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17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171A
KR20060132171A KR1020050052355A KR20050052355A KR20060132171A KR 20060132171 A KR20060132171 A KR 20060132171A KR 1020050052355 A KR1020050052355 A KR 1020050052355A KR 20050052355 A KR20050052355 A KR 20050052355A KR 20060132171 A KR20060132171 A KR 20060132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 conditioner
unit
imag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513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513B1/ko
Priority to PCT/KR2006/002211 priority patent/WO2006135167A2/en
Priority to EP06768812.7A priority patent/EP1891381B1/en
Priority to CN200610093740XA priority patent/CN1880869B/zh
Priority to CNU2006201212249U priority patent/CN200989645Y/zh
Publication of KR2006013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표시수단 등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00)와,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구현하는 표시수단(256)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다양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인식/전달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제어부, 디스플레이, 아바타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의 전면판넬에 구비되는 버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에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신호를 전달하는 리모컨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창에 구현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힌지 120. 디스플레이창
130. 버튼부 132. 운전/정지키
134. 온도키 135. 볼륨키
136. 풍량키 137. 플라즈마키
138. 좌측키 139. 우측키
140. 리모컨수신부 150. 디스플레이장치
160. USB메모리 170. 공기정화장치
200. 메인제어부 202. 메인메모리
210. 메인입력수단 220. 압축기
250. 디스플레이제어부 252. 디스플레이메모리
254. 디스플레이입력수단 256. 표시수단
258. 데이터입력수단 300. 대기모드
302. 화면오프모드 304. 시계모드
306. 화면보호모드 308. 사용자설정모드
320. 운전모드 322. 실사운전모드
324. 사용자운전모드 326. 캐릭터운전모드
340. 기능선택모드 342. 운전/부가기능
344. 앨범기능 360. 팝업기능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표시수단 등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 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풍향과 강약 정도가 표시되며, 실내온도 및 희망온도도 표시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엘이디(LED)에 의해 외부로 표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순히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화면을 온(on)/오프(off)하여 현재의 온도나 운전상태를 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정보나 부가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에는 하나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내용(영상 등)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의 전체 프로그램이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내용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바꿀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제어부로 인해 프로그램 변경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상(아바타)이 구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창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각종 아바타 등의 영상을 제어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영상)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메인제어부를 거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이차원(2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삼차원(3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파일은, JPEG, BMP, TIFF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실행프로그램은, 자바(JAVA)프로그램언어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실행프로그램은, C, C++, C#프로그램언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에 구현되는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에 따라 각기 다른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일측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아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출력수단의 일측에는, 음향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엘시디(LC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유기이엘(EL)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다양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인식/전달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우측 상하단에는 힌지(112)가 구비되어 전면판넬(110)의 회동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상방에서 볼 때)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반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창(12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은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엘씨디(LCD)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의 하측에는 버튼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130)에는 전원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상기 힌지(112)를 축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각종 아바타 등의 영상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 등이 내장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는 USB장착부(152)가 구비되고, 이러한 USB장착부(152)에는 USB메모리(1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는 상기 USB메모리(160)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data)를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다양한 이동 저장매체를 통해 데이터(data)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인터넷 등을 통한 데이터(data) 다운로드(download)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USB메모리(160) 외에 IEEE1394포트(port)등을 통한 데이터(data)의 전달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에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냄새 등 다양한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열교환기 등)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 부품의 기능과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일측에는 스피커(180)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후면에는 음을 외부로 발산하는 스피커(18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180)는 음악이나 음향 등을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3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버튼부(130)에 구비되는 각각의 키(KEY)는 누르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중앙 부분에는 운전/정지키(132)가 구비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이다. 즉, 이러한 운전/정지키(132)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운전을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키(Key)로 동작하며, 운전중(공기 조화 기능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정지(운전OFF)를 위한 키(Key)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청정 기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 이 더 구비되나,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을 통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 기능이 주기능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라 칭하고,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공기조화기의 '정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상하에는 온도키(13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키(134)는 온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 상측의 버튼은 온도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며, 하측의 버튼은 온도 감소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온도키(134)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중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운전중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운전모드(특히, '캐릭터 운전모드') 등에서는 온도 증감을 위한 키(Key)로 작동하나, 기능선택모드(특히, '앨범기능')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운전/정지키(132)의 좌우에 위치한 볼륨키(135)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스피커(18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조절을 위한 것으로, 좌측의 버튼은 소리의 감소를 위한 버튼이며, 우측의 버튼은 소리의 증가를 위한 버튼이다. 상기 볼륨키(135)도 상기 온도키(134)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Key)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하단부에는 풍량키(136)가 구비된다. 