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609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609A
KR20060133609A KR20050053288A KR20050053288A KR20060133609A KR 20060133609 A KR20060133609 A KR 20060133609A KR 20050053288 A KR20050053288 A KR 20050053288A KR 20050053288 A KR20050053288 A KR 20050053288A KR 20060133609 A KR20060133609 A KR 20060133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multimedia content
mobile terminal
multimedia
heteroge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3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2923B1 (en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5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923B1/en
Publication of KR2006013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92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resent wireless network by using a contents buffering technique when handoff is progress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wireless networks.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comprises a mobile terminal(302), a wireless network group(304), a contents transmission management server(306), a contents service server(308), a multimedia contents DB(310), an encoder(312), and a converter(314). The wireless network group(304) comprises a CDMA wireless network(3041), a WiBro wireless network(3043), a WCDMA wireless network(3045), etc. The contents transmission management server(306) manages the protocols and states of the wireless networks of the wireless network group(304). The contents service server(308) modifies multimedia contents to be provided to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wireless networks suitably, creates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stores them in the multimedia contents DB(310).

Description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도 1은 종래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any mobi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ny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하여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2 : 이동 단말기 304 : 무선망 그룹302: mobile terminal 304: wireless network group

306 :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 308 : 콘텐츠 서비스 서버306: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8: content service server

310 : 멀티미디어 콘텐츠 DB 312 : 인코더310: multimedia content DB 312: encoder

314 : 컨버터 3041 : CDMA 무선망314 converter 3041 CDMA wireless network

3043 : WiBro 무선망 3045 : WCDMA 무선망3043: WiBro wireless network 3045: WCDM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주문형 비디오/주문형 오디오(Video On Demand, VOD)/(Music On Demand, MOD)를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demand multimedia service technique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video on demand (VOD) / (Music On Demand) on a mobile terminal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nd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suitable for serving MOD.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신 및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분야, 특히 VOD/MOD 응용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VOD/MOD 시스템은 주문형 비디오/오디오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혹은 결합된 멀티미디어 정보 형태로 압축하여 VOD/MOD 서버에 연동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요청받은 해당 비디오 및/혹은 오디오를 전송하여 상영하는 케이블 TV와 VCR(video cassette Recorder) 기술의 복합체라고 볼 수 있다. As is well known, advances in communication and computer technologies are increasing interest in the multimedia field, particularly in VOD / MOD applications. The VOD / MOD system compresses digital data such as video / audio on demand into individual or combined multimedia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a database linked to the VOD / MOD server. It's a composite of cable television and video cassette recorder (VCR) technology that delivers video and / or audio.

이러한 VOD/MOD 시스템은 가입자가 VOD/MOD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서비스를 서버에 요청할 때, 단순히 가입자의 사전 지식을 통한 비디오/오디오 선택만을 지원하는 간단한 비디오/오디오 주문 형태로부터 가입자가 직접 서버에서 제공하는 선택메뉴 속을 항해(navigation)하면서 가입자가 요구하는 사항이 서버에 긴밀하게 전달되어 언제나 즉시 대화형(interactive)으로 가입자의 요구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보다 복잡한 형태의 비디오/음악 서비스까지 다양하다.This VOD / MOD system is based on a simple video / audio order form that supports only the video / audio selection through prior knowledge of the subscriber when the subscriber requests the server for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provided by the VOD / MOD server. A more complex form of video that allows subscribers to navigate directly through server-selected menus, allowing subscribers 'needs to be closely communicated to the server so that they can always handle subscribers' requests instantly and interactively. It ranges from music service.

또한, 인터넷 서비스는 실시간 동영상 전송 기술과 위치 추적, 음성 인식 등의 첨단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VOD/MOD 콘텐츠(비디오 파일/오디오 파일 등)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러한 VOD/MOD 콘텐츠 서비스용 이동 단말기 내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browser)와 VOD/MOD 플레이어가 탑재되어 있어, 무선 데이터망(혹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VOD/MOD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또는 스트리밍 전송)받아 이를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service provides a variety of high-quality multimedia VOD / MOD content (video file / audio file, etc.) to the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real-time video transmission technology,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location tracking, voice recognition. The mobile terminal for the VOD / MOD content service is equipped with a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er and a VOD / MOD player, and the VOD / MOD content data can be transferred from a server through a wireless data network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It can be downloaded (or streamed) and played back.

