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796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796A
KR20060118796A KR1020050041149A KR20050041149A KR20060118796A KR 20060118796 A KR20060118796 A KR 20060118796A KR 1020050041149 A KR1020050041149 A KR 1020050041149A KR 20050041149 A KR20050041149 A KR 20050041149A KR 20060118796 A KR20060118796 A KR 2006011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main body
vacuum cleaner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1295B1 (en
Inventor
민영군
윤경수
우태영
이호걸
이준호
김택균
강민호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295B1/en
Publication of KR2006011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improve filtering efficiency by doubly filtrating foreign matters in the air with cyclone method, and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by restricting a dust collecting handle from being protruded up. A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100) embedding parts,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in the body to doubly filtrate foreign matters from air and detachably combined with an upper part of the body, a motor assembly(140) installed in the body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by receiving power, a cord reel assembly installed at a side of the motor assembly to wind and store a power cord, and a suction nozzle spaced from the body and moved in the proximity of a floor to guide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ers. An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arranged in a line with an upper part of the body. The dust collecting unit has a dust collecting bi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in the air and storing foreign matters, an upper cover for closing an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bin, and a lower cover for closing a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bin.

Description

진공청소기 {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측면도.4A is a side view of a body that constitu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분해사시도.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의 분해사시도.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의 배면도.5B is a rear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 상면커버의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p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의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grips the dust collec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흡입노즐체 60. 연장관50. Suction nozzle body 60. Extension tube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70. Hose 80. Handle

90. 커넥터 100. 본체90. Connector 100. Body

110. 커버어셈블리 112. 이동핸들110. Cover assembly 112. Moving handle

114. 집진안착부 116. 바퀴가이드114. Dust collecting seat 116. Wheel guide

118. 배기어셈블리 120. 베이스어셈블리118. Exhaust Assembly 120. Base Assembly

130. 이동바퀴 140. 모터어셈블리130. Wheels 140. Motor Assembly

150. 코드릴어셈블리 200. 집진유니트150. Code reel assembly 200. Dust collection unit

210. 집진통 220. 상면커버210. Dust collector 220. Top cover

230. 하면커버 240. 제1사이클론장치230. Lower cover 240. First cyclone device

250. 제2사이클론장치 260. 커버버튼250. Second cyclone unit 260. Cover button

270. 집합공간 280. 연결배관270. Assembly space 280. Connection piping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유니트의 상면이 본체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s show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1 having suction means for sucking air in the room, and a suction nozzle 2 into which air on the bottom surface is introduced by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본체(5)와, 상기 하부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가 내장되는 상부본체(6)로 구성되어 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 the lower body (5) to which the suction means is received and fastened, and the parts embedded in the lower body 5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lectric part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not shown)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6) is built.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에는 이동핸들(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핸들(6')은 청소기의 이동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다.A moving handle 6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 The movable handle 6 ′ is for facilitating the grip of the user when the cleaner moves,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wheels 8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main body 1 can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and the wheels 8 are separated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2. A discharge portion 8a through which air of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 is constituted.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82)와, 상기 조작부(82)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suction nozzle 2, a suction hose 3b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 operation unit 82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ction hose 3b, and the operation unit 82 ) And an extension tube 3a for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2 are sequentially installed, so tha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can b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장부(미도시)와 연결된 파워코드(9)를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82)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cord 9 connected to the electric part (not shown) built in the main body 1, the vacuum cleaner is in a standby state. At this time, when the user adjusts the suction step by using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82, a suction force suitable for each step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built in the main body (1).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집진유니트(10)에 의하여 분리되며,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의해 청소가 수행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eans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via the suction hose 3b and the extension pipe 3a which are fastened to the suction connector 3c.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lint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the foreign matter in the sucked air is separa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Cleaning is performed by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through the portion (8a).

도 2는 종래의 먼지필터(14)가 체결된 상태의 집진유니트(10)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는 흡입연결부(3c)를 통하여 본체(1)로 유입된 공기가 집진유니트(10)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이클론을 유발하는 흡입가이드(12)가 성형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가이드(12)를 통하여 유입된 질량이 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멍(13a)이 성형된 분리판(13)이 조립되고, 상기 흡입가이드(12)의 타측 외벽에는 본체(1)로부터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5)가 구비된다.2 shows a dust collecting unit 10 in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dust filter 14 is fastened. On one s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 through the suction connection part 3c has an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 The suction plate 12 is formed by causing the cyclone to flow in a tangential direction, and the separator 13 is formed with a hole 13a formed therein so that a large amount of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uide 12 can be separated. 13 is assembled, and the other outer wall of the suction guide 12 is provided with a handle 15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main body 1.

