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031A -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031A
KR20060136031A KR1020050055490 KR20060136031A KR 20060136031 A KR20060136031 A KR 20060136031A KR 1020050055490 KR1020050055490 KR 1020050055490 KR 20060136031 A KR20060136031 A KR 2006013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in body
key
opening
clo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90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재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06013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31A/en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와, 키를 구비하며 폴더와 스위블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본체로 이루어지고, 키는 폴더의 회전 시 별도의 기능을 구비하며, 폴더는 그 외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본체에 장착될 때 키와 접하는 누름돌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의 180°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 폴더를 가압함으로써 본체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older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inner surface, and a main body having a key and connected by a folder and a swivel hinge, the key has a separate function when the folder is rotated, and the folder is external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push protrusion contacting the key when exposed to the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180 ° rotation of the folder, the portable terminal may press the folder to press the folder.

스위블힌지, DMB, 조절돌기 Swivel hinge, DMB, Adjusting protrus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편심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eccentric swivel hinge.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폴더가 회전하여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by rotating the folder i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180°회전하여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by rotating the folder 180 °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도. 5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een in the direction A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홈에 개폐힌지축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is inserted into the rotary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도 6의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180°회전하여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B 방향에서 본 측면도. FIG. 8A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6 viewed in the direction B when the folder is rotated 180 ° and the folder is mounted to the main body. FIG.

도 8b는 도 6의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180°회전하여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C 방향에서 본 측면도. 8B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6 viewed in the direction C when the folder is rotated 180 ° and the folder is mount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의 회전에 의해 내측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경우 폴더를 눌러 본체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use a key provided in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folder when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while the inner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 of the folder. will be.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기능이 휴대용 전화기, PDA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에 탑재됨에 따라 표시부를 회전시켜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넓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스위블힌지(swivel hing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보급됨에 따라 표시부를 본체에 부착하여 장시간 사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능의 부가로 인해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키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별도의 키를 탑재해야 하는 설계상의 부담을 초래한다. As a function such as a camera, a camcorder, or the like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a PDA, or a portable computer, a swivel hinge is widely used to view a wide screen by rotating a display unit and attaching it to a main body. In particular,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as become widespread, the necessity of attaching a display unit to a main body for a long time is increasing. In addition, due to the addition of multimedia functions, a key that can perform various and complex functions is required, which causes a design burden to install a separate key.

도 1은 종래의 스위블힌지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폴더가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swivel hing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is attached to a main body of FIG. 1.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3)의 중심축(X)에 대하여 편향되게 형성된 스위블힌지(6)에 의해 폴더(1)가 비대칭으로 회전하여 본체(3)에 부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에 구비된 키(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키(4)는 폴더(1)가 본체부(3)에 장착될 경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폴더(1)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이얼 또는 문자키로서 사용되다가, 도 2와 같 이 폴더(1)가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2)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노출된 키(4)가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또는 DM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키의 역할을 한다.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wivel hinge shown in FIGS. 1 and 2, the folder 1 is asymmetrically rotated by the swivel hinge 6 formed to be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X of the main body 3 so that the main body ( 3) is attached. Therefore, as shown in FIG. 2, a part of the key 4 provided in the main body 3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posed key 4 has a separate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multimedia function when the folder 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 For example, when the folder 1 is not rotated, it is used as a dial or a letter key. When the folder 1 is rotated and the display unit 2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 acts as a key to execute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a camera, camcorder, MP3 player or DMB.

그러나 이와 같은 편심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경우 단말기의 형태가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 또한, 비대칭으로 되는 부분만큼 부피가 증가하므로 키(4)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n eccentric swivel hinge,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display unit 2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orm of the terminal is formed asymmetrically not aesthetically good. In addition, since the volume increases by an asymmetric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carry the terminal 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key 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폴더가 본체에 장착될 경우 폴더를 눌러 본체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use the key provided in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folder when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내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와, 키를 구비하며 폴더와 스위블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본체로 이루어지고, 키는 폴더의 회전 시 별도의 기능을 구비하며, 폴더는 그 외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본체에 장착될 때 키와 접하는 누름돌기를 가진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lder having a display unit on its inner surface, a main body having a key and connected by a folder and a swivel hinge, and a key having a separate function when the folder is rotated. The folder has a pusher on its outer surface which contacts the key when the displa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ounted to the main body.

