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016A - 버너 헤드 및 버너 - Google Patents

버너 헤드 및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016A
KR20060129016A KR1020067016177A KR20067016177A KR20060129016A KR 20060129016 A KR20060129016 A KR 20060129016A KR 1020067016177 A KR1020067016177 A KR 1020067016177A KR 20067016177 A KR20067016177 A KR 20067016177A KR 20060129016 A KR20060129016 A KR 20060129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head
fuel
wire
ignition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렌스 존 모리스
Original Assignee
엔에이-스토디 컴버스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스토디 컴버스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엔에이-스토디 컴버스쳔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6701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016A/ko
Publication of KR2006012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는 연료 입구와 연료가 관통 유동하여 연소되는 점화부를 구비한다. 점화부는 그 사이에 연장된 연료 유동 통로를 구비한 이격된 복수의 연장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격된 연장된 구성 요소는 와이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는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연료 유동 통로를 관통하여 유동함에 따라 연료 유동 통로가 넓어지도록 배향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웨지 와이어이다.
버너, 버너 헤드, 점화부, 연료 유동 통로, 웨지 와이어

Description

버너 헤드 및 버너{Burner Heads and Burners}
본 발명은 기체, 증발된 액체, 또는 예비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소 가능한 분쇄/미세화된 고체 형태의 연료를 연소하기 위한 버너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런 연료에 대한 많은 형태의 버너 및 버너 헤드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버너 헤드의 형태는 요구되는 플레임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단순한 단일 플레임이 요구된다면 노즐을 구비하고, 긴 플레임이 요구된다면 길이를 따라 복수의 구멍을 갖는 튜브를 구비할 수 있다.
버너 헤드의 형태라면 무엇이든지 간에, 정확하게 기능하는 경우, 생성되는 플레임이 요구되는 범용하고 안정된 것인지, 그리고 플래시 백의 위험은 낮은지가 중요하다. 많은 종래 형태의 버너에 대해서는, 이런 기준이 만족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완화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버너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연료 입구 및 연료가 관통 유동하여 연소될 점화부를 구비하고, 점화부는 그 사이에 연장된 연료 유동 통로를 갖는 복수의 이격된 연장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버너 헤드가 제공된다.
편리하게는 복수의 이격된 연장된 구성 요소들은 와이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는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관통 유동함에 따라 연료 유동 통로가 넓어지도록 배향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웨지 와이어이다. 다르게는, 와이어는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관통 유동함에 따라 연료 유동 통로가 내향으로 좁아지도록 배향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웨지 와이어이다.
점화부는 관형일 수 있고, 관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에 고정된 나선으로 권취된 와이어로 형성되거나, 관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에 고정된 와이어의 링으로 형성되거나, 관 둘레에 연장된 원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와이어의 직선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관 내에 위치되거나 다르게는 관의 외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점화부가 관인 경우에는 평행한 측면을 가지거나 길이의 부분 또는 전체를 따라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점화부는 평면이고 제1 방향으로 정렬된 와이어의 직선편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에 사실상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정렬된 직선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점화부는 소정의 연료 통로 또는 연료 통로의 소정의 길이를 차폐함으로써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이 차폐는 세라믹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는 복수의 점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버너 헤드를 갖는 버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와 버너 헤드를 결합한 버너의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1은 고온 공기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종류의 종래의 버너 헤드를 결합한 종래의 버너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를 결합한 도1과 같은 종래의 버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신규한 버너 헤드의 관 부분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버너 헤드의 관 부분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e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6a는 측단면도이고, 도6b는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6c는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6d는 측면도이고, 도6e는 평면도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7a는 측단면도이고, 도7b는 단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9a는 단부 부분 단면도이고, 도9b는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제5 변형예를 결합한 도1과 동일한 종래의 버너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1을 참조하면, 고온 기체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버너(10)는 연료 공급 파이프(14)를 통해 버너 헤드(16)로 이어지는 연료 입구(12)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 파이프(14)는 제1 챔버(18)의 가운데를 통과하여 혼합 챔버(20)로 이어지고 , 버너 헤드(16)는 제1 챔버(18)와의 연결부에 인접하여 혼합 챔버(20) 내에 위치된다. 제1 챔버(18)는 공기 입구(22)를 갖고, 혼합 챔버(20)는 고온 기체 출구(24)를 갖는다.