그리고, 집진유니트(1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면커버(11)에는, 중앙에 토출구(11a)가 성형되고, 상기 토출구(11a)의 저면 가장자리에 먼지필터(14)가 체결된다.The upper cover 11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 has a discharge port 1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dust filter 14 is fastened to the bottom edge of the discharge port 11a.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본체(14b)는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본체(14b)의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측고정부(14a) 테두리는 필터본체(14b)의 저부를 감싸도록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다.The filter body 14b of the dust filter 14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plea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pe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fixing part 14a edge which fixes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filter main body 14b protrudes a predetermined portion upwar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lter main body 14b.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본체(14b)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lter main body 14b of the dust filter 14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r more, and taking shape when washing, in consideration of the strong flow of air. For example, it can also be comprised by the polyester material which can be utilized as a fiber material.

또한 상기 필터본체(14b)의 상부와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측고정부(미도시)와 하측고정부(14a)도 필터본체(14b)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art (not shown) and the lower fixing part 14a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main body 14b are also configured so that the filter main body 14b can maintain a cylindrical shape and can be washed. It can also compri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필터본체(14b)가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극대화 된다. 즉, 토출구(11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본체(14b)에 의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filter main body 14b is able to widen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flowing air by forming a plurality of plea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maximized. That is, it is filtered by the filter main body 14b so that fine foreign matter is not included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a.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먼지필터(14)의 필터본체(14b) 표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필터(14)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세척해야 한다.If fine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body 14b of the dust filter 14 through this process, the flow of air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14 should be brushed off or wash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는 공기중의 이물이 상기 먼지필터(14)에 의해 단한번 필터링되므로, 공기의 정화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foreign matters in the air are filtered only once by the dust filter 1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is low.

또한, 상기 상부본체(6)의 상면에는 이동핸들(6')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handle 6 'is protrude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6,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중의 이물이 이중으로 필터링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filtered tw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유니트의 상면이 본체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상방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코드가 감겨져 보관되는 코드릴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집진유니트의 상면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parts are built;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yclone flow, and to be easily detachable from above / above of the main body; A motor assembly installed at the main body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with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cord reel assem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tor assembly and having a power cord wound around the motor assembly; A suction nozzle body for guiding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erials while moving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an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이물 필터링 능력이 향상되고,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comprised in this way,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material filtering capability of a vacuum cleaner improves and appearance is beautiful.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50)와, 상기 흡입노즐체(50)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안 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과 연결되고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nozzle body 50 and the suction nozzle body 50 for guiding the suction of air and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And an extension tube 60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60, and a connecting hose 7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guid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50;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hose 7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노즐체(50)와 본체(10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흡입노즐체(50)와 본체(10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suction nozzle body 50 and the main body 100 are spaced apart, and the extension tub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ar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nozzle body 50 and the main body 100. It guides the flow of air and foreign objects.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handle (80). The operation handle 80 is a part for the user to easily grip the cleaning operation,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80 is formed with an operation unit 82 to enable the user to operate the vacuum cleaner.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여부와 청소기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the strength of the cleaner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82 while holding the operation handle 80 with one hand.

상기 본체(100)와 연결호스(70)의 연결 부위에는 커넥터(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90)는 상기 조작부(8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상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상기 연결호스(7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The connector 90 is furth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hose 70. The connector 90 has a func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allowing 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82 to be applied to the main body 100,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hose 70. Simultaneously perform the guide to 100).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90)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전기 연결단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커넥터(90)는 상기 동작핸들(80)에 상기 조작부(82)가 구비되는 경우와 같이 조작부(82)가 상기 본체(100) 외에 구비되는 경우에 전기 연결단을 포함한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end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90, and the connector 9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such as when the operation unit 82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handle 80). 82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n electrical connection end.

즉, 상기 조작부(82)가 상기 본체(100)의 어느 곳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90)에는 전기 연결단이 구비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유입통로로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unit 82 is provided anywhere in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or 90 is not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ion end,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only a function as an inflow passage of air.

