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223A -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223A
KR20060128223A KR1020050049476A KR20050049476A KR20060128223A KR 20060128223 A KR20060128223 A KR 20060128223A KR 1020050049476 A KR1020050049476 A KR 1020050049476A KR 20050049476 A KR20050049476 A KR 20050049476A KR 20060128223 A KR20060128223 A KR 2006012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s
character
us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120B1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120B1/ko
Priority to US11/442,538 priority patent/US20060294273A1/en
Priority to EP06114958A priority patent/EP1731992A2/en
Priority to CNA2006100945302A priority patent/CN1877502A/zh
Publication of KR2006012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문자들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각 그룹은 하나의 방향키에 할당되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방향키를 입력하면 그 입력 회수에 따라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 회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키보드, 자판 배열

Description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도 1은 종래의 온 스크린 키보드의 키 배열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온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 기기들의 기능이 다양화되며, 많은 전자 기기들에 종래에는 없던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제 TV는 단순히 방송을 보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전자 기기들이 제공하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입력값의 종류도 많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리모콘 또는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 기기에 모든 자판을 배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화면에 많은 자판들을 모두 디스플레이하고, 적은 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그 중 하나의 키를 선택한 후 입력하는 온 스크린(On-Screen) 키보드가 개발되었다. 온 스크린 키보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문자들이 화면에 배열되는데, 문자들의 배열 방식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은 배열 방식을 가지는 온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여 “WIZARD"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의한 온 스크린 키보드의 커서가 시작되는 지점은 일반적으로 “A"일 것이므로, ”W"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쪽 방향의 방향키를 4회 누른 후, 우측 방향의 방향키를 2회 눌러서 선택해야 한다. “W"를 입력한 후 ”I"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측방향 1회, 위쪽 방향 3회의 입력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지막 “D"까지 입력하기 위해서는 총 31회의 방향키 입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온 스크린 키보드에서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문자들간의 거리가 먼 문자들을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입력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입력이 필요하므로 입력 오류가 잦고, 문자를 입력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입력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들을 그룹화하고, 자판을 원형으로 배열함으로써 입력 오류를 줄이고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문자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결정부는 상기 방향키의 입력 회수에 따라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키의 입력 회수에 따라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스위치들이 하나의 레버를 둘러싸고 원형으로 배열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정 방향의 스위치가 닫히면 상기 스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알파벳 26개의 문자들이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그룹화되어 있는데, 제 1그룹은 위쪽 방향의 방향키, 제 2그룹은 아래쪽 방향의 방향키, 제 3그룹은 왼쪽 방향의 방향키, 제 4그룹은 오른쪽 방향의 방향키에 할당되어 있다. 즉, 각 그룹에 속한 문자는 그 문자가 속하는 그룹과 매칭된 방향키의 입력을 통해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문자들을 그룹화함으로써 문자들의 연속 입력시 필요한 키 입력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문자들의 그룹화 방법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를 입력 회수가 낮은 위치에 두어 더욱 효율적으로 그룹들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한 후 별도의 입력키를 눌러 최종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별도의 대/소문자 변환키를 이용하여 소문자 입력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문자들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4개의 방향키에 각 그룹을 할당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 대각선의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문자들을 더 많은 그룹들로 세분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존의 입력 장치에 구비된 방향키들을 이용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입력 장치 자체의 하드웨어적인 변형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또는 변경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문자들은 각각 4개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며, 모든 그룹들은 각각 4개의 방향키에 대응된다. 하나의 그룹에는 적어도 6개의 문자들이 속하므로, 하나의 방향키로 복수 개의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입력 회수에 따라 문자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X"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X”가 속하는 1그룹에 대응되는 위쪽 방향의 방향키를 1회 눌러야 하고, 그 다음 문자인 “Y"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2회, ”Z"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3회 눌러야 하며, 다른 그룹들의 문자들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각 그룹이 하나의 방향키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다른 방향키를 누름으로써 입력한 문자가 속하는 그룹이 아닌 다른 그룹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쪽 방향키를 4회 눌러서 “A"를 입력하였는데 이 상태에서 W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W"가 속하는 3그룹에 할당된 왼쪽 방향의 방향키를 한번 누르기만 하면 된다. 동일한 경우에 도 1에서의 온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면 6회의 키 입력이 필요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면 5회의 키 입력이 줄어들게 된다.
