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557A -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557A
KR20060119557A KR1020050042677A KR20050042677A KR20060119557A KR 20060119557 A KR20060119557 A KR 20060119557A KR 1020050042677 A KR1020050042677 A KR 1020050042677A KR 20050042677 A KR20050042677 A KR 20050042677A KR 20060119557 A KR20060119557 A KR 2006011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ndow
voice
mode
voice command
comm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영
장석윤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557A/ko
Publication of KR200601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하여 자동으로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의 제어 장치는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운전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비교할 음성 데이터 및 그에 상응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파워 윈도우 구동부, 음성 인식 모드와 수동 모드의 전환을 담당하는 모드 전환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윈도우, 파워 윈도우, 자동차 윈도우, 음성 인식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power windows of motor vehicles by utilizing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파워 윈도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113 :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10 : 음성 입력부 121 : 음성 인식 처리부
120 : 제어부 122 : 비교처리부
130 : 파워 윈도우 구동부 123 : 제어신호출력부
140 : 메모리부 124 : 모드 전환부
150 : 모드 선택부 131 : 모터 제어기
111 : 음성 인식 마이크 132 : 모터
112 : 음성 증폭부 133 : 조작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간의 음성을 인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를 개폐 하는 동작 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윈도우는 수동 손잡이로 동작하는 수동 윈도우와 전기를 이용하여 버튼으로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수동 손잡이로 동작하는 윈도우보다는 파워 윈도우가 자동차에 탑재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의 수동 또는 일반 파워 윈도우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윈도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한 손으로 수동 손잡이 또는 파워 윈도우 버튼을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전을 하는 사용자로서는 윈도우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하여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하게 되며, 이로 인한 운전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명령 신호만으로도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를 자동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을 사용하여 윈도우의 개폐 기능을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파워 윈도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비교할 음성 데이터 및 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음성 인식모드와 수동 모드의 전환을 담당하는 모드 전환부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인식 모드와 수동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 선택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파워 윈도우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 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를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통하여서만 파워 윈도우를 동작할 수 있는 수동모드와 음성 명령 신호를 인식하여 파워 윈도우를 구동하는 음성 인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파워 윈도우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상기 음성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아 에러가 반복되는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를 수동 모드로 자동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인 음성인식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람간의 의사전달 수단으로서 음성, 문자, 수화 등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음성언어는 배우기가 쉽고 거의 모든 사람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 간의 의사 전달 수단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적 사상인 음성인식이란 컴퓨터가 사람의 음성언어를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면 인간의 음성으로 인터넷을 액세스하거나, 컴퓨터에게 음성언어를 받아 적게 하거나, 음성명령을 이해하여 컴퓨터 또는 각종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음성인식 기술은 파라미터에 따라서 여러 가지 기법으로 분류된다.
음성인식을 발성 모드에 따른 기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하나의 단어만을 발 성한 것을 인식하는 기법을 고립단어인식(Isolated Word Recognition)이라 하고, 여러 개의 단어를 중간에 짧은 휴지 구간을 넣어 발성한 것을 인식하는 것을 연결단어인식(Connected Word Recognition)이라 하며, 여러 단어를 연속적으로 발음한 것을 인식하는 것을 연속음성인식(Continuous Speech Recognition)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연속적으로 발성한 음성에서 주어진 핵심어만을 추출하는 것을 핵심어 검출(Keyword Spotting)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는 "윈도우 열어" 와 "윈도우 닫어" 등과 같이 복수 개의 단어 인식이 필요하므로 하나의 단어만을 인식하는 고립단어인식 기법 보다는 연결단어인식, 연속음성인식, 핵심어검출 기법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인식 기술을 화자 의존성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특정한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기법으로 화자종속기법(Speaker Dependent)이 있다. 이러한 화자종속기법은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여 인식하는 장치를 학습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Dynamic Time Warping이라는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번째, 화자 독립방식(Speaker Independent)이 있다. 이는 임의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므로 사용자가 미리 인식기를 학습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음성인식 장치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Hidden Markov model(HMM), Neural Network(NN)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운전자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다른 탑승자도 파워 윈도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화자독립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동작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윈도우 제어 장치는 기본적으로 음성 입력부(110), 제어부(120),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전자의 음성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제어부(120)의 음성 인식 처리부(121)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음성 인식 처리부(121)에 전달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의 음성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마이크(111)를 포함하여야 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음성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음성 증폭부(11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하위 구성 요소에 대하여 살펴본다.
음성 인식 마이크(111)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 요소이다. 음성 인식 마이크(111)에서 수신된 음성 명령 신호는 직접 음성 인식 처리부(121)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명령 신호는 음성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음성 증폭부(112)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를 거칠 수도 있다.
