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328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1328A KR20060121328A KR1020050043411A KR20050043411A KR20060121328A KR 20060121328 A KR20060121328 A KR 20060121328A KR 1020050043411 A KR1020050043411 A KR 1020050043411A KR 20050043411 A KR20050043411 A KR 20050043411A KR 20060121328 A KR20060121328 A KR 200601213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level
- battery
- reference voltage
- charge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축전지의 히스테리시스 특징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storage battery used in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whether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n / off.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충방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of a storage battery using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apparatus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충방전 제어장치 12: 발전기10: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12: generator
14: 축전지 16: 정밀 전류제어부14: battery 16: precision current control unit
18: 부하구동부 20: 제1 스위치18: load driver 20: first switch
22: 제2 스위치 24: 프로세서22: second switch 24: processor
26: 표시부 28: 입력전압 선택부26: display unit 28: input voltage selector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충전전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battery by monitoring a charging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충방전 장치는 외부 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그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충방전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발전기로는 태양전지나 풍력발전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방전 장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저장시키고 부하에 전력공급이 필요한 경우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 태양전지에서 날씨와 시간대에 따라 전압이 다르게 출력되도록 제어하였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a device that stores power provided from an external generator in a storage battery and supplies the power to a load if necessary. Here, a solar cell or a wind power generator is mainly used as an external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e / discharge device. The conventional solar cell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designed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store it in a storage battery, and supply power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to the load when power is required to the load. Control the output voltage differently according to weather and time zon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충방전 장치는 태양광의 세기가 균일하지 못하므로 축전지의 충전 및 동작점이 계속 변하게 되어 축전지가 충방전을 반복하게 되어 축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not uniform in the intensity of sunlight, so the charging and operating point of the battery is constantly changing, the battery is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not only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but also to supply a stable power to the load There was a problem.
또한 기존의 충방전 장치는 축전지의 전압이 완충시의 전압보다 조금만 낮아져도 충전을 재개하고 다시 완충시의 전압이 되면 충전을 종료하며, 방전불능시의 전압보다 조금만 높아져도 방전을 재개하고 이로 인해 다시 방전불능시의 전압이 되면 방전을 중단하였으므로 충방전이 반복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resumes charging even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slightly lower than the voltage at full charge, and ends charging when the voltage at the time of full charge again is reached, and resumes discharging even if it is slightly higher than the voltage at the time of discharge. When the voltage at the time of discharging was impossible again, the discharging was stopped,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was repeated.
또한 기존의 충방전 장치는 축전지의 충전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부하에 전력 을 공급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축전지가 아닌 다양한 장치들의 충전전압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was to supply power to the load by controll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 charging voltage of various devices other than the batter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적인 충방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축전지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의 충전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충방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ducing repetitive charge / discharge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and controlling charge voltages of various devices in addition to the battery. It is a task.
또한, 본 발명은 축전지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적인 충방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축전지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의 충전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충방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 / discharge control method capable of reducing repetitive charge / discharg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and controlling charge voltages of various devices in addition to the batter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제어장치는 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축전지로 유입되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정밀 전류제어부; 상기 축전지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여 부하를 구동시키는 부하 구동부;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상기 축전지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부하구동부로터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Charge and discharg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power input from the generator,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storage battery from the generator Precision current control unit for precise control; A load driving unit which transfers electric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to a load to drive the load;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output from the generator to the storage battery;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oad from the load driver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by monitoring a voltage level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It inclu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전기 및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모니터링하는 전압레벨 감지부; 상기 전압레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레벨 및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전압레벨 저장부;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레벨과 상기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는 전압레벨 비교부; 및 상기 전압레벨 비교부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히스테리시스 처리부; 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cessor includes a voltage level detector for monitoring the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to the processor; A voltage level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oltage level sensed by the voltage level detection unit and reference voltage leve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A voltage level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voltage level sensed by the voltage detection unit with the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hysteresis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by monitor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sing the result of the voltage level comparator. It further includes.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레벨은 상기 축전지의 충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인 제1 기준전압레벨 및 제2 기준전압레벨과, 상기 축전지의 방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인 제3 기준전압레벨 및 제4 기준전압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히스테리시스 처리부는 상기 충전전압레벨이 제1 기준전압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열어 충전을 종료하고, 제2 기준전압레벨 이하가 되면 제1 스위치를 닫아 충전을 재개하며, 상기 충전전압레벨이 제3 기준전압레벨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열어 방전을 종료하고, 제4 기준전압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닫다 방전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s a first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second reference voltage level that is a reference voltage leve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a third reference voltage level that is a reference voltage leve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a fourth reference voltage level, wherein the hysteresis processor ends the charging by opening the first switch when the charging voltag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level, and closing the first switch when the charging voltage level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level. Closes and resumes charging, and when the charge voltage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level, the second switch is opened to terminate the discharge; when the charge voltag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level, the second switch is closed to resume discharging. It is done.
