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782U -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 Google Patents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782U
KR20070000782U KR2020070009855U KR20070009855U KR20070000782U KR 20070000782 U KR20070000782 U KR 20070000782U KR 2020070009855 U KR2020070009855 U KR 2020070009855U KR 20070009855 U KR20070009855 U KR 20070009855U KR 20070000782 U KR20070000782 U KR 200700007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outer cylinder
water
reservo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홍
Original Assignee
임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홍 filed Critical 임지홍
Priority to KR2020070009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782U/ko
Publication of KR20070000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소비자에게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고, 일반 가정에서는 이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소금저장통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가 상부에 씌워지며 외주연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외통(50)과, 상기 외통(50)의 하단부 일측에 내부와 관통된 배수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마개(55)와, 상기 외통(50)의 내측에 삽입되어져 일정량의 소금이 채워지며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내통(30)과, 상기 내통(30)의 하단에 위치되어 내통(30)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50)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간수저장부(S)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간수분리대(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을 제공한다.
간수, 천일염, 간수분리대, 소금저장통

Description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A salt basket equipped with means to devide the salty water from the bay sal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조립상태단면도와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금저장통에 소금이 채워진 상태에서 간수가 빠지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소금저장통의 하부에 저장된 간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소금저장통 20 : 덮개
22, 32, 52 : 손잡이 30 : 내통
34,44, 54 : 배수공 40 : 간수분리대
46 : 받침대 50 : 외통
55 : 배출마개 56 : 손잡이끼움부
S : 소금(천일염) W : 간수
본 고안은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 가정 등에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일정크기로 이루어지되, 천일염에서 흘러나오는 간수로 인해 보관장소가 지저분해지거나 소금이 녹아 흘러내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소금은 일정한 가공공정을 거친 미세한 분말 상태의 정제된 소금으로, 흔히 음식물을 조리할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김치를 담기 위해 배추를 절이거나 장을 담글때는 보통 정제되지 않은 천일염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천일염은 예나 지금이나 자루 등에 담아져 공급 및 판매되고, 일반 가정 등에서는 항아리 등에 보관하거나 공급된 자루째로 부엌이나 창고 등에 보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아파트 베란다 등에 보관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보관 및 사용되는 천일염의 경우 습기가 쉽게 침투하게 되어 소금 등이 녹아내리는 간수가 발생되며, 간수가 흘러내릴 경우 소금자루에 저장된 소금은 물론 소금 자루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경우 자루 형태로 천일염이 공급되는 형태에서 사용자들이 이를 보관 및 관리하는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중 외부의 오염된 공기나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에 의해 2차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며 중량물로 이루어져 이동 및 이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자루 형태로 보관 및 사용되는 천일염의 경우 흘러내리는 간수로부터 소금이 녹아내리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성이 있었으며, 소포장 형태로 이용 및 이동이 간편한 형태의 천일염 공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천일염 보관 및 이용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소포장형태로 제공하여 이용자의 편리를 제공함은 물론 천일염에서 소금으로부터 발생되는 간수가 소금과 분리 저장되어 흘러내리는 간수로부터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추가로 소금이 녹아 흘러내리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은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단부에 씌워지며 외주연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하단부 일측에 내부와 관통된 배수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마 개와, 상기 외통의 내측에 삽입되어져 일정량의 소금이 채워지며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하단에 위치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간수저장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간수분리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내통의 외주연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의 손잡이가 외통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통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져 상하로 출입되도록 외통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일정길이 절단된 손잡이끼움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통의 내측에서 내통의 바닥과 외통의 내측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간수분리대는 상면의 내통에 저장된 소금에서 배출되는 간수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외통의 내측 저면 사이에 일정한 간수저장부가 형성되도록 받침판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그 내경이 감소하는 상광하협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외관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알아보기 쉽도록 각 구성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소금저장통의 실시예는 통상의 널리 사용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덮개(20)와, 이 덮개가 씌워지며 그 내측에 소금이 채워질 수 있는 일정 체적을 갖는 외통(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20)의 상면 및 외통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덮개를 열고 닫거나 소금저장통을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2)(5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통(50)의 내측에는 외통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체적 또한 외통(50)보다 다소 작게 구성되어 실제적으로 천일염이 저장되는 내통(30)이 포함되며, 상기 내통(30)의 하단과 외통(50)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내통에 저장된 천일염에서 배출되는 간수가 내통과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는 간수저장부(S)를 구성하기 위한 간수분리대(40)가 설치된다.
또한, 소금이 저장된 내통(30)을 외통에서 빼내거나 소금 사용후에 내통을 다른 용도, 즉 음식물쓰레기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통(30)을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2)가 내통(30)의 외주연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이 외통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질때, 상기 손잡이(32)가 외통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외통의 일측에 내통의 손잡이(32)가 끼워질 수 손잡이끼움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끼움부(56)는 내통(30)의 손잡이(32)가 설치되는 방향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수직으로 일정 높이 절개된 형태로 손잡이끼움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의 상면 일측에는 그 내측에 채워진 소금을 덮개(2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창(24)은 개폐가능하거나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30)의 바닥면(31)에는 그 내측에 저장된 천일염으로부터 간수가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간수 배수공(34)이 형성된 것으로, 이의 구성 상태가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30)의 하단에서 내통(30)을 받쳐주면서 내통(30)에서 배출된 간수가 외통(50)의 내측 하단부에 내통(30)과 분리되어 저장되도록 외통(50)의 바닥면과 내통(30)의 바닥면 사이를 상호 이격시키는 상기 간수분리대(40)는 내통(30)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평판형 또는 중앙부가 약간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단에 설치되는 받침판(42)과, 이 받침판(42)을 일정 높이로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대(46)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받침판(42)의 표면에는 내통으로부터 배출되어 상부면에 낙하되는 간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간수 배수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44)은 