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826A -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826A
KR20060119826A KR1020060062910A KR20060062910A KR20060119826A KR 20060119826 A KR20060119826 A KR 20060119826A KR 1020060062910 A KR1020060062910 A KR 1020060062910A KR 20060062910 A KR20060062910 A KR 20060062910A KR 20060119826 A KR20060119826 A KR 2006011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shaft
stan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966B1 (ko
Inventor
고재식
Original Assignee
고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식 filed Critical 고재식
Priority to KR102006006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9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 조정될 뿐만 아니라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정이 다각도로 편리하게 조정가능하며,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켜주고, 임의로 패널측 브라켓의 기울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완전절첩도 가능하여 포장체적을 줄여주므로 물류비용이 대폭 감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이 지지되는 패널측 브라켓, 스탠드에 취부되는 스탠드브라켓, 상기 패널측 브라켓과 스탠드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링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레버타입 힌지장치로서,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패널측 브라켓 및 스탠드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상하부에 형성되는 링크부가 평판부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에서 제1통공이 형성된 상부 링크부는 제1샤프트를 통하여 캠형 링크부재 및 패널측 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캠형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에 끼워지는 제1-1통공과 상기 제1-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3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통공이 형성된 하부 링크부는 제2샤프트를 통하여 스탠드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브라켓에는 제2샤프트에 끼워지는 제2-1통공과 상기 제2-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4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제3샤프트에 상기 캠형 링크부재의 제3통공과 함께 끼워지는 제3-1통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4샤프트에 상기 스탠드브라켓의 제4통공과 함께 끼워지는 제4-1통공이 하부에 형성된 서브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A HINGE DEVICE FOR DISPLAY-PANEL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가변상태도
도 4는 도 3a의 A-A선 단면 상세도
도 5는 도 3a의 B-B선 단면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상태도
도 7a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10: 패널측 브라켓 11: 틸트브라켓 13: 스위블브랏켓
20: 스탠드브라켓 30: 링크플레이트 31: 링크부
33: 평판부 40: 캠형 링크부재 50: 서브링크부재
50A: 서브링크플레이트 60: 토오크부재 61: 디스크스프링
65: 너트 h1: 제1통공 S1: 제1샤프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 조정될 뿐만 아니라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정이 다각도로 편리하게 조정가능하며,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켜주고, 임의로 패널측 브라켓의 기울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완전절첩도 가능하여 포장체적을 줄여주므로 물류비용이 대폭 감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PDP 또는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은 힌지장치를 통하여 스탠드와 결합지지되고, 상기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근래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높낮이를 조정하면 기울기가 연동 조정되어 편의성을 높이 레버타입 힌지장치가 등록실용 제0356157호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을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패널에 부착되는 패널브라켓(110), 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브라켓(120), 상기 스탠드브라켓(120)과 패널브라켓(110) 사이에 설치되는 레버타입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타입 힌지장치는 상기 패널측 브라켓 및 스탠드브라켓에 상하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가 평판부 좌우에 일체로 형성된 링크플레이트(130), 스탠드브라켓(120)과 같이 움직이는 하부회전캡(141), 패널브라켓과(110) 같이 움직이는 상부회전캡(142)이 링크플레이트(130)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130) 양측으로 상기 상부회전캡(142)과 하부회전캡(141)을 연결하되 각 회전캡의 중심에서 소정반경 상에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151)(152), 상기 한 쌍의 링크 사이를 탄지하는 스프링(14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링크플레이트(130)를 상기 하부회전캡(141) 및 스탠드브라켓(120)을 기준으로 하향 또는 상향회전시키면, 다시 말하면 패널 브라켓(110)의 높낮이를 조정하면 상기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링크(151)(152)에 의하여 상부 회전캡(142)이 링크플레이트(130)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부회전캡(142)과 같이 움직이는 패널브라켓(110) 또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연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패널브라켓(110)의 