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40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407A
KR20060132407A KR1020050052740A KR20050052740A KR20060132407A KR 20060132407 A KR20060132407 A KR 20060132407A KR 1020050052740 A KR1020050052740 A KR 1020050052740A KR 20050052740 A KR20050052740 A KR 20050052740A KR 20060132407 A KR20060132407 A KR 2006013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t
film
film filter
mrt fil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137B1 (ko
Inventor
김지석
이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13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05Applying optical coatings or shielding coatings to the vessel of flat panel displays, e.g. applying filter layer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yers, anti-reflection coatings or anti-glar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면 특성 및 이중영상현상을 개선하고, 제조원가의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티글래어층과, 상기 안티글래어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안티글래어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하드코팅재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도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구비되어 평판 표시 장치에 부착되는 MRT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MRT 필름을 고정하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Ⅴ - Ⅴ 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티글래어층 2: 하드코팅재
3: 베이스 필름 5: 도전층
6: 부착부 8: MRT 필름
9: 지지부 10: 직부착 MRT 필름 필터
12: 블랙코팅부 14: 렌즈부
40: 구동회로기판 5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0: 섀시베이스 2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직부착 MRT 필름 필터(Filter)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기판에 필터를 직접적으로 부착하여 경계면 특성 및 이중영상현상을 개선하고, 난반사 효과로 인해 방현성이 우수하며 경면반사를 줄이고,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하는 필름 필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하는 CRT에 비해 대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그 구동 특성상 강한 근적외선광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근적외선광은 무선 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작동에 영향을 미쳐 오동작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강한 전자파를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파 또한 인체나 다른 전자기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표준 기준치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이러한 근적외선 및 전자파를 차폐하는 동시에 외부 조명에 의한 반사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면 필터가 구비되며, 이 전면 필터는 PDP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관계로 투명성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각각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일반적인 PDP 필 터는 금속 메시(Mesh) 타입과 투명도전막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메시 타입의 PDP 필터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데는 튀어난 특성을 나타내지만 상대적으로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화면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메시 자체가 고가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표면처리기술은 외광반사로 인한 눈부심과 해상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정전기로 인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 전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패널 상판유리와 강화유리필터 사이에서 그 재질의 차이로 인한 굴절현상에 의하여 영상이 이중으로 반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화유리필터는 외부충격에 견디도록 일정 두께를 유지하므로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와 코스트가 올라가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강화유리필터의 구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름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역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께가 얇은 필름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 강화유리필터의 모든 기능을 갖게 하며, 따라서 기존 필터에 비하여 경량(박형화 및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직부착 필름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필터에서의 계면특성을 향상시켜, 이로 인한 이중영상현상을 개선하고, 난반사 효과로 인해 방현성이 우수하며 경면반사를 줄이고,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MRT 필름이 적용된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티글래어층과, 상기 안티글래어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안티글래어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하드코팅재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도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구비되어 평판 표시 장치에 부착되는 MRT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MRT 필름을 고정하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안티글래어층은 상기 하드코팅재를 포함하여, 그 두께가 2 ~ 7 um이고, 연필경도(Hardness)가 2 ~ 3H이며, 헤이즈(Haze)가 3 ~ 1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도전층은 ITO, Ag, Au, Cu, 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는 ITO 또는 Ag 가 각각 또는 교번적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부에는 색보정 또는 네온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료 또는 염료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직부착 MRT 필름 필터는 그 투과율이 30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MRT 필름은 그 하면에 평판 표시 장치와의 고정을 위해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RT 필름은 그 상면에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위한 블랙코팅부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가시광을 집속하는 렌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렌즈부는 상기 MRT 필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MRT 필름의 하면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엠보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렌즈부는 스트라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그 하부에 지지부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술한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또는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도면으로서, 다적층된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각 층을 전개시켜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V-V 선을 따라 절취한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10)는 베이스 필름(3), 안티글래어층(1),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하드코팅재(2), 도전층(5) 및 베이스 필름(3)을 고정하는 부착부(6), MRT(미세 복제 기술이 적용된) 필름(8) 및 이를 평판 표시 장치에 고정하는 지지부(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평판 표시 장치는 가시광을 방출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영상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를 말하는데, 특히 가시광을 방출하는 전면이 평평한 것을 말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베이스 필름(3)은 직부착 필름 필터의 기재로 사용되는데, 그 종류는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 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CA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3)은 투명한(transparent)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완전히 투명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당업계에서 공히 투명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한편, 베이스 필름(3)의 하면에는 도전층(5)을 구성한다.
