-28 2005-06-28 문짝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77B1 (ko) * 2010-01-22 2012-06-12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US20120311817A1 (en) * 2010-09-06 2012-12-13 Dianora Gosio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EP2682552A3 (en) * 2012-07-06 2015-04-01 Leado Door Controls Ltd. Floor hinge hidden in door panel
EP3061897A1 (en) * 2015-02-27 2016-08-31 DORMA Deutschland GmbH Door closer with a cam dr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or closer with a cam driv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77B1 (ko) * 2010-01-22 2012-06-12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US20120311817A1 (en) * 2010-09-06 2012-12-13 Dianora Gosio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US8443487B2 (en) * 2010-09-06 2013-05-21 In & Tec S.R.L. Door closer with a braking mechanism
US8677560B2 (en) * 2010-09-06 2014-03-25 In&Tec S.R.L.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EP2682552A3 (en) * 2012-07-06 2015-04-01 Leado Door Controls Ltd. Floor hinge hidden in door panel
EP3061897A1 (en) * 2015-02-27 2016-08-31 DORMA Deutschland GmbH Door closer with a cam dr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or closer with a cam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234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898B1 (en) Self-centering pivot door hinge system
KR100684234B1 (ko) 문짝용 경첩
US6684457B2 (en) Adjustable and reversible hinge assembly
US20200256107A1 (en) Shower Door System with Gravity Hinge
US20080034539A1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hinge
KR200396924Y1 (ko) 문짝용 경첩
KR20110104282A (ko) 완충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부를 갖는 도어 스토퍼
US8656557B2 (en) Gate hinge assembly
KR200466668Y1 (ko)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0718239B1 (ko) 도어용 경첩
US3152355A (en) Pivoted door mounting
KR1018185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KR20190003065U (ko) 컴팩트 힌지 바닥 브라켓
KR100723916B1 (ko) 유리문 상부경첩
KR100514247B1 (ko) 연료필러도어의 개폐장치
KR200149147Y1 (ko) 문 연결장치
KR102420653B1 (ko) 도어용 다용도 플로어 힌지장치
KR100723918B1 (ko)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920008459Y1 (ko) 대문짝의 힌지장치
KR102338648B1 (ko) 자동닫힘형 도어 힌지장치
JPH08199892A (ja) 建 具
WO2004067888A1 (en) Three directional adjustable hinge
KR200402388Y1 (ko) 유리문 상부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