높낮이를 하강시킬 경우 기울기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회전이 일어나 높낮이 조정 후 기울기 조정이 불필요한 편의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이러한 편의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너무나 복잡하여 부품수가 많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 및 제조비용이 낭비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링크플레이트에 대한 패널브라켓의 기울기 임의 조 정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완전절첩이 불가능하여 불필요하게 포장체적이 커지므로 물류비용이 막대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자동적으로 연동될 뿐만 아니라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정이 다각도로 편리하게 조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로 패널측 브라켓의 기울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완전절첩도 가능함으로써 포장체적을 줄여 물류비용이 대폭 감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지지되는 패널측 브라켓, 스탠드에 취부되는 스탠드브라켓, 상기 패널측 브라켓과 스탠드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링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레버타입 힌지장치로서,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패널측 브라켓 및 스탠드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 는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상하부에 형성되는 링크부가 평판부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에서 제1통공이 형성된 상부 링크부는 제1샤프트를 통하여 캠형 링크부재 및 패널측 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캠형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에 끼워지는 제1-1통공과 상기 제1-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3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통공이 형성된 하부 링크부는 제2샤프트를 통하여 스탠드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브라켓에는 제2샤프트에 끼워지는 제2-1통공과 상기 제2-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4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제3샤프트에 상기 캠형 링크부재의 제3통공과 함께 끼워지는 제3-1통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4샤프트에 상기 스탠드브라켓의 제4통공과 함께 끼워지는 제4-1통공이 하부에 형성된 서브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가변상태도, 도 4는 도 3a의 A-A선 단면 상세도, 도 5는 도 3a의 B-B선 단면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 용 힌지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지지되는 패널측 브라켓(10), 스탠드에 취부되는 스탠드브라켓(20), 상기 패널측 브라켓(10)과 스탠드브라켓(20) 사이에 설치되며 링크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패널측 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레버타입 힌지장치로서, 상기 링크플레이트(30)는 상기 패널측 브라켓(10) 및 스탠드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통공(h1)과 제2통공(h2)이 상하부에 형성되는 링크부(31)가 평판부(33)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30)에서 제1통공(h1)이 형성된 상부 링크부는 제1샤프트(S1)를 통하여 캠형 링크부재(40) 및 패널측 브라켓(10)과 결합되고, 상기 캠형 링크부재(40)는 상기 제1샤프트(S1)에 끼워지는 제1-1통공(h1-1)과 상기 제1-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3통공(h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통공(h2)이 형성된 하부 링크부는 제2샤프트(S2)를 통하여 스탠드브라켓(20)과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브라켓(20)에는 제2샤프트(S2)에 끼워지는 제2-1통공(h2-1)과 상기 제2-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4통공(h4)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30)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제3샤프트(S3)에 상기 캠형 링크부재(40)의 제3통공(h3)과 함께 끼워지는 제3-1통공(h3-1)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4샤프트(h4)에 상기 스탠드브라켓(20)의 제4통공(h4)과 함께 끼워지는 제4-1통공(h4-1)이 하부에 형성된 서브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널측 브라켓(10)은 양측의 제1샤프트(S1)에 기울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tilt)브라켓(11)과, 상기 틸트브라켓(11)에 수평회전 가능토록 틸트브라켓의 수평부(11a)에 수직설치되는 제5샤프트(S5)를 통하여 결합 되고 디스플레이패널이 취부되는 스위블(swivel)브라켓(13)으로 구성되어 기울기 조정과 아울러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트브라켓(11)은 상기 수평부(11a) 좌우에 상기 제1샤프트가 결합되는 수직부(11b)가 양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측 브라켓(10)은 디스플레이패널이 취부되고 상기 스위블브라켓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되어 기울기 조정,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틸트브라켓(11)과 스탠드브라켓(20) 및 링크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샤프트(S1)와 제2샤프트(S2) 상에서 개별회전이 가능토록 그 결합공인 상기 제1-3통공(h1-3), 제2-1통공(h2-1), 제1통공(h1) 및 제2통공(h2)은 정원(正員)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샤프트(S1), 제2샤프트(S2) 및 제5샤프트(S5)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스프링(51) 또는 코일스프링과 와셔(63)가 결합되고 너트(65) 체결되는 토오크부재(60)가 부여된다.
