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91A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2791A KR20060122791A KR1020060093074A KR20060093074A KR20060122791A KR 20060122791 A KR20060122791 A KR 20060122791A KR 1020060093074 A KR1020060093074 A KR 1020060093074A KR 20060093074 A KR20060093074 A KR 20060093074A KR 20060122791 A KR20060122791 A KR 20060122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ntent
- user terminal
- terminal device
- fe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제1특징객체 및 제1특징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서버와의 연결정보가 저장된다. 이미지인식부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특징객체와 비교하여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를 파악하고,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한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한다. 서비스제공부는 이미지인식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물이나 매체의 제작을 위해 제작한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의 선정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컨텐츠 및 서비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진입시간 또는 컨텐츠 접근시간의 단축으로 서비스 수요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포함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미지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수행시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전용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서비스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제공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제공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는 서비스서버가 수신자 단말장치로 직접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이미지인식부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인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중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컨텐츠 포탈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방법과 핫코드(HotCode)를 이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컨텐츠 포탈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은 현재 이동통신사가 실시하고 있는 June, Fimm 등의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용자 단말장치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의 분류 및 서비스 목록의 계층이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계층(depth)을 진행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서비스의 위치를 찾지 못해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문제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전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출력되는 서비스 목록 계층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서비스를 검색하는 데 까지 걸리는 시간과 비용의 증가를 무시할 수 없다. 나아가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의 명칭 또는 분류를 잘못 알고 있거나 모르는 경우에 사용자는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꺼리게 된다.
핫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읽어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는 곧바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광고지에 별도의 핫코드 영역을 추가하여 인쇄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가 핫코드 분석기능을 장착하고 있는 핫코드 전용폰이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특정한 컨텐츠에의 접근용이성을 보장하고 장치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 특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특정한 컨텐츠에의 접근용이성을 보장하고 장치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에 특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복수의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식별정보를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인식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복수의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의 연결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식별정보를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부; 및 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 는 서비스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 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컨텐츠제공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서버로부터 획득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서버와의 연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 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 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상기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통신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서버와의 연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 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연락처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통신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갖는다.
이에 의해 서비스 목록 및 핫코드와 같은 별도의 컨텐츠 접근을 위한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광고물이나 매체의 제작을 위해 기존에 제작한 이미지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컨텐츠 및 서비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서비스 진입시간 또는 컨텐츠 접근시간의 단축으로 서비스 수요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포함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네트워크는 서비스서버(100), 컨텐츠서버(110), PDSN 시스템(Packet Data Service Network System)(120), MMS서버(Multimedia Message Service Server)(130), WAP서버(Wireless Access Protocol Server)(140), 위치정보서버(150), 과금서버(160) 및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장치(170)는 카메라 폰, 카메라가 장착된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무선데이터통신장치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70)는 자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통신 사업자 망을 통해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70)는 서비스서버(100)가 자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거나 컨텐츠서버(110)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전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야 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설치되는 전용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물의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하여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설치되는 전용소프트웨어는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이미지 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링크(link)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서버(110)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는 이미지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수행시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설치된 전용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미지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는 "사진찍기", "불러오기" 및 "종료"의 메뉴가 포함된 초기 화면이 출력된다(S200). 사용자가 "사진찍기"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미리보기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출력되며(S210),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촬영지시가 입력되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출력된다(S220). 이와 달리, 사용자가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목록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출력된다(S230). 촬영된 이미지 또는 불러오기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는 서비스서버(100)로 전송되며(S240), 이미지전송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서비스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수신된다(S250). 이와 달리, 이미지전송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는 이미지전송 오류내용이 출력된다(S260). 한편, 각각의 단계에서 사용자가 취소버튼을 선택하면 전단계의 화면 또는 초기화면이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출력된다.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요청은 PDSN시스템(120) 또는 WAP서버(130)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서비스서버(100)로 전달된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인식을 수행하고, 이미지 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자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거나 컨텐츠서버(11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제공한다. 컨텐츠서버(110)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예를 들면, 특정한 사물에 대한 설명, 지역별 영화관의 상영시간표 및 예매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특정한 매장의 위치와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 광고영상, 할인쿠폰 등)를 보유하며,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의 인식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서비스서버(100)에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서버(1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설정상태에 따라 서비스서버(100)는 자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제공한다. 과금서버(160)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된 통신비용 및 사용자가 구매한 컨텐츠에 대한 과금 처리를 담당한다. 한편, 도 1에는 서비스서버(100)와 컨텐츠서버(11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서버로 기능한다.
