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561A -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561A
KR20060129561A KR1020050048176A KR20050048176A KR20060129561A KR 20060129561 A KR20060129561 A KR 20060129561A KR 1020050048176 A KR1020050048176 A KR 1020050048176A KR 20050048176 A KR20050048176 A KR 20050048176A KR 20060129561 A KR20060129561 A KR 2006012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
codec
audio
reverber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윤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561A/en
Priority to CNA2006100729731A priority patent/CN1878290A/en
Publication of KR2006012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5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elect a reverberation factor as a sound mode of a stereo reverberator, thereby providing the same feeling as talking over the phone with the other party at a place, determined by the user, to the user. A CODEC(Coder/Decoder) divides a received packet data into image data and voice data, respectively decodes the image and voice data by an audio CODEC(142) and video CODEC within the codec, and performs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the voice data according to a reverberation factor inputted by a user. The audio CODEC(142) includes a voice decoder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 stereo reverberator(220) for performing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factor that the user selects, and a D/A(Digital-to-Analog) converter(230) for converting output of the stereo reverberator(220) into digital or analog output.

Description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코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dio codec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잔향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reo reverb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잔향 메뉴를 나타내는 화면의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 stereo reverber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코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dio codec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RF 송수신부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F transceiver

120 : 키입력부 130 : 중앙제어부120: key input unit 130: central control unit

140 : 코덱 142 : 오디오 코덱140: codec 142: audio codec

144 : 비디오 코덱 150 : 음성출력부144: video codec 150: audio output unit

152 : 음성입력부 160 : 화상출력부152: voice input unit 160: image output unit

162 : 화상입력부 170 : 저장부162: image input unit 170: storage unit

200 : AMR 코덱 210 : AAC 코덱200: AMR codec 210: AAC codec

220 : 스테레오 잔향기 230 : D/A 컨버터220: Stereo Reverberator 230: D / A Converter

본 발명은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레오 잔향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보다 현장감 있게 구현할 수 있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apable of realiz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using a stereo reverberator.

종래의 PV(Packet Video)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코덱에 의해 비디오 비트 스트리밍, 즉,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즉,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여 각각 복호화한다.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acket video (PV),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a streaming server (not shown) is divided into video bit streaming, that is, video data and audio bit streaming, that is, voice data, by a codec. Decrypt each.

이러한 종래의 코덱은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디오 코덱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Such a conventional codec is composed of a video codec for decoding image data and an audio codec for decoding audio data.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코덱(54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dio codec 542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오디오 코덱(542)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AMR(Adaptive Multi Rate) 코덱(600)과,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AAC(Advanced Audio Coding) 코덱(610)과, 복호화된 로데이터(raw data)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D/A 컨버터(630)로 구성된다.The audio codec 542 includes an Adaptive Multi Rate (AMR) codec 600 for decoding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Advanced Audio Coding (AAC) codec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except for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610 and a D / A converter 630 for digital-analog converting the decoded raw data.

AMR 코덱(600)은 디지털 이동통신에서의 비트 오류에 따른 통화음질의 저하를 개선한 것으로, 허용된 비트중에서 음성 압축을 위한 비트와 채널 부호화를 위한 비트를 비트 오류의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전체 음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The AMR codec 600 improves the degradation of voice quality due to a bit error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he AMR codec 600 variably adjusts bits for speech compression and bits for channel encoding among the allowed bi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it error. The method is to improve the overall sound quality.

즉, AMR 코덱(600)은 비트 오류가 많은 환경에서는 채널 부호화에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많은 비트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하고, 비트 오류가 적은 환경에서는 음성 압축기에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음성 압축 성능을 향상시킨다.That is, the AMR codec 600 allocates many bits to channel coding in an environment having a lot of bit errors to correct many bits, and improves speech compression performance by allocating many bits to a voice compressor in an environment having few bit errors. Let's do it.

상기와 같은 가변 부호화율은 예를 들면, 4.75, 5,15, 5,9, 6,7, 7.4, 7.95, 10.2, 12.2kbps의 8종류 중 무선망의 제어에 따라 한가지로 선택된다.The above-mentioned variable coding rat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reless network from eight types of, for example, 4.75, 5, 15, 5, 9, 6, 7, 7.4, 7.95, 10.2, and 12.2 kbps.