상기 와셔(63)는 윤활제 충전홀(63a)이 다수형성되고 클릭감을 주기 위한 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의 서브링크부재(50)는 연결평판부(51)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서브링크플레이트(50A)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서브링크플레이트(50A)는 링크플레이트(30) 내측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캠형 링크부재(40) 및 스탠드브라켓(20)에는 상기 서브링크부재(50)의 선단부가 삽입 가이드되는 절개홈(41)(21)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제1샤프트(S1) 및 제2샤프트(S2)에 각각 토오크부재(60)가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플레이트(30) 상부는 제1샤프트(S1)를 통하여 캠형 링크부재(40) 및 패널측 브라켓(10)과 결합되는 한편, 서브링크부재(50)의 상부는 상기 캠형 링크부재와 제3샤프트(S3)를 통하여 결합되고 제3샤프트(S3)는 링크플레이트(30)를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링크플레이트(30)의 하부는 제2샤프트(S2)를 통하여 스탠드브라켓(20)과 결합되는 한편 스탠드브라켓(20)은 제4샤프트(S4)를 통하여 서브링크부재(50)의 하부와 결합되며 역시 제4샤프트(S4)는 링크플레이트(30)를 간섭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S1), 제2샤프트(S2), 제3샤프트(S3)틀 잇는 제1삼각레버(△1)와 제1샤프트(S1)와 제3샤프트(S3)와 제4샤프트(S4)를 잇는 제2삼각레버(△2)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스탠드브라켓(20)에 결합되는 제2샤프트(S2)와 제4샤프트(S4)의 위치가 불변상태에서 예컨대 패널측 브라켓(10) 높낮이를 낮추기 위하여 링크플레이트(30)를 제2샤프트(S2)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샤프트(S1) 위치가 숙여져 낮아지면 상기 제1삼각레버(△1)로 연계된 제3샤프트(S3)는 제1샤프트(S1)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3샤프트(S3)와 제4샤프트(S4) 사이에 결합된 서브링크부재(50)에 의하여 제3샤프트(S3) 및 제3샤프트에 일측이 결합된 캠형 링크부재(40)가 제1샤프트(S1)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어 캠형 링크부재(40)에 결합된 패널측 브라켓(10)을 상향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패널측 브라켓(10)의 상향회전은 상기 링크플레이트(30)가 숙여지는 각도(하향각도)만큼 반대방향(상향)으로 들려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패널측 브라켓(10)의 높낮이를 어떤 위치로 조정하여도 패널측 브라켓(10)의 기울기는 최초 설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패널측 브라켓(10)이 링크플레이트(3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연동될 뿐만 아니라 외력이 강제적으로 가해지면 상기 토오크부재(60)의 탄성에 의하여 패널측 브라켓(10)의 기울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절첩도 가능하여 포장체적을 현저히 줄여주므로 물류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측 브라켓(10)이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트브라켓(11)과 수평회전 조정을 가능케 하는 스위블브라켓(13)이 구비되어 화면의 시야각을 다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거기에 제3브라켓이 더 구비될 경우에는 수직방향 회전까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측 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정과 함께 기울기를 연동시키는 레버기구의 구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켜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는 패널측 브라켓이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 조정될 뿐만 아니라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정이 다각도로 편리하게 조정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측 브라켓의 높낮이조정과 함께 기울기를 연동시키는 레버기구 구성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감축시켜준다.