본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레벨이나 상기 축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충전전압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generator or a charge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capacitor.
또한 상기 충방전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레벨이나 상기 축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충전전압레벨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해 주는 입력전압 선택부를 더 포함한다.The charge / discharg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voltage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ively display the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generator or the charge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capacitor through the display unit.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는 상기 발전기 및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프로세서로 출력되는 전압레벨을 모니터링하는 전압레벨 감지기능; 상기 전압레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레벨 및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전압레벨 저장기능;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레벨과 상기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는 전압레벨 비교기능; 및 상기 전압레벨 비교부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히스테리시스 처리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펌웨어 형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includes a voltage level sensing function for monitoring a voltage level output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to the processor; A voltage level storing function for storing the voltage level sensed by the voltage level detecting unit and reference voltage leve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A voltage level comparison function for comparing the voltage level sensed by the voltage sensing unit with the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hysteresis processing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by monitor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sing the result of the voltage level comparator. A program including a may be mounted in a firmware format.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제어 방법은,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a) 상기 축전지의 충전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충전전압레벨과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상기 축전지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부하구동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 detecting a charge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b) comparing the charging voltage level with a reference voltage level; And (c) a first switch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output from the generator to the storage battery or a second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load driver to the load according to a state of charge of the storage battery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Controlling the switch; It inclu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기준전압레벨은 상기 축전지의 충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인 제1 기준전압레벨 및 제2 기준전압레벨과 상기 축전지의 방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레벨인 제3 기준전압레벨 및 제4 기준전압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전압레벨이 제1 기준전압레벨 이상이 되면 충전을 종료하고, 제2 기준전압레벨 이하가 되면 충전을 재개하며, 상기 충전전압레벨이 제3 기준전압레벨 이하가 되면 방전을 종료하고, 제4 기준전압레벨 이상이 되면 방전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b),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s a reference voltage leve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or not and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a third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fourth reference voltage level, which are voltage levels, and stop charging when the charging voltag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level, and resume charging when the charging voltage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level. The discharge is terminated when the charge voltage level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level, and resumes when the charge voltage level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oltage level.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step (a)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the voltage level input from the generator,
(d) 상기 발전기의 출력전압레벨과 상기 축전지의 충전전압레벨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d) displaying one selected by a user from an output voltage level of the generator and a charging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It further includ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또는 (c)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축전지로 유입되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ecisely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into the storage battery from the generator in any one of steps (a) or (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제어장치(10)는 발전기(12)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공급받아 축전지(14)에 저장하며 축전지의 충전전압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전기(12)는 태양전지(미도시)를 사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풍력발전기(미도시)를 사용하여 풍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 an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제어장치(10)는 정밀 전류제어부(16), 부하구동부(18), 제1 스위치(20), 제2 스위치(22), 프로세서(24), 표시부 (26) 및 입력전압 선택부(2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harge /
