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506A -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506A
KR20060121506A KR1020050043728A KR20050043728A KR20060121506A KR 20060121506 A KR20060121506 A KR 20060121506A KR 1020050043728 A KR1020050043728 A KR 1020050043728A KR 20050043728 A KR20050043728 A KR 20050043728A KR 20060121506 A KR20060121506 A KR 20060121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output
unit
overl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회선
김경호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506A/ko
Publication of KR2006012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이미지와 TV나 PDP와 같은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를 PIP형식으로 출력할시에 두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메모리부의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각 이미지별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PIP(Picture In Picture), OSD(On Screen Display), TV-IN/OUT

Description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IMAGE IN MI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TV-OUT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영상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 단말의 영상 입력 단자로 입력받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외부 영상 장치의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 편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의 제어부가 외부 영상 장치의 이미지와 이동 단말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IP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서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은 사용자들에게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점점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들에게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문자 메시지나 사진 또는 동영상 서비스 및 모바일 뱅킹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동 단말 중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는 그대로 상기 이동 단말의 배경 화면이나 포토 메일로 사용되거나, 개인용 컴퓨터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등을 통해 편집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 동영상 및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이미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현재, 상술한 이동 단말과 같은 많은 전자 제품들에 구비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는 이미지 처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근래의 이동 단말 또는 전자 제품에 구비된 영상 신호 장치는 다양한 영상 포맷의 영상 신호들을 처리하여 입출력하는 기능, 메인 영상 신호 표시 장치로 출력 중인 영상 신호를 다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나 영상 신호 표시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가 메인 영상 신호 표시 장치로 출력 중인 영상 신호를 다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나 영상 신호 표시장치에 제공함에 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메인 영상 신호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녹화하거나 다른 영상신호 표시 장치를 통해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TV-OUT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 TV-OUT 단자와 같이 영상 신호의 출력에 관련한 기능을 추가하여 동영상, 사진 및 음성 등을 TV와 같은 영상 매체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전화 기능부(11), 영상 신호 생성부(12), 영상 출력부(13), 음성 출력부(14), 커넥터 감지부(15) 및 부가 기능부(11)를 포함한다. 전화 기능부(11)는 기존의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키입력부, 신호 송수신부, 음성 처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부가 기능부(16)는 카메라 등과 같은 별도의 부가 장치를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영상 신호 생성부(12)는 전화 기능부(11)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TV에서 인식할 수 있는 컴포짓(Composite)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이다. 영상 출력부(13)는 TV에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제공하는 부분이고, 음성 출력부(14)는 TV에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영상 출력부(13)와 음성 출력부(14)는 하나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감지부(15)는 영상 출력부(13)에 'TV-OUT'커넥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여 TV신호를 출력할지를 결정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 VOD)서비스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다운받은 경우, 전화 기능부(11)에서 다운받은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이미지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생성해내어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신호생성부(12)로 전달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 출력부(14)로 전달한다. 영상신호생성부(12)에서는 전달받은 이미지데이터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신호를 합성한 형태인 컴포짓(Composite)신호를 합성해서 이를 영상 출력부(13)를 통해서 TV로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커넥터 감지부(15)에서 영상 출력부(13)에 'TV-OUT' 커넥터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한 후에 이루어진다. 동영상이 아닌 사진만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음성 신호는 필요없이 컴포짓신호만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13)를 통해서 TV로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201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전화기능부(11)에 출력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점검 결과, 출력할 데이터가 없으면 영상 신호 출력 절차를 종료하고, 점검결과, 출력할 데이터가 있으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커넥터 감지부(15)를 통해 'TV-OUT'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TV-OUT'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영상신호 출력 절차를 종료하고, 검사 결과 'TV-OUT'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전화기능부(11)에 출력할 음성 데이터도 있는 지를 확인한다. 