도 3은 서비스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서버(100)는 망접속부(310), 서비스제공부(320), 이미지인식부(330), 데이터베이스부(340) 및 관리부(350)로 구성된다.
망접속부(310)는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서버(110), PDSN시스템(120), MMS서버(130), WAP서버(140), 위치정보서버(150), 과금서버(160) 및 사용자 단말장치(1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망접속부(310)는 각각의 장치에 적합한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처리요청에 대한 처리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제공한다.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서비스요청을 분석하여 이미지인식부(330)에 수 신된 이미지의 인식을 지시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는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인식결과인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340) 또는 컨텐츠서버(11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 서비스는 영화표 예매 서비스, 음반 미리듣기 서비스, 광고제공 서비스, 할인쿠폰 제공 서비스, 가격 검색 서비스, 인물검색 서비스, 인물조회 서비스(예를 들면, 스타 닮은 꼴 찾기 서비스, 미아찾기 서비스, 현상수배범 조회서비스 등), 전화연결(Direct Call) 서비스 등과 같이 서비스서버(100) 또는 컨텐츠서버(11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특정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나아가, 컨텐츠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컨텐츠는 서비스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제공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링크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제공과정의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제공부(320)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핸들러를 등록한다(S40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데이터베이스부(340) 및 쓰레드 자원을 초기화한다(S41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최상위 소켓을 생성한 후 포트를 서로 연계시킨다(S42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망접속부(310)를 통한 입력을 감시한다(S43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접속요청을 받아들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응하는 소켓을 생성하고,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를 생성한다(S44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의 요청을 읽어들이고 이미지인식부(330)에 구현된 인식엔진에 대응되는 모델이 있는지 검증한다(S45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340)를 검색하여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110)의 연결정보를 획득한다(S460). 다음으로,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획득한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47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각각의 단계에서 일어난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부(340)에 기록(동작 로그)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종료된다(S480).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한 컨텐츠 제공이 완료되면, 서비스제공부(320)는 소켓을 닫고,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종료한다(S490).
도 5는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제공과정의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제공부(320)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핸들러를 등록한다(S50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구동하며, 데이터베이스부(340) 및 쓰레드 자원을 초기화한다(S51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최상위 소켓을 생성한 후 포트를 서로 연계시킨다(S52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망접속부(310)를 통한 입력을 감시한다(S53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접속요청을 받아들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응하는 소켓을 생성하고,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를 생성한다(S54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의 요청을 읽어들이고 이미지인식부(330)에 구현된 인식엔진에 대응되는 모델이 있는지 검증한다(S55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데이터베이스부(340)를 검색하여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독출한다(S560). 다음으로,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독출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570).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는 각각의 단계에서 일어난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부(340)에 기록(동작 로그)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종료된다(S580).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대한 컨텐츠 제공이 완료되면, 서비스제공부(320)는 소켓을 닫고,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종료한다(S590).