도 1은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이동 단말기(102), 기지국(104), 무선 데이터망인 PDSN(106)와 IP망(108), WAP 서버(110), 다운로드 서버(112), 멀티미디어 VOD/MOD 콘텐츠가 저장된 DB(114) 등을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e mobile terminal 102, the base station 104, the PDSN 106, which is a wireless data network, and the IP network 108. ), A WAP server 110, a download server 112, a DB 114 storing multimedia VOD / MOD content,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예컨대, VOD/MOD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eg, VOD / MOD content) to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VOD/MOD 콘텐츠를 서비스받기 위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02)에서 WAP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WAP 브라우저의 VOD/MOD 서비스 메뉴에서 WAP 서버 접속을 선택하면, 해당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104), PDSN(106)과 IP망(108)으로 이어지는 유무선 망을 통해 WAP 서버(110)에 접속된다(단계 202).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runs a WAP browser on a mobile terminal 102 owned by the user to receive VOD / MOD content and selects a WAP server connection from the VOD / MOD service menu of the WAP browser, Th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WAP server 110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leading to the base station 104, the PDSN 106, and the IP network 108 (step 202).

이에 응답하여, WAP 서버(110)에서는 접속된 이동 단말기(102)에 VOD/MOD 콘텐츠 메뉴를 갖는 WAP 페이지 데이터를 인출하여 유무선 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2)에는 콘텐츠 메뉴에 포함된 각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Protocol) 주소를 함께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다.In response, the WAP server 110 retrieves WAP page data having a VOD / MOD content menu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102 and transmits the WAP page data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02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2 receives and stores a URL (Uniform Resource Protocol) address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menu.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2)의 표시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VOD/MOD 콘텐츠 메뉴 페이지를 보고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혹은 검색된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204).Accordingly, the user may view the VOD / MOD content menu p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terminal 102 to search for the desired content or to request a download service for the retrieved arbitrary content (step 204).

이어서, 사용자가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콘텐츠의 URL 요청이 유무선 망(기지국(104), PDSN(106), IP망(108))을 통해 WAP 서버(110)로 전달된다.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o receive the download service, the URL request of the select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WAP server 1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base station 104, PDSN 106, IP network 108).

이에 응답하여, WAP 서버(110)에서는 해당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지정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을 스크립트 방식으로 유무선 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102)의 WAP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따라서, WML 등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102)의 WAP 브라우저는 WAP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MO(Mux Option) 값에 의거하여 먹스(mux) 옵션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고속 채널을 할당받는다.In response, the WAP server 110 transmit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a WAP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102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using a designated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Accordingly, the WAP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102 receiving the WML is assigned a fast channel in a manner of changing a mux option based on a MO (Mux Option) value received from the WAP server 110.

그 후, 이동단말기(102)는 IP망(108)을 통해 접속된 WAP 서버(110)와의 WAP 세션(session)을 중단해서 접속을 끊고, WAP 브라우저를 통해 WAP 서버(110)로부터 수신 받은 WML 등의 상세 정보에 있는 콘텐츠의 위치와 파일명을 갖는 URL을 이용 하여 IP망(108)을 통해 다운로드 서버(112)에 접속한다(단계 206).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102 interrupts the WAP session with the WAP server 110 connected through the IP network 108 to terminate the connection, and receives the WML received from the WAP server 110 through the WAP browser. Access to the download server 112 via the IP network 108 using the URL having the location and file name of the content i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step 206).

다음에, 이동 단말기(102)는 전송 프로토콜인 DMIF(Delivery Multimedia Integration Framework: ISO/IEC 14496-6 규약)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된 다운로드 서버(112)에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단계 208). 이때, 이동 단말기(102)의 표시 패널에는 WAP 서버(110)에서 전송받은 WML 등의 스크립트를 통해 여러 가지 콘텐츠 관련 정보(예컨대, 콘텐츠의 제목 등)가 디스플레이되면서 다운로드 서버(112)와 현재 접속 중임이 디스플레이된다.Next, the mobile terminal 102 requests the downloaded download server 112 to download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using a protocol such as Delivery Multimedia Integration Framework (DMIF), which is a transmission protocol. (Step 208).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terminal 102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ownload server 112 while displaying various content-related information (eg, title of the content) through a script such as WML received from the WAP server 110. Is displayed.

이어서, 이동 단말기(102)의 플레이어에서 다운로드 및 플레이 준비가 완료되면, DMIF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플레이 명령을 기지국(104), PDSN(106) 및 IP망(108)을 통해 다운로드 서버(112)로 보낸다. 이에 응답하여, 다운로드 서버(112)에서는 DMIF 등의 프로토콜에 대한 인식 명령을 보내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DB(114)와 연동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예컨대 VOD/MOD 콘텐츠를 액세스하여 IP망(108), PDSN(106) 및 기지국(104)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102)에 전송한다(단계 210).Subsequently, when download and play preparation are completed in the player of the mobile terminal 102, a download / play comm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104, the PDSN 106, and the IP network 108 using a protocol such as DMIF. 112). In response, the download server 112 sends a recognition command for a protocol such as DMIF and accesses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for example VOD / MOD content, in conjunction with the multimedia content DB 114 to access the IP network 108 and the PDSN 106. And the mobile station 102 via the base station 104 (step 210).