이와 같은 실시예예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 태로 폴더가 본체에 장착될 경우 폴더를 가압함으로써 누름돌기와 접하는 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우수하다.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while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can use a key contacting the pusher by pressing the folder, which is not only convenient to use, but also can reduce the volume and aesthetically. Is also excellent.

누름돌기를 폴더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누름돌기에 의한 키의 가압효과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돌기는 폴더의 하부에 3개가 위치할 수 있다. 키는 폴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키의 기능을 더욱 다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effectively press the key by the pusher by forming the pushe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folder. Three push protrusions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older. It is desirable to make the function of the key more diverse by having the key have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lder.

누름돌기는 폴더의 일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며, 누름돌기에 대응하는 키는 각각 하나씩 눌렸을 때의 기능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키를 동시에 눌렸을 때의 기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t least two push protrusion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lder, and a key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when one or more key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폴더는 외면에 조절돌기를 구비하고, 폴더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본체에 장착될 때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와 결합한다. 조절돌기는 폴더의 회전 중심축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lder has an adjustment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old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djustment protrusion when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adjusting protrusion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older.

본체와 폴더는 개폐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개폐힌지는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개폐힌지암과, 개폐힌지암에 결합하며 일측에는 스위블힌지가 돌출된 개폐힌지축을 구비하며, 개폐힌지암은 폴더가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힌지축을 안내하는 회전홈을 구비한다. 회전홈은 개폐힌지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re coupl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has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protruding swivel hinge on on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is adjustable 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groov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to rotate about the projection. The rotary groove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open / close hinge shaft to its original posi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 로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10), 본체(30) 및 상기 폴더(10) 및 상기 본체(30)를 연결하는 스위블힌지(20) 및 개폐힌지(40)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wivel hinge 20 for connecting the folder 10, the main body 30 and the folder 10 and the main body 30 and Opening hinge 40 is included.

상기 폴더(10)는 내측면에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누름돌기(13)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10)는 상기 스위블힌지(20) 및 상기 개폐힌지(40)에 의해 상기 본체(3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폴더(10)는 상기 개폐힌지(4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Y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블힌지(20)에 의해 X축 방향으로도 180°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더(10)는 외면에 누름돌기(131, 132, 133)를 구비하는데,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에 대응하는 상기 폴더(10)의 내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가 상기 본체(30)에 구비된 키(3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10)의 내면은 버튼의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older 10 includes a display unit (not shown) on the inner side and a plurality of push protrusions 13 on the outer side. The folder 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30 by the swivel hinge 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Therefore, the folder 10 can be rotated not only in the Y-axis direction shown in FIG. 3 by the opening / closing hinge 40, but also 180 degrees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swivel hinge 20. . The folder 10 includes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on an outer surface of the folder 10 by pressing an inner surface of the folder 10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132 and 133 press the key 31 provided in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10 serves as a button.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는 상기 폴더(10)의 외면상에 위치하며, 도 3에서는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가 상기 폴더(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누름돌기(13)의 위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가 상기 키(31)를 효율적으 로 가압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누름돌기는 중심선 X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ar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10, and FIG. 3 shows that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are formed below the folder 10. . Position and number of the pressing projection 13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pusher protrusions 131, 132, and 133 may press the key 31 efficiently so that the pusher protrusion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X.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는 상기 본체(30)에 구비된 키(31)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키(31)를 손상시키지 않고 일정한 탄성력을 가져 상기 키(31)를 가압한 후 누름돌기의 원상 복귀가 용이하도록, 고무 등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부착되는 경우(도 4 참조),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는 상기 본체(30)에 부착된 키(31)와 접한다. Since the press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press the key 31 provided in the main body 30, the pressing protrusions 131, 132, and 133 press the key 31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without damaging the key 31.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rubber or the like so that the projection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folder 1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30 while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see FIG. 4),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are keys attached to the main body 30. Contact with (31).