도전층(5)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 차폐와 근적외선 차단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근적외선으로 인하여 주변 전자 기기의 오작동이 문제된다. 이의 해결을 위해 근적외선 차폐가 필요하다.
도면에서는 도전층(5)이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층으로 도전층이 형성된 경우만이 아니라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다층으로 적층시킨 구조일 수 있다.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그 표면저항값을 보정할 수 있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5)은 금속층, 금속 산화물, 도전성 폴리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금속층은 팔라듐(Palladium), 구리, 백금, 로듐(Rhodium), 알루미늄 (Aluminium), 철, 코발트(Cobalt), 니켈(Nickel), 아연, 루테늄(Ruthenium), 주석, 텅스텐(Tungsten), 이리듐(Iridium), 납, 은(Ag) 등을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탄, 산화 마그네슘,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금속 알콕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ATO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과 금속 산화물을 더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데, 특히 금속 산화물이 추가된 경우는 금속층의 산화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전층(5)는 인듐 틴 옥사이드, 은(Ag)을 각각 또는 교번적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적층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도전층(5)은 어떤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스퍼터링(Sputtering), 진공증착법, 이온도금법, 화학기상증착법(CVD), 물리기상증착법(PVD),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의 미립자 도포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도전층(5)을 통하여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데에 부가적으로 후술할 부착부(6)에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화합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레진(RESIN), 구리화합물이나 인화합물을 함유하는 레진, 구리화합물이나 THIO 요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레진, 텅스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레진등에 의해 가능하다.
역시 색소(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할 수 있는 예로서, 염료로서 시아니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전층(5)은 도 1에서 도시하는 것과 다르게 베이스 필름(3)의 상면에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는 안티글래어층(1)이 구비된다.
안티글래어란 외부 입사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키고, 필름의 주변 환경이 표면에 비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안티글래어층(도 2, 1)은 투명성 필름(3)의 상부에 미세한 요철(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의 형상은 베이스 필름(3)이 있는 방향의 반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그 크기나 요철들간의 피치(Pitch)에 대하여 외광의 난반사가 발생될 수 있는 불규칙한 형상인 한, 어떤 것이라도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은 최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고시야각화, 고속응답화 및 고정세(高精細)화, 즉 고화질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 이 고정세화는 화소(Pixel)크기의 미소화에 의해 실현되지만 화소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예컨대, 133ppi (133Pixels/inch) 이상의 고정세가 되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는 빛은 휘도 편차가 생겨서, 사용자의 눈에는 번쩍거리는 불편함이 생긴다. 이는 투명성 필름(3)의 표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Pixel)보다 큰 요철이 존재함으로써, 단일 화소로부터의 투과광이 렌즈 효과에 의해 집광되거나, 인접하는 약간의 셀로부터의 RGB 투과광이 혼색을 일으킴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안티글래어층(1) 상의 미세한 요철을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보다 적어도 작도록 형성함이 바람직 하다.
안티글래어층(1)의 형성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커튼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하드코팅이란 것은 직부착 필름 필터의 최외면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젼이나 컴퓨터용 모니터,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 도중에 여러 형태의 외력을 받을 수 있어 이에 의한 스크래치의 방지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하드코팅재(도 1, 미도시)는 안티글래어층(1)에 포함되거나 하드코팅재(도 2, 2)는 안티글래어층(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코팅재는 바인더로서 폴리머를 포함한다.
하드코팅재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강도(hardness)의 향상을 위해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부가할 수 잇다.