AAC 코덱(610)은 음성 압축 방식의 하나인 AAC 방식을 사용하며, 압축률은 높지만, 음질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음악과 같은 음성이외의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한다. The AAC codec 610 uses the AAC method, which is one of the voice compression methods, and decodes an audio signal other than voice such as music because the compression ratio is high but the sound quality is somewhat deteriorated.

D/A 컨버터(630)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550)로 입력한다.The D / A converter 630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to input the voice output unit 550 to outpu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디오 코덱(542)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코덱에서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구분되고, 이와 같이 구분된 음성 데이터, 즉,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은 오디오 코덱(542)으로 입력된다. The operation of the audio codec 54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packet data received from a streaming server (not shown) is divided into image data and audio data in a codec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data, i.e., audio bit streaming, is input to the audio codec 542.

오디오 코덱(542)로 입력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보코더(vocoder)인 AMR 코덱(600)에 의해 복호화되고, 음성이외의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는 AAC 코덱(610)에 의해 복호화된다.The audio signal of the other party of the audio bit stream input to the audio codec 542 is decoded by the AMR codec 600 which is a vocoder, and the audio signal such as music other than the voice is decoded by the AAC codec 610. .

이와 같이 복호화된 로데이터는 D/A 컨버터(63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과 같은 음성출력부(550)를 통하여 출력된다. The decoded raw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630, and the converted analog signal is output through a voice output unit 550 such as a speaker or earphon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에 따른 음성 및 배경음과 같은 음향의 잔향 형상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므로 상대방과의 통화에 있어서 현장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effectively reflect the reverberation shape of sound such as voice and background sou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other party is loca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ence of the scene is decreased in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테레오 잔향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화상통화를 보다 현장감 있게 구현할 수 있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that can more realistically implement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using a stereo reverb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킷 비디오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여 그 내부의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코덱에 의해 각각 복호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잔향 팩터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의 스테레오 잔향 처리를 수행하는 코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acket video transmission, the received packet data is separated into image data and audio data, and decoded by an audio codec and a video codec therein, respectively, And a codec for performing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the voice data according to the reverberation factor input by the digital reverberation fa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디오 코덱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복호 화하는 음성 복호기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팩터에 따라 스테레오 잔향 처리하는 스테레오 잔향기와; 상기 스테레오 잔향기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audio codec includes: a voice decoder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A stereo reverberator for stereo reverberating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a user selected factor; And a D / A converter for digital-analog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stereo reverberator.

상기 음성 복호기는 상기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AMR 코덱과; 음성 이외의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AAC 코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ech decoder includes an AMR codec for decoding the speech sig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AC codec for decoding audio signals other than vo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팩터는 상기 스테레오 잔향기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사운드 모드이다.Preferably, the factor is the sound mode to be processed in the stereo reverberator.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코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dio codec of FIG.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대방측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RF 송수신부(110)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부(120)와, 상대방측의 음성 데이터의 스테레오 잔향처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30)와, 음성신호 및 화상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코덱(140)과, 수신된 상대방측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50)와,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152)와, 상대방측의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출력부(160)와, 사용자의 화상신호가 입력되는 화상입력부(162)와, 스테레오 잔향 팩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70)로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ntrols the RF receiving unit 110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a base station, a key input unit 120 input by a user, and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A central control unit 130, a codec 140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and image signals, a voice output unit 150 for outputt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and a voice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152, an image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the image signal of the other party, an image input unit 162 for inputting the user's image signal, and a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the stereo reverberation factor.

RF 송수신부(1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RF transceiver 110 is connected to a streaming server (not show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packet data.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스테레오 잔향 처리의 팩터가 입력되는데, 이와 같은 팩터는 스테레오 잔향기(220)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사운드 모드이다. The key input unit 120 receives a factor of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by the user, and this factor is a sound mode to be processed by the stereo reverberator 220.

즉, 상기 팩터는 상대방이 통화하는 장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감 또는 생동감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팩터는 교회, 회의실, 재즈클럽, 콘서트홀, 야구장과 같은 사운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facto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other party talks and implements realism or liveliness. For example, the factor may select a sound mode such as a church, a conference room, a jazz club, a concert hall, and a baseball field.

중앙제어부(130)는 키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스테레오 잔향 팩터를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설정된 팩터에 따라 RF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테레오 잔향 처리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controller 130 stores the stereo reverberation factor se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20 in the storage unit 170, and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from the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0 according to the set factor. To control the reverberation stereo.