음성 입력부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음성 증폭부(112)는 음성 인식 마이크(111)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음성 증폭부(112)는 입력된 음성 명령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신호 처리에 적합한 정도로 향상시켜주는 증폭 과정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음성 명령 신호 또는 증폭된 음성 명령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로 입력될 수 있다. 음성 명령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해당하므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는 음성 명령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인식 처리부(121)로 입력되게 된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비하여 에러 발생률이 작을 뿐만 아니라 복구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은 이러한 디지털 신호의 장점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 정확도를 높여준다.
제어부(120)는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을 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모드 선택부 (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우 장치의 모드 전환을 담당하는 모드 전환부(1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음성 명령 신호와 음성 데이터의 비교,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 출력, 모드 전환 제어 등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 인식 처리부(121)는 음성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명령 신호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와 매칭되는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 인식 처리부(121)는 비교처리부(122)와 제어신호출력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교처리부(122)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매칭되는지 비교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이 때 비교처리부는 앞에서 살펴본 음성 인식 기술 중에서 연속음성인식 기법과 HMM, NN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화자독립방식의 음성 인식 기법 등을 통하여 음성 명령 신호와 음성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신호출력부(123)는 비교처리부(122)가 음성 명령 신호와 음성 데이터가 매칭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는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로 전달되고 파워 윈도우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모드 전환부(124)가 구성 요소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동일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출력부(123)는 에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에러 신호는 모드 전환부(124)로 전달되며 이러한 에러 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우의 동작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모드 전환부(124)는 파워 윈도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부(124)는 음성 입력부(110) 및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124)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모드 전환부(124)의 기능과 관련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음성 인식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 명령으로도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만(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파워 윈도우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124)는 음성 입력부(110)와 음성 인식 처리부(121)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하거나 조작 스위치(133)를 조작함으로써 윈도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반면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124)는 음성 입력부(110)와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워 윈도우의 조작 스위치(133)를 통해서만 윈도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모드 전환부(124)는 파워 윈도우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에러가 반복되는 경우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수동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자동 전환 기능에 대하 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신호출력부(123)는 에러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에러 신호는 모드 전환부(124)로 전달된다. 모드 전환부(124)는 상기 에러 신호를 체크하여 에러의 연속 발생 횟수를 기억한다. 모드 전환부(124)는 상기 에러가 일정 횟수 반복되는 경우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음성 인식 모드에서 수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는 제어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인식 처리부(121)와 연결되어 있어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제어를 받아 파워 윈도우를 실질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의 조작 스위치(133)의 제어에 따라 파워 윈도우를 실질적으로 구동한다.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는 모터 제어기(131), 모터(132) 및 조작 스위치(133)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모터 제어기(131)는 조작 스위치(133)와 음성 인식 처리부(12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 제어기(131)는 사용자의 조작 스위치(133) 조작 또는 음성 명령 신호에 따라 모터(13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모터(132)는 모터 제어기(131)와 연결되어 있어 모터 제어기(131)의 제어에 따라 실질적으로 파워 윈도우 장치의 열림/닫힘 기능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조작 스위치(133)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동작하는 경우 파워 윈도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의 음성 인식 처리부(121)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비교할 대상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 저장 장치이다. 이러한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20) 외부의 독립적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면 1은 메모리부(140)가 제어부(120) 외부의 독립적 구성 요소로 존재하게 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들은 그 음성 데이터와 동일한 음성이 입력된 경우 출력될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메모리부(140)의 음성 데이터를 추가, 변경, 삭제하여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조작 방법을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50)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음성 인식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드 선택부(150)에 의하여 파워 윈도우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이라도 사용자는 수동으로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사용자는 수동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부(150)는 제어부(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제어부(120)는 이에 따라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모드를 전환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여 보자.
자동차의 전원이 들어오게 되면 사용자는 모드 선택부(150)를 조작하여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작동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한 경우 음성 입력부(110)의 음성 인식 마이크(11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음성 인식 처리부(121)로 전달한다. 이 때 음성 인식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음성 신호의 증폭 및 디지털 음성 신호로의 변환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음성 신호의 증폭 과정은 음성 입력부(110)의 음성 증폭부(112)가 담당한다. 아날로그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가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윈도우 열어/닫어"라고 말한 경우 음성 인식 마이크(111)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며, 음성 증폭부(112)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3)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제어부(120)의 음성 인식 처리부(121)는 음성 입력부(110)에서 전달받은 음성 명령 신호를 분석하여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와 매칭되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예에서는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 중 "윈도우 열어/닫어"와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게 된다.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제어신호출력부(123)는 매칭된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파워 윈도우 구동부(130)로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중 "윈도우 열어/닫어"라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음성인식 처리부는 상응하는 "윈도우 열림/닫힘"제어 신호를 파워 윈도우의 모터 제어기(131)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 제어기(131)는 모터(13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예에서는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윈도우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윈도우의 동작을 사용자의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모드 전환부(124)가 자동적으로 모드 변환을 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자. 만일 음성 인식 처리부(121)가 운전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음성 인식 처리부(121)는 에러를 발생시키고 다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러가 일정 횟수 반복하게 되면 모드 전환부(124)는 음성 입력부(110)와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드 전환부(124)는 파워 윈도우의 동작 모드를 수동모드로 전환시킨다.