또한, 안티글래어층은 하드코팅재를 포함하여, 그 광학적 특성은 헤이즈(Haze)가 3 ~ 11 %, 가시광 투과율이 30 ~ 90% 이고, 기계적 특성은 안티글래어층(1)의 두께가 2 ~ 7 um, 연필경도(Hardness)가 2 ~ 3H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재(2)는 안티글래어층(1)에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면과는 달리 하드코팅재(2)는 도면에서 생략된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하드코팅재(2)가 안티글래어층(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는 달리 하드코팅부(2)가 안티글래어층(1)의 하부에 형성되어도 무관하 다.
한편, 하드코팅재(2), 안티글래어층(1), 도전층(5)을 구비한 베이스 필름(3)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부착부(6)를 구비한다.
부착부(6)는 베이스필름(3)과 MRT 필름(8)을 직접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두 필름(3,8)간 계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당업계에서 부착, 고정을 위해 공히 사용되는 베이스 필름(3)과 MRT 필름(8)의 평균 조도에 의하여 별도의 부착을 위한 부재없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6)는 열가소성,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고, 역시 열가소성- UV 경화성 복합형 수지 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 레이트계 수지가 있다. 공히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착부(6)의 형성은 스크린 인쇄법,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커튼 코틉법, 롤러 코팅버버,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부착부(6)에는 색보정 또는 네온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염료나 안료 같은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색소는 가시광선 영역인 400 ~ 700 nm의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인 범위 내에서, 특별히 한정을 둘 필요가 없다.
특히, 네온의 여기(Excited)에 따라 약 585nm 파장 부근의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시아닌계(cyanine)계, 스쿠아릴률계, 아조메틴(azomethine)계, 키산텐계, 옥소(oxo)놀 계, 아조(azo)계등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필름(3)의 하면에는 MRT 필름(8)이 구비되고, MRT 필름의 상면 에는 명실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한 블랙코팅부(12), MRT 필름(8)의 하면에는 가시광의 집속을 위한 렌즈부(14)를 구비한다.
또한, MRT 필름(8)의 하면에는 지지부(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9)를 더 구비한 경우에는 가시광이 렌즈부(14)에 집속되도록 공기층(16)을 구비할 수 있다.
MRT 필름(8)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CAP)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일 수 있다.
한편, MRT 필름(8)의 하면에는 후술한 평판 표시 장치에 고정되기 위하여 지지부(9)를 둔다.
지지부(9)는 MRT 필름(8)과 평판 표시 장치를 직접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MRT 필름(3)과 평판 표시 장치와의 경계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당업계에서 공히 부착,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MRT 필름(8)과 평판 표시 장치의 평균 조도에 의 하여 별도의 부착을 위한 부재없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9)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과 같은 접착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MRT 필름(8)이 평판 표시 장치에 고정된다.
역시, 지지부(9)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과 같은 점착재가 양면에 도포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필름은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필름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공히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MRT 필름(8)이 평판 표시 장치에 고정된다.
한편, MRT 필름(8)의 상면에는 블랙코팅부(12)가 구성된다.
블랙코팅부(12)는 후술할 렌즈부(14)에서 집속된 가시광의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저감한다.
또한, 블랙코팅부(12)는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저감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특히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코팅부(12)의 형성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도포방식인 스크린 인쇄,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커튼 코틉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화학기상증착 (CVD) 법이나 물리기상증착 (PVD) 법, 특히 물리증착법의 일종인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코팅부(12)는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저감하는 범위 내에서 검은 색 계열의 어떤 재료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MRT 필름(8)의 하면에는 렌즈부(14)가 형성된다. 렌즈부(14)는 후술할 평판 표시 장치에서 방출된 가시광을 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렌즈부(14)는 MRT 필름(8)의 하면에 구비되고, 평판 표시 장치를 향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입사되는 가시광이 지나온 매질과 렌즈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하여 가시광을 집속하거나(볼록렌즈) 가시광을 분산하는(오목렌즈)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시광을 집속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지지부(9)를 통과한 가시광은 렌즈부(14)를 지나면서 굴절율의 차이에 의하여 굴절하게 된다.
