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392A - Outfocusing imag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utfocusing imag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392A
KR20060124392A KR1020050046295A KR20050046295A KR20060124392A KR 20060124392 A KR20060124392 A KR 20060124392A KR 1020050046295 A KR1020050046295 A KR 1020050046295A KR 20050046295 A KR20050046295 A KR 20050046295A KR 20060124392 A KR20060124392 A KR 2006012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image
focus frame
frame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8036B1 (en
Inventor
박병찬
김근섭
박혜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36B1/en
Publication of KR2006012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7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foc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n out-focusing photographing method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hange an out-focusing frame. An out-focusing photographing mode is selected(S100). A position of an out-focusing frame is moved and designated to be fitted to a position of an object(S102). An AF(Auto Focus) region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ut-focus frame(S104). Out-focusing photographing is performed(S106). One of plural out-focus frame types is designated.

Description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Outfocusing imag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Outfocusing imag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아웃포커스 촬영기능을 이용한 이미지 촬영과정을 나타낸다.1A to 1C illustrate an image capturing process using an out of focus capturing function in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digital camera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 다중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gmented multiplexing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아웃포커스 촬영모드의 선택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for selecting a focus focusing mode.

도 6, 도 7은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6 and 7 show examples of the focus frame.

도 8은 도 4의 S106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106 of FIG. 4.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9A to 9C are screens illustrating an out-focus photograp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포커스 촬영기능을 갖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apturing images,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out-of-focus photographing function.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아웃포커스 촬영기능을 이용한 이미지 촬영과정을 나타낸다.1A to 1C illustrate an image capturing process using an out of focus capturing function in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먼저 도 1a는 정해진 아웃포커스 프레임와 피사체가 일치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도 1b는 아웃포커스 촬영을 위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에 피사체가 들어오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고 AF(auto-focus)를 위해 피사체의 얼굴부분에 AF 마커를 맞춘 상태이다. 그리고 도 1c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에 피사체를 맞추고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한다.First, FIG. 1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focus frame and a subject do not match. 1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adjusted to bring the subject into the out of focus frame and the AF marker is placed on the face of the subject for auto focusing. In addition, FIG. 1C adjusts the subject to the focus frame and performs focus shooting.

종래 디지털 카메라는 정해진 아웃포커스 프레임에 피사체를 맞춰서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구도를 잡는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아웃포커스 촬영을 할 수 없다. 또한 초점을 맞추기 위한 AF 마커에 의해 표현되는 AF 영역도 중앙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AF를 위해 피사체를 중심에 놓고 AF 한 이후에 다시 아웃포커스 프레임에 피사체를 맞추어서 촬영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아웃포커스 촬영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Conventional digital cameras have a limitation in capturing the composition because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a fixed focus frame. In addition, because the size of the focus frame can not be changed, it is not possible to take a different size of focus. In addition, since the AF area represented by the AF marker for focusing is fixed at the center, it is necessary to center the subject for AF and shoot the subject again with the focus frame after AF. For this reason, the focus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this fun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out-of-focus photographing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n out-of-focus frame,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은, (a)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b)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피사체의 위치에 맞도록 이동하여 지정하는 단계; (c)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을 이동하는 단계; 및 (d)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foc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method including: (a) selecting an focus focusing mode; (b) moving and specifying a position of the focus frame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ubject; (c) moving the autofocu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nd (d) performing focus shooting.

상기 (a) 단계는 여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오토포커스 마커로 표현되는 오토포커스 영역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a) may include designating any one of several types of out of focus frames. In the step (c),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focus area represented by the autofocus mark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cus frame.

상기 (b) 단계는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가 확대/축소됨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b), the size of the focus frame may be enlarged / reduc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focus area is moved as the size of the focus frame is enlarged / reduced.