서비스제공부(3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지역기반서비스는 특정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음반 매장 안에서의 미리 듣기 서비스가 이러한 예에 속한다. 즉 사용자가 음반 매장 안에서 자신의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특정한 음반의 표지를 촬영한 후 이미지기반의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서비스제공부(320)는 위치정보서버(15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이 지역기반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역내로 확인되면,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해당 앨범의 미리 듣기 곡 목록을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 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가 선택한 앨범의 곡을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위치기반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가까운 매장 목록을 조회하거나 조회결과 중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는 등이 위치기반 서비스에 속한다. 위치기반서비스의 예로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과 가까운 상영관의 목록을 제공해주는 영화 예매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영화포스터나 전단을 촬영한 후 이미지기반의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서비스제공부(320)는 위치정보서버(15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순으로 영화관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화관의 해당 영화상영시간을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제공한다. 이어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회차의 영화표에 대한 예매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전화연결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예를 들면, 피자헛 간판 또는 피자헛 로고를 사용자 단말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업체로의 통신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70)에는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업체의 전화번호로 발호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될 필요가 있 다. 또한 전화연결서비스의 제공시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70)로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필수적으로 업체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며,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70)의 발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170) 사이에는 전화연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화연결서비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100)의 이미지인식부(330)는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결과인 이미지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부(32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부(340)를 검색하여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업체의 전화번호를 독출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전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독출한 업체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호한다.
이와 같은 전화연결서비스는 위치기반서비스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업체를 데이터베이스부(340)로부터 검색한 후 위치정보서버(15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검색된 업체의 지점(또는 가맹점, 대리점 등) 중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70)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 이상의 전화연결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각각의 업체에 대응하는 이미지, 업체의 전화번호(나아가, 업체의 지점의 전화번호 및/또는 위치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가격검색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예를 들면, 특정회사의 화장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가격을 검색하여 최저가격으로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가격검색서비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100)의 이미지인식부(330)는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결과인 이미지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부(32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부(340)를 검색하여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가격을 비교하여 해당 상품을 최저가격으로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업체명, 홈페이지주소, 연락처, 위치 등)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가격검색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각각의 상품에 대응하는 이미지, 각각의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 및 판매가격, 각각의 업체의 상세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가격검색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각의 제품가격은 기존의 가격검색사이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격검색서비스는 위치기반서비스 및/또는 전화연결서비스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인물검색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예를 들면, 특정인의 얼굴사진)와 가장 유사한 이미지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인물검색서비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100)의 이미지인식부(330)는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결과인 이미지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부(32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이미지(즉, 비교되는 이미지들의 특징객체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누적된 유사도의 값이 큰 이미지 또는 유사도의 값이 큰 순으로 나열된 일정개수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인물검색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개별적인 인물의 얼굴사진, 신상정보(이름, 나이, 주소, 연락처 등)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인물검색서비스는 스타와 닮은 사람을 찾는 이벤트, 미아찾기, 현상수배자신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미아찾기서비스는 인물검색서비스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340)에는 미아의 얼굴사진 및 신상정보가 저장되며, 신상정보에는 미아의 이름, 나이, 주소, 부모의 연락처, 미아신고센터의 연락처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미아찾기서비스를 선택한 후 자신의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촬영한 미아로 추정되는 아이의 얼굴사진을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100)의 이미지인식부(330)는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결과인 이미지식별정보를 서비스제공부(32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미아의 신상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70)에는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미아의 신상정보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장치(170)에 출력된 미아의 신상정보를 확인한 후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부모의 연락처 또는 미아신고센터의 연락처로 전화를 연결한다. 