도 4a와 도 4b에는 상기 본체(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a에는 상기 본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상기 본체(100)의 각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4A and 4B schematically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100 is shown in FIG. 4A, and each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0 is show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FIG. 4B.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부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어셈블리(110)와,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어셈블리(120)와, 공기중의 이물을 이중으로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200) 등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over assembly 110 forming an upper appearance, a base assembly 120 forming an lower appearance,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200)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상면은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커버어셈블리(110)의 상단부에는 이동핸들(112)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핸들(112)은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rounded curvature, the movement handle 112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assembly 110. The movement handle 112 is for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distal end portion.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전반부에는 집진안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안착부(114)의 내면은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진안착부(114)에 상기 집진유니트(200)가 안착된다.A dust collecting seat 114 is formed in the first half of the cover assembly 110.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seat 114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seated on the dust collecting seat 114.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선단에는 흡입홀(11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홀(114') 후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200)의 흡입가이드(212)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와 이물이 이러한 흡입홀(114')을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로 안내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cover assembly 110, a suction hole 114 'i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The suction guide 212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suction hole 114 '. Therefor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50 an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are guid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rough the suction hole 114 ′.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양측단에는 바퀴가이드(1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바퀴가이드(116)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바퀴(130)의 상부를 차폐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130)의 상반부와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반원 형상을 가진다.Wheel guides 116 ar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assembly 110. The wheel guide 116 is a portion that shields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wheel 130 to be described below,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protruding upward to correspond to the upper half of the moving wheel 130 as shown.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후단부에는 배기어셈블리(1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는 상기 집진유니트(20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기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배기어셈블리(118)에는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The exhaust assembly 118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assembly 110. The exhaust assembly 118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e exhaust assembly 118 includes an exhaust filter for purifying the exhaust air. Not included).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는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된다.The base assembly 1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ver assembly 110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반부에 모터하우징(122)이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코드릴안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140)가 장착되는 부분이며, 상기 코드릴안착부(124)는 아래에서 설명할 코드릴어셈블리(15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As shown in the base assembly 120, the motor housing 122 is formed in the second half, and the cord reel mounting part 124 is formed in the second half. The motor housing 122 is a part in which the motor assembly 1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and the cord reel mounting part 124 is a part in which the cord reel assembly 15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의 후반부 양측단에는 바퀴지지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바퀴지지부(126)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바퀴(13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Wheel supports 12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half of the base assembly 120. The wheel support 126 is a portion supporting the moving wheel 1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의 후반부 양측, 즉 상기 바퀴지지부(126)에는 이동바퀴(1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청소작업시 상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oving wheels 130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rear half of the base assembly 120, that is, the wheel support 126. The moving wheel 130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100 to easily move the bottom surface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한편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의 선단 부분 중앙부에는 보조바퀴(132)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바퀴(132)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보조바퀴(132)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상기 본체(100)가 이동 중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wheel 132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assembly 120. The auxiliary wheel 132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otatable. As such, the auxiliary wheel 13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order to facilitate the change of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모터하우징(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140)의 외형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터어셈블리(1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어셈블리(140)에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otor housing 122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motor assembly 140 to be described below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tor assembly 140. The motor assembly 140 discharges air to the motor assembly 14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uiding discharge holes (not shown) are formed.

상기 모터하우징(122)에는 모터어셈블리(140)가 안착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동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을 흡입하는 흡인력을 형성된다. The motor assembly 140 is seated in the motor housing 122. The motor assembly 14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with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and foreign substances by the rotational power is formed.

이를 위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 내부에는 회전하는 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 부분(상단부)에 팬이 내장된다.To this end, a rotating fan is provided inside the motor assembly 140 to force the flow of air. That is, although not shown, a fan is built in the head (top) of the motor assembly 140.

상기 코드릴안착부(124)에는 코드릴어셈블리(150)가 설치된다.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좌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cord reel mounting unit 124 is provided with a cord reel assembly 150. The code reel assembly 15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motor assembly 140. In more detail, the cord reel assembly 150 is installed in a form standing on the rear half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it is installed in an upright state.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내하는 전원코드(도시되지 않음)를 감아서 보관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코드릴어셈블리(150)의 구성 과 작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de reel assembly 150 is a portion that winds and stores a power cord (not shown) for guid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code reel assembly 150 are generally known, and thus, detailed herein.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집진안착부(114)에는 집진유니트(2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유니트(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부터/상방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공기중의 이물을 이중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The dust collecting unit 114 has a dust collecting unit 200 is installed.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installed to be easily removable from above / above the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dually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yclone flow.