그 결과, 이동 단말기(102)에서는 인식 명령을 받고 선택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2)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VOD/MOD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mobile terminal 102 receives the recognition command and receives the selected content by downloading or streaming and storing the selected content in the internal memory.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2 may play the content through a VOD / MOD player while being provided with a download or streaming conten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인터넷상의 VOD/MOD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동일한 무선망에서만 가능할 뿐 이기종 무선망, 즉 W-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무선 광대역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CDMA 등의 무선망간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VOD / MOD content service method on the wireless Interne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only possible in the same wireless network, and is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that i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ervice could not be provided between wireless networks such as Internet, WiBro) and CDMA.

예컨대, 종래 방법에서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CDMA 무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받는 중에 무선망의 변동, 즉 WiBro 무선망 또는 WCDMA 무선망 서비스 영역으로 변경할 경우,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콘텐츠 서비스가 차단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CDMA 무선망에 최적화된 콘텐츠일 뿐 WiBro 무선망 또는 WCDMA 무선망에 최적화되지 않은 콘텐츠이기 때문이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any mobile terminal receives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downloading or streaming) through a CDMA wireless network, when the mobile network changes, that is, a WiBro wireless network or a WCDMA wireless network service area, the content currently being ser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rvice is blocked. This is because the multimedia contents are contents optimized for the CDMA wireless network but not optimized for the WiBro wireless network or the WCDMA wireless network.

따라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고려할 때, 이기종의 무선망을 넘나들면서 자연스럽게(즉, 콘텐츠 서비스의 끊김 현상 없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기법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법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제시도 전무한 실정이다.Therefore, considering the various service needs of users, the emergence of a technique that can naturally receive multimedia content (i.e. without interruption of content service) while cros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urgently required, but at present There is no suggestion of any techniqu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각각의 무선망에 최적화되도록 변형시키는 기법을 통해 이기종 무선망간을 연동시키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eterogeneous which can serve multimedia content while interwork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rough a technique for transforming each multimedia content to be optimized for each wireless network.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각각의 무선망에 최적화되도록 변형시키고, 각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통해 이기종 무선망간을 연동시키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ify each multimedia contents to be optimized for each wireless network, and heterogeneous to service multimedia contents while interwork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rough a technique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each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network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제 1 서버 수단과, 상기 생성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중일 때, 서비스 중인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되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과,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무선망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서버 수단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stem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First server mean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of the network, means for stor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a current wireless network in service 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in service.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nd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ny mobile terminal, extracting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network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And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And a second server means for extract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transmitt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때마다 상 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1 과정과,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 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현재 접속중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해당 무선망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해당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다른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과정과, 현재 무선망이 임의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및 제 4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each time multimedia content to be provided is provided. The first process of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each capable of coping with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nd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any mobile terminal, a wireless network currently conn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stored previously. A second process of extracting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and serving the servic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a third process of detecting when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is changed to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When a change is detected, of the stored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 fourth process of extracting other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wireless network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and whenev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s changed to any other wireless network, the third process.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fifth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a process and a fourth process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일 때, 서비스 중인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되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과,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무선망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 1 서버 수단과, 상기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서비스 선택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부터의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변형시키고, 이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제 1 서버 수단에 제공하는 제 2 서버 수단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s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e means for storing respective multimedia contents to be serviced. And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n service is changed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when the multimedia content is a service, and corresponding radio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ny mobile terminal. First server means for retrieving the multimedia contents or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mobile terminal and requesting the provision of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when the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And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Extract the service-selected multimedia content from the market means and deliver it to the first server means, transform the service-selected multimedia content into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first server means; And a second server means for provid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first server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과정과,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 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해당 무선망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변형시키는 제 4 과정과, 상기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현재 무선망에서 임의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5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each time a multimedia content to be serviced is generated. A second process of storing a selected multimedia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serving a service through a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A third process of detecting when a change is made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 fourth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into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when the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Transform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A fifth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arbitrary mobile terminal and a sixth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third to fifth processes whenever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any other wireless network; It provides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단일한 무선망 내에서만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예컨대, VOD/MOD 콘텐츠)들을 각각의 무선망(예컨대, CDMA 무선망, WiBro 무선망, WCDMA 무선망 등)에 최적화되도록 각각 변형시키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망에서 다른 무선망(이기종의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여 변경되는 다른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First, a key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s (eg, VOD / MOD contents) to be serviced,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of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to a mobile terminal only within a single wireless network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Each mobile network is modified to be optimized for each wireless network (eg, CDMA wireless network, WiBro wireless network, WCDMA wireless network, etc.),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ultimedia service is monitored in real time. When the mobile network is changed from wireless network to other wireless network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t detects the change and provides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for the other wireless network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other wireless network. The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easily achiev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이동 단말기(302), 무선망 그룹(304),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 인코더(312) 및 컨버터(31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무선망 그룹(304)은, 예를 들면 CDMA 무선망(3041), WiBro 무선망(3043), WCDMA 무선망(3045) 등을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302, the wireless network group 304,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and the content service server are shown in FIG. 308, multimedia content DB 310, encoder 312, and converter 314. Here, the radio network group 304 includes, for example, a CDMA radio network 3041, a WiBro radio network 3043, a WCDMA radio network 3045, and the like.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2)는, 예를 들면 WAP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VOD/MOD 콘텐츠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단말기인 것으로, 동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만의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무선망 환경에 속해 있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302 is, for example, a terminal equipped with a WAP browser and capable of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such as VOD / MOD contents. In this figure, only one terminal is exemplarily illustrated. However, in general, it refer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terminals belonging to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따라서, 사용자들은 WAP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예컨대, VOD/MOD 콘텐츠 등)를 서비스(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Therefore, users can receive a desired multimedia content (eg, VOD / MOD content, etc.) by service (downloading or streaming) by connecting to a remote content service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AP browser.