이 때, 사용자의 용이한 전화연결을 위해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로의 정보전송은 부모의 연락처 또는 미아신고센터의 연락처가 발신자로 설정되고 내용에 미아의 이름, 나이 등이 포함되어 있는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미아찾기서비스는 전화연결서비스와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기(170)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해당 미아의 부모의 연락처 또는 미아신고센터의 연락처 호를 발호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인물조회서비스의 경우 서비스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연락처에 해당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는 서비스서버(100)가 수신자 단말장치로 직접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상수배범 또는 미아로 추정되는 인물을 발견한 신고자는 인물조회서비스를 선택한 후 자신의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촬영한 인물의 얼굴사진을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한다(S600). 이 때, 신고자는 자신이 발견한 인물의 인상착의, 나이, 발견장소, 발견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회대상 인물의 신상정보를 인물의 얼굴사진과 함께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인물이 미아로 추정될 경우에 신고자는 미아로부터 획득한 정보(부모의 성명, 사는 동네 등)를 추가적으로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신고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인물의 얼굴사진과 조회대상 인물의 신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S610). 서비스서버(100)의 이미지인식부(330)는 신고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정을 수행하여 사전에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신고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의 값이 가장 큰 이미지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고유의 이미지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서비스제공부(320)로 출력한다(S62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인물의 신상정보를 검색한다(S630).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320)는 검색된 인물의 신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연락처에 해당하는 수신자 단말장치로 신고자 단말장치(170)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S640). 이 때, 서비스제공부(320)가 수신자 단말장치로 신고자로부터 제공받은 인물에 대한 신상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제공부(320)로부터 수신자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정보는 음성메시지, 단문메시지, 이메일 등의 형태로 전송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부(320)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서 이미지인식부(33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인물의 신상정보를 검색하여 신고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650). 이러한 S650단계는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인물조회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100) 또는 컨텐츠서버(110)에 접속한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다. 이 때, 인물조회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되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조회대상 인물의 사진 및 신상정보 역시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100) 또는 컨텐츠서버(110)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320)는 광고제공 서비스, 할인쿠폰 제공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각각의 등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광고컨텐츠(정지이미지, 동영상 등), 각각의 등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상품의 할인쿠폰(정지이미지,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 등)이 저장된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서비스들은 복수개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7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기반의 컨텐츠 서비스에 속하는 각각의 서비스가 선택메뉴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장치(170)에 출력된 선택메뉴 중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70)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또는 이미지의 전송 전에 서비스서버(1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100)와 사용자 단말장치(170)에는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식별정보가 사전에 정의되어야 한다.
이미지인식부(330)는 데이터베이스부(340)에 등록되는 이미지 및 사용자 단 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수행한다. 이미지인식부(330)는 컨텐츠 식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를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와 등록된 이미지의 특징을 비교하여 이미지를 인식한다.
도 7은 이미지인식부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인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인식부(330)는 등록대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이미지로부터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한다(S700). 다음으로, 이미지인식부(330)는 이미지의 밝기, 색상, 방향성에 대한 특징맵(Feature Map)을 생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대비맵(Contrast Map)을 생성한다(S710). 다음으로, 이미지인식부(330)는 웨이브렛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객체와 배경의 경계면과 같이 두드러지게 분리되는 영역의 돌출점(Salient Point)을 추출한다(S720). 다음으로, 이미지인식부(330)는 돌출점의 분포와 대비맵에서 중요도에 따라 집중윈도우(Attention window)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다(S730). 다음으로, 이미지인식부(330)는 집중윈도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수백 개의 돌출점들의 집합을 객체의 독특한 패턴을 표현하는 정보로서 고유한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740).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된 등록대상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추후 이미지인식시에 비교대상이미지로 사용된다.