정밀 전류제어부(16)는 발전기(12)로부터 축전지(14)로 유입되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밀 전류제어부(16)는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제어장치(10)를 이용하여 축전지(14)가 아닌 다른 장치를 충전할 때 피 충전장치(미도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피 충전장치로 유입되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정밀 전류제어부(16)는 발전기(14)로부터 피 충전장치로 유입되는 전류값을 임의로 설정하여 특정한 값을 가지는 전류가 피 충전장치로 유입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들의 충전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cision
부하 구동부(18)는 축전지(14)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을 부하(30)로 전달하여 부하를 구동시킨다. 부하 구동부(18)는 축전지(14)의 충전상태에 따라 프로세서(24)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2 스위치(22)를 개폐하여 부하(30)로 전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제1 스위치(20)는 발전기(12)와 프로세서(24)사이에 연결되어 프로세서(24)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전기(12)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축전지(14)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제2 스위치(22)는 부하 구동부(18)와 부하(30)사이에 연결되어 프로세서(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축전지(14)에 저장된 전력을 부하(30)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The
프로세서(24)는 축전지(14)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22)를 제어하여 축전지(14)의 반복적인 충방전을 감소시킨다. 프로세서(24)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 서(24)는 전압레벨 감지부(32), 전압레벨 저장부(34), 전압레벨 비교부(36) 및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를 포함한다.The
전압레벨 감지부(32)는 발전기(12) 및 축전지(14)로부터 프로세서(24)로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모니터링한다. 즉, 전압레벨 감지부(32)는 발전기(12)로부터 프로세서(24)로 입력되는 전압레벨과 축전지(14)로부터 프로세서(24)로 입력되는 충전전압레벨을 사전에 정해진 시간간격마다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전압 레벨 저장부(34)에 저장한다.The
전압레벨 저장부(34)에는 전압레벨 감지부(32)에 의해 측정된 발전기(12)로부터의 입력전압레벨과 축전지(14)로부터의 입력전압레벨 및 기준 전압레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레벨은 축전지(14)의 충방전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래퍼런스 전압레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축전지(14)의 전압특성에 따라 정해져서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다.The volt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전압레벨은 제1 기준전압레벨, 제2 기준전압레벨, 제3 기준전압레벨 및 제4 기준전압레벨을 포함한다. 제1 기준전압레벨은 축전지(14)가 완충되었을때의 전압레벨을 의미하고, 제2 기준전압레벨은 축전지(14)가 충전작업을 재개할때의 전압레벨을 의미하며, 제3 기준전압레벨은 축전지(14)가 부하(30)로 전력을 방전할 수 없을때의 전압레벨을 의미하고, 제4 기준전압레벨은 축전지(14)가 부하(3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방전을 재개할 수 있는 전압레벨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ncludes a first reference voltage level, a second reference voltage level, a third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fourth reference voltage level. The first reference voltage level means a voltage level when the
전압레벨 비교부(36)는 전압레벨 감지부(32)로부터 감지된 축전지(14)의 충 전전압레벨과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에 제공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가 축전지(14)의 충방전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The voltage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전압레벨 비교부(36)로부터 수신한 전압레벨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22)를 제어함으로써 축전지(14)의 충방전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1 기준전압레벨은 14.4V, 제2 기준전압레벨은 13.8V, 제3 기준전압레벨은 10.8V, 제4 기준전압레벨은 12.4V라고 가정하고, 먼저 발전기(12)를 이용하여 축전지(14)를 충전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전압레벨 감지부(32)에 의해 감지된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4.4V이상인 경우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제1 스위치(10)를 열어 발전기(12)로부터 충방전 제어장치(1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The
방전으로 인하여 축전지(14)의 전압이 다시 감소되고 감지된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3.8V이하이면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제1 스위치(20)를 닫아 발전기(12)로부터 다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축전지(14)를 충전시키게 된다.When the voltage of the
다음으로 축전지(14)에 저장된 전력을 방전함으로써 부하(3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전압레벨감지부(32)에 의해 감지된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0.8V이하인 경우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제2 스위치(22)를 열어 축전지(14)의 전력이 부하(30)로 방전되지 않게 한다. 방전이 중지된 후 충전으로 인하여 축전지(14)의 전압이 증가하여 감지된 축전지(14)의 전압레벨이 12.4V이상이 되면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제2 스위치(22)를 닫아 축전지(14)의 전력이 부하(30)로 방전되게 한다.Next, the case of supplying power to the
도 3에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10)에 사용되는 축전지(14)의 히스테리시스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축전지(14)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도 3(a)을 참조하면,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4.4V이상이 되면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충전이 중단되며 충전전압레벨이 13.8V까지 감소하면 하이레벨이 되어 충전이 재개됨을 알 수 있다. 축전지(14)의 방전상태를 도시한 도 3(b)를 참조하면,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0.8V이하가 되면 로우레벨이 되어 방전이 중단되며 충전전압레벨이 12.4V까지 상승하면 하이레벨이 되어 방전이 재개됨을 알 수 있다.3 shows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10)가 태양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축전지(14)를 충전시키는 경우 축전지(14)가 충전되는 낮 시간 동안에는 부하(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제2 스위치(22)를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는 발전기(1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으며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charge /