상기 집진유니트(200)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이물을 보관하는 집진통(210)과,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커버(220)와, 상기 집진통(210)의 하면을 차폐하는 하면커버(230) 등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storing the filtered foreign material, an upper cover 220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A rough appearance is formed by a lower cover 230 that shields the lower surface of the 210.

도 5a 내지 도 7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분해사시도 및 후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집진유니트(400)의 상면커버(220)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내부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5A to 7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a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re shown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and in FIG. 6, a cross section of the upper cover 220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hown, and in FI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nit 200 is shown in a side cross sectional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통(210)의 하반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반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소사이클론(252)이 외형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집진통(210)의 하반부는 원통 형상의 단일 외면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소형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소사이클론(252) 외면이 외부로 노출된 구성을 가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ower half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half of the small cyclone 252 to be described below forms an appearance. That is, the lower half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configured with a single cylindrical outer surface, and the upper half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mall cyclones 252 having a small cylindrical shape ar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집진통(210)에는 흡입가이드(212)가 내외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은 상기 집진통(210)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통(24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formed such that the suction guide 212 penetrates inside and outside. As shown, the suction guide 212 is formed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suction guide 21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inner end of the suction guide 21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242 to be described below.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통(242)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가이드통(242)과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가이드통(24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통(242)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guide 212 is preferably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guide cylinder 242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suction guide 21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cylinder 242.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guide cylinder 242 through the suction guide 212 is pivo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cylinder 242.

상기 집진통(210) 내부에는 제1사이클론장치(240)와 제2사이클론장치(250)가 구비된다.The first cyclone device 240 and the second cyclone device 250 ar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는 상기 집진통(2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장치로, 상기 집진통(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통(242)과 상기 가이드통(24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조립체(244) 등으로 구성된다.The first cyclone device 240 is a device that primarily filters foreign mat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has a guide cylinder 24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And a filter assembly 244 installed inside the guide cylinder 242.

상기 가이드통(242)은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244)는 상기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244a)와, 상기 필터(244a)의 하단에 구비되는 스커트(244b)와, 상기 스커트(244b)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판(244c)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guide cylinder 242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or 21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filter assembly 244 includes a filter 244a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skirt 244b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lter 244a, and a flow preven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kirt 244b. Plate 244c or the like.

상기 필터(244a)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필터(244a)에는 다수의 에어홀(244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244a')은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교적 크기가 큰 공기중의 이물은 상기 에어홀(244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The filter 244a has a conical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244a 'are formed through the filter 244a. The air hole 244a 'is preferably formed in a small size. Therefore, foreign matter in a relatively large air cannot pass through the air hole 244a '.

상기 스커트(244b)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으로 갈 수록 점차 직경이 증대되는 스커트(skirt)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244b)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통(24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skirt 244b is formed of a disc, and more specifically, has a skirt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e outer diameter of the skirt 244b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cylinder 242.

따라서 상기 필터(244a)를 통과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이 상기 스커트(244b)와 가이드통(2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스커트(244b) 하측에 위치한 제1집진부(248)로 낙하하여 쌓이게 된다.Therefore, foreign mat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244a and falls to the lower side is accumulated by falling in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48 disposed below the skirt 244b through a gap between the skirt 244b and the guide tube 242. .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상기 스커트(244b) 하측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인 이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나선형으로 선회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스커트(244b)의 하부에까지 이어지면,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인 이물이 다시 비산하여 상기 스커트(244b)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상기 스커트(244b) 하부에서는 공기의 회전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flow preventing plate 244c is provided in plural under the skirt 244b. The flow preventing plate 244c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adially, and serves to block the scattering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248. That i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guide 212 is spirally turned, if the flow of air continu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kirt 244b,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48 is scattered again. There is a problem to move up the skirt (244b). Therefore, the flow preventing plate 244c serves to block the air flow so that the rotational flow of air does not occur below the skirt 244b.

상기 필터(244a)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와 이물을 다시 제2사이클론장치(250)로 안내하는 안내유로(246)가 더 형성된다.A guide passage 246 is further formed on the filter 244a to guid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filter 244a and guided upward to the second cyclone apparatus 250.

상기 제2사이클론장치(250)는 공기의 나선 유동을 안내하는 소사이클론(252)과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의 상하방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관(254)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cyclone apparatus 250 includes a small cyclone 252 for guiding the spiral flow of air and a guide tube 254 positioned inside the small cyclone 252 to guide the up and down flow of air.