한편, 서비스제공부(320)로부터 인식대상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미지인식부(330)는 입력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특징객체를 생성한다(S750). 또한, 이미지인식부(330)는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객체와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대상 이미지의 특징객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누적된 유사도의 값이 큰 것을 인식된 객체로 설정한다(S760). 다음으로, 이미지인식부(330)는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대상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의 값이 가장 큰 이미지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고유의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한다(S770).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컨텐츠서버(110)와의 연결정보 및 이미지인식부(330)에 의해 생성된 등록대상 이미지의 특징객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 이미지서비스요청의 로그정보, 전체 시스템의 상태정보 등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컨텐츠서버(110)와의 연결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정보저장부, 등록대상 이미지의 특징객체가 저장되는 객체저장부 및 인식대상 이미지, 로그정보, 상태정보 등이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부(350)는 수신된 이미지 및 연결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하고, 수신된 이미지서비스요청의 로그정보, 전체 시스템의 상태정보 등을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40)에는 이미지인식부(330)에 의해 생성된 등록대상 이미지의 특징객체 및 등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저장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장치(170)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 이미지서비스요청의 로그정보, 전체 시스템의 상태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된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 등록대상 이미지의 특징객체가 저장되는 객체저장부 및 인식대상 이미지, 로그정보, 상태정보 등이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서비스 대상물을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한다(S800). 서비스서버(100)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물의 이미지식별정보 및 그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서버(110)의 연결정보를 파악한다(S810).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파악된 컨텐츠서버(110)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110)로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를 전송하여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S820), 컨텐츠서버(110)는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요청받은 컨텐츠를 검색하여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며, 서비스서버(100)는 컨텐츠서버(11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830).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장치(170)에 출력된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서비스서버(100)에 해당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S840). 만약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이면, 서비스서버(100)는 위치정보서버(15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850). 사용자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구매를 선택하면 과금서버(160)는 해당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통신비용 및 컨텐츠의 구매금액에 대한 과금처리를 수행한다(S86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70)를 이용하여 서비스 대상물을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한다(S900). 서비스서버(100)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물에 대응하는 이미지식별정보를 파악한다(S910).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파악된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340)를 검색하여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한다(S920).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는 검출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93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70)에 출력된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서비스서버(100)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S940). 만약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이면, 서비스서버(100)는 위치정보서버(150)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70)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70)로 전송한다(S950). 사용자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구매를 선택하면 과금서버(160)는 해당 컨텐츠의 제공을 위한 통신비용 및 컨텐츠의 구매금액에 대한 과금처리를 수행한다(S96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목록 및 핫코드와 같은 별도의 컨텐츠 접근을 위한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광고물이나 매체의 제작을 위해 기존에 제작한 이미지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위치 정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및 서비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서비스 진입시간 또는 컨텐츠 접근시간의 단축으로 서비스 수요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26)
-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복수의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식별정보를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부; 및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인식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생성된 복수의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의 연결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식별정보를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부; 및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이미지인식부는,이미지의 밝기, 색상 및 방향성에 대한 특징맵(Feature Map)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맵을 결합하여 대비맵(Contrast Map)을 생성하는 맵생성모듈;웨이브렛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배경의 경계영역의 돌출점(Salient Point)을 추출하는 돌출점추출모듈;상기 추출된 돌출점의 분포와 상기 대비맵을 기초로 집중윈도우(Attention window)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집중윈도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돌출점들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특징객체를 생성하는 특징객체생성모듈; 및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와 상기 제1특징객체들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누적된 유사도의 값이 가장 큰 제1특징객체에 해당하는 이미지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 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서비스제공부는,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핸들러를 등록하고, 소정의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쓰레드 자원을 초기화하며, 최상위 소켓을 생성한 후 포트를 서로 연계시는 구동모듈;상기 통신망을 통한 입력을 감시하여 접속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켓 및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를 생성하는 감시모듈; 및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인식부로 전달하여 이미지인식을 지시하고, 상기 이미지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서비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의 위치정보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의 위치정보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이 