상기 풍량키(136)는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만 동작하고, 정지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버튼부(130)의 우측 하단부에는 플라즈마키(137)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키(137)는 공기조화기에 내장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Key)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중 또는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정지 중에도 단독으로 작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30)의 좌측 상단부에는 좌측키(138)가 구비되고, 우측 상단부에는 우측키(139)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키(138)와 우측키(139)는 공기조화기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가 운전중인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할 기능선택모드에서 다양한 메뉴의 선택을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제어시스템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에는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00)가 구비되고, 이러한 메인제어부(200)에는 각종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data)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메인메모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메모리(202)는 공기조화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 각종 데이터(data)를 저장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음향출력수단(222)에 의 해 출력되는 음향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메인입력수단(210)과 감지수단(212), 신호수신부(214), 통신수단(215), 실내기모터(216), 실외기모터(218), 그리고 압축기(220) 등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은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메인입력수단(210)를 통한 입력신호는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감지수단(212)은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특히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그리고 가스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감지수단(212)에 의해 감지된 측정값이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수신부(214)는 리모컨수신부(140)와 같이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신호수신부(214)에 수신된 신호도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수단(215)은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외에 컴퓨터(인터넷 포함)나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신호)도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신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모터(21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구비되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제어부(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으로부터 운전/정지키(132)의 입력이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면, 상기 메인제어부(200)는 상기 실내기모터(2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212)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오염값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실내기모터(21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는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같이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으로부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거나,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압축기(220)와 실외기모터(218) 등을 작동시켜 공기조화기를 정지상태로부터 운전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제어부(200)에는 공기정화장치(170)와 음향출력수단(222) 등의 부가장치도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30)의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170)는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강약이 조절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상기 감지수단(212)으로부터 측정되는 공기중의 오염(먼지, 가스 등) 정도를 감지한 다 음, 이러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170)의 강약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은 소리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피커(180) 등으로 이루어져 부저나 멜로디, 음악 등의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로,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의 작동상태에 따라 에러(Error)시 부저음을 발생하거나, 아래에서 설명할 표시수단(256)에 구현되는 영상(아바타)이나 메세지(Message)에 따라 각기 다른 음향(멜로디)을 출력하기도 하며, 음악파일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음악을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제어부(25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제어부(200)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신호를 전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는 상기 메인입력수단(210)의 운전/정지키(132)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 작동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도 전달되어,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200)로부터 현재의 온도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이러한 온도정보를 받아 이러한 온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구현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메인제어부(200)를 거쳐 인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데이터입력수단(258)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기도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할 표시수단(256)에 이미지와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는 디스플레이메모리(252)와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 표시수단(256) 그리고 데이터입력수단(258) 등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에 내장되어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다양한 자료(사진이나 캐릭터 등과 같은 아바타)를 저장하는 것이다. 즉, 상기 표시수단(256)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영상(아바타)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입력수단(254)은 상기 버튼부(130)나 리모컨(remote control) 등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5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110)의 디스플레이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창(120)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기도 한다.
상기 표시수단(256)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각종 사진 이나 동영상 또는 캐릭터 등의 아바타를 외부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수단(256)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명령에 따라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구현하는 것으로,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256')와,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동작표시부(2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표시부(256')는 아바타나 실사 영상 등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영상표시부(256')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이미지파일은, JPEG, BMP, TIFF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JPEG, BMP, TIFF파일 등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확장자로 널리 사용되는 파일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작표시부(256")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나 현재의 온도 또는 설정온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문자(텍스트)나 숫자 등의 메세지(Message)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표시수단(256)은 엘시디(LCD) 또는 유기이엘(EL)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자 소자를 일컫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기EL은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유기물질을 일컫는 것으로 OLC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유기 다이오드'라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엘시디(LCD)와 유기이엘(EL)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상기 표시수단(256)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영상이나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제어부(250)의 실행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자바(JAVA)프로그램언어로 구현되거나, C언어 계통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C, C++, C#프로그램언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상기 표시수단(256)에 이차원(2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거나, 더 나아가 상기 표시수단(256)에 삼차원(3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평면적 또는 입체적 영상을 모두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입력수단(258)은 상기에서 설명한 USB메모리(160)나 IEEE1394포트(port)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데이터입력수단(258)을 통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된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상기 음향출력수단(222)을 통해 출력될 음악파일(MP3파일 포함) 등이 입력된다.