또한, 이동 단말기(102)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자신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받고 있는 동안에 현재 자신이 속한 무선망이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 예컨대 자신이 현재 CDMA 무선망에 접속중인 상태에서 WiBro 무선망 또는 WCDMA 무선망 등으로 변경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무선망 변경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접속중인 무선망을 통해 후술하는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전송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망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된 다른 무선망으로의 서비스 연동을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서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2 changes its wireless network to anothe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while it is currently connected to a CDMA wireless network while its multimedia content is being serviced. It is checked whether it is changed to a WiBro wireless network or a WCDMA wireless network, and when a wireless network change is detected, a wireless network chang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transmission management server 306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urrently connected wireless network. do. This is for real-time service interworking to another wireless network that has been changed in response to the wireless network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무선망 그룹(304)은, 예를 들면 다수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등을 각각 구비하는 CDMA 무선망(3041), WiBro 무선망(3043), WCDMA 무선망(3045)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속해 있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음성 통신 서비스, VOD/MOD 콘텐츠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각각 제공한다. 또한, 무선망 그룹(304)내의 각 무선망은 이동 단말기(302)로부터 무선망 변경 감지신호가 제공될 때 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radio network group 304 includes, for example, a CDMA radio network 3041, a WiBro radio network 3043, a WCDMA radio network 3045, etc. each hav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obile station selectively provides multimedia content service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and VOD / MOD content to unspecified mobile terminals belonging to its service area. In addition, each wireless network in the wireless network group 304 provides a function such as receiving the wireless network chang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302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described later.

또한,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는 무선망 그룹(304)에 속한 이기종 무선망, 예컨대 CDMA 무선망(3041), WiBro 무선망(3043) 및 WCDMA 무선망(3045)의 프로토콜 및 무선망 상태를 관리(즉, 무선망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를 통해 제공되는 VOD/MOD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임의의 무선망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checks the protocol and wireless network status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belonging to the wireless network group 304, such as CDMA wireless network 3041, WiBro wireless network 3043, and WCDMA wireless network 3045. It provides functions such as management (i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etc.), an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D / MOD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to request services through any wireless network. It provides a function such as providing to the mobile terminal.

예를 들어,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임의의 무선망(예컨대, CDMA 무선망)을 통해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무선망 변경 감지신호가 제공될 때, 이를 감지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 변경되는 무선망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변경 무선망(예컨대, WiBro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CDMA 무선망을 비활성화시킴과 동시에 WiBro 무선망을 서비스 접속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시키며(이기종 무선망간 핸드오프),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부터 전달받은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성화된 변형 무선망, 예컨대 WiBro 무선망(3043)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detects when a wireless network change detection signal is provided from a mobile terminal currently receiv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CDMA wireless network). Requests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for the changed wireless network (eg, WiBro wireless network) by transmitting the changed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8, and deactivates the CDMA wireless network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he WiBro wireless network to the service. State to enable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nd transmit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ctivated modified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WiBro wireless network 3043. to provide.