버너(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연료가 연료 입구(12)를 통해 도입되고 연료 공급 파이프(14)를 통해 버너 헤드(16)를 지나 그 외측에서 연소된다. 동시에 공기가 공기 입구(22)를 통해 도입되고 제1 챔버(18)를 통과하여 버너 헤드(16)를 지나 혼합 챔버(20)로 유동한다. 그에 따라 공기는 버너 헤드(16)에서부터 연료와 혼합되고 연소되어 고온 기체 출구(24)를 통해 버너(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고온 기체(배기 생성물)를 생성한다.
종래의 버너 헤드(16)는 그 주변 둘레에 복수의 구멍(16b)을 갖는 원통형 부분(16a)을 구비하는데, 연료는 버너 헤드(16)의 외측에서 연소되기 위해 그런 형태의 연료 통로를 통해 관통한다. 버너 헤드(16)는 또한 구멍(16b)의 상류에 거의 원뿔형인 배플부(16c)를 포함하여, 공기가 플레임을 지나칠 정도로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플부(16c)는 혼합 챔버(20)의 축에 거의 평행하게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공통된 부품이 유사하게 인용되어 있는 도2를 참조하면, 버너(30)가 도시되어 있다. 버너(10)와 비교하여 유일한 차이점은 종래의 버너 헤드(16)가 신 규한 버너 헤드(32)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연료 공급 파이프(14)는 제1 챔버(18)와 혼합 챔버(20)의 결합부 근방의 그 단부에 커넥터(34)를 갖는다. 버너 헤드(32)는 커넥터(34)에 끼워 맞춤된다.
버너 헤드(32)는 관부(32a)와 단부 캡(32b)을 포함한다. 관부(32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6)로 형성된다. 와이어(36)는 나선으로 권취되고 용접에 의해 관(32)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통상 6개(더 많거나 적을 수 있음)의 지지 부재(38)에 고정되지만, 이것은 나선이 아닌 일련의 와이어의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회의 나선 또는 링은 와이어(36)의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연료 통로(40)를 제공하도록 그 사이에 간극을 가지면서 지지 부재(38)에 고정된다. 와이어(36)는 "웨지" 와이어로 알려진 삼각형 단면의 것이어서, 연료 통로(40)는 그 시작부에서 가장 좁고 연료가 연소되는 위치로 유동함에 따라, 이 경우에는 방사상 외향 방향으로 관부(32)의 외부로 유동함에 따라 넓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의 관부의 구조에 대한 다른 변형예가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4는 연료가 방사상 내향 방향으로 유동하여 그 외측이 아닌 관부 내에서 연소되고, 웨지 와이어(36')의 연장된 부분은 삼각형 단면으로 정렬되어 연료 통로(40')가 그 방향으로의 연료 유동을 위해 더 넓어지게 되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지지 부재(38")가 관부의 내측이 아닌 외측 상에 위치되고, 관부는 관의 원주 방향이 아닌 축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36")의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지지 부재(40")는 직선 부재가 아닌 링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성 방식은 버너 헤드가 장착될 적용예에 대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는 관부 없이 그 대신에 긴 직선 연료 통로가 사이에 제공되면서 직선 지지 부재에 고정된 복수의 직선의 연장된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편평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은 평면 점화 영역 및 그에 따른 플레임 시트를 제공한다. 실제로 버너 헤드는 임의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를 수도 있다.
연료의 연소가 발생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더의 부분들은 그 사이에 복수의 연장된 연료 통로를 제공하도록 지지 부재에 고정된 와이어의 복수의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편의상 점화부라 칭한다. 이들은 이하에서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웨지 와이어로 형성된 전체 영역 또는 그 영역의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 통로(40, 40' 또는 40")는 1 내지 1000 마이크론 범위 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연료 통로는 점화부에 걸쳐서는 일정한 폭일 수 있고, 예컨대 (입구로부터 멀수록 더 큰 연료압을 보상하도록) 길이를 따라 일정한 열 출력 또는 점진적인 열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원통형 버너 헤드의 길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웨지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버너 헤드를 형성할 때 특히 편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점화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웨지 와이어(36, 36', 36")가 사실상 삼각형 단면인 것으로 전술되었지만,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료가 연소될 위치로 관통하여 유동함에 따라 연료 통로가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통로에 대한 좁은 시작부는 높은 연료 배출 속도를 제공하고 플래 시 백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연료 통로의 폭이 증가한다는 것은 버너 헤드에 인접한 플레임 보유부 내에서 연료가 매우 신속하게 감속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형태의 버너 헤드의 사용은 플래시 백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신뢰할 수 있는 안정된 플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는 버너 헤드는 다른 방식으로 웨지 와이어에 의해 둘레에 구성되어서, 연료 통로가 연료가 관통하여 유동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좁아질 수 있다.