상기 전화 기능부(11)에 출력할 음성 데이터가 있다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14)로 전송하여 음성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205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신호 생성부(12)에 출력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후, 206단계에서 영상신호 생성부(12)에서는 출력할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컴포짓신호로 생성하고, 207단계에서 생성된 컴포짓 신호는 영상 출력부(12)로 전송하여 TV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단말에는 외부 영상 신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가 없었기 때문에, 이동 단말에서 영상을 편집하여 다시 외부 영상 신호 장치로 출력할 수 가 없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제한된 메모리로 인하여 PIP와 같은 영상 편집을 이동 단말에서 수행할 시 영상 장치에 출력되는 각 영상 별로 별도의 프레임 메모리가 사용됨으로 메모리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에서 영상 편집을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의 영상을 외부 영상 장치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외부 영상 장치를 통해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에서 PIP와 같은 영상 편집 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에 내장된 영상 입력 단자를 통해 캠코더나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이동 단말을 통해 영상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영상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면서 사용자가 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제1 영상과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이동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픽쳐 인 픽쳐 형식으로 출력될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와 위치로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메모리부에 오버레이되어 저장될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외부 영상 장치로 출력하기위해 변환하는 역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제1 이미지와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서의 처리를 위해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기 위한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는 과정 과, 상기 계산된 파라미터들을 근거로 상기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 하여야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편집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및 이런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을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 단말에 국한되지 않으며, 비교적 작은 처리 용량을 가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영상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 단말의 영상 입력 단자로 입력받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영상 장치(300)에 표시되는 영상(304)를 케이블(306)을 통해 카메라(308)가 구비된 이동 단말(302)의 영상 입력 단자(310)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에서 외부 영상 장치는 일반적인 TV가 될 수 도있으며, 컴퓨터 모니터 또는 LCD(Liquid Crystal Diaplay), PDP(Plasma Display Pannel)와 같이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도 3에서 이동 단말(302)과 외부 영상 장치(300)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RCA 케이블, 동축 케이블과 같은 일반적인 음성 또는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며, 이동 단말(302)에 구비된 영상 입력 단자(310)에 따라 케이블이 달라진다. 그리고, 이동 단말(302)은 표시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데, 상기 영상은 참조부호 312로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302)는 외부 영상 장치(300)와의 영상 입/출력을 위한 영상 입력 단자(310)와 영상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외부 영상 장치(300)는 TV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영상 입력 단자(310)는 RCA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과 접속되며, 상기 외부 영상 장치(3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컴포짓(Composite)신호로 입력받는다.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Analog Front End : AFE)(400)는 영상 입력 단자(310)로 입력된 신호를 최초로 처리하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외부 영상 장치(30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감마 커렉션(Gamma Correction)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TV 신호 디코더(402)로 전송한다. 상기 TV 신호 디코더(402)는 여기서 TV 신호 디코더(4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영상 장치(300)를 TV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외부 영상 장치(300)의 TV 신호 규격인 NTSC(the united states 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PAL(phase alternation line), SECAM(squentiel couleur mmoire )방식 중 해당되는 방식에 의거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NTSC 규격일 경우에는 262.5라인, 60 field/s 의 인터레이스(Interlace)된 데이터로, PAL 규격일 경우에는 312.5라인, 50 field/s 의 인터레이스된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부(404)는 상기 TV 신호 디코더(402)에서 출력되는 이븐 필드(Even field)와 오드 필드(odd field)를 서로 짜깁기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406)에서의 영상 편집을 위해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데이터로 변환한다. 메모리부(408)는 이동 단말(302)의 운영 체제(OS)와 같은 프로그램 메모리가 저장되는 영역과 일반적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모리부(408)는 이동 단말(302)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샌드 디스크(Sand Disk), MMC(Multi Media Card) 등 과 같이 외부 저장 매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역변환부(410)는 제어부(406)에 의해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영상 장치(300)로 출력하기 위해 메모리부(408)에 저장된 프로그레시브 영상을 인터레이스 영상으로 변환한다. TV 신호 인코더(412)는 해당 외부 영상 장치(300)의 TV 신호 규격에 따라 NTSC, PAL, SECAM 방식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to Analog Converter : DAC)(414)는 상기 TV 신호 인코더(412)에서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컴포짓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 단자(424)를 통해 외부 영상 장치(300)로 출력한다.