또한,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오프를 실행할 때, 해당 이동 단말기로 현재 서비스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끊김 현상(즉, 핸드 오프에 기인하는 끊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버퍼링을 수행, 예를 들면 현재 서비스중인 무선망(CDMA 무선망)을 통해 서 비스 가능한 VOD/MOD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부터 제공받아 버퍼링하며, CDMA 무선망(3041)에서 WiBro 무선망(3043)으로의 핸드 오프가 진행되는 동안 CDMA 무선망(3041)을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고, 이기종 무선망간 핸드 오프가 종료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부터 전달되는 WiBro 무선망에 최적화시켜 변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Bro 무선망(3043)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performs a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s described above, a disconnection phenomenon (ie, a disconnection phenomenon due to handoff) of multimedia content that is currently being serviced to the mobile terminal occurs. To buffer the multimedia content, for example, to receive and buffer multimedia content, such as VOD / MOD, that can be serviced through a currently serving wireless network (CDMA wireless network)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and to buffer the CDMA wireless network. While the handoff from the 3041 to the WiBro wireless network 3043 is in progress, the multimedia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DMA wireless network 3041, and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when the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terminated. Optimized for the WiBro wireless network delivered from the) to transmit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Bro wireless network (3043) do.

즉, 핸드 오프가 진행중인 동안에는 CDMA 무선망(3041)을 그대로 유지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고, 핸드 오프가 완료된 시점에서 WiBro 무선망(3043)을 통해 해당 무선망에 최적화시켜 변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가 이기종 무선망간에 핸드 오프가 진행될 때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주기 때문에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에 기인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가 끊기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handoff is in progress, the CDMA wireless network 3041 is maintained as it is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s, and when the handoff is completed, the multimedia contents modified and optimized for the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WiBro wireless network 3043 are completed. To provid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server 306 buffers the multimedia content when the handoff is performed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due to the handoff between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reliably prevented. Can be.

한편,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는 본 발명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이기종의 무선망에 각각 접합하도록 변형시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에 저장한다.Meanwhile,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generates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by modifying each of the multimedia contents to be serviced to an unspecified mobile terminal so as to be bonded to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re stored in the multimedia contents DB 310.

예컨대, AAA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입력된다고 가정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서는, AAA의 콘텐츠가 이기종의 무선망 각각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CDMA 무선망에 적합한 AAA-1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WiBro 무선망에 적합한 AAA-2의 콘텐츠와 WCDMA 무선망에 적합한 AAA-3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여 생성된 3개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3개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multimedia content called AAA is inputted,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uses WiBro and a modified multimedia content of AAA-1 suitable for a CDMA wireless network so that the content of AAA can be optimized for each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Generates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of AAA-2 suitable for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AAA-3 suitable for WCDMA wireless network, and the thre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generated corresponding to one multimedia content in the multimedia content DB 310. Save i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stores thre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correspond to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corresponding to one multimedia content.

여기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은 방송 정보, 오디오 정보, 비디오 레코더 등에 해당하는 VOD 정보 제공자들이 제공하여 인코더(312)를 통해 인코딩된 콘텐츠들이거나 혹은 외부에서 입력되어 컨버터(314)를 통해 제공되는 VOD 콘텐츠 및 MOD 콘텐츠(예컨대, 무선 전송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인코더(312)는 제공되는 콘텐츠들을 무선 전송 가능한 형태로 인코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Herein, the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to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are provided by VOD information providers corresponding to broadcast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video recorder, etc., and are encoded through the encoder 312 or externally input and converted into a converter ( VOD content and MOD content (eg, content in a form of wireless transmission) provided through 314. In this case, the encoder 312 is responsible for encoding the provided content in a wireless transmission possible form.

또한,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서비스 요청을 할 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 및 현재 접속 중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부터 무선망 변경 통지가 올 때, 현재 서비스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즉, 변경된 다른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withdraws the multimedia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multimedia content DB 310 when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service of the multimedia content from any mobile terminal, and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s currently being serviced (ie, modified multimedia optimized for other modified wireless networks)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notific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change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Content) and the like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o provide a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이기종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각각 준비해 두고,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가 발생할 때 변경되는 이기종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 제공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무선망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들에게 끊김 현상 없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re prepared and prepared for each multimedia content in advance, and the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monitored by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By selecting and providing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cope with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at change when they occur,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seamless multimedia contents services regardless of the type of wireless network in the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ereby effectively satisfying users' various service needs. Can be satisfi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각 콘텐츠별로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지 않고, 이기종 무선망간에 핸드 오프가 발생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현재 서비스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변경되는 다른 무선망에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서비스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provided is provided, the content service server generates previously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for each content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When a handoff occurs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without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apable of 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n advance,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Of course,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transform the multimedia content currently in service into a multimedia content optimized for another wireless network in real time to be serviced.