도 5는 도 3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WIZARD"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W"는 “W"가 속하는 3그룹에 할당된 키인 왼쪽 방향의 방향키를 한번만 누르면 선택된다. ”W"를 입력한 후, “I"는 4그룹에 할당된 키인 오른쪽 방향의 방향키를 6회, "Z"는 위쪽 방향키 3회, ”A"는 위쪽 방향키 1회, “R"은 왼쪽 방향키 6회, ”D"는 오른쪽 방향키 1회의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WIZARD"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총 18회의 방향키 입력이 요구되는데, 도 2에서 요구되었던 31회에 비해 13회의 키 입력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자판은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문자들의 그룹화가 필요 없고, 사용자의 입력이 방향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모든 문자는 1회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문자들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사용자가 26가지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면, 그 방향에 해당하는 문자가 즉시 입력된다. 예를 들면 “WIZARD"를 구성하는 “W", "I", "Z", "A", "R", "D" 6개의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향을 한번씩만 선택하면 되므로, 6회의 입력이 요구된다. 사용자가 방향성을 가지는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이스틱과 같은 레버 또는 터치 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리모콘으로 구현하였으며, 리모콘은 사용자가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자들이 원형으로 배열된 자판의 중앙에 레버를 구비하였다. 문자들이 할당된 각 방향에는 리모콘의 내부에 스위치들(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것이며,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한 방향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방향의 스위치가 닫혀 그 방향에 해당하는 문 자를 선택하는 신호가 적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신호로 출력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리모콘으로 구현하였으나, 이 외에도 휴대용 전화나 PDA 등 어떠한 기기에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전의 예들과 마찬가지로 “WIZARD"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각 문자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레버를 기울이기만 하면 그 방향의 문자가 입력된다. 즉, ”WIZARD"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6회만 레버를 조작하면 되므로 매우 신속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문자들에 대한 자판을 모두 구비하지 않은 문자 입력장치에서 문자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소수의 방향키들만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자판을 원형으로 배열하여 한번의 레버 조작으로 각 방향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문자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결정부는 상기 방향키의 입력 회수에 따라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a)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키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방향키의 입력 회수에 따라 상기 방향키에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다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스위치들이 하나의 레버를 둘러싸고 원형으로 배열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정 방향의 스위치가 닫히면 상기 스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장치.