코덱(140)은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 및 부호화하는 비디오 코덱(144)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 및 부호화하는 오디오 코덱(142)으로 구성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여 비디오 코덱(144)과 오디오 코덱(142)에 의해 각각 복호화한다.The codec 140 is composed of a video codec 144 for decoding and encoding image data, and an audio codec 142 for decoding and encoding audio data. The codec 140 separates the received packet data into image data and audio data. 144 and audio codec 142 respectively decode.

또한, 코덱(140)은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잔향 팩터에 따라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스테레오 잔향 처리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dec 140 performs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the received voice data according to the reverberation factor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20 by the user.

한편, 잔향이란 실내의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벽, 천장, 마루 등의 주변 장애물에 의해 여러번 반사됨으로써, 옥외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비교하면 그 세기가 강해져서, 음원으로부터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시간 동안 그 소리가 지속적으로 들리는 현상을 일컫는다.On the other hand, reverberation means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in the room is reflected by obstacles such as walls, ceilings, and floors several times, so that the intensity is stronger compared to the sound generated in the open air, and no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I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ound is continuously heard for a certain time.

본 발명은 이러한 잔향 효과를 이용하여, 보다 생동감 있고 현장감 있게 상대방과 통화하거나, 상대방이 특정 장소에서 통화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reverberation effect to provide the user with a feeling of mak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more lively and realistically, or having the other party call at a specific plac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대방이 교회에서 통화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고 싶은 경우에 잔향 처리 팩터를 교회로 선택하면, 상대방의 음원 데이터, 즉, 수신된 패킷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가 교회 팩터를 입력 파라미터로 하여 스테레오 잔향기(220)에 의하여 처리됨으로써, 상대방이 교회에서 통화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the reverberation processing factor as a church when the user wants to feel as if the other party is talking in the church,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s sound source data, that is, the received packet data, is used as the input parameter. By being processed by the stereo reverberator 220, the user can feel as if the other party is talking in the church.

상기와 같은 스테레오 잔향 처리는 오디오 코덱(142)에 의해 구현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코덱(142)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중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AMR 코덱(200)과, 음성신호 이외의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AAC 코덱(210)과,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한 팩터에 따라 스테레오 잔향 처리하는 스테레오 잔향기(220)와, 스테레오 잔향기(220)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한다. The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by the audio codec 142. As shown in FIG. 2, the audio codec 142 includes an AMR codec 200 which decodes a voice signal of a counterpart of received voice data; Digital-to-analog conversion of the output of the AAC codec 210 for decoding audio signals other than the audio signal, the stereo reverberator 220 for stereo reverberation of voice data according to a factor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stereo reverberator 220 It includes a D / A converter.

AMR 코덱(200)은 상대방측의 AMR 코덱에서 사용된 가변 부호화율에 따라 오디오 코덱(142)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즉, 음성 데이터 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복호화한다. The AMR codec 200 decodes the audio sig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audio bitstream, that is, the audio data, input to the audio codec 142 according to the variable coding rate used in the AMR codec of the other party.

AAC 코덱(210)은 음성 압축 방식의 하나인 AAC 방식을 사용하여 음악과 같은 상대방의 음성신호이외의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한다. The AAC codec 210 decodes an audio signal other than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such as music using the AAC method, which is one of voice compression methods.

스테레오 잔향기(220)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잔향 팩 터에 따라 저장부(170)에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대방측의 음성 데이터를 잔향 처리한다.The stereo reverberator 220 reverberates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by inputting a paramete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the reverberation factor input by the user from the key input unit 120.

상기와 같은 잔향 처리는 잔향 팩터, 즉, 선택된 장소에 따른 잔향 파라미터를 입력으로 하여 처리되는데,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가 주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지연시간을 장소의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이다.The reverberation process is processed by inputting a reverberation factor, that is, a reverberation parameter according to a selected place. For example, the reverberation process includes a delay time at which a sound generated from a sound source is reflected by a nearby obstacle and is returned. Is a preset parameter.

D/A 컨버터(230)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잔향 처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550)로 입력한다.The D / A converter 230 converts the reverberated digital voice data into analog voice data to input the voice output unit 550 to output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음성출력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의 장치로서, RF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어 오디오 코덱(142)에서 처리된 상대방측의 음성신호가 출력된다.The voice output unit 150 is a device such as a speaker or ear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output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0 and processed by the audio codec 142.