물론, 메모리부(140)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킨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음성 인식 처리부(12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와 메모리부(140)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메모리부는 음성 명령 신호와 음성 데이터가 일치하게 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음성 인식 처리부(121)의 제어신 호출력부(123)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추가, 변경, 삭제할 수 있으므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한 "윈도우 열림/닫힘"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사용자는 Open, Close, One step Down, One step On, Power On, Power Off, 수동 모드 전환, 음성 인식 모드 전환 등 무수히 많은 용어를 미리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워 윈도우 장치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여 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구동과 함께 동작하게 된다. 이때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동작은 시작된다.
사용자는 파워 윈도우를 음성 명령을 통하여 제어하는 음성 인식 모드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선택한다. (S100)
음성 인식 모드를 선택한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음성 수신이 되지 않는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계속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S200) 이 과정에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음성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음성 명령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이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상기 음성 명령 신호(또는 디지털 음성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00)
상기 음성신호와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킨다. (S400)
만일 S300 과정에서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동일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는 에러 신호를 발생시킨다. (S310)
만일 S310 과정의 에러가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된 경우에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모드는 수동 모드로 변환되며, 설정된 횟수 이하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다리는 S200의 전단계로 복귀한다.(S3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운전하는 동안 단지 음성으로 명령하는 것만으로 파워 윈도우의 동작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파워 윈도우 및 수동 윈도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운전하는 경우 한 손은 핸들을 조작하고, 나머지 한 손은 파워 윈도우의 버튼 또는 수동 윈도우의 손잡이를 조작하여야 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및 그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운전하는 사용자는 한 손을 파워 윈도우 조작 버튼 또는 수동 윈도우의 손잡이를 조작하는데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하여 주어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으로 파워 윈도우를 동작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훨씬 편리하게 파워 윈도우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파워 윈도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 모드와 음성 명령을 통하여 동작시키는 음성 인식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 선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음성 인식 모드 동작시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상 매칭되지 않는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수동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특징을 가지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5.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파워 윈도우 구동을 하기 위하여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파워 윈도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를 구동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모드와 음성 명령을 통하여 파워 윈도우를 동작시키는 음성 인식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 신호와 상기 음성 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상 매칭되지 않는 경우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수동 모드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 방법.
KR1020050042677A 2005-05-20 2005-05-20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KR20060119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77A KR20060119557A (ko) 2005-05-20 2005-05-20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77A KR20060119557A (ko) 2005-05-20 2005-05-20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57A true KR20060119557A (ko) 2006-11-24

Family

ID=3770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77A KR20060119557A (ko) 2005-05-20 2005-05-20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0773A (zh) * 2020-05-29 2020-09-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汽车上的声控车窗方法和系统
CN111845297A (zh) * 2020-06-18 2020-10-30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智能化语音控制天窗的系统及方法
CN113047725A (zh) * 2021-02-24 2021-06-29 重庆利龙科技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环境感知的电动车窗智能控制系统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0773A (zh) * 2020-05-29 2020-09-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汽车上的声控车窗方法和系统
CN111845297A (zh) * 2020-06-18 2020-10-30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智能化语音控制天窗的系统及方法
CN113047725A (zh) * 2021-02-24 2021-06-29 重庆利龙科技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环境感知的电动车窗智能控制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4195B2 (en) Dialogue processing apparatus, a vehicle having same, and a dialogue processing method
JP3479691B2 (ja) 実時間作動での音声対話又は音声命令による1つ又は複数の機器の自動制御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EP2045140B1 (en) Adjustment of vehicular elements by speech control
EP1933303B1 (en) Speech dialog control based on signal pre-processing
US7761204B2 (en) Multi-modal data input
EP1902906B1 (en) Add-on module for externally controlling a speech dialog system
US20050049870A1 (en) Open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JPS6335999B2 (ko)
JP2007501420A (ja) ダイアログシステムの駆動方法
US20160267909A1 (en)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
JP2003114698A (ja) コマンド受付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119557A (ko)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및 그 방법
JPH11126092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車両用音声認識装置
US10770070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116130A (ja) 車内音声処理装置および車内音声処理方法
US10726651B1 (en) System for enabling door of vehicle to open or close upon a vocal command
KR20130041421A (ko) 터치기반 음성인식 멀티모달리티 시스템
CN114550713A (zh) 对话系统、车辆以及对话系统的控制方法
CN112331200A (zh) 一种车载语音控制方法
KR100331574B1 (ko)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의 선 루프 자동 제어 장치및 방법
US20230238020A1 (en)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peech recognition service
KR100692488B1 (ko) 자동차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32731B1 (ko) 음성인식차량의국부학습방법및장치
US20230386455A1 (en) Dialogu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332732B1 (ko) 음성인식차량의탐색학습방법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