이러한 시간대에 따른 축전지의 충방전여부의 변화를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22)의 온/오프 여부가 도시된 4를 통해 살펴보면, 먼저 제1 스위치(20)는 낮과 밤에 관계없이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과 기준전압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온/오프되어 축전지(14)를 충전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이 14.4V 이상이 되면 축전지(14)의 충전작업이 중단됨을 알 수 있다.The change of the charge / discharg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whether the
다음으로 제2 스위치(22)는 낮 시간대에는 항상 오프되어 있어서 축전지(14)의 방전은 일어나지 않으며, 밤 시간대에는 충전지(14)의 방전불능상태의 전압레벨 인 10.8V이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온되어 부하(30)로 전력을 공급함을 알 수 있다.Next,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26)는 발전기(12) 또는 축전지(14)로부터 프로세서(24)로 입력되는 전압레벨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26)는 발광소자인 세븐 세그먼트(7-Segment)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전압 선택부(28)는 발전기(12)로부터의 입력전압과 축전지(14)로부터의 입력전압 중 사용자가 표시부(26)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입력전압을 선택하게 해 준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10)를 이용하여 축전지(14)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압레벨 감지부(32)가 현재 축전지의 충전전압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레벨을 전압레벨 저장부(34)에 저장한다(제100단계). 전압레벨 감지부(32)에 의해 감지된 전압레벨과 전압레벨 저장부(34)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여(제110단계) 현재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판단한다(제120단계). 충전전압레벨이 제1 기준전압레벨보다 큰 경우 제1 스위치(20)를 열어(제130단계) 충전을 종료하고(제140단계), 충전전압레벨이 제2 전압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1 스위치(20)를 닫아(제150단계) 충전을 재개한다(제160단계).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 discharge of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10)가 태양전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축전지(14)를 충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 처리부(38)가 주야를 판단하게 된다(제170단계). 판단결과 낮인 경우 제2 스위치를 열고(제180단계) 방전을 종료하여 부하(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제190단계). 밤인 경우 먼저, 충전전압레벨이 제3 기준전압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2 스위치(22)를 열어(제200단계) 방전을 종료하고(제210단계), 충전전압레벨이 제4 기준전압레벨보다 큰 경우 제2 스위치(22)를 닫아(제220단계), 방전을 재개하여 부하(30)로 전력을 공급한다(제230단계).In one embodiment, when the charge /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장치(10)가 태양전지가 아닌 다른 형태의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축전지(14)를 충전시키는 경우에는 주야를 판단할 필요 없이 충전전압레벨과 제3 및 제4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함으로써 방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modified embodiment, when the charge /
한편, 충전전압레벨 또는 발전기(14)로부터의 입력전압을 표시부(28)를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제100단계에 이어 발전기(14)로부터의 출력전압레벨을 감지한다(제240단계). 다음으로 입력전압 선택부(28)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게 되는데(제250단계), 사용자가 발전기(14)로부터의 입력전압레벨 표시를 선택하면 발전기(14)로부터의 입력전압레벨을 표시하고(제260단계), 사용자가 축전지(14)의 충전전압레벨의 출력 표시를 선택하면 충전전압레벨을 표시한다(제270단계).Meanwhile, when the charging voltage level or the input voltage from the
한편,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방법은 상술한 각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있어서 발전기(12)로부터 축전지(14)로 유입되는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전전압레벨을 먼저 측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전기(14)로부터의 입력전압레벨을 먼저 측정할 수 도 있고 두 전압레벨을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rging voltage level is measured first, but in the modified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the input voltage level from th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충방전 제어장치(10)는 시간 설정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계절 특성과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방전시간을 설정할 수 도 있으며, 발전기(12)가 태양전지(미도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일출과 일몰시간을 설정할 수 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ge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전압레벨 감지부, 전압레벨 저장부, 전압레벨 비교부 및 히스테리시스 처리부가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감지, 전압레벨 저장, 전압레벨 비교 및 히스테리시스 처리기능은 프로세서에 펌웨어(FirmWare)형식으로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PIC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은 CSCC-C라는 PIC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용 상위수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다.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은 컴파일 과정을 거쳐 기계어로 변화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의 기억장치인 EEPROM에 저장되므로 한번 저장된 프로그램은 PIC의 전원을 제거하여도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lthough the voltage level detecting unit, the voltage level storing unit, the voltage level comparing unit, and the hysteresis processing unit are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ocessor,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voltage level detecting unit, the voltage level storing unit, Voltage level comparison and hysteresis processing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that is embedded in the processor in the form of firmware.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PIC, and the program may be written using a high-level language dedicated to a PIC microprocessor called CSCC-C. The written source program is compiled into a machine language and then stored in EEPROM, a memory inside the microprocessor. Therefore, the stored program can remain even after the power supply of the PIC is removed.