도 6에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40)에 신호를 전달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구성이 블럭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remote control)은 리모컨제어부(270)와 송신부(272) 및 입력부(27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74)는 리모컨(remote control)의 각종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통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부분이며, 상기 송신부(272)는 이러한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 송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리모컨제어부(270)는 상기 입력부(274)와 송신부(272)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입력부(27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가공/변환하여 상기 송신부(272)를 통해 신호가 상기 리모컨수신부(14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7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드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256)에 의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는 크게 공기 조화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대기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대기모드(300)와, 공기조화 기능이 수행중임을 표시하는 운전모드(320)와, 다양한 기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기능선택모드(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모드(300)는,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화면오프모드(302),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모드(304),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사용자설정모드(3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의 하나가 공기조화기가 출시될 때 일반적으로 셋팅 (setting)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셋팅(setting)된 대기모드(300)가 부팅되어 표시된다.
물론, 상기의 대기모드(300)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setting)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의 화면오프모드(302)와 시계모드(304), 화면보호모드(306) 그리고 사용자설정모드(308)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booting)시 표시수단(256)를 통해 디스플레이창(120)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화면오프모드(302)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계모드(304)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현재의 시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각 외에 년월이 함께 표시되며,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이 동시에 표시되기도 한다.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면보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이는 일명 '스크린세이브(screen save)'라고도 불리는 화면보호기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화면보호모드(306)는 컴퓨터에 널리 사용되는 화면보호기가 실행되는 화면과 동일하다.
상기 사용자설정모드(308)는 사용자가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나 가족의 사진 또는 자신의 캐릭터를 임의로 미리 셋팅(setting)해 놓고, 이러한 셋팅(setting)된 이미지가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운전모드(320)는 상기 대기모드(300) 상태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를 입력하여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는 경우에 상기 표시수단(256)를 통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면, 상기 운전모드(320)를 구성하는 실사운전모드(322), 사용자운전모드(324) 그리고 캐릭터운전모드(326)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실사운전모드(322)는 상기 메인메모리(202)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실물 영상(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물 영상은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운전모드(324)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업로드시킨 다음, 이러한 업로드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캐릭터운전모드(326)는 미리 저장된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모드로, 이러한 캐릭터는 정지된 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적인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캐릭터운전모드(326)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는 스키를 타는 캐릭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모드(320)는 다른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키 (Key)가 입력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모드(320)에서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300)로 다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자동청소(310) 기능이 수행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자동청소(310) 기능은 미리 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운전모드(320)는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운전모드(32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종료되어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즉, 다시 상기 운전모드(320)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로는 운전/부가기능(342)과 앨범기능(344) 등이 있다.
상기 운전/부가기능(34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앨범기능(344)은 다양한 사진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기능에서는 냉방이나 제습 등의 공기조화기 사용상태의 선택과 풍량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각 모드 시행중에 팝업기능(360)이 추가로 수행되기도 한다. 상기 팝업기능(360)은 상기 각 모드의 실행중에 공기조화기의 에러 상태나 입력키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다양한 팝업창을 띄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러한 기능선택모드(340)도 상기의 운전모드(320)에서와 같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기능선택모드(340)가 실행된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아무런 실행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화면보호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화면보호모드(306)로 전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모드의 실행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상기의 대기모드(300), 운전모드(320), 그리고 기능선택모드(340)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250)는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400).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대기모드(300)를 실행하게 되고(S410),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공기조화기가 작동된다(S421). 즉 상기 메인제어부(200)에서 상기 실내기모터(216)와 실외기모터(218) 등의 공기조화 부품을 작동시켜 실내공간의 공기조화를 실행하게 된다(S421).
반면,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도 판단한다(S430). 판단결과 상기 플라즈마키(137) 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러한 입력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한다. 따라서 공기청정 기능이 실행된다(S432).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종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34), 종료키가 입력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메인제어부(2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된다(S436). 이때 상기 종료키는 상기 플라즈마키(137)의 입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한번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작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플라즈마키(137)를 누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70)가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S4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20)에 운전모드(320)가 실행된다(S440).
운전모드가 실행되면(S44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46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좌측키(138) 또는 우측키(139)와 같은 기능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능키가 입력된 경우(S462)에는 상기 기능선택모드(340)를 실행시키고(S48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4).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46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6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 행된다(S47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가 입력되면(S472), 종료한다(S474).
상기에서 기능선택모드가 실행되면(S480),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는 시간을 다시 셋팅한다. 즉 시간 'T=0'로 셋팅한다(S530).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를 통해 상기 우측키(139, 여기서는 '기능닫기키'로 사용됨)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2).