상기 본체(30)는 전면에 다수의 키(31)를 구비하며,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키(31)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와 접하게 된다. 상기 본체(30)의 상부에는 개폐힌지암(41)이 구비되어 있다. The main body 30 has a plurality of keys 31 on the front surface, and a part of the key 3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with the folder 10 exposed to the outside. If it is in contact with the push projections (131, 132, 133). An upper and lower hinge arm 41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상기 키(31)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폴더(10)가 180°회전할 경우 본래의 기능과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30)의 하부에 위치한 키(311, 312, 313)는, 상기 폴더(10)가 도 3과 같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 "0", "#"으로서 기능 하다가 상기 폴더(10)가 180°회전하면 동영상의 "되감기(rewind)", "재생(play)" 또는 "일시정지(stop)"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중간에 위치한 키(312)는 별도의 가압이 어려우므로, 3개의 키(311, 312, 313)가 동시에 가압될 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key 3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and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original function when the folder 10 rotates 180 degrees. For example, the keys 311, 312, and 313 located below the main body 30 have "*", "0", and "#" when the folder 10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While the folder 10 rotates 180 °, the folder 10 may have a function such as "rewind", "play", or "stop" of the video. Since 312 is difficult to press separately, it may have a function when three keys 311, 312, and 313 are simultaneously pressed.

또한, 상기 폴더(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키(311, 312, 313)는 상이 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더(10)가 X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위에서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play)", "정지(stop)", "되감기(rewind)" 등의 기능을 가지고,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무선인터넷에 대한 "접속", "저장", "연결종료" 등의 기능을 구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311, 312, 313)가 모두 동시에 가압 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s 311, 312, and 313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lder 10. For example, when the folder 10 rotates clockwise about the X axis, the folder 10 has functions such as "play", "stop", "rewind", and the like of the above video. When rotated counterclockwise, it can be designed to have functions such as "connect", "save", "disconnect" to the wireless Internet. Further, even when all of the keys 311, 312, and 313 are simultaneously pressed, a separate fun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X축 상에 있는 누름돌기(132)는 좌우의 돌기(131, 133)의 확실한 기능을 위해 키의 기능을 구현하지 않고 좌우의 회전 구분을 향상시켜 주는 조절돌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sh protrusion 132 on the X-axis may be utilized as an adjustment protrusion to improve the left and right rotation division without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key for the sure function of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131, 133).

상기 스위블힌지(20)는 개폐힌지암(4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폴더(10)에 연결되며, 상기 폴더(10)가 X축 방향으로 180°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폴더(10)를 지지한다. 상기 스위블힌지(20)는 상기 폴더(10)의 회전 중심축에 해당하므로, 상기 폴더(10)의 중심선인 X선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폴더(10)는 상기 스위블힌지(20)에 의해 좌우 대칭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The swivel hinge 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and is connected to the folder 10, and supports the folder 10 so that the folder 10 can be rotated 180 ° in the X-axis direction. do. Since the swivel hinge 20 corresponds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older 10, the swivel hinge 20 is positioned on an X-ray which is a center line of the folder 10. Therefore, the folder 10 is rotated symmetrically by the swivel hinge 20.

상기 개폐힌지(40)는 상기 폴더(10)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개폐힌지축(43)과 상기 개폐힌지축(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힌지암(41)으로 이루어진다.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allows the folder 10 to rotate about the Y axi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rotatably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Is done.

상기 개폐힌지축(43)은 상기 폴더(10)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심축이며, 양단부는 상기 개폐힌지암(4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개폐힌지축(43)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블힌지(20)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개폐힌지암(41)은 상기 본체(3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힌지축(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is a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older 10 about the Y axis, and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protrudes the swivel hinge 20.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0, and rotatably supports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힌지가 개폐힌지암(41)과 개폐힌지축(43)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더(10)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4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f the folder 10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Y axis Anything i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11)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10)의 내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가 외부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도 4에서와 같이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하여 게임, 인터넷 접속, DMB 방송 시청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폴더(10)는 상기 본체(30)에 완전히 포개지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As shown in FIG. 4, a display unit 11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older 10, and the folder 1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30 with the display unit 11 facing outward. Can be mounted. By using the display unit 11 mounted on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4,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s, Internet access, DMB broadcasting viewing, etc. can be conveniently used through the large display unit 11. In addition, since the folder 10 is completely stacked on the main body 30, the folder 10 can be reduced in volume and convenient to carry and use.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viewed in the direction A of FIG. 4.