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전지의 전압을 감지하여 발전기와 축전지, 축전지와 부하 사이의 전력공급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축전지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적인 충방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s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eff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the battery and the loa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petitive charging and discharging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It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은 축전지로 유입되는 전류의 값을 임의로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축전지 이외에 다른 장치들의 충전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응용범위가 넓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rbitrarily specify th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harging of other devices in addition to the battery, thereby having an effect of wide application ran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계절특성과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방전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discharg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 environmen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3411A KR100787176B1 (en) | 2005-05-24 | 2005-05-24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3411A KR100787176B1 (en) | 2005-05-24 | 2005-05-24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1328A true KR20060121328A (en) | 2006-11-29 |
KR100787176B1 KR100787176B1 (en) | 2007-12-21 |
Family
ID=3770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3411A KR100787176B1 (en) | 2005-05-24 | 2005-05-24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17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591B1 (en) * | 2006-12-14 | 2008-05-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parameter of batter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parameter of battery |
KR101148010B1 (en) * | 2010-03-31 | 2012-05-24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electricity charging module by storage capacitor |
KR101259143B1 (en) * | 2011-08-22 | 2013-04-30 | (주)월드에너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stand alone solar photovoltaic power facilities |
KR20200092738A (en) * | 2019-01-25 | 2020-08-0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Energy storag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562A (en) * | 2000-12-13 | 2002-06-22 | 이계안 | Charging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s |
KR100452967B1 (en) * | 2002-04-24 | 2004-10-14 | 헥스파워시스템(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ler for solar power generation |
-
2005
- 2005-05-24 KR KR1020050043411A patent/KR10078717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591B1 (en) * | 2006-12-14 | 2008-05-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parameter of batter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parameter of battery |
KR101148010B1 (en) * | 2010-03-31 | 2012-05-24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electricity charging module by storage capacitor |
KR101259143B1 (en) * | 2011-08-22 | 2013-04-30 | (주)월드에너텍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stand alone solar photovoltaic power facilities |
KR20200092738A (en) * | 2019-01-25 | 2020-08-0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Energy storag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176B1 (en) | 2007-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73832B2 (en) | Sensor n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sensor node | |
US9893527B2 (en) |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method | |
EP0855633B1 (en) | Electronic timepiece | |
US5710506A (en) | Lead acid charger | |
US7119459B2 (en) | Intelligent switch for connecting power to a load | |
JP5858408B2 (en) | Energy management control for solar powered lighting devices | |
US8228042B2 (en) | Battery pack charging method | |
KR1004529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ler for solar power generation | |
US2009028422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the integrated circuit | |
US10181748B2 (en) |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method | |
US8816642B2 (en) | Method for using a stand-alone system connected to a battery | |
KR2012004001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aximum power point | |
CN101154821A (en) | Quick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nickel-hydrogen battery | |
JP2008061283A (en) | Capacitor charging apparatus | |
JP2010212232A (en) |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 |
KR10078717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
JP4137784B2 (en) | Solar power generator control system | |
JP2012202687A (en) | Device for observing state of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 |
KR102437477B1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full charge capacity of a battery | |
JP2010063359A (en) | Power supply system | |
US9285819B2 (en) | Cyclical supply method and device, and det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 |
CN102916459A (en) | Display method for charge control content, and battery pack | |
JP2012113912A (en) | Lighting apparatus | |
JPH0879985A (en) | Electronic equipment | |
JP4564122B2 (en) | Electronic c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