상기 (d) 단계는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1이미지로서 저장 단계; 상기 제1이미지를 블러링 처리하여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 중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의 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합성하여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Step (d) may include taking a photograph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first image; Blurring the first image to generate a second image; Generating a third image by synthesizing the second image and the image in the focus frame of the first image; And displaying the third image.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지정하는 수단;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를 이동시켜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위치시키는 수단;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에서 원본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블러링 처리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 중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의 이미지와 상기 블러링 처리한 이미지를 합성하는 수단; 및 상기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means for selecting an out of focus imaging mode; Means for moving and specifying a position of the focus frame by a user's operation; Means for moving a marker indicating an autofocu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to position the marker within the focus frame; Means for photographing an original image in an out-of-focus photographing mode, blurring the original image, and synthesizing the image in the focus frame and the blurring image of the original image; And means for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digital camera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in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SP 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ter 1. The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element 1 a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nd adjusts the amplitude. (auto gain control, AGC) and then convert to a digital signal. The DSP 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 temporarily stores digital image signals and other temporary processing data from the DSP 7.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SP 7. The memory card of the user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emory card interface 6.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7 is converted into the display signal of the LCD panel by the LCD driver 14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17.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SP 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18 or the RS232C interface 8 and its connection 19, and the video filter 9 And a video signal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20.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SP 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SP 7 to the speaker SP.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shutter button, a mode selection button, a function selection button, a zoom button, a direction movement button, and the like. The user input unit INP is operated by the user to generate a command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The microcontroller 12 controls the lens driver 10, whereby the zoom motor M Z , the focus motor M F , and the aperture motor M A are zoom lenses in the optical system OPS, The focus lens and the aperture are driven respec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12 may include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microcontroller 12 drives the flash 15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controller 11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rom the flash-light amount sensor 16.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function of the microcontroller 12 may be implemented in one chip with the DSP 7.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2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FIG. 2,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lete some of the components, add another component, or modify som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unctionality of the various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광각줌 버튼(104), 망원줌 버튼(105), 5기능버튼(106), 스피커(107), 외부출력단자(108), DC전원입력단자(109), 재생모드버 튼(110), LCD 모니터(111), 현재 설정된 촬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LCD모니터를 턴오프/턴온하는 LCD 버튼(112), 수동초점 버튼(113), 일시 정지 버튼(114) 등이 구비된다.At the rear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3, the viewfinder 100, autofocus lamp 101, flash status lamp 102, mode dial 103, wide-angle zoom button 104, telephoto zoom button 105, 5 Function button 106, speaker 107, external output terminal 108, DC power input terminal 109, playback mode button 110, LCD monitor 111, the currently set shooting information on the monitor or LCD An LCD button 112, a manual focus button 113, a pause button 114, etc. for turning off / turning on the monitor are provided.

여기서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ve-function button 106 includes a menu entry / confirmation button and a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 buttons at the center. When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al buttons can function as special function buttons instead of directional movement.

도 3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various function buttons shown in FIG. 3 may be provided to perform two or more complex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shown in the name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 다중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gmented multiplexing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를 선택한다(S100). 아웃포커스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피사체의 위치에 맞도록 이동한다(S102).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AF(autofocus) 마커를 이동 시켜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위치시킨다(S104). 그리고 사용자의 셔터버튼 입력에 의하여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한다(S106).First, the focus shooting mode is selected (S100). When the focus shooting mode is selected,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is mov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y the user's operation (S102). The AF (autofocus) marker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nd positioned within the focus frame (S104). And out of focus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he user's shutter button input (S106).

이하에서는 S100 ~ S106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eps S100 to S10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를 선택한다(S100).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는 촬영된 정지영상의 주변부를 흐리게 처리하여 지정범위(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있는 피사체를 강조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5는 아웃포커스 촬영모드의 선택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수단은 예컨대 도 3의 5기능 버튼(106)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5기능 버튼(106) 중앙의 메뉴(MENU)버튼 입력하고, 방향버튼을 입력하여 특수효과를 선택하고, 그 하위메뉴에서 아웃 포커싱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Select the focus shooting mode (S100). In the focus shooting mode, a peripheral portion of a captured still image is blurred to emphasize a subject within a specified range (out of focus frame).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for selecting a focus focusing mode. The input means for selecting the focus shooting mode may be, for example, the five function button 106 of FIG. 3. The user may enter the out-focus shooting mode by inputting a MENU button in the center of the five function button 106, selecting a special effect by inputting a direction button, and selecting an out focusing function from the submenu.

아웃포커스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피사체의 위치에 맞도록 이동한다(S102). 아웃포커스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예컨대 도 3의 5기능 버튼(106)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방향버튼을 입력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고 확인(OK)버튼을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프레임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종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에서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고 피사체를 중앙에 고정된 아웃포커스 프레임에 맞추어 촬영해야 하므로 다양한 촬영구도를 잡을 수가 없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위치에 맞도록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도로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ocus shooting mode is selected,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is mov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y the user's operation (S102). The means for moving the focus frame may be, for example, the five function button 106 of FIG. The position of the fram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inputting a direction butto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nd inputting an OK button. In the conventional focus focusing method, since the focus frame is fixed and the subject must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focus frame fixed at the center, various photographing compositions can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cus foc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cus frame can be mov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e focus focusing can be performed in various compositions.