상기 소사이클론(252)은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의 주위, 보다 구체적으 로는 상기 가이드통(24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소사이클론(25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mall cyclone 252 is formed around the first cyclone device 240,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adially on the outside of the guide cylinder 242. The small cyclone 2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portion is made of a funnel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한편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는 일측방이 개구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과 상기 안내유로(246)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사이클론(252)의 개구부에는 가이드부(252a)가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면을 따라 선회하도록 안내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small cyclone 252 is configured so that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small cyclone 252 and the guide passage 24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guide part 252a is further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small cyclone 252 to guide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mall cyclone 252 to tur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mall cyclone 252. .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측에는 제2집진부(256)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차단벽(258)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차단벽(258)은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반면, 상기 가이드통(242)의 직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진다.A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56 is formed below the small cyclone 252. More specifically, a lower wall 258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urth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blocking wall 258 has a size smaller than the bottom diameter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whil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cylinder 242.

그리고 상기 차단벽(258)의 상단은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단 내측부분과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258)의 내측과 외측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차단벽(258)의 내측에는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쌓이는 제1집진부(248)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258)의 외측에는 상기 제2사이클론장치(250)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쌓이는 제2집진부(256)가 형성된다.And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wall 258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small cyclone 252. Therefore,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blocking wall 258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 in which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first cyclone device 240 are accumulated inside the blocking wall 258 ( 248 is formed,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56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locking wall 258,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second cyclone device 250 is accumulated.

상기 안내관(254)은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 되며,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안내관(254)은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The guide tube 254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cover 220, and is loca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mall cyclone 252. The guide tube 254 is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small cyclone 252, to guide the air orbiting the inside of the small cyclone 252 upwards.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사이클론(252)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소사이클론(252)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깔때기 형상의 상기 소사이클론(252) 하단부에서 선회속도가 점차 증대된다. In more detail, th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small cyclone 252 is moved downward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mall cyclone 252. And the flow of air is gradually increasing the revolution speed at the lower end of the small cyclone 252 of the funnel shape.

따라서 이러한 소사이클론(252)의 내면을 따라 공기가 선회하면서 하강하면, 중앙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는 태풍의 눈에서 일어나는 원리와 유사하다. 즉 회오리바람이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 내측에는 이와 반대방향의 기류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소사이클론(252) 중앙부에서 형성되는 상승기류는 상기 안내관(254)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ir descends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mall cyclone 252, an upward airflow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is is similar to the principle that occurs in the eye of a typhoon. That is, when the tornado is formed on the outside, the air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side. As such, the upward air flow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mall cyclone 252 is caused to flow upward by the guide tube 254.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공(2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공(254')은 상기 필터(244a)의 상측에 형성되는 홀(hole)로,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As shown in FIG. 5A, the guide hole 254 ′ is vertically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n more detail, the guide hole 254 ′ is a hole formed above the filter 244a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244a moves upward.

한편 상기 집진통(210)의 후면 하단부에는 커버버튼(26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버튼(260)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면커버(230)의 걸림후크(232)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하면커버(2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Meanwhile, a cover button 260 is provid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cover button 260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hook hook 232 of the lower cover 230 to be described below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wer cover 230.

상기 하면커버(230)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후단에는 걸림후크(232)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커버힌지(234)가 구비된다.The lower cover 230 is made of a disc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hook hook 232 is formed at the rear end and the cover hinge 23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상기 커버힌지(234)는 상기 하면커버(230)의 회동 중심이 되며, 상기 걸림후크(232)는 상기 하면커버(230)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버힌지(234)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후크(232)는 상기 커버버튼(260)과 체결된다. The cover hinge 234 serves as a pivot center of the bottom cover 230, and the hook hook 232 serves to fix a rear end of the bottom cover 230. That is, the cover hinge 234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hook hook 232 is fastened to the cover button 260.

이렇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가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면커버(230)에 의해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의 하방이 동시에 차폐된다.In this case, the lower cover 23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refore, the bottom of the first cover 248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56 is shielded at the same time by the cover 230.

상기 상면커버(220)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제2집진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집진유니트(20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면커버(220)의 내부에는 토출유로(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과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토출유로(222)를 형성한다. The upper cover 220 serves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ng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while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discharge passage 222 is formed inside. That is,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220 to form the discharge passage 222.