상기 폴더(10)가 상기 스위블힌지(20)를 중심축으로 180°회전하여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는 상기 버튼(311, 312, 313)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폴더(10)의 하부 우측(a)을 누르면 상기 누름돌기(133)가 상기 키(311)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키(311)가 상기 폴더(10)의 회전에 의해 동영상의 재생이라는 기능을 가진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폴더(10)의 하부 좌측(c)을 누르면 상기 누름돌기(131)가 상기 키(313)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폴더(10)의 중심(b)을 누르면 3개의 누름돌기(131, 132, 133)가 3개의 키(311, 312, 313)를 동시에 가압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folder 10 is rotated 180 ° about the swivel hinge 20 about its central axis, and the folder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may have the button ( 311, 312, 313). At this time, when the lower right (a)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push protrusion 133 presses the key 311. Accordingly, if the key 311 has a function of playing a video by rotating the folder 10, the video may be 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Similarly, when the lower left (c)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pusher 131 presses the key 313. In addition, when the center (b)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three push protrusions 131, 132, and 133 simultaneously press the three keys 311, 312, and 313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외면에 누름돌기(13)를 구비한 폴더(10)와, 다수의 키(31)를 구비한 본체(30)와, 상기 폴더(10) 및 상기 본체(30)를 연결하는 스위블힌지(20) 및 개폐힌지(40)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도 3에서 본 실시에와 누름돌기(13), 조절돌기(15) 및 개폐힌지(4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누름돌기(13), 조절돌기(15) 및 개폐힌지(4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ncludes a folder 10 having a push protrusion 13 on an outer surface, a main body 30 having a plurality of keys 31, and the folder ( 10) and the swivel hinge 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to connect the main body 30.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is the same i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xcept for the pressing projection 13, the adjusting projection 1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and the previous embodiment in Figure 3, the pressing projection 13 below ), The adjustment protrusion 1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조절돌기(15)는 상기 폴더(10)의 외면에 구비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더(10)의 중심선(X) 상에 위치한다. 상기 조절돌기(15)는 상기 폴더(10)가 180°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폴더(1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조절돌기(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의 중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돌기(15)의 높이는 상기 누름돌기(13)와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justment protrusion 15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10, more preferably located on the center line (X) of the folder (10). The adjustment protrusion 15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older 10 when the folder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with the display unit exposed to the outside by rotating 180 °. The adjusting protrusion 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older,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adjusting protrusion 15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pressing protrusion 13.

상기 누름돌기(13)는 상기 폴더(10)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10)의 하부(131, 132, 133), 중간 부분(134, 135) 및 상부(136, 137)에 각각 구비된 누름돌기(13)는 상기 폴더(10)가 상기 스위블힌지(20)를 중심으로 180°회전하는 경우 상기 본체(30)에 형성된 키(31)와 접한다. 상기 키(31)는 상기 폴더(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 134, 135, 136, 137)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push protrusions 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10. The pusher 13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131, 132, 133, the middle portion 134, 135, and the upper portion 136, 137 of the folder 10 has the folder 10 in the swivel hinge 20. In the case of rotation 180 ° about the contact with the key 31 formed in the main body 30. The key 31 may have variou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133, 134, 135, 136, and 137 when the folder 10 rotates.

상기 개폐힌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개폐힌지암(41)과, 상기 개폐힌지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개폐힌지축(43)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40 has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It consists of 43.

상기 개폐힌지축(43)은 양단부에 축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431)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431)는 상기 개폐힌지암(41)에 형성된 회전홈(411)에 삽입되어 상기 폴더(1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된 경우에도 상기 폴더(10)가 상기 스위블힌지(20)의 회전축(X)에 수직하게 조절돌기(15)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폐힌지암(41)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좌우 한 쌍이 구비되며, 내측 면에는 상기 회전홈(411)을 구비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43 has insertion portions 431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both ends.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inserted into the rotary groove 411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so that the folder 10 is the swivel hinge even when the folder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t is possible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djusting projection 15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X of 20).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rotary groove 41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홈(411)에 상기 삽입부(431)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inserted into the rotary groove 4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홈(411)은 상기 개폐힌지암(41)의 내측 면에 각각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회전홈(411)에는 상기 삽입부(431)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홈(411)은 상기 삽입부(43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근사한 지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삽입부(431)에는 상기 삽입부(431)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부재(411a)가 위치하고 있다. The rotary groove 411 is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41, respectively,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inserted into the rotary groove 411. The rotary groove 411 has a diameter equal to or close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431.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411a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portion 431.