제어부(406)는 이동 단말(3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또한 상기 제어부(4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입력부(416)로부터 설정되는 명령에 따라 TV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해당 TV 신호 규격에 따라 수행하게 제어하며, PIP 영상 편집을 위한 이미지들의 크기 및 변환부(404)에서 출력되는 외부 영상 장치(300)의 영상을 표시부(416)에 표시되는 영상과 오버레이 하여 메모리부(408)에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16)가 아닌 외부 영상 장치(300)를 보면서 영상 편집을 할 수 있게 메모리부(408)에 저장된 영상을 영상 출력 단자(424)를 통해 외부 영상 장치(30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IP 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겹쳐지는 영역에서는 오버레이된 영상만 메모리부(408)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영상 장치(300)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이동 단말(302)의 영상을 PIP로 편집하기 위하여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비율을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메모리부(406)에는 메모리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418)는 영상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DSP말고도 다른 영상 처리 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상기 카메라(418)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420)는 상기 카메라(418)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422)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표시부(422)는 상기 영상 처리부(42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406)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키입력부(416)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4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들 및 카메라를 구동하는 촬영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302)이 외부 영상 장치(300)의 영상(304)을 입력받아 영상 편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는 외부 영상 장치(300)의 영상(304)과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16)에 출력 중이 영상(312)이 오버레이(500)되어 메모리(408)에 저장되어 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302)의 제어부(406)가 외부 영상 장치(300)의 이미지와 이동 단말(302)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메모리부(408)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맵을 도시한 것이다. 영상 이미지들은 상기 메모리의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이러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는 각 이미지들이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며, 상기 도 6은 이러한 프레임 메모리 영역의 한 부분만을 도시 한 것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메모리부(408)의 프레임 메모리 영역의 메모리 맵의 한 칸은 각각 화소 값을 저장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16)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 이미지(600)라 칭하고, 외부 영상 장치(300)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제2 이미지(602)라 칭하기로 하겠다.
제어부(406)는 먼저, 표시부(416)에 표시될 상기 제1 이미지(600)의 세로축 길이 m과 가로축 길이 n을 정하여 메모리부(408)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406)는 외부 영상 장치(300)로부터 입력된 제2 이미지(602)의 세로축 길이 p, 가로축 길이 q를 파악하고, 참조부호 604처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2 이미지(602)가 제1 이미지(600)에 오버레이될 크기와 위치를 입력받아 제 2이미지(602)의 가로축 및 세로축 각각의 다운 스케일링 비율과 제2 이미지(602)가 메모리부(408)에 저장될 오프셋을 정하게 된다. 제2 이미지(602)를 제1 이미지(60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시에 x(606)는 제2 이미지(602)의 가로 오프셋을, y(608)는 제2 이미지(602)의 세로 오프셋을 나타내며, 각 m, n, p, q, x, y, a, b 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406)는 상기 설정된 m, n, p, q, x, y, a, b값들을 사용하여 제1 이미지(600) 및 제2 이미지(602)의 각 화소 값을 메모리부(408)에 참조부호 604와 같이 메모리 맵으로 저장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메모리부(408)에 저장되는 메모리 맵(604)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406)는 상기 메모리 맵(604)의 첫 번째 화소 값(610)에 제1 이미지(600)의 화소 값을 캡쳐하여 저장하다가, 미리 정해진 오프셋만큼 떨어진 위치(6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PIP 디스플레이 될 제2 이미지(602)가 다운 스케일링된 각각의 화소 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메모리 맵(604)의 마지막 화소 값(612)까지 차례대로 저장하며, 이동 단말(302) 또는 외부 영상 장치(300)로 출력할 시에는 참조부호 616과 같이 제어부(406)가 상기 메모리부(408)에 저장된 화소 값들을 읽어 해당 표시부로 출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IP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700단계에서 제어부(406)는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16)에 출력되는 제1 이미지(600)를 메모리부(408)에 저장한다. 그 후, 702단계에서 제어부(406)는 사용자가 키입력부(416)를 통해 PIP 모드로 이미지를 출력하길 원하는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702단계에서 사용자가 PIP 모드를 요구했다면, 704단계에서 제2 이미지(602)가 제1 이미지(600)와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한다. 706단계에서 메모리 제어부(407)는 상기 제2 이미지(602)가 PIP 형식으로 표시부(422)에 출력될 제2 이미지(602)의 가로 및 세로 오프셋 x, y와 제2 이미지(602)가 상기 표시부(422)에 축소되어 표시되기 위한 가로 및 세로 다운 스케일링 비율인 a, b를 계산한다. 708단계에서 메모리 제어부(407)는 상기 706단계에서 계산된 x, y, a, b, p/a, q/b로 근거로 상기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미지(600)에 제2 이미지(602)를 오버레이하여 메모리부(408)에 저장한다. 710단계에서 제어부(406)는 사용자가 오버레이된 이미지의 출력을 요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710단계에서 사용자가 오버레인된 이미지의 출력을 요구할 시에는 712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6)가 메모리부(408)에 저장된 메모리 맵에서 각 픽셀 별로 화속 값을 읽어와서 해당되는 표시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해당되는 표시부 란,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22)가 