상기 상면커버(220)이 선단에는 토출구(22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4)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에서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면커버(22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4)는 상기 토출유로(22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A discharge port 22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top cover 220. The discharge port 224 is a portion in which the air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portion from the upper cover 220. The discharge port 224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assage 222.

상기 상면커버(220)에는 집진핸들(226)이 더 형성된다. 상기 집진핸들(226)은 사용자가 상기 집진유니트(2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 기 상면커버(220)의 상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A dust collecting handle 226 is further formed on the top cover 220.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ip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por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220, it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상기 집진핸들(226)의 양측에는 탄성편(228)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28)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228)의 일단,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커버(220)의 좌우 측단부에는 힌지축(228')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228)의 하측에는 탄성스프링(228")이 구비된다.Elastic pieces 228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The elastic piece 228 is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t is installed rotatably. Therefore, hinge shafts 228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elastic piece 228, that is, at the left and right side end portions of the upper cover 220, and an elastic spring is formed below the elastic piece 228. 228 "is provided.

상기 힌지축(228')은 상기 탄성편(228)의 회동 중심축 역할을 하며, 상기 탄성스프링(228")은 상기 탄성편(228)이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228)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편(228)은 상기 힌지축(22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측으로 내려온다.The hinge shaft 228 ′ serves as a pivotal central axis of the elastic piece 228, and the elastic spring 228 ″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elastic piece 228 downward and then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piece 228, the elastic piece 228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228 'and descends to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탄성편(228)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228)과 상기 본체(100)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편(228)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집진유니트(400)의 상면이 상기 본체(10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10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다.And the elastic piece 228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6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228 and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That is, since the elastic piece 228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s a whole does not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 The upper surface of 10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과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집합공간(270)을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집합공간(270)에 상기 각각의 안내관(25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모이게 되며, 이러한 공기가 상기 상면커버(220)의 토출유로(222)로 흘러가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upper cover 2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o form an assembly space 270. Accordingly, the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respective guide tubes 254 is collected in the assembly space 270, and the air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222 of the upper cover 220.

상기 토출구(224)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을 벗어난 공기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40)로 유입된다. Air leaving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4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assembly 14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서 공기의 공기와 이물을 흡입되어 정화되는 상태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First, a state in which the air and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air is sucked and purified in 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작동이 시작되어 진공청소기에는 흡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흡인력을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82,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embly 140 is start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vacuum cleaner. Therefore, the suction force allows the outside air and foreign matter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50.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들어온다.Air and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50 ar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enters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hrough the suction guide 212.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은 상기 가이드통(242)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244a)의 에어홀(244a')을 통과하여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필터(244a)의 에어홀(244a')을 통과하지 못하는 큰 이물은 상기 스커트(244b) 하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이게 된다.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on unit 200 is rota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cylinder 242, and the turning air passes through the air hole 244a 'of the filter 244a to filter 244a. Flows inside. At this time, a large foreign materi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ir hole 244a 'of the filter 244a falls under the skirt 244b and accumulates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48.

물론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스커트(244b) 하측으 로도 동심원을 그리며 이동하다가 상기 유동방지판(244c)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스커트(244b)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터(244a)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이물은 상기 스커트(244b) 하부로 이동한 다음 다시 스커트(244b) 상부로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이게 될 것이다.Of cours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oves in a concentric manner under the skirt 244b, and rotation is blocked by the flow preventing plate 244c. Then, it moves upwards to the skirt 244b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244a. At this time, the foreign material that is relatively heavy will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kirt 244b and will not be able to flow back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kirt 244b and will be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248.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미세이물은 상기 안내유로(246)에서 방사상으로 분산되어 상기 각각의 소사이클론(252)으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52a)에 의해 안내되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Air and fin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244a are radially dispersed in the guide passage 246 and introduced into each of the small cyclones 252. In this case, the air flowing into the small cyclone 252 is guided by the guide part 252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 cyclone 252 and is rotated in a spir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에서 공기와 미세이물은 선회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는 점차 증가한다.Therefore, the air and the fine foreign matter is lowered while turning inside the small cyclone 252, the speed of the air is gradually increased down to the lower end of the small cyclone 252.