상기 탄성부재(411a)는 상기 회전홈(411)의 소정의 위치에 한 쌍이 위치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431)의 양단부를 가압하는 판스프링이다. 상기 폴더(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431)가 상기 회전홈(411)의 상부 (431') 또는 하부(431")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411a)는 상기 삽입부(43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31)는 상기 탄성부재(411a)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431)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A pair of elastic members 411a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tary groove 411, and as shown in FIG. 7, a plate spring presses both ends of the insertion part 431. When the insertion part 431 moves to the upper part 431 'or the lower part 431 "of the rotary groove 411 by the rotation of the folder 10, the elastic member 411a is the insertion part 431 Therefore, the insertion part 43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4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11a.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B 방향 또는 C 방향에 따른 측면도이다. 8A and 8B are side views taken along a direction B or C of FIG. 6.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조절돌기(15)는 상기 본체(30)의 상면과 접한다. 이때, 상기 조절돌기(15)는 키(31)와 접할 수도 있고,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폴더(10)는 상기 조절돌기(15)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폴더(10)의 우측 단부를 누르면 상기 폴더(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431)는 상기 회전홈(411)의 상부에 위치한다(도 7의 431'). 그리고 상기 폴더(10)의 좌측 단부를 누르면 상기 폴더(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431)는 상기 회전홈(411)의 하부에 위치한다(도 7의 431").As shown in FIG. 8A, the adjusting protrusion 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In this case, the adjusting protrusion 15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key 31. The folder 1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adjusting protrusion 15. That is, when the right end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folder 10 rotates clockwise. In this case,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located above the rotary groove 411 (431 'of FIG. 7). Pressing the left end of the folder 10 rotates the folder 10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431 is located below the rotary groove 411 (431 "in Fig. 7).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10)가 상기 스위블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절돌기(15)는 상기 폴더(1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도 8b에서 상기 폴더(10)의 좌측을 가압하면 상기 폴더(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돌기(131)가 키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폴더(10)의 우측을 가압하면 상기 폴더(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돌기(133)가 키를 가압한다. As shown in FIG. 8B, when the folder 10 rotates about the swivel hinge 20, the adjustment protrusion 15 becomes a rotation center of the folder 10. In FIG. 8B, when the left side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pusher 131 presses a key while the folder 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when the right side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e pusher 133 presses the key while the folder 10 rotates clockwise.

따라서 상기 폴더(10)는 디스플레이부(11)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스위블힌지(20)의 연장 방향 또는 이와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폴더(10)는 더욱 다양한 버튼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older 1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while the display uni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older 10 may rotate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wivel hinge 20 or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wivel hinge 20. The folder 10 may have more various button functions.

상기 누름돌기(13)에 의해 가압 되는 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폴더(10)가 180°회전하여 상기 본체(30)에 장착된 경우 상기 폴더(10)의 우측 하단을 가압하면 누름돌기(133)가 키(31)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더(10)의 좌측 하단을 가압하면 누름돌기(131)가 키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폴더(10)의 하단 중앙을 가압하면 3개의 누름돌기(131, 132, 133)가 대응하는 3개의 키(31)를 가압한다. The key pressed by the pusher 13 may have various functions. Referring to FIG. 6, when the folder 10 is rotated 180 ° and mounted on the main body 30, the pressing protrusion 133 presses the key 31 when pressing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older 10. Done. In addition, when pressing the lower left of the folder 10, the pressing protrusion 131 presses the key, and pressing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older 10, the three pressing projections (131, 132, 133) corresponding to 3 Two keys 31 are pressed.