음성입력부(15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마이크 연결부로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대방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오디오 코덱(142)으로 출력한다.The voice input unit 152 is a microphone connec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audio codec 142 for transmission to the other party.

화상출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LCD와 같은 장치로서, RF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어 비디오 코덱(144)에서 처리된 상대방측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The image output unit 160 is a device such as an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outputs an image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0 and processed by the video codec 144.

화상입력부(16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와 같은 이미지 센서로서, 사용자측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상대방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비디오 코덱(144)으로 출력한다.The image input unit 162 is an image sensor such as a camera le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of the user side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video codec 144 for transmission to the counterpart side.

저장부(170)는 키입력부(120)에 따라 입력되는 스테레오 잔향 처리의 설정, 즉, 잔향 처리 팩터와 이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잔향기의 파라미터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70 stores the setting of the stereo reverberation proces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20, that is, the reverberation processing factor and the parameters of the stereo reverberator corresponding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ving the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코덱에서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구분되고, 이와 같이 구분된 음성 데이터, 즉,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은 오디오 코덱(142)으로 입력된다.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streaming server (not shown) is divided into image data and voice data in the code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divided voice data, that is, the audio bit streaming, is input to the audio codec 142. do.

오디오 코덱(142)으로 입력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보코더인 AMR 코덱(200)에 의해 복호화되고, 음성이외의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는 AAC 코덱(210)에 의해 복호화된다.The audio signal of the other party among the audio bit streams input to the audio codec 142 is decoded by the AMR codec 200 which is a vocoder, and the audio signal such as music other than the voice is decoded by the AAC codec 210.

상기와 같이 복호화된 로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잔향 팩터에 따라 스테레오 잔향기(220)에 의해 잔향 처리되는데, 이때, 스테레오 잔향기(22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잔향 팩터, 즉,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해당하는 잔향 파라미터를 입력으로 하여 잔향 처리된다 The raw data decoded as described above is reverberated by the stereo reverberator 220 according to the reverberation factor set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mode processed by the stereo reverberator 220 may be a reverberation factor set by the user. In this case, reverber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inputting a reverberation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desired location of the user.

잔향 처리된 로데이터는 D/A 컨버터(23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과 같은 음성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된다. The reverberated raw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230, and the converted analog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50 such as a speaker or earphone.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잔향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reo reverb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잔향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잔향 메뉴를 나타내는 화면의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reo reverb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llustrating a stereo reverber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RF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패킷 데이터가 코덱(140)에서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로 분리되고, 분리된 음성 데이터, 즉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이 오디오 코덱(142)으로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스테레오 잔향 방법이 개시된다.First, when packet data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0 is separated into audio data and image data by the codec 140, and the separated voice data, that is, the audio bit stream is input to the audio codec 142, mobile communication. A stereo reverb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10 is disclosed.

이때, 사용자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잔형기능을 사용할지의 여부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레오 잔향 메뉴를 입력하면, 해당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LCD와 같은 화상출력부(160)에 디스플레이된다. 스테레오 잔향 메뉴중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배경 장소, 즉 잔향 팩터를 선택하면, 중앙제어부(130)는 상기 선택된 잔향 팩터와 그에 해당하는 잔향 파라미터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In this case, the user inputs whether to use the stereo residual function using the key input unit 120.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stereo reverberation menu as shown in FIG. 4,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160 such as the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the user selects a background location of the desired counterpart, ie, a reverberation factor, from the stereo reverberation menu, the central controller 130 stores the selected reverberation factor and a corresponding reverberation parameter in the storage unit 170.

단계 S301에서, 오디오 코덱(142)은 수신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이 음성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음성신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02로 진행하여 수신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In step S301, the audio codec 142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audio bit streaming is a voice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audio bit stream is a voice signal, proceeds to step S302 to decode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received audio bit streaming. .

단계 S301의 판단결과, 오디오 코덱(142)이 수신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이 음성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오디오 비트 스트리밍 중에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1 that the audio codec 142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audio bit streaming is not a voice sign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3 to decode the audio signal except for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from the received audio bit streaming. .