또한, 외력이 강제적으로 가해질 경우 패널측 브라켓의 기울기 설정을 임의 조정할 수 있으며, 기기의 완전절첩도 가능함으로써 포장체적을 줄여 물류비용이 대폭 감축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패널이 지지되는 패널측 브라켓(10), 스탠드에 취부되는 스탠드브라켓(20), 상기 패널측 브라켓(10)과 스탠드브라켓(20) 사이에 설치되며 링크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패널측 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정시 기울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레버타입 힌지장치로서, 상기 링크플레이트(30)는 상기 패널측 브라켓(10) 및 스탠드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통공(h1)과 제2통공(h2)이 상하부에 형성되는 링크부(31)가 평판부(33)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30)에서 제1통공(h1)이 형성된 상부 링크부는 제1샤프트(S1)를 통하여 캠형 링크부재(40) 및 패널측 브라켓(10)과 결합되고, 상기 캠형 링크부재(40)는 상기 제1샤프트(S1)에 끼워지는 제1-1통공(h1-1)과 상기 제1-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3통공(h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통공(h2)이 형성된 하부 링크부는 제2샤프트(S2)를 통하여 스탠드브라켓(20)과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브라켓(20)에는 제2샤프트(S2)에 끼워지는 제2-1통공(h2-1)과 상기 제2-1통공과 이격 위치에 제4통공(h4)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30)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제3샤프트(S3)에 상기 캠형 링크부재(40)의 제3통공(h3)과 함께 끼워지는 제3-1통공(h3-1)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4샤프트(h4)에 상기 스탠드브라켓(20)의 제4통공(h4)과 함께 끼워지는 제4-1통공(h4-1)이 하부에 형성된 서브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측 브라켓(10)은 양측의 제1샤프트(S1)에 기울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브라켓(11)과, 상기 틸트브라켓(11)에 수평회전 가능토록 틸트브라켓의 수평부(11a)에 수직설치되는 제5샤프트(S5)를 통하여 결합되고 디스플레이패널이 취부되는 스위블브라켓(13)으로 구성되어 기울기 조정과 아울러 수평회전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라켓(11)과 스탠드브라켓(20) 및 링크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샤프트(S1)와 제2샤프트(S2) 상에서 개별회전이 가능토록 그 결합공인 상기 제1-3통공(h1-3), 제2-1통공(h2-1), 제1통공(h1) 및 제2통공(h2)은 정원(正員)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샤프트(S1), 제2샤프트(S2) 및 제5샤프트(S5)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스프링(51) 또는 코일스프링과 와셔(63)가 결합되고 너트(65) 체결되는 토오크부재(60)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서브링크부재(50)는 연결평판부(51)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서브링크플레이트(50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형 링크부재(40) 및 스탠드브라켓(20)에는 상기 서브링크부재(50)의 선단부가 삽입 가이드되는 절개홈(41)(21)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KR1020060062910A 2006-07-05 2006-07-05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KR10085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910A KR100850966B1 (ko) 2006-07-05 2006-07-05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910A KR100850966B1 (ko) 2006-07-05 2006-07-05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826A true KR20060119826A (ko) 2006-11-24
KR100850966B1 KR100850966B1 (ko) 2008-08-07

Family

ID=3770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910A KR100850966B1 (ko) 2006-07-05 2006-07-05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9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5B1 (ko) * 2007-05-08 2008-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09230B1 (ko) * 2007-08-10 2009-07-23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캠디스크를 이용하는 푸리스톱 모니터 스탠드장치
CN109870798A (zh) * 2019-04-11 2019-06-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研究所 一种水下目镜支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09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봇을 갖는 2절 힌지구조의 영상 표시기기
KR100662367B1 (ko) * 2004-05-06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35B1 (ko) * 2007-05-08 2008-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09230B1 (ko) * 2007-08-10 2009-07-23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캠디스크를 이용하는 푸리스톱 모니터 스탠드장치
CN109870798A (zh) * 2019-04-11 2019-06-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研究所 一种水下目镜支架
CN109870798B (zh) * 2019-04-11 2024-04-1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研究所 一种水下目镜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966B1 (ko)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605B2 (en) Support structure torque transfer function
US7770856B2 (en) Thin computer monitor support apparatus
CN101311998B (zh) 平板显示器和具有该平板显示器的平板显示装置
US64112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01026015A (zh) 显示设备的支座
US20050002159A1 (en) Monitor
US20070235609A1 (en) Automatic wall mounting system for wall-mounted TV
US20040055114A1 (en) Hinge assembly for supporting LCD display panel
US20040041062A1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20090230271A1 (en) Automated tilt head for electronic display mount
EP2503209B1 (en) Adjustable display mounting bracket assembly
KR20050020255A (ko) 모니터장치
US6076786A (en) Adjustable video display screen
CN1937091A (zh) 显示装置
DE202015009172U1 (de) Halterung für einen Flachbildschirmfernseher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KR100850966B1 (ko) 디스플레이패널 스탠드용 힌지장치
CN101311997B (zh) 显示装置
KR10064391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US20050207101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djustable display screen
JP4863416B2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US6561469B1 (en) High storage volume support for displays
KR20210016239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의 틸팅장치
US20030173476A1 (en) Stable support system for displays
KR100505945B1 (ko) 화면각도 및 높이가 연동으로 조절되는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