물론,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실시간 변형시킬 수 있는 소자(하드웨어) 혹은 알고리즘(소프트웨어)을 내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할 많은 양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더 얻을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is requires that the content service server have a built-in device (hardware) or algorithm (software) capable of transforming the multimedia content into multimedia content compatible with other wireless networks in real time.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a large amount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does not occur, the sid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database storing the multimedia content may be further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이기종 무선망으로서 CDMA 무선망, WiBro 무선망 및 WCDMA 무선망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 무선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들 무선망 이외의 다른 무선망이라 할지라도 얼마든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 CDMA wireless network, a WiBro wireless network, and a WCDMA wireless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wireless networks. It will be clear that any wireless network other than the network can be selectively applied.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VOD/MOD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VOD/MOD 콘텐츠가 아닌 어떠한 콘텐츠일지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Moreo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D / MOD cont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multimedia cont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likewise have any content other than the VOD / MOD content. It will be clear that it can be applied.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하여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서비스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서버에 접속하여 VOD/MOD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서비스를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402, 404, 406), 단계(406)에서의 체크 결과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 이를 통지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checks whether an arbitrary mobile terminal accesses its own server and requests a service of multimedia content such as VOD / MOD while performing a service standby mode (step). If the check in 402, 404, 406 and step 406 determines that any mobile terminal has requested the service,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notifies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of this.

다음에,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서는,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통지에 응답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를 인출하여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전달하고,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가 해당 메뉴 페이지를 현재 접속중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이동 단말기의 WAP 브라우저 상에 메뉴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408).Next,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notification from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fetches a menu page includ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content selection items and delivers it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hen,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ransmits the menu pag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urrently connected wireless network, so that the menu page is displayed on the WAP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step 408).

따라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표시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페이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혹은 서비스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데(단계 410), 사용자가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예컨대, VOD/MOD 콘텐츠)를 선택하면, 콘텐츠 선택 정보는 해당 무선망과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를 경유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 전달된다(단계 412).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search for desired content or select content to be serviced from a menu p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of the terminal (step 410). The user can select any multimedia content (eg, VOD / MOD). Content),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via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step 412).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고, 이 인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와 해당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414).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해당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요청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In response,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retrieves the multimedia content DB 310 to retrieve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requested a service, and the retrieved multimedia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to the mobile terminal (step 414). Therefore, the multimedia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downloaded or strea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content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다음에,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는 자신이 현재 접속중인 무선망(예컨대, CDMA 무선망) 환경이 아닌 이기종의 무선망(WiBro 무선망) 환경으로 변경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416),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현재 무선망에서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되는 것이 감지되면,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무선망 변경 감지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현재 접속중인 해당 무선망을 통해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전달한다(단계 418).Next, the mobi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to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WiBro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other than the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CDM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it is currently connected (step 416). If it is detected that the change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signal for notifying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change detection and transmits a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currently connected ( 306) (step 418).

따라서,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망 변경 감지가 통지될 때, 이를 변경되어지는 이기종의 무선망 정보와 함께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 전달함과 동시에 버퍼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버퍼링이라 함은 현재 무선망에서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핸드 오프가 진행되는 동안에 현재 무선망을 통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버퍼링 서비스는 이기종의 무선망 핸드 오프로 인해 서비스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서비스 중단 현상(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Accordingly, when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is notified of the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delivers the changed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to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and simultaneously buffers the multimedia content. Ask for the offer. Here, buffering means buffering multimedia content currently being servic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handoff is performed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The buffering service is to prevent a service interruption (disruption) of multimedia content in service due to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handoff.

즉,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무선망 변경 감지 통지를 받은 이후에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가 진행되는 동안에 버퍼링 서비스를 개시하는데(단계 420),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가 완료(즉, CDMA 무선망을 비활성화시킴과 동시에 WiBro 무선망을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422),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을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로 요청한다(단계 424).That is,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starts the buffering service while the handoff between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in progress after receiving the radio network change detection notification (step 420), and the handoff between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completed (i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DMA wireless network is deactivated and the WiBro wireless network is activated (step 422),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provides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to provid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hat is compatible with 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Step 424).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를 탐색하여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고, 이 인출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로 전달한 다.In response,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searches the multimedia content DB 310 to retrieve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nd sends the extracted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o pass.

따라서, 콘텐츠 전송 관리 서버(306)에서는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예컨대, WiBro 무선망)을 통해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에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여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미리 생성하여 저장되어 있다. 즉, 콘텐츠 서비스 서버(308)에서는 인코더(312) 또는 컨버터(314)를 통해 VOD/MOD 등의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들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DB(310)에 저장해 둔다.Accordingly, the content delivery management server 306 transmits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eg, WiBro wireless network). To this end, in the multimedia contents DB 310,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eac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corresponding to one multimedia content are generated and stored in advance. That is, each time a new multimedia content such as VOD / MOD is input through the encoder 312 or the converter 314 in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the content service server 308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respectively. To generate and store the multimedia content in the multimedia content DB (310).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변경된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에 대응하도록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해당 이동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요청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단계 426).As a result,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d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re downloaded or strea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provides the content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Step 426).