도6a 내지 도6e를 참조하면, 바 버너 헤드(50)가 도시되어 있다. 바 버너 헤드(50)는 연료 입구(52), 입구 파이프(54) 및 커넥터(58)에 의해 테일 스톡에 연결된 관부(56)를 포함하고, 자유 단부에 단부 캡(60)을 구비한다. 관부(5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웨지 와이어(36)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웨지 와이어(36)는 다음과 같이 삼각형 기부의 폭이 0.2 mm, 삼각형의 높이가 0.45 mm인 치수를 갖는다. 와이어의 연장된 부분 사이에 연료 통로(40)는 그것의 가장 좁은 지점에서 폭이 0.05 mm이다.
버너 헤드(50)는 그 상부면의 일부 상에만 플레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세라믹 물질(62)이 관부(56)의 하부 반부를 차폐하여 점화부를 한정하도록 사용된다. 본 적용예에 대한 적절한 세라믹 물질은 상표명 "Fibremastic"하에 시판되고 있지만, 다른 물질이 관련된 적용예에 대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크 점화 파일럿이 제공된다. 이는 점화기/플레임 검출기(64)와 점화기/플레임 검출기(64) 아래에 관부(56) 상에 배치된 일편의 규소 탄화물 섬유 매트릭스로 형성된 파일럿 영역(66)을 포함한다. 관부(56)의 나머지 표면은 길이를 따라 세라믹 물질(62)로 차폐되고, 파일럿부(56a)라 한다. 버너 헤드(50)의 나머지 부분은, 길이의 일부를 따라 관부의 원주의 절반을 포함하고 플레임이 생성되는 점화부(56b)를 제공한다.
파일럿부(56a)에서, 연료는 연료 통로 그리고 규소 탄화물 섬유 매트릭스(66)를 통과하여, 점화기/플레임 검출기(64)에 의해 점화된다. 연료는 규소 탄화물 섬유 매트릭스(66) 내에 그리고 둘레에서 연소되고, 그에 따라 가열되고 적외선 내에 달아오르고, 이는 생성된 플레임을 방해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버너 헤드에 대해 파일럿으로 작용한다.
버너 헤드(50)에 대해, 2 mb 보다 작은 압력에서의 연료 또는 연료/공기 혼합물이 사용되어, 관부(56)가 0.2 m 직경을 가질 때 1.57 m 길이의 점화부(56b)에 의해 30 kW의 열 출력을 제공한다.
버너 헤드(50) 또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버너 헤드는 도시된 수평 배향으로, 또는 다르게는 수직 배향으로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정용, 상업용 또는 공업용으로 예컨대 가열, 건조, 요리, 브라우닝, 그슬림 또는 플레임 워싱을 위해 오븐, 노, 액체 급탕기, 배트 등의 직접 또는 간접 가열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70)의 제2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너 헤드(70)는 (도시되지 않은) 연료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해 둘레에 플랜지(74)를 갖는 연료 입구(72)를 포함한다. 연료 입구(72)는 니플(76)을 통해 환형 단면 플레넘 챔버(78)로 연장된다. 플레넘 챔버(78)는 중실 외벽(78a) 및 점화부를 제공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웨지 와이어(36')로부터 형성된 내벽(78b)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료 통로(40')는 플레넘 챔버(78)와 그 중심의 공간(80) 사이에 마련된다. 버너 헤드(70)에 의해 생성된 플레임은 원통형이고 공간(80) 내로 내향 배향된다. 필요에 따라 내면(78b)의 일부는 표면의 전체보다 작은 점화부를 제공하도록 차폐될 수 있다.
버너 헤드(70)는 도시된 수평 배향으로, 또는 다르게는 수직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건조, 요리, 브라우닝 또는 와이어, 바, 튜브, 식품 등의 플레임 워싱에 사용되기 적합하다.
