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606A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606A
KR20060114606A KR1020050040497A KR20050040497A KR20060114606A KR 20060114606 A KR20060114606 A KR 20060114606A KR 1020050040497 A KR1020050040497 A KR 1020050040497A KR 20050040497 A KR20050040497 A KR 20050040497A KR 20060114606 A KR20060114606 A KR 200601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h
link
event
messag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137B1 (ko
Inventor
김용호
곽용원
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TW09511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TWI367009B/zh
Priority to MX2007013246A priority patent/MX2007013246A/es
Priority to CA2606591A priority patent/CA2606591C/en
Priority to EP06732888A priority patent/EP1878288B1/en
Priority to CN2006800151698A priority patent/CN101189899B/zh
Priority to US11/416,890 priority patent/US7649867B2/en
Priority to PCT/KR2006/001646 priority patent/WO2006118410A2/en
Publication of KR200601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606A/ko
Priority to IL186575A priority patent/IL186575A/en
Priority to US12/614,360 priority patent/US80361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예, 광대역 무선 접속망 시스템과 무선랜 인터페이스, 유선랜, 셀룰러 시스템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 이동단말이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 간에 효율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은,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접속점3(Point of Attachment)이 MIH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접속점1이 전달 받은 상기 요구 메시지의 목적 주소를 보고 상기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접속점3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PoA3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할 경우 상기 PoA3가 MIHF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단말과 접속점간 또는 접속점들간 또는 접속점과 억세스 라우터간 또는 억세스 라우터들간 MIH 신호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MIH 패킷 포맷과 MIH 신호 메시지 형식을 정의한다.
멀티모드, 이동단말, 이종망, 핸드오버, 링크 검색

Description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도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를 도시한 것임.
도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MIH 기능을 포함한 이동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엔터티와 전송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임.
도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4는 종래기술 있어서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새로운 링크를 설정할 때까지 발생되는 트리거를 나타내는 예시도임.
도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Link Event' 및 'MIH Event'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Remote Link Event'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Remote MIH Event'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MIH Command' 및 'Link Command'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9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Remote MIH Command'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1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Remote Link Command'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임.
도11은 이동단말의 매개체 무관 정보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프로토콜 스택 내에서 MIH 기능과 다른 프로토콜 계층간 관계를 도시한 것임.
도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MIH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임.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MIH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임.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도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임.
본 발명의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멀티모드(예, 광대역 무선 접속망 시스템과 무선랜, 유선랜, 셀룰러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이동단말이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 간에 효율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종망(heterogeneous) 간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진행중인 IEEE802.21은 이종망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와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을 제공하여 이동단말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는 MIH 기능(MIH function),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및 정보 서비스(IS: Information Service)를 정의하고 있다.
이동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은 둘 이상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노드(multi-mode node)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타입은, IEEE802.3 기반의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Wire-line) 형태의 인터페이스 타입, IEEE802.11, IEEE802.15, IEEE802.16 등과 같은 IEEE802.XX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타입 또는 3GPP, 3GPP2와 같은 셀룰러(Cellular)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타입들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은 각 모드별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과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layer) 계층을 가지며 IP 계층 아래에 MIH 계층이 위치한다.
매개체 독립 핸드오버(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는 IEEE802 계열 인 터페이스 간 또는 IEEE802 계열 인터페이스와 상기의 3GPP, 3GPP2와 같은 셀룰러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타입과 같은 비 802 계열 인터페이스 간에서 정의되어야 하며, 모바일 IP(Mobile IP) 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상위계층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핸드오버와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해 지원되어야 한다.
MIH 기능은 IP계층 아래에 위치하며,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와 다른망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2 계층(Layer 2)으로부터의 입력값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MIH 기능은 핸드오버 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용자 정책(policy)과 구성(configuration) 기반의 입력값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IP(mobile IP) 또는 SIP와 같은 3 계층(Layer 3) 엔터티(entity)와 MIH 기능 간에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들이 정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1 계층(물리계층)과 2 계층(매체접근제어계층) 및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MIH 계층은 이벤트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으로 하위계층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위계층에는 이동단말 내의 여러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제어하기 위한 상위 관리 개체가 위치하여 핸드오버 제어 기능(Handover Control Function) 및 장치 관리자(Device Manager)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핸드오버 제어 기능과 장치관리자는 독립적으로 각각 위치할 수도 있으며, 두 기능이 상위 관리 개체로 같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2는 MIH 기능을 포함한 이동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엔터티와 전송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도2에서 점선은 프리미티브(Primitive), 이벤트 트 리거(Event Trigger) 등을 나타낸다.