그 내경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상광하협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통(50)의 내측 상단에 내통(3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내통(3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배수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30)의 하단으로는 일정높이의 받침대(46)를 갖는 간수분리대(40)가 설치되어 내통(30)의 바닥면(31)과 외통(50)의 바닥면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간수분리대(40)에도 상기 내통(30)에 형성된 배수공(34)보다 다소 큰 배수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태가 일부 확대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외통(50)의 하단 일측에는 그 내측에 저장된 간수를 배출할 때 사용하기 위한 배수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54)의 외측으로는 외통(50)의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된 배출마개(55)가 끼움 결합되어 있어 배출마개(55)의 개폐로 외통(50)의 하단 내측에 저장된 간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수분리대(40)에 형성된 배수공(44)은 그 내경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점차 들어드는 상광하협식으로 이루어져 간수분리대(40)의 받침판(42) 저면의 간수저장부(S)에 채워진 간수가 충만되어 배수공(44)을 통해 받침판(42)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작용 및 효과를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소금저장통에 일정량의 소금이 채워진 상태에서 소금으로 부터 간수(W)가 빠지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내통(30)의 바닥 배수공을 통해 내통(30)에 채워진 소금(S)으로부터 배출되어 간수저장부(S)에 저장된 간수가 외통(50)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구(54)의 배출마개(55)를 열어 간수(W)를 배출시키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10)은 소용량으로 천일염을 저장한 상태로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자루 형태로 제공되는 천일염에 의해 발생되었던 보관 및 운반의 불편함이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지 않아 적당한 장소에 보관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종래의 경우에 자루로 구입한 천일염은 일반 가정에서는 많은 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금씩 사용한 후에 항아리 등에 담아 장기간 보관하면서 이용하게 되지만, 도시화로 인해 항아리 등 보관용기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보관할 장소 등이 적합하지 않아 따로 보관하는데 많은 애로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관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일반 가정에서 사용가능한 적당량의 소금만 채워져 제공되므로, 누구나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보관중에 소금에서 유출되는 간수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고 외통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자루 형태의 천일염을 보관할 때 간수가 자루 외부로 흘러나와 자루가 보관된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들고 자루에 담아진 소금을 녹게 하는 등의 불편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은 천일염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소량으로 적당량의 천일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천일염의 공급이 가능하여 생산 및 판매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간 유통과정에서 보관이 편리하며, 소금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소금과 별도로 분리시키므로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소금의 상품성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여 천일염의 유통, 보관, 판매가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의 경우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서 덮개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어 굳이 덮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내부에 저장된 소금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소금을 다 사용한 소금저장통은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수분과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함께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금저장통은 소용량 단위로 천일염을 공급, 판매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급자에게는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천일염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보관 및 공급시에도 간수로 인한 소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경우 필요한 만큼만 적당량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가정에 보관시에 큰 공간이 필요치 않아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관시에 저장통 내부의 소금으로부터 간수가 흘러나오지 않게 되어 소금저장통 주변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천일염의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부에 씌워지며 외주연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하단부 일측에 내부와 관통된 배수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마개와, 상기 외통의 내측에 삽입되어져 일정량의 소금이 채워지며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하단에 위치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간수저장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간수분리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주연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내통이 외통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가 외통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외통의 일측에 수직으로 절단된 손잡이끼움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수분리대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면에 위치되는 받침 판과,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과 외통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간수저장부가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그 내경이 감소하는 상광하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면에는 저장통 내부에 채워진 소금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창은 개폐가능하거나 미세한 통기공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KR2020070009855U 2007-06-15 2007-06-15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KR200700007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855U KR20070000782U (ko) 2007-06-15 2007-06-15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855U KR20070000782U (ko) 2007-06-15 2007-06-15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82U true KR20070000782U (ko) 2007-07-06

Family

ID=4155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855U KR20070000782U (ko) 2007-06-15 2007-06-15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7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104A2 (ko) * 2010-05-04 2011-11-10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104A2 (ko) * 2010-05-04 2011-11-10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WO2011139104A3 (ko) * 2010-05-04 2012-03-22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579B2 (en) Cup with a pill shelf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8087546B2 (en)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US6935533B2 (en) Refrigerator liquid dispenser
US9988177B1 (en) Bottle with filter and infusion base
US9212839B2 (en) Portable insulated ice dispenser
US20160296058A1 (en) Travel tea keeper and infuser
US20160073806A1 (en) Ice sequestering container assembly
KR20070000782U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KR101366097B1 (ko) 물 분리 보관용 물병
US8096143B1 (en) Portable box wine bar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US647925A (en) Refrigerating milk-can.
KR101780997B1 (ko) 텀블러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04802287U (zh) 一种储藏容器及其组成部件
KR200485112Y1 (ko) 덩어리 설탕용 보관함이 형성된 커피믹스 박스
CN215477140U (zh) 一种多层多罐茶叶分装储存罐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180014448A (ko)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KR20110006896U (ko) 찌꺼기가 분리되는 음용용기
KR100806757B1 (ko) 보조출구와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광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