될 수도 있으며, 영상 출력 단자(424)를 통해 연결된 외부 영상 장치(300)가 될수 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302)이 표시부(422)및 외부 영상 장치(300)로 PIP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302)의 표시부(422)가 아닌 외부 영상 장치(300)의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하기와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이동 단말의 영상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이동 단말의 영상을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편집을 수행하여 다시 영상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영상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을 적용하면 PIP를 구현하기 위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하나의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함으로써, 한정된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동 단말에 구비된 영상 출력 단자를 통하여 이동 단말에서 수행하는 영상 편집 화면을 외부 영상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큰 화면에서 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제1 이미지와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이동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픽쳐 인 픽쳐 형식으로 출력될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와 위치로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메모리부에 오버레이되어 저장될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를 외부 영상 장치로 출력하기위해 변환하는 역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되기 위한 다운 스케일링된 가로축 길이, 다운 스케일링된 세로축 길이, 가로 오프셋, 세로 오프셋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3. 이동 단말에서 출력되는 제1 이미지와 외부 영상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이동 단말에서의 처리를 위해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기 위한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파라미터들을 근거로 상기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되기 위한 다운 스케일링된 가로축 길이, 다운 스케일링된 세로축 길이, 가로 오프셋, 세로 오프셋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오버레이된 이미지의 출력이 요구될 때,
    외부 영상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상기 오버레이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질를 역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방법.
KR1020050043728A 2005-05-24 2005-05-24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121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28A KR20060121506A (ko) 2005-05-24 2005-05-24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28A KR20060121506A (ko) 2005-05-24 2005-05-24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06A true KR20060121506A (ko) 2006-11-29

Family

ID=3770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28A KR20060121506A (ko) 2005-05-24 2005-05-24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48B1 (ko) * 2007-11-02 2008-05-30 강미영 사용자단말기 제어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관심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3596053A (zh) * 2013-11-18 2014-02-19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pip播放的方法及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48B1 (ko) * 2007-11-02 2008-05-30 강미영 사용자단말기 제어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관심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3596053A (zh) * 2013-11-18 2014-02-19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pip播放的方法及终端
WO2015070546A1 (zh) * 2013-11-18 2015-05-21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pip播放的方法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283B2 (en) Video overlay devi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9480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크기 변환방법
US2007007596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ccording to movement of mobile terminal
US9161030B1 (en) Graphics overlay system for multiple displays using compressed video
EP17250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8483389B1 (en) Graphics overlay system for multiple displays using compressed video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WI538519B (zh) 視訊影像之擷取裝置
KR10067229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 캡쳐 장치
JP2010004297A (ja) 撮像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KR20060121506A (ko) 이동 단말에서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527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화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555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복수의 영상들을 동시에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808222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8265717A (ja) テレビ電話装置
KR100223590B1 (ko) 다기능 텔레비전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023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정지 영상 캡쳐 장치 및 방법
KR101015753B1 (ko) 문서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과 이를 위한문서 이미지 변환 방법
JP200801089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
KR20020008858A (ko) 화상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4737267B2 (ja) 撮像装置
JP2005191697A (ja) 動画撮影装置、動画記録方法、および、動画記録プログラム
JPH0343795A (ja) 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