단계 S304에서, 오디오 코덱(142)은 스테레오 잔향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스테레오 잔향기능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테레오 잔향처 리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 S307로 진행한다.In step S304, the audio codec 142 determines whether the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is selec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is not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7 without performing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단계 S304의 판단결과, 오디오 코덱(142)이 스테레오 잔향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05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잔향 팩터를 검색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audio codec 142 determines that the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5 to search for the reverberation factor set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대방의 통화 배경 장소로서 선택하고자 하는 장소 중 하나, 즉, 교회를 그 잔향 팩터로서 선택한 경우, 오디오 코덱(142)은 교회 팩터 및 그에 해당하는 잔향 파라미터를 저장부(170)에서 검색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aces that the user wants to select as the other party's call background place, that is, the church as the reverberation factor, the audio codec 142 may use the church factor and the corresponding factor. The reverberation parameter is retrieved from the storage unit 170.

단계 S306에서, 스테레오 잔향기(220)는 검색된 잔향 팩터 및 그에 해당하는 잔향 파라미터를 입력으로 하여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현장감 있고 생동감 있게 출력하도록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잔향 처리한다.In step S306, the stereo reverberator 220 reverberates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output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 a realistic and lively manner by inputting the found reverberation factor and the corresponding reverberation parameter.

단계 S307에서, D/A 컨버터(230)는 잔향 처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150)로 입력한다.In step S307, the D / A converter 230 converts the reverberated digital voice data into analog voice data and inputs it to the voice output unit 150.

단계 S308에서, 음성출력부(15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생동감 있고 현장감 있게 출력한다.In step S308, the voice output unit 150 outputs the voice data of the digital-analog converted counterpart lively and realistically.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스테레오 잔향처리 방법이 종료된다.In this manner, the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d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테레오 잔향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통화를 보다 현장감 있고 생동감 있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 more realistically and vividly using the stereo reverberato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테레오 잔향기의 사운드 모드를 잔향 팩터로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에서 상대방이 통화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the sound mode of the stereo reverberator as the reverberation factor, so that the user may feel as if the other party is talking in the designated place.

Claims (4)

패킷 비디오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acket video,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여 그 내부의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코덱에 의해 각각 복호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잔향 팩터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의 스테레오 잔향 처리를 수행하는 코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dec which separates the received packet data into image data and audio data, decodes the audio data and the video codec respectively, and performs stereo reverberation processing of the audio data according to a reverberation factor input by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디오 코덱은,The audio codec,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음성 복호기와;A voice decoder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상기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팩터에 따라 스테레오 잔향 처리하는 스테레오 잔향기와;A stereo reverberator for stereo reverberating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a user selected factor; 상기 스테레오 잔향기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 / A converter for digital-analog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stereo reverber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성 복호기는,The voice decoder, 상기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AMR(Adaptive Multi Rate) 코덱과; An adaptive multi rate (AMR) codec for decoding the speech signal; 음성 이외의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는 AAC(Advanced Audio Coding)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omprising an AAC (Advanced Audio Coding) codec for decoding audio signals other than vo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팩터는 상기 스테레오 잔향기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사운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잔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acto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mode to be processed in the stereo reverberator.
KR1020050048176A 2005-06-07 2005-06-07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KR2006012956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176A KR20060129561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NA2006100729731A CN1878290A (en) 2005-06-07 2006-04-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ereo sound reverber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176A KR20060129561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561A true KR20060129561A (en) 2006-12-18

Family

ID=3751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176A KR20060129561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29561A (en)
CN (1) CN187829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8290A (en)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89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layers of encoded audio signals for teleconferencing
TWI700687B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coding, decoding, scene processing and other procedures related to dirac based spatial audio coding
JP5249354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136240A (en) Portable telephone set for hearing correction type
KR20090080945A (en)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objects
EP3803858A1 (en) Spatial audio parameter merging
US20220254355A1 (en) MASA with Embedded Near-Far Stereo for Mobile Devices
JP20225515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encoding
EP155585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nd storing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in communication terminal
RU2477532C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 and reproducing sound
GB2582910A (en) Audio codec extension
CN114067810A (en) Audio signal rendering method and device
US7308325B2 (en) Audio system
CN110891216A (en) Earphone device
KR20060129561A (en) Mobile phone having stereo reverberation function
KR100547701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Audible Output Switching And Method of Audible Processing for Concurrent Service According to it
JP2005039461A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and voice reproducing device
CN111385780A (en) Bluetooth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4354841A1 (en) Conference calls
US20230188924A1 (en) Spatial Audio Object Positional Distribution within Spatial Audio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084225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Repositioning Spatial Audio Streams
JP7316384B2 (en)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JP2010109609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sound effect
US20240137728A1 (en) Generating Parametric Spatial Audio Representations
US202201039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dio ducking for head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