도 6, 도 7은 아웃포커스 프레임(200a, 200b)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AF 마커(202a, 202b)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AF 마커내의 영역에서 자동초점 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S100 단계에서 아웃포커스 촬영모드를 선택하고, 그 하위메뉴에서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를 지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이외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아웃포커스 프레임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AF 마커(202a, 202b)로 표현되는 AF 영역은 중앙부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아웃포커스 프레임(200a, 200b)의 형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6의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에서는 프레임 중앙부에 AF 마커(202a)가 위치 하고, 도 7의 인물외곽 형태의 프레임에서는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위치에 AF 마커(202b)가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6 and 7 show examples of the focus frames 200a and 200b. 6 and 7, AF markers 202a and 202b are positioned within the focus frame. Accordingly, autofocus calculation is performed in the area within the AF marker. In operation S100, the focus focusing mode may be selected, and the sub-menu may specify a shape of the focus frame. In addition to FIGS. 6 and 7, various types of focus frames may be built. In addition, the AF area represented by the AF markers 202a and 202b is not fixed to the center portion, but the posi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cus frame 200a or 200b. That is, the AF marker 202a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in the rectangular frame of FIG. 6, and the AF marker 202b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person in the frame of the figure outline of FIG. 7. .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AF(autofocus) 마커를 이동 시켜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위치시킨다(S104). AF 마커의 위치는 도 2의 DSP(7)에 의하여 이동된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좌표가 자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종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에서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고 AF 마커가 아웃포커스 프레임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AF를 위해 피사체를 중심에 놓고 AF 한 이후에 다시 아웃포커스 프레임에 피사체를 맞추어서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AF 마커의 위치도 자동적으로 변경된다.The AF (autofocus) marker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nd positioned within the focus frame (S104). The position of the AF marker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h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moved by the DSP 7 of FIG. In the conventional focusing method, the focus frame is fixed and the AF mark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focus frame, so it is inconvenient to shoot the subject by focusing on the focus frame again after focusing the subject for AF. There was this.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can be changed, and the position of the AF marker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능에 의하면 더욱 다양한 촬영구도로서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확대/축소 동작은 사용자가 줌버튼(도 3의 104, 105)을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가 확대/축소됨에 따라 AF 마커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밑변 중앙을 기준으로 확대/축소가 된다면 그 비율만큼 AF 마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large / reduce the size of the focus frame. According to this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out-of-focus shooting with more various shooting compositions. The enlargement / reduction operation of the focus frame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inputting the zoom buttons 104 and 105 of FIG. 3. The AF marker is preferably moved as the size of the focus frame is enlarged / reduced. That is, if the zooming is ma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ide of the focus frame, the position of the AF marker is preferably changed by the ratio.

도 8은 도 4의 S106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를 함께 설명한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106 of FIG. 4. The digital camera of FIG. 2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the out-focus imag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1이미지로서 저장한다(S200). 촬영 이미지는 도 2의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1), DSP(7)에 의하여 촬영되어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변환되어 DRAM(4)에 제1이미지로서 임시 저장된다.First, photographing is perform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stored as a first image (S200). The photographed image is photographed by the optical system OP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the CDS-ADC element 1, and the DSP 7 of FIG. 2 to convert the digital image signal and temporarily convert the digital image signal to the DRAM 4 as a first image. Stored.

그리고 DSP(7)는 DRAM(4)으로부터 제1이미지를 읽어 이를 블러링(blurring) 처리한 제2이미지를 DRAM(4)에 저장한다(S202).The DSP 7 reads the first image from the DRAM 4 and stores the second image obtained by blurring it in the DRAM 4 (S202).

여기서 블러링 처리는 예컨대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3×3 저주파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또는 수학식 2와 같은 3×3 가우시안 스무딩 필터(Gaussian smoothing filt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blurring process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a 3 × 3 low pass filter as in Equation 1 or a 3 × 3 Gaussian smoothing filter as in Equation 2.

Figure 112005028972265-PAT00001
Figure 112005028972265-PAT00001

Figure 112005028972265-PAT00002
Figure 112005028972265-PAT00002

그리고 DSP(7)는 제1이미지 중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의 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합성한 제3이미지를 기록매체(6)에 저장한다(S204). DSP(7)는 제3이미지를 소정 압축포맷 예컨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The DSP 7 stores the third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second image and the image in the focus frame among the first images on the recording medium 6 (S204). The DSP 7 converts and stores the third image into a predetermined compression format, for example, a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JPEG) format.