따라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기법에 따르면, 각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이기종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각각 준비해 두고,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가 발생할 때 변경되는 이기종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 제공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무선망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들에게 끊김 현상 없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re prepared and prepared for each multimedia content in advance, and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s monitored by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By selecting and providing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cope with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that change when they occur,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seamless multimedia contents services regardless of the type of wireless network in the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ereby effectively satisfying users' various service needs. Can be satisfi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각 콘텐츠별로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지 않고, 이기종 무선망간에 핸드 오프가 발생할 때,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현재 서비스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변경되는 다른 무선망에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서비스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provided is provided, the content service server generates previously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for each content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When a handoff occurs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without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apable of 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in advance,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Of course,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transform the multimedia content currently in service into a multimedia content optimized for another wireless network in real time to be serviced.

물론,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실시간 변형시킬 수 있는 소자(하드웨어) 혹은 알고리즘(소프트웨어)을 내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할 많은 양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더 얻을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is requires that the content service server have a built-in device (hardware) or algorithm (software) capable of transforming the multimedia content into multimedia content compatible with other wireless networks in real time.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a large amount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does not occur, the sid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database storing the multimedia content may be further obtain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기법은,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단일한 무선망 내에서만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서비스하고자 하는 VOD/MOD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각각의 이기종 무선망에 최적화되도록 각각 변형시켜 저장해 두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망에서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여 변경되는 다른 무선망에 최적화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해 줌으로써,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of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only within a single wireless network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re stored in a manner that is optimized for each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by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ultimedia service in real time. By detecting this and fetch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optimized for the other wireless network that is changed and serving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eet various service needs of users.

또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기법은, 이기종의 무선망간에 핸드 오프가 진행중일 때 콘텐츠 버피링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해 줌으로써, 이기종 무선망간의 핸드 오프에 기인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의 끊김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handoff between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s in progress by using the content buffering technique to provide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hand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The interrup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due to the off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Claims (15)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제 1 서버 수단과,First server means for respectively generat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for each of the multimedia contents to be serviced; 상기 생성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중일 때, 서비스 중인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되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n service is changed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when the multimedia content is in service;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무선망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서버 수단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ny mobile terminal, the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network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s fetch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wireless network change is detected, Second server means for extract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other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은, CDMA 무선망, WiBro 무선망 및 WCDMA 무선망 중 적어도 두 개의 무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t least two of the CDMA wireless network, WiBro wireless network and WCDM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VOD/MOD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multimedia content is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OD / MOD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망 변경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제 2 서버 수단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wireless network change is detected by a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ultimedia content and is notified to the second server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응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제 1 서버 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 2 서버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or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means via the first server means and provided to the second server mean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제 2 서버 수단은,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무선망에서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핸드 오프가 완료될 때,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부터 상기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When the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the second server means buffers and transmits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provided from the first server means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other content in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When the handoff to the wireless network is completed,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from the first server means receive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때마다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에 각각 대응 가능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eac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whenever the multimedia contents to be provided are provided;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 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현재 접속중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해당 무선망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 2 과정과,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a second process of extracting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a currently connected wireless network from among a plurality of stored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serving them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상기 해당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제 3 과정과,A third process of detecting when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is changed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다른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과정과,When a change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s sensed, a fourth to extract other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among the stored plurality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Process, 현재 무선망이 임의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및 제 4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5 과정A fifth process of repeating the third process and the fourth process whenev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s changed to any other wireless network 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방법은,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현재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무선망에서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핸드 오프가 완료될 때, 상기 제 4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When the change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the method buffers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the handoff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s completed. When performed,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fourth process.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servic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서비스하고자 하는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respective multimedia contents to be served;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일 때, 서비스 중인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되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cting when the multimedia content is a service, whether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n service is changed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무선망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 1 서버 수단과,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ny mobile terminal, retrieves the multimedia content or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network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ransmits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and detects a change in the wireless network. First server means for requesting provision of modified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상기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서비스 선택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부터의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변형시키고, 이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제 1 서버 수단에 제공하는 제 2 서버 수단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withdraw the service-selected multimedia contents from the storage means to the first server means, and transmit the service-selected multimedia contents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rovision from the first server means. Second server means for transforming the multimedia content into a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ame, and provid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to the first server means. 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은, CDMA 무선망, WiBro 무선망 및 WCDMA 무선망 중 적어도 두 개의 무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t least two of the CDMA wireless network, WiBro wireless network and WCDM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VOD/MOD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multimedia content is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OD / MOD conten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무선망 변경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받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제 1 서버 수단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The wireless network change is detected by a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ultimedia content, and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notified to the first server means.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상기 제 1 서버 수단은,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제 2 서버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무선망에서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핸드 오프가 완료될 때, 상기 제 2 서버 수단으로부터 상기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When the change of the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the first server means buffers and transmits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provided from the second server means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other content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When the handoff to the wireless network is completed,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 from the second server means receive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ystem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다수의 이기종 무선망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erving multimedia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서비스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과정과,A first process of storing in a database whenever multimedia content to be serviced occurs;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 기 저장된 다수의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출하여 해당 무선망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 2 과정과,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a second process of extracting selected multimedia contents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and serving them through a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상기 현재 무선망이 이기종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제 3 과정과,A third process of detecting when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s changed to anoth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상기 무선망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변형시키는 제 4 과정과,A fourth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into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when the wireless network change is detected; 상기 변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다른 무선망을 통해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A fifth process of transmitting the modified multimedia contents to the arbitrary mobile terminal through the other wireless network; 상기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현재 무선망에서 임의의 다른 무선망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5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6 과정A sixth process of repeating the third to fifth processes whenever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any other wireless network 을 포함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방법은,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변경이 감지될 때, 상기 현재 무선망에 대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버퍼링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무선망에서 상기 다른 무선망으로의 핸드 오프가 완료될 때, 상기 제 4 과정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무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When the change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s detected, the method buffers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the handoff from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to the other wireless network is completed. If so,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ocess after the fourth proces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20050053288A 2005-06-21 2005-06-2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100662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3288A KR100662923B1 (en) 2005-06-21 2005-06-2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3288A KR100662923B1 (en) 2005-06-21 2005-06-2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609A true KR20060133609A (en) 2006-12-27
KR100662923B1 KR100662923B1 (en) 2006-12-28