이때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면을 따라 공기가 선회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중앙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는 태풍의 눈에서 형성되는 기류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승기류는 상기 다수의 안내관(2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집진통(210) 상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집합공간(270)으로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as air descends while turn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mall cyclone 252, an upward airflow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mall cyclone 252. This is similar to the air currents formed in the eye of a typhoon. Therefore, the upward airflow is guided by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254 to flow abov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o be collected in the assembly space 270.

이 과정에서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에서 공기와 함께 선회하던 미세이물은 관성력 내지는 원심력에 의해 상승기류에 편승되지 못하고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측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이물은 상기 제2집진부(256)에 쌓이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fine foreign matter turning with the air in the small cyclone 252 is ej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mall cyclone 252 without being caught in the upward air flow by inertial or centrifugal force. Therefore, these fine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56).

한편 상기 집합공간(270)에 모인 공기는 상기 상면커버(22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유로(222)를 거쳐 상기 토출구(224)를 통해 배출된다.Meanwhile, the air collected in the assembly space 27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4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2.

한편 상기 토출구(224)와 상기 모터어셈블리(140) 사이에는 연결배관(28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진유니트(200)을 나온 정화된 공기는 상기 연결배관(280)을 따라 도 9와 같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부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nection pipe 280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224 and the motor assembly 140, the purified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on unit 200 is as shown in Figure 9 along the connection pipe 280 It flows into the head of the motor assembly 140.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 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모터어셈블리(140)의 하반부에서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모터하우징(122)의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여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로 유입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d of the motor assembly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half of the motor assembly 140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not shown) of the motor housing 122 to the exhaust assembly 118. Flows into.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지나면서 다시 정화되어 진공청소기의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물의 필터링이 완성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assembly 118 is purified again by passing through an exhaust filter (not show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vacuum cleaner. This process completes the filtering of the foreign materi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에 이물이 쌓이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를 개방시켜 이물을 제거한다.When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on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48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56 by the above process, the foreign material is removed by opening the lower cover 23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버튼(260)을 누르면 상기 하면커버(230)의 걸림후크(232)가 커버버튼(260)으로부터 탈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는 상기 커버힌지(234)를 축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이때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에 집진되어 있는 이물이 동시에 하방으로 낙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cover button 260 is pressed, the hook hook 232 of the bottom cover 230 is removed from the cover button 260. In this case, the lower cover 230 is opened by rotating the cover hinge 234 downward to the axis, wherein foreign matters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248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256 are simultaneously downward. It is dropped and removed.

다음으로는 상기 집진유니트(400)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 6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Next,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gripp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우선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집진유니트(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 취출되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H)으로 상기 집진핸들(226)을 잡는다. 이때 상기 탄성편(228)은 하측으로 밀려 내려간다. First,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taken out of the main body 100. For this purpose, the user holds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with the hand H as shown in FIG. 9. At this time, the elastic piece 228 is pushed down.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탄성편(228)을 하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탄성편(228)은 상기 힌지축(22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집진핸들(226)이 외부로 노출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a human finger pushes the elastic piece 228 downward, the elastic piece 228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28 ', so that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is moved outward. Exposed.

따라서 사용자는 손(H)으로 상기 집진핸들(226)을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집진유니트(4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Therefore, the user grasps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with the hand H and lifts upwards.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반대로, 상기 집진유니트(400)의 집진핸들(226)을 잡은 손(H)을 놓게 되면, 상기 탄성편(228)은 상기 탄성스프링(228")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된다. 즉, 상기 힌지축(228')을 중심으로 다시 회동하여 도 6과 같이 원위치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hand H holding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released, the elastic piece 228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28 ". It rotates again about the axis 228 ', and returns to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중으로 필터링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공기 정화능력(이물 필터링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s double filtered by the cyclone flow.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purification capacity (foreign material filtering 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집진유니트의 상면과 본체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집진유니트의 집진핸들이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진공청소기 본체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is beautiful. That is, since the dust collecting handl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does not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beautiful.