그리고 제3이미지는 LCD 구동부(14)에서 디스플레이용 데이터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디스플레이된다(S206).The third image is converted into display data by the LCD driver 14 and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17 (S206).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9A to 9C are screens illustrating an out-focus photograp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아웃포커스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초기 프레임이 화면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피사체는 화면의 오른쪽 구석에 위치하므로 프레임과 피사체가 일치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향버튼을 조작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을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피사체 위치에 맞춘다. 이 때 AF 마커도 함께 이동한다. 피사체에 비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이 더 큰 상태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3의 광각줌 버튼(104)를 조작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피사체에 맞추어 축소한 상태이다. 이 때 AF 마커의 위치도 자동적으로 변경된다.First,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focus shooting mode is selected, the initial frame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screen, so the frame and the subject do not match. Referring to FIG. 9B, the user manipulates the direction button to move the focus frame to the right to match the subject position. At this time, the AF marker moves with it. The focus frame is larger than the subject. Referring to FIG. 9C, the user operates the wide-angle zoom button 104 of FIG. 3 to reduce the size of the focus frame to fit the subject.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AF marker is also changed automatically.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아웃포커스 촬영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에 각광받기 시작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이와 같이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아웃포커스 촬영 기능이 내장된 PMP에도 본 발 명의 개념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having a built-in defocusing fun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PMP is a portable, next-generation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music playback, broadcast reception, games, electronic dictionary, video playback, and digital camera such as MP3. As su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MP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having a built-in defocusing function.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구도에서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focus shooting in various compositions.

둘째 AF 마커의 위치가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에 적합하게 변경된다. 따라서 복잡한 AF 과정 없이 간편하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Secondly, the position of the AF marker is changed to suit the shape of the focus frame. Therefore, shooting can be performed easily without complicated AF process.

셋째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다. 따라서 다양한 구도에서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focus fram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focus shooting in various compositions.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re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aught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ny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by substitution, erasure, merging, etc. with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a)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a) selecting the focus shooting mode; (b)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피사체의 위치에 맞도록 이동하여 지정하는 단계;(b) moving and specifying a position of the focus frame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ubject; (c)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을 이동하는 단계; 및(c) moving the autofocu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And (d) 아웃포커스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d) performing out-of-focus photograp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여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a step of designa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defocus fram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tep (c)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오토포커스 마커로 표현되는 오토포커스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an autofocus area represented by an autofocus mark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cus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를 확대/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an enlarged / reduced size of the defocus fram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크기가 확대/축소됨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an autofocus area is moved as the size of the focus frame is enlarged /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1이미지로서 저장 단계;Performing photographing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first image; 상기 제1이미지를 블러링 처리하여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Blurring the first image to generate a second image; 상기 제1이미지 중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의 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합성하여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third image by synthesizing the second image and the image in the focus frame of the first image; And 상기 제3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아웃포커스 촬영방법.And a step of displaying the third image.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Means for selecting a focus shooting mode;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지정하는 수단;Means for moving and specifying a position of the focus frame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오토포커스 영역을 표시하는 마커를 이동시켜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 내에 위치시키는 수단;Means for moving a marker indicating an autofocu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frame to position the marker within the focus frame; 아웃포커스 촬영 모드에서 원본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블러링 처리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 중 상기 아웃포커스 프레임내의 이미지와 상기 블러링 처리한 이미지를 합성하는 수단; 및Means for photographing an original image in an out-of-focus photographing mode, blurring the original image, and synthesizing the image in the focus frame and the blurring image of the original image; And 상기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means for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KR1020050046295A 2005-05-31 2005-05-31 Defocu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1058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95A KR101058036B1 (en) 2005-05-31 2005-05-31 Defocu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95A KR101058036B1 (en) 2005-05-31 2005-05-31 Defocu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92A true KR20060124392A (en) 2006-12-05
KR101058036B1 KR101058036B1 (en) 2011-08-19

Family

ID=3772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95A KR101058036B1 (en) 2005-05-31 2005-05-31 Defocu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27B1 (en) * 2006-06-09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hooting using automatic-foc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56A (en) * 2001-03-22 2001-06-05 김종명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photo image by one-touch
JP2002300373A (en) * 2001-03-30 2002-10-11 Minolta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3624859B2 (en) * 2001-06-19 2005-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maging device, soft focus image photographing method
KR100504819B1 (en) * 2003-02-27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vice and a method of out-focusing with image signal for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27B1 (en) * 2006-06-09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hooting using automatic-foc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036B1 (en) 201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en) Controlling method of digital camera
JP2012002951A (en) Imaging device, method for detecting in-focus position and in-focus position detection program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43153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87735A (en) Picture voice recording apparatus and collecting voice direction adjustment method
KR10151010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2019341A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58036B1 (en) Defocu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1156684B1 (en) Composite imag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77106B1 (en) Digital image composing method
JP563749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450718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JP2006094200A (en) Imaging apparatus, focusing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24491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of digital imaging device
KR101109593B1 (en) Auto focus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058033B1 (en) Dividing method, reproduction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56683B1 (en) Composite imag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214154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zooming an image
JP2006234993A (en) Camera and program
KR100709892B1 (en) Resizing method of digital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KR101086413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image shaking is corrected
KR101310220B1 (en) Panorama photograph method
KR101156686B1 (en) Auto bracket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KR100910773B1 (en) Image zoom playback method
KR101109588B1 (en) Image stor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