도8을 참조하면, 버너(92)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90)의 제3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너(92)는 버너 헤드(90)의 연료 입구(96)로 연장된 연료 공급 파이프(94)를 갖는다. 버너 헤드(90)는 도3에 도시된 웨지 와이어(36)로 형성된 관부(98)와 배플(100)을 포함한다. 버너 헤드는 공기가 화살표(D)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단면 덕트(102)의 축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된다. 배플(100)은 공기 유동이 플레임을 칠링(chilling)하거나 불안정화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연료는 연료 공급 파이프(94)를 통해 버너 헤드(90)를 지나, 이 버너 헤드의 점화부를 형성하는 관부(98)의 연료 통로(40)를 통해 빠져 나가고, 버너 헤드(90) 상을 지나는 공기 기류 내에서 연소하며, 고온 공기는 필요에 따라 덕트(102) 외부로 빠져나간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플레임이 소정 방향으로만 제공되는 더 작은 점 화부를 형성하기 위해 관부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는데 세라믹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버너 헤드(90)는 도시된 수평 배향, 또는 수직 배향, 또는 도시된 공기 유동과 동축으로 제공되는 그 사이의 임의의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븐, 노, 액체 급탕기 또는 배트 등을 직간접적으로 가열하는데 사용하기 적절하다.
도9a 및 도9b를 참조하면, 버너(112)와 결합된 버너 헤드(110)의 제4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너(112)는 버너 헤드(110)의 연료 입구 파이프(116)에 연결된 연료 공급 파이프(114)를 갖는다. 버너 헤드(110)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플레넘 챔버(118)의 양 측면에 수평으로 배향된 복수의 관부(120)가 떨어져 나온 긴 플레넘 챔버(118)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부(120)는 일단부는 플레넘 챔버(118)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단부 캡(122)에 의해 밀봉되면서 도3에 도시된 웨지 와이어(36)로 형성된 관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관부의 길이는 점화부를 형성하고, 버너 헤드(110)의 전체 점화부는 커서 매우 높은 출력을 제공한다. 버너 헤드(110)는 원형 단면 덕트(124) 내에 위치하고, 그 중심에 인접하여 제공된 점화기(126)를 구비한다.
연료는 연료 입구 파이프(116)를 통해 연료 공급 파이프(114)로부터 플레넘 챔버(118)로 그후 관부(120)로 통과한다. 이는 연료 통로(40)를 통해 관부(120) 외부로 통과하고 관부(120)의 외측 상에서 화살표(E)로 도시된 덕트(124)를 통과하는 공기 내에서 연소하며, 고온 공기는 필요에 따라 덕트(124) 외부로 통과한다.
버너 헤드(110)는 연료가 버너 헤드(110)의 점화부에 근방에 인접하여 연소 하도록 적절한 기체 유동이 통과하는 덕트에 대해 정확하게 배향되고 그 내에 위치된 다른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VOCs. Odours 등의 직접 소각 및 가열, 건조 또는 공업적 처리 중의 플레임 워싱에 적절하다.
도10을 참조하면, 도1 및 도2의 버너와 유사하고 유사한 부품에 유사한 도면부호가 기재된 버너(130)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132)의 다른 형태로 결합되어 도시되어 있다. 버너 헤드(132)는 도3에 도시된 웨지 와이어(36)로 형성된 관부(132a)와 단부 캡(132b)을 포함한다. 관부(132a)는 입구 연료 공급 파이프(14)에 인접한 제1 점화부(132ab)와 단부 캡(132b)에 인접한 제2 점화부(132ac)를 빼고 혼합부를 제공하도록, 중간 섹션(132aa)을 따라 전체 원주 둘레에 적절한 세라믹 물질로 차폐된다.
버너 헤드(132)는 저감된 질소 산화물(NOx) 방출물을 생성하도록 다음과 같이 1차 및 2차 연료 분사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1차 연료 분사는 제공된 연료 중 적은 비율이 제1 점화부(132ab)에서 연료 통로를 통과할 때 발생하며, 버너 헤드(132)의 개시 때에 혼합 챔버(20) 내에 공기 내에서 연소된다. 이 연소는 버너 헤드(132)의 혼합부(132aa)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안정화된 NOx 양을 생성한다. 2차 연료 분사는 제공된 연료의 나머지가 제2 점화부(132ac)에서 연료 통로를 통과할 때 발생하며, 버너 헤드(132)의 단부에서 혼합 챔버(20) 내에서 연소된다. 연소 공기의 추가가 고온 기체 출구(24)에 인접한 혼합 챔버 내에서 발생함에 따라 연소가 완료되면서 이 2차 연료 분사는 가능한 오랫동안 연료가 농후한 환경을 유지한다.