공히, 굴절율에 관한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하여, 지지부(9)와 렌즈부(14)와의 굴절율은 지지부(9)가 렌즈부(14)의 굴절율보다 같거나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엠보싱 형상이나 스트라이프 형상이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
엠보싱 형상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RT 필름(8)의 하면에서 평판 표시 장치가 있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볼록한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라운딩(Rounding)된 반원이나 반타원 등의 형상이 아니라 다수의 각을 가진 형태라도 무관하다.
또한, 엠보싱 형상의 크기나 엠보싱 형상들 간의 피치(Pitch)에 대한 제한은 가시광을 집속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둘 필요가 없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드코팅재(2), 안티글래어층(1), 베이스필름(3), 도전층(5), 부착부(6), MRT 필름(8), 지지부(9), 블랙코팅부(12), 공기층(16)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아 생략한다.
렌즈부(14b)는 도 4에서와 같이 MRT 필름(8)의 하면에 구비되고, 평판 표시 장치(도 5,200)를 향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볼록한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라운딩(Rounding)된 반원이나 반타원 등의 형상이 아니라 다수의 각을 가진 형태라도 무관하다.
또한, 엠보싱 형상의 크기나 엠보싱 형상들 간의 피치(Pitch)에 대한 제한은 가시광을 집속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둘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드코팅재(2), 안티글래어층(1), 베이스필름(3), 도전층(5), 부착부(6), MRT 필름(8), 지지부(9), 블랙코팅부(12), 공기층(16)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아 생략한다.
렌즈부(14a)는 도 4에서와 같이 MRT 필름(8)의 하면에 구비되고, 평판 표시 장치(도 5, 200)를 향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돌출된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 나, 특별히 이에 한정을 둘 필요는 없으며, 라운딩(Rounding)처리된 반원이나 반타원 등의 형상이나 다수의 각을 가진 형태라도 가시광을 집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어떤 형상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크기나 스트라이프 형상들 간의 피치(Pitch)는 가시광을 집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
한편, 지지부(9)를 통과한 가시광이 렌즈부(14)에서 집속이 효과적으로 되도록 지지부(9)와 렌즈부(14)의 사이에 공기층(16)이 형성된다.(도 2 참조)
공기층(16)은 다른 구성요소의 개입 없이, 공기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공기는 굴절율이 1.0 으로서 본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지부(9), 렌즈부(14)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굴절율이 통상 작다. 따라서, 렌즈부(14)에 입사되는 가시광이 공기층(16)을 통과한다면, 공기가 없는 지지부(9)를 바로 통과한 것보다 덜 굴절하여 렌즈부(14)로 입사하게 된다. 이에 의해, 렌즈부(14)에서 가시광의 집속이 더 효율적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부착 필름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서, 평판 표시 장치라 함은 가시광선을 내는 특성을 이용한 전면이 평판으로 된 장치로서 두 전극 사이에 강한 전압을 걸면 전극 사이에 Gas방전이 생기고, 이때 발생하는 자외선이 형광체에 부딪혀 빛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평면으로 형성된 Cathode(전자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가 형광체에 부딪혀 발광하는 FED(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Filament에 전압을 인가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키고, Grid에서 전자가 가속되어 Anode에 도달하도록 하여, 이미 패턴(Patterning)된 형광체에 부딪혀 발광함으로서 정보를 표시하는 VFD(배큐엄 플루오레슨트 디스플레이),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되는 자발광형인 OLED 등이 있고, 액체와 고체의 중간상태인 液晶의 전기적 성질을 표시장치에 응용한 Display로서 液晶이 Shutter 역할을 하여 전압의 On/Off에 따라 빛을 투과(透過) 또는 차단(遮斷)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LCD(리퀴드 크리스날 디스플레이)가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직부착 MRT 필름 필터(10)와 전면 기판(51), 후면 기판(52) 등이 구비되는데, 직부착 MRT 필름 필터(1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부착함에 있어서, 지지부(도 2, 9)는 전면 기판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직부착 MRT 필름 필터의 가시광 투과율은 30 ~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 섀시베이스(100), 구동회로기판(40)을 구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상호 접합된 전면 기판(51)과 후면 기판(52)이 상호 접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들(51,52)의 내면에는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다수의 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셀 공간의 각각을 형성 하는 격벽 등의 측면에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을 나타내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이 셀 공간 내에는 네온 기체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어 있다. 이 기판들(51,52)의 내측에는 기체의 방전을 야기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다수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은 그 셀 공간 내에서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글로우방전시 방전된 가스가 발광하면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게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후면에는 섀시베이스(100)가 부착된다. 섀시베이스(100)는 패널(50)을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시베이스(100)는 패널(5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섀시베이스(100)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섀시베이스(1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과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54)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섀시베이스(50)로 원활하게 전달방열하기 위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과 섀시베이스(100) 사이에 위치하서 접착부(54)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는 방열 시트(53)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과 섀시베이스(100)와 부착을 위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테이프등과 같은 접착부(54),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을 구동하는 회로들로 이루어진 소정 개수의 구동회로기판(40), 상기 섀시베이스(100)의 후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0)을 구동시키는 소정 개수의 구동회로기판(40)이 배치되며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평판 표시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얇은 필름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 강화유리필터의 모든 기능을 갖게 되고, 따라서 기존 필터에 비하여 경량화 및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직부착 필름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필터에서의 계면특성이 향상되어, 이로 인한 이중영상현상을 개선하고, 난반사 효과로 인해 방현성이 우수하고 경면반사를 줄이고,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티글래어층;