Claims (5)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와;A main body 10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embedded;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부터/상방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유니트(400)와;A dust collecting unit (40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cyclone flow, and to be easily detachable from above / above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어셈블리(140)와;A motor assembly 140 installed at the main body 100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with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코드가 감겨져 보관되는 코드릴어셈블리(150)와;A cord reel assembly 15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tor assembly 140 and having a power cord wound around the motor assembly 140; 상기 본체(100)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A suction nozzle body (50) for guiding suction of air and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0) an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집진유니트(400)의 상면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20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이물을 보관하는 집진통(210)과;A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storing the filtered foreign substances;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커버(220)와;An upper cover 220 for shielding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상기 집진통(210)의 하면을 차폐하는 하면커버(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lower surface cover (230) for shie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220)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핸들(226)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핸들(226)의 양측에는 회동 가능한 탄성편(22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cover 220,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user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handle 226 is rotatable elastic piece 228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28)의 일단에는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228')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228)의 하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스프링(22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4. The hinge shaft 228 ', which is a pivot cent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lastic piece 228, and an elastic spring 228 " having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below the elastic piece 228.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28)은, 상기 본체(10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elastic piece (228)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KR1020050041149A 2005-05-17 2005-05-17 Vacuum cleaner KR100651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49A KR100651295B1 (en) 2005-05-17 2005-05-1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49A KR100651295B1 (en) 2005-05-17 2005-05-17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96A true KR20060118796A (en) 2006-11-24
KR100651295B1 KR100651295B1 (en) 2006-11-29

Family

ID=3770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49A KR100651295B1 (en) 2005-05-17 2005-05-17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295B1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885B1 (en) * 2007-01-24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0838884B1 (en) * 2007-01-24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1025138A3 (en) * 2009-08-26 2011-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comprising a handle unit and intended for a vacuum cleaner
EP2941995A1 (en) 2014-05-0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41993A1 (en) 2014-05-0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45205A2 (en) 2014-05-12 2015-11-1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76978A1 (en) 2014-06-24 2016-01-2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0374A2 (en) 2014-09-29 2016-03-3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0373A1 (en) 2014-09-29 2016-03-3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1940A1 (en) 2014-10-01 2016-04-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20160053859A (en) * 2016-04-2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handle unit for vacuum cleaner
EP3053501A1 (en) 2015-01-28 2016-08-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65200A2 (en) 2015-02-13 2016-09-0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nd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stand
EP3125336A1 (en) 2015-07-29 2017-02-01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with connection switch for vacuum cleaner
CN107212807A (en) * 2017-07-28 2017-09-2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ustbin type dust catcher
US10874273B2 (en) 2015-09-22 2020-12-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20210080001A (en) 2019-12-20 202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20210090051A (en)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modul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reof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885B1 (en) * 2007-01-24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0838884B1 (en) * 2007-01-24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1025138A3 (en) * 2009-08-26 2011-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comprising a handle unit and intended for a vacuum cleaner
EP2941995A1 (en) 2014-05-0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41993A1 (en) 2014-05-0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45205A2 (en) 2014-05-12 2015-11-1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2976978A1 (en) 2014-06-24 2016-01-2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0373A1 (en) 2014-09-29 2016-03-3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0374A2 (en) 2014-09-29 2016-03-3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0178933B2 (en) 2014-09-29 2019-01-15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01940A1 (en) 2014-10-01 2016-04-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213178B2 (en) 2014-10-01 2022-01-0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battery management system
EP3053501A1 (en) 2015-01-28 2016-08-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065200A2 (en) 2015-02-13 2016-09-0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nd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stand
US10786128B2 (en) 2015-02-13 2020-09-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stand
US11160430B2 (en) 2015-07-29 2021-11-0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EP3125336A1 (en) 2015-07-29 2017-02-01 Lg Electronics Inc. Battery pack with connection switch for vacuum cleaner
US20170027400A1 (en) * 2015-07-29 2017-02-0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0874273B2 (en) 2015-09-22 2020-12-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20160053859A (en) * 2016-04-2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handle unit for vacuum cleaner
CN107212807A (en) * 2017-07-28 2017-09-2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ustbin type dust catcher
KR20210080001A (en) 2019-12-20 202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20210090051A (en)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modul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295B1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295B1 (en) Vacuum cleaner
KR100717441B1 (en) Body for vacuum cleaner
KR100713285B1 (en) Vacuum cleaner
KR100709418B1 (en) Vacuum cleaner
KR100635667B1 (en)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KR100936065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35668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932760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3175758B1 (en) Cleaner
KR101248648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050119738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1178371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693571B1 (en) Vacuum cleaner
KR20060118791A (en) Vacuum cleaner
KR20060118793A (en) Vacuum cleaner
KR20060018009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33619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587094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2004089263A (en) Vacuum cleaner
KR100831777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50119739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60118794A (en) Vacuum cleaner
KR20060008364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33618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60018008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