그리고 상기 폴더(10)의 우측 상단을 가압하면 누름돌기(136)가 키(31)를 가압하고, 폴더(10)의 좌측 상단을 가압하면 누름돌기(137)가 키(31)를 가압하며, 상측 중앙을 가압하면 2개의 누름돌기(136, 137)가 동시에 2개의 키(31)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폴더(10)의 좌측 중앙을 누르면 3개의 누름돌기(131, 135, 137)가 3개의 키(31)를 가압하고, 우측 중앙을 누르면 3개의 누름돌기(133, 134, 136)가 3개의 키(31)를 가압하게 된다. When pressing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older 10, the pressing protrusion 136 presses the key 31, and pressing the upper left side of the folder 10 presses the key 31, When the upper center is pressed, the two push protrusions 136 and 137 press the two keys 31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when the left center of the folder 10 is pressed, three push protrusions 131, 135, and 137 press three keys 31, and when the right center is pressed, three push protrusions 133, 134, and 136 are pressed. Three keys 31 are pressed.

상기 누름돌기(131, 132, 133, 134, 135, 136, 137)에 의해 가압 되는 상기 키(31)들은 각각 상기 폴더(10)의 회전에 의해 원래의 기능과는 다른 별도의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키(31)가 2개 이상 동시에 가압 될 경우에는 이와는 또 다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31)는 상기 폴더(10)가 상기 스위블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서도 그 기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The keys 31 pressed by the push protrusions 131, 132, 133, 134, 135, 136, and 137 have separate function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un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folder 10, respectively. When two or more keys 31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e key 31 may have another func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key 31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der 10 rotates about the swivel hinge 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 는 한 어떠한 변경된 예 또는 수정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더 이상 나아가 살펴볼 필요가 없다.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of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modified or modified example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be interpreted as belonging do not need to go furth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폴더가 본체에 장착될 경우 폴더를 눌러 본체에 구비된 키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use a key provided in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folder when the fold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Claims (7)

내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와;A folder having a display unit at an inner surface thereof; 키를 구비하며 상기 폴더와 스위블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본체로 이루어지고,It is made of a main body having a key and connected by the folder and the swivel hinge, 상기 키는 상기 폴더의 회전 시 별도의 기능을 구비하며,The key has a separate function when the folder is rotated, 상기 폴더는 그 외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키와 접하는 누름돌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The folder has a pusher that touches the key when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ounted on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폴더의 일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The push terminal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on one side of the fold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누름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키는 각각 하나씩 눌렸을 때의 기능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키를 동시에 눌렸을 때의 기능이 서로 상이한 휴대용 단말기. And each of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rojections has a different function when one key is pressed and a func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keys are pressed simultaneous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는 외면에 조절돌기를 구비하고,The fold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상기 폴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fold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rotatably around the adjusting projec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mounted on the main bod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폴더의 회전 중심축 상에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The control projection is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o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old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본체와 상기 폴더는 개폐힌지에 의해 결합되고,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re coupled by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상기 개폐힌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개폐힌지암과, 상기 개폐힌지암에 결합하며 일측에는 상기 스위블힌지가 돌출된 개폐힌지축을 구비하며,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on one side and the swivel hinge protrudes, 상기 개폐힌지암은 상기 폴더가 상기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힌지축을 안내하는 회전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arm is provided with a rotary groov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so that the folder can rotate around the adjustment projec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회전홈은 상기 개폐힌지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rotating groove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opening and closing hinge shaft to its original position.
KR1020050055490 2005-06-27 Handheld terminal KR20060136031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031A true KR20060136031A (en) 2007-01-0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4019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675734B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JP4192024B2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063571B2 (en)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17331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cradle apparatus thereof
KR10080076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US7440782B2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20050037054A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US7991441B2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682634B1 (en) Portable Terminal
US7676889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70293285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CN102202115A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US20060079303A1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JP5473876B2 (en) Touch pen
US7991440B2 (en)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99503B2 (en) Mobile phone with rotatable connecting apparatus
TWI395450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thereof
US7738786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136031A (en) Handheld terminal
KR20220061651A (en) Portable terminal hinge with foldable structure
JP5733311B2 (en) Slide mechanism and portable device
JP2011139471A (en)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KR100975710B1 (en) Hinge device for display rotation type mobile 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