지역기반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를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상품의 할인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할인쿠폰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상품의 광고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로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발호하도록 제어하는 전화연결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이미지식별정보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조회대상 인물의 성명 및 나이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및 조회대상 인물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연락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 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컨텐츠제공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서버로부터 획득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서버와의 연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이미지인식단계는,이미지의 밝기, 색상 및 방향성에 대한 특징맵(Feature Map)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맵을 결합하여 대비맵(Contrast Map)을 생성하는 맵생성단계;웨이브렛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배경의 경계영역의 돌출점(Salient Point)을 추출하는 돌출점추출단계;상기 추출된 돌출점의 분포와 상기 대비맵을 기초로 집중윈도우(Attention window)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집중윈도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돌출점들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특징객체를 생성하는 특징객체생성단계; 및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와 상기 제1특징객체들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누적된 유사도의 값이 가장 큰 제1특징객체에 할당된 이미지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비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는,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핸들러를 등록하고, 소정의 이미지인식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쓰레드 자원을 초기화하며, 최상위 소켓을 생성한 후 포트를 서로 연계시는 구동단계;상기 통신망을 통한 입력을 감시하여 접속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켓 및 이미지서비스 응답쓰레드를 생성하는 감시단계; 및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인식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서비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에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중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의 위치정보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의 위치정보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이 지역기반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 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상품의 할인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할인쿠폰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는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상품의 광고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에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로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발호하도록 제어하는 전화연결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에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로서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식별정보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조회대상 인물의 성명 및 나이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및 조회대상 인물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연락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들과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상기 이미지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통신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등록대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특징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특징객체 및 상기 제1특징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서버와의 연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단계;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식대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생성한 제2특징객체를 상기 제1특징객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특징객체를 파악하여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의 인식결과로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인식단계; 및상기 이미지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컨텐츠서버의 연결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연락처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통신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제공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식대상 이미지와 함께 수신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부가정보를 상기 연락처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 제 12항, 제 13항, 제 23항 및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기반 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45097 | 2005-05-27 | ||
KR1020050045097 | 2005-05-2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8593A Division KR100681247B1 (ko) | 2005-05-27 | 2006-03-29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2791A true KR20060122791A (ko) | 2006-11-30 |
Family
ID=37707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8593A KR100681247B1 (ko) | 2005-05-27 | 2006-03-29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060093074A KR20060122791A (ko) | 2005-05-27 | 2006-09-25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8593A KR100681247B1 (ko) | 2005-05-27 | 2006-03-29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0681247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420B1 (ko) * | 2007-10-26 | 2008-07-31 |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 이미지 기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KR101116261B1 (ko) * | 2009-08-20 | 2012-03-15 | 배진우 | 영상 해석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WO2012093811A1 (ko) * | 2011-01-04 | 2012-07-12 | (주)올라웍스 | 입력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WO2012093816A3 (ko) * | 2011-01-04 | 2012-11-08 | (주)올라웍스 | 생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1378415B1 (ko) * | 2012-04-16 | 2014-03-31 |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 콘텐츠 앨범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
KR101511050B1 (ko) * | 2014-07-25 | 2015-04-13 | 오드컨셉 주식회사 |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US9576195B2 (en) | 2010-08-09 | 2017-02-21 | Sk Planet Co., Ltd. |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US10699315B2 (en) | 2014-07-25 | 2020-06-30 | Odd Concepts Inc.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search information |