재연소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종래에 공지되어 있지만, 이전에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쉽게 적용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광범위한 용도에서 더 간단하게 재연소 기술을 사용하는 더 간단한 적절한 버너 헤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제 기관에 의해 정해진 더욱더 낮은 방출물에 대한 요구를 쉽게 만족시킬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이고 더욱 환경 친화적인 버너 헤드가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버너 헤드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예들일 뿐이다. 예컨대, 관형 버너 헤드는 원통형이 아니라 원뿔형일 수 있고, 관의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점화부를 갖는 버너 헤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점화부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버너 헤드가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것보다 더 훨씬 더 복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는 거의 모든 종래의 버너 헤드와 교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무엇으로 구성되거나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이어지는 청구항 또는 첨부된 도면에 설명되고, 특정한 형식 또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나 개시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나 과정으로 표현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이런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범위한 용도에서 더 간단하게 재연소 기술을 사용하는 더 간단한 적절한 버너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규제 기관에 의해 정해진 더욱더 낮은 방출물에 대한 요구를 쉽게 만족시킬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이고 더욱 환경 친화적인 버너 헤드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6)

  1. 연료 입구(12)와 연료가 관통 유동하여 연소될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부는 그 사이에 연장된 연료 유동 통로(40; 40'; 40")를 구비한 이격된 복수의 연장된 구성 요소(36; 36'; 36")를 포함하는 버너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복수의 연장된 구성 요소(36; 36'; 36")는 와이어로 형성된 버너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연료 유동 통로(40; 40'; 40")를 관통하여 유동함에 따라 연료 유동 통로(40; 40'; 40")가 넓어지도록 배향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웨지 와이어인 버너 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연료 유동 통로(40; 40'; 40")를 관통하여 유동함에 따라 연료 유동 통로(40; 40'; 40")가 내향으로 좁아지도록 배향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웨지 와이어인 버너 헤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관형이며, 관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38')에 고정되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와이어(36')로 형성된 버너 헤드.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관형이며, 관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38)에 고정된 와이어(36)의 링들로 형성된 버너 헤드.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관형이며, 관의 둘레에 연장된 원형 지지 부재(38")에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와이어(36")의 직선편들로 형성된 버너 헤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6; 36'; 36")는 관 내에 위치하는 버너 헤드.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6; 36'; 36")는 관의 외측 상에 위치하는 버너 헤드.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평행한 측면을 갖는 버너 헤드.
  11.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테이퍼가 형성된 버너 헤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평면이며 제1 방향으로 정렬된 와이어(36; 36")의 직선편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정렬된 직선 지지 부재(38; 38")에 고정된 버너 헤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소정의 연료 통로(40; 40'; 40") 또는 연료 통로(40; 40'; 40")의 소정의 길이를 차폐함으로써 영역이 감소되는 버너 헤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는 세라믹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버너 헤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점화부를 포함하는 버너 헤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너 헤드(32)를 포함하는 버너.
KR1020067016177A 2006-08-11 2004-01-12 버너 헤드 및 버너 KR20060129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177A KR20060129016A (ko) 2006-08-11 2004-01-12 버너 헤드 및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177A KR20060129016A (ko) 2006-08-11 2004-01-12 버너 헤드 및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016A true KR20060129016A (ko) 2006-12-14

Family

ID=3773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77A KR20060129016A (ko) 2006-08-11 2004-01-12 버너 헤드 및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90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89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多管燃料供給通路を備えるノズル
US6752620B2 (en) Large scale vortex devices for improved burner operation
EP0194079B1 (en) Fluid fuel fired burner
US6000930A (en) Combustion process and burner apparatus for controlling NOx emissions
US11460189B2 (en) Inward fired ultra low NOx insulating burner flange
CA2848898C (en) Can combustor for a can-annular combustor arrangement in a gas turbine
CA1287293C (en) Low btu gas staged air burner for forced-draft service
US6024083A (en) Radiant tube burner nozzle
JP6490698B2 (ja) リーンガスバーナ
US9995480B2 (en) Burner
US4958619A (en) Portable, flueless, low nox, low co space heater
US20050158682A1 (en) Burner heads and burners
RU2660592C1 (ru) Горелочная голова горел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3273623A (en) Self-stabilizing combustion apparatus
KR20060129016A (ko) 버너 헤드 및 버너
RU2443940C1 (ru) Циклонный предтопок
US4846679A (en) Flueless, low NOx, low CO space heater
RU2642997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оксидов азота и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ного газа
FI127741B (fi) Bioöljypoltin
JP4622100B2 (ja) ガスタービン用低NOx燃焼器
CN103115360A (zh) 燃气短火焰高温工业燃烧器
JP2002122309A (ja) 旋回型予混合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熱源機
CN203116019U (zh) 燃气短火焰高温工业燃烧器
EP1704368A1 (en) Burner heads and burners
CN104822989B (zh) 用于燃烧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