상기 '기능닫기키', 즉 상기 우측키(139)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운전모드 실행 화면으로 복귀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34).
이때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메모리(252)에 저장된 시간값(T)을 읽어들인다(S536). 그리고 이러한 시간값(T)이 상기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시간설정값(예, 5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38).
판단결과, 시간값(T)이 시간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가 실행된다(S540). 그리고 이러한 화면보호모드(306)는 임의의 키(Key)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542) 키(Key)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보호모드(306)를 종료한다(S544).
한편, 상기의 S464 단계와 S534 단계에서 상기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정지키(132)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메인제어부(200)가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킨다. 즉, 공기조화 기능의 실행을 정지한다.(S550)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자동청소를 수행한다(S552). 물론 이 기능은 미리 설정된 경우에 행한다.
그 다음, 전원차단 여부를 판단하여(S560),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 실행이 모두 종료(S570)되고, 전원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대기모드 실행화면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를 구현하는 표시수단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창을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상태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영상(아바타)과 음향 등이 외부로 표출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외에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변경이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하나의 제어부에서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제어 및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모두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제어부가 구비되므로,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내용 변경시에는 디스플레이제어부의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개발공수 및 개발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즉, 다수의 디스플레이제어부 중 일부를 선택하여 메인제어부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제어부에 여러 모델군의 메인제어부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공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11)

  1.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조화기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영상)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메인제어부를 거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이차원(2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는,
    상기 표시수단에 삼차원(3D)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구현되는 영상이나 메세지(Message)에 따라 각기 다른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부의 일측에는,
    상기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아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수단의 일측에는,
    음향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엘시디(LC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유기이엘(EL)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52355A 2005-06-17 2005-06-17 공기조화기 KR10078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55A KR100788513B1 (ko) 2005-06-17 2005-06-17 공기조화기
PCT/KR2006/002211 WO2006135167A2 (en) 2005-06-17 2006-06-09 Air-conditioner
EP06768812.7A EP1891381B1 (en) 2005-06-17 2006-06-09 Air-conditioner
CN200610093740XA CN1880869B (zh) 2005-06-17 2006-06-16 空调器
CNU2006201212249U CN200989645Y (zh) 2005-06-17 2006-06-16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55A KR100788513B1 (ko) 2005-06-17 2005-06-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171A true KR20060132171A (ko) 2006-12-21
KR100788513B1 KR100788513B1 (ko) 2007-12-24

Family

ID=3751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355A KR100788513B1 (ko) 2005-06-17 2005-06-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88513B1 (ko)
CN (2) CN200989645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513B1 (ko) * 2005-06-17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802520B (zh) * 2007-09-18 2012-09-05 开利公司 用于空调单元的遥控器
KR20140046679A (ko) * 2012-10-10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486703A (zh) * 2013-10-22 2014-01-01 王娟 智能空调控制器组件
JP6266966B2 (ja) * 2013-12-06 2018-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5276767A (zh) * 2015-11-03 2016-0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空调遥控器及空调系统
EP3667192B1 (en) * 2017-08-28 2022-03-16 Daikin Industries, Ltd. Air-conditio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33A (zh) * 1994-12-28 1996-07-03 南海市志高空调电器厂 带语音装置的空调机
CN2244693Y (zh) * 1995-08-15 1997-01-08 林泰铭 空调用微电脑控制器
JP3110339B2 (ja) * 1997-02-28 2000-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電源線の配線方法
CN2697517Y (zh) * 2003-11-07 2005-05-04 刘志科 分体式空调室内机的气密封装置
KR100626444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8513B1 (ko) * 2005-06-17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0989645Y (zh) 2007-12-12
CN1880869B (zh) 2013-07-03
CN1880869A (zh) 2006-12-20
KR100788513B1 (ko)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1381B1 (en) Air-conditioner
KR100788513B1 (ko) 공기조화기
KR101188478B1 (ko) 공기조화기
KR101216261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88834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KR20070080291A (ko)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KR100788514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070080293A (ko)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에서의 기념일 표시 방법
KR100788512B1 (ko) 앨범 내장형 공기조화기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70088837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방법
KR20070018454A (ko) 공기조화기
EP1888973B1 (en) Air-conditioner
KR1012216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1455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22228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65575B1 (ko) 공기조화기
KR10077642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1920197A2 (en) Air conditioner
KR101221705B1 (ko) 공기조화기
KR101188514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7003044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888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60131109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1463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