    상기 안티글래어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안티글래어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하드코팅재;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도전층;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구비되어 평판 표시 장치에 부착되는 MRT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MRT 필름을 고정하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글래어층은 상기 하드코팅재를 포함하여, 그 두께가 2 ~ 7 um이고, 연필경도(Hardness)가 2 ~ 3H이며, 헤이즈(Haze)가 3 ~ 1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ITO, Ag, Au, Cu, 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는 ITO 또는 Ag 가 각각 또는 교번적으로 적어도 2회 이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색보정 또는 네온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료 또는 염료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부착 MRT 필름 필터는 그 투과율이 30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T 필름은 그 하면에 평판 표시 장치와의 고정을 위해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T 필름은 그 상면에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위한 블랙코팅부가 구비되고, 그 하면에 가시광을 집속하는 렌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MRT 필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MRT 필름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엠보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스트라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필름 필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그 하부에 지지부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부착 MRT 필름 필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부착 MRT 필름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 레 장치.
KR1020050052740A 2005-06-18 2005-06-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40A KR100730137B1 (ko) 2005-06-18 2005-06-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40A KR100730137B1 (ko) 2005-06-18 2005-06-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07A true KR20060132407A (ko) 2006-12-21
KR100730137B1 KR100730137B1 (ko) 2007-06-19

Family

ID=3781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40A KR100730137B1 (ko) 2005-06-18 2005-06-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8195B2 (en) 2008-01-14 2011-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including external-light-shielding sheet
KR100971021B1 (ko) * 2008-04-18 201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633A (ko) * 2002-09-09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79608A (ko) * 2003-03-08 200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dp 전면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79609A (ko) * 2003-03-08 200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dp 전면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137B1 (ko)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95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153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07398A1 (en) Display filter and protective case having gradation
JP2009181118A (ja) フィルム状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KR100777736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59763A (ja) 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51336B1 (ko) 직부착 필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86465A1 (en) Film type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70099830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KR1007301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835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フィルタ基板
KR100708690B1 (ko) 직부착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0708701B1 (ko) 직부착 mrt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0859B1 (ko) 디스플레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8702B1 (ko) 직부착 mrt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64814A1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heat discharge prevention
KR100759563B1 (ko) 필름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45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82686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3098A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직부착 필름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97219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05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297023A1 (en) Filter for a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51342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790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