  7. 다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된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방향에 할당된 문자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문자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다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된 방향들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향에 할당된 문자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49476A 2005-06-09 2005-06-09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KR10075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476A KR100750120B1 (ko) 2005-06-09 2005-06-09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US11/442,538 US20060294273A1 (en) 2005-06-09 2006-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EP06114958A EP1731992A2 (en) 2005-06-09 2006-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CNA2006100945302A CN1877502A (zh) 2005-06-09 2006-06-09 用于使用圆形按键布置来输入字符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476A KR100750120B1 (ko) 2005-06-09 2005-06-09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223A true KR20060128223A (ko) 2006-12-14
KR100750120B1 KR100750120B1 (ko) 2007-08-21

Family

ID=3692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476A KR100750120B1 (ko) 2005-06-09 2005-06-09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94273A1 (ko)
EP (1) EP1731992A2 (ko)
KR (1) KR100750120B1 (ko)
CN (1) CN18775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43B1 (ko) * 2011-05-24 2013-04-12 최유선 한 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장치
WO2014084420A1 (ko) * 2012-11-29 2014-06-05 Choi Yu Sun 한 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방법
WO2015012478A1 (ko) 2013-07-23 2015-01-29 Won Hyuk 테두리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 및 포인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9885B2 (en) * 2005-10-15 2013-06-11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EP1965290A1 (en) * 2007-02-27 2008-09-03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EP2168378A1 (en) * 2007-05-18 2010-03-31 Giacomo Poretti System and method to consume web content using television set
KR101485537B1 (ko) * 2007-08-07 2015-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 수단으로 화상키보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785285A (zh) * 2007-08-22 2010-07-21 吴谊镇 压电感应单元和使用压电感应的数据输入设备
US20090195510A1 (en) * 2008-02-01 2009-08-06 Saunders Samuel F Ergonomic user interface for hand held devices
US20090289917A1 (en) * 2008-03-20 2009-11-26 Saunders Samuel F Dynamic visual feature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hand held device
FR2934385B1 (fr) * 2008-07-25 2011-09-16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 d'interface pour saisir une suite de caracteres
TW201005590A (en) * 2008-07-30 2010-02-01 Pegatron Corp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JP2010062683A (ja) * 2008-09-01 2010-03-18 Smk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8319669B2 (en) * 2009-04-22 2012-11-27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US8717200B2 (en) 2009-04-22 2014-05-06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JP5282699B2 (ja) * 2009-08-14 2013-09-0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文字変換装置、文字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057586A1 (zh) * 2009-11-16 2011-05-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利用方向操作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MX2013004107A (es) * 2010-10-13 2013-05-30 Jeffrey C Weller Dispositivo de entrada de texto con diseño de teclado radial.
JP2012155551A (ja) * 2011-01-26 2012-08-16 Square Enix Co Ltd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20120281143A1 (en) * 2011-05-04 2012-11-08 Jenny Chow Numeric Input Using Navigation Keys
US10671181B2 (en) * 2017-04-03 2020-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xt entry interface
CN208065158U (zh) * 2017-09-30 2018-11-09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带有微型控制盘的中医体质辨识仪
CN107767939A (zh) * 2017-09-30 2018-03-06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适于盲人使用的中医体质辨识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942A (en) * 1998-03-10 2000-03-14 Magellan Dis, Inc. Navigation system character input device
KR20020073633A (ko) * 2001-03-15 2002-09-28 김영수 방향키 입력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0443798B1 (ko) * 2001-07-23 2004-08-09 김승환 개인용 컴퓨터와 호환성을 갖는 휴대형 문자입력 장치
KR20050110329A (ko) * 2004-05-18 2005-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43B1 (ko) * 2011-05-24 2013-04-12 최유선 한 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장치
WO2014084420A1 (ko) * 2012-11-29 2014-06-05 Choi Yu Sun 한 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방법
WO2015012478A1 (ko) 2013-07-23 2015-01-29 Won Hyuk 테두리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 및 포인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120B1 (ko) 2007-08-21
CN1877502A (zh) 2006-12-13
EP1731992A2 (en) 2006-12-13
US20060294273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20B1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US8300016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utiliz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20160306546A1 (en) Software Keyboard Input Method for Realizing Composite Key on Electronic Device Screen
US20080158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US2008029117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7014099B2 (en) Data entry device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CN101943985A (zh) 具有虚拟键盘的电子装置及其虚拟键盘操作方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795661B (zh) 利用小型键盘输入字母的设备和方法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78922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10004863A (ko) 12키 qwerty 문자 입력방법
WO2019232735A1 (en) On-screen display (osd) keyboard input method editor (ime)
KR20100122133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일본 가나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292A (ko) 패턴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30054146A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126271B1 (ko) 가상의 6면 입체 키패드 모듈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1202835B1 (ko) 문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90504A (ko) 숫자를 이용한 한자입력단말 및 한자입력방법
WO20060732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KR2006006404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80087578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30019151A (ko) 알파벳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