Family

ID=3781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3288A KR100662923B1 (en) 2005-06-21 2005-06-2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92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812B1 (en) * 2007-02-28 2008-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obile center used thereto
KR100886836B1 (en) * 2007-09-10 2009-03-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streaming transcoding content stored in cache for video on demand service
KR101012762B1 (en) * 2007-12-28 2011-02-08 한국정보화진흥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Service to support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users under heterogeneous network or application environments
KR20110018235A (en)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web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KR101328339B1 (en) * 2011-11-18 2013-11-11 (주)카이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uffer for playing streaming vide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55B1 (en) * 2008-07-03 2010-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contents trans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399B1 (en) * 2001-04-06 2004-04-08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delivery network service through wireless networks and a system therefor
KR20050068108A (en)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812B1 (en) * 2007-02-28 2008-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obile center used thereto
KR100886836B1 (en) * 2007-09-10 2009-03-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streaming transcoding content stored in cache for video on demand service
KR101012762B1 (en) * 2007-12-28 2011-02-08 한국정보화진흥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Service to support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users under heterogeneous network or application environments
KR20110018235A (en)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web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KR101328339B1 (en) * 2011-11-18 2013-11-11 (주)카이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uffer for playing streaming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923B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4197A1 (en) User controlled multi-device media-on-demand system
US9880806B2 (en) Media playback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5928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time shift review in dynamic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treaming transmission solution
US9639619B2 (en)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resource requests
EP1775935A2 (en) Server architecture supporting adaptive delivery to a variety of media players
US20010056578A1 (en) System for providing video-on-deman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150035387A (en) Client for Content Playback, Method for Content Playback,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Content, Method for Content Playback Selection on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629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N101163140B (en) Content obtaining method and server
CN102055718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layering request content in http streaming system
JP2004509402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 receiving media content via a digital network
JP2007104656A (en) Contents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KR100414794B1 (en) Method for connect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EP38263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routing of content using a static playlist manifest
CN102804686A (en) Content output system and codec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same system
US20130282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ookmark in Streaming Service System
JP2011130017A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content playback terminal,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WO2006077454A1 (en) Supporting service requests during media data transfer
US20130151723A1 (en) Stream media channel switch method, switch agent, client and terminal
KR100884133B1 (en)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etween the sever and theminal for the wireless internet mutimedia services and method thereof
KR101314939B1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multimedia service
WO200706819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directional transmission and distributed access in the telecommunication transmission terminal
JP5420863B2 (en) Thin client system, application server, terminal control server, communication method
KR20100060542A (en) Transmission system for providing url information using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140635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Providing URL Information using Wireless Terminal and Proxy Server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