WO2020171333A1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 선택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KR20230115587A (ko) *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 영상 분석을 통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1433B1 (ko) * | 2007-02-08 | 2008-08-11 | (주)올라웍스 | 이미지 태그 정보에 기반한 인물 이미지 전송 방법,송수신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인물 이미지 검색방법 |
KR101134615B1 (ko) * | 2010-06-22 | 2012-04-09 | 한국과학기술원 | 사용자 적응형 이미지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적응형 이미지 관리 방법 |
KR101189609B1 (ko) * | 2011-03-03 | 2012-10-10 | (주)엔써즈 | 이미지에 기반한 동영상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2084564B1 (ko) * | 2013-05-15 | 2020-03-04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얼굴인식 사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KR101635396B1 (ko) * | 2015-08-10 | 2016-07-01 | 조준호 | 전자 상거래 방법 |
KR102037489B1 (ko) * | 2017-06-08 | 2019-10-28 | 오드컨셉 주식회사 | 이미지 기반 광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691982B1 (ko) * | 2023-11-23 | 2024-08-06 | 주식회사 코코지 | 촬영 데이터 기반 오디오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1429A (en) | 1996-12-06 | 1999-11-23 | Coffin; Jeffrey S. | Facial recognition system for security access and identification |
KR20000050230A (ko) * | 2000-05-30 | 2000-08-05 | 김성우 | 얼굴인식에 의한 네트워크상의 인증보안 방법 |
KR100481116B1 (ko) * | 2001-03-09 | 2005-04-07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안면화상 인식장치 |
KR20060027226A (ko) * | 2004-09-22 | 2006-03-27 | 주식회사 타이거 시스템 아이엔씨 | 맞춤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
KR20060063599A (ko) * | 2004-12-07 | 2006-06-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사용자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06
- 2006-03-29 KR KR1020060028593A patent/KR1006812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9-25 KR KR1020060093074A patent/KR200601227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96280B2 (en) | 2007-10-26 | 2012-10-23 | G & G Commerce Ltd. | Image-based search system and method |
KR100849420B1 (ko) * | 2007-10-26 | 2008-07-31 |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 이미지 기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KR101116261B1 (ko) * | 2009-08-20 | 2012-03-15 | 배진우 | 영상 해석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US10380170B2 (en) | 2010-08-09 | 2019-08-13 | Sk Planet Co., Ltd. |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US9576195B2 (en) | 2010-08-09 | 2017-02-21 | Sk Planet Co., Ltd. |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WO2012093816A3 (ko) * | 2011-01-04 | 2012-11-08 | (주)올라웍스 | 생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US8467577B2 (en) | 2011-01-04 | 2013-06-18 | Intel Corporation |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collection of object included in inputted image |
WO2012093811A1 (ko) * | 2011-01-04 | 2012-07-12 | (주)올라웍스 | 입력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1378415B1 (ko) * | 2012-04-16 | 2014-03-31 |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 콘텐츠 앨범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
KR101511050B1 (ko) * | 2014-07-25 | 2015-04-13 | 오드컨셉 주식회사 |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US10672052B2 (en) | 2014-07-25 | 2020-06-02 | Odd Concepts Inc. |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ffering and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
US10699315B2 (en) | 2014-07-25 | 2020-06-30 | Odd Concepts Inc.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search information |
WO2020171333A1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 선택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US12062237B2 (en) | 2019-02-19 | 2024-08-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orresponding to selection of object in image |
KR20230115587A (ko) *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 영상 분석을 통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1247B1 (ko) | 2007-02-09 |
KR20060122690A (ko) | 2006-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1247B1 (ko)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841216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evice services using SMS communications | |
US823895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evice services using SMS communications | |
US88123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ervice using multi-dimensional code | |
US7751805B2 (en) | Mobile image-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
CN103369049B (zh) |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 |
US7831141B2 (en) |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photograph management system | |
US20150067041A1 (en) | Information services for real world augmentation | |
US10380202B2 (en) | Physical location history with URL and positioning system | |
WO2020044097A1 (zh) | 一种实现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 |
JP2008501164A (ja) | 視覚刺激に基づくモバイル問合せ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TW201018298A (en) | Data access based on content of image recorded by a mobile device | |
WO2008016083A1 (fr) | Dispositif et système de présentation d'informations en superposition | |
US7142842B2 (en) | Hyperkey access to network-based services | |
US7752257B2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server apparatus | |
JP2005084948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KR100681245B1 (ko) |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4788016B2 (ja) | カメラで撮影した画像をサーバで表示するシステム、そのサーバ及びそのサーバ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KR20120076570A (ko) | 광고 시스템 및 광고 제공 방법 | |
KR100512495B1 (ko) | 개인 광고주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 광고 서비스를제공하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50101488A (ko) |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JP2006259893A (ja) | 物体認識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 |
KR20130032027A (ko) |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휴대 단말기 | |
US89722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blic device | |
KR101069169B1 (ko) | 오프라인 매체에 인쇄된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