빠른 핸드오버를 위하여, 네트워크 계층은 가능한 빨리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 계층(link layer)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링크 계층 이벤트는 사용자의 이동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동단말과 네트워크가 사전에 핸드오버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는 물리계층(PHY), 매체접근제어 계층(MAC)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리거에 대한 근원지는 로컬 스택(Local Stack) 또는 원격 스택(Remote Stack)이 될 수 있다. 도3은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벤트 트리거는 현재 신호에 대한 상태와 다른 네트워크의 상태 변화, 미래의 예측되는 변화를 제공하며, 물리 계층과 매체접근제어 계층 상의 변화 혹은 특정 네트워크의 속성의 변화들을 포함한다.
이벤트 타입은 물리계층 이벤트(PHY layer event), 매체접근제어 계층 이벤트(MAC layer event), 관리 이벤트(Management event), 3 계층 이벤트(L3 event), 응용 이벤트(Application even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적인 트리거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Link_Up'은 특정 링크 인터페이스 상에서 2 계층 연결이 설정되고 상위 계층에서 3 계층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이때, 링크를 구성하는 모든 2 계층 구성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 과 'Remote MAC'이다. 표1은 'Link_Up'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NetworkIdentifer Media Specific 서브넷(Subnet)의 변화를 감지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
'Link_Down'은 특정 인터페이스 상에서 2 계층 연결이 해제되었고 더 이상 3 계층 패킷을 전송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이다. 표2는 'Link_Down'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ReasonCode 링크가 해제된 이유
'Link_Going_Down'은 2 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 내에 'link down'될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하며, 핸드오버 절차를 초기화하기 위한 시그널이 될 수도 있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3은 'Link_Going_Down'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TimeInterval Time in msecs 링크가 Link_Down 될 것을 예측되는 시간
ConfidenceLevel % 특정시간에 링크가 Link_Down 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준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Going_Up'은 2 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 내에 'Link_Up' 될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하며, 네트워크가 초기화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4는 'Link_Going_Up'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TimeInterval Time in msecs Link_UP이 될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ConfidenceLevel % 특정시간에 링크가 Link_Up 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준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Event_Rollback'은 'Link_Going_Up', 'Link_Going_Down'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Link_Going_Up' 또는 'Link_Going_Down'이 전송되었으나, 특정 시간 내에 더 이상 'Link_UP' 또는 'Link_Down'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되는 트리거이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5는 'Link_Event_Rollback'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UniqueEventIdentifer 이벤트 롤백(Event Rollback)이 발생한 경우 사용
'Link_Available'은 새로운 특정 링크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현재 이동단말이 접속해 있는 기지국이나 액서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비해 새로운 기지국이나 액서스 포인트가 더 나은 링크 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과 'Remote MAC'이다. 표6은 'Link_Available'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NewAccessRouter MAC Address 이전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MacOldAccessRouter MAC Address 새로운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Link_Parameters_Change'는 링크 파라미터 값의 변화가 특정 한계 수준을 넘어섰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이것은 링크속도, QoS(Quality of Service), 암호화값 등과 같은 링크 계층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 과 'Remote MAC'이다. 표7은 'Link_Parameters_Change'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Description
EventSource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생성된 근원지
EventDestination EVENT_LAYER_TYPE 이벤트가 전달될 목적지
MacMobileTerminal MAC Address 이동단말의 MAC 주소
MacAccessRouter MAC Address 현재 액서스 라우터의 MAC 주소
oldValueOfLinkParameter 링크 파라메터의 이전 값
newValueOfLinkParameter 링크 파라메터의 새로운 값
도4는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새로운 링크를 설정할 때까지 발생되는 트리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는 네트워크 발견과 선택을 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어떤 네트워크로부터도 접근 가능하여야 한다. 정보 서비스는 링크 접근 파라미터(link access parameter), 보안 메커니즘(security mechanism), 네이버 맵(Neighbor Map), 위치(Location), 서비스 제공자 및 다른 액서스 정보(Provider and other Access Information), 링크 비용(Cost of link) 등과 같은 정보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를 위하여 이벤트 서비스, 커맨드 서비스, 정보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으나, 이벤트 서비스 및 커맨드 서비스 그리고 정보 서비스가 MIH간 신호 메시지에 의하여 로컬 스택과 원격 스택간 송/수신 될 때, 명확한 MIH 프로토콜 절차, MIH 헤더, 메시지 포맷 등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단말에 있어서 이종망 간 핸드 오버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은, 이동단말이 접속점3(Point of Attachment)이 MIH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접속점1이 전달 받은 상기 요구 메시지의 목적 주소를 보고 상기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접속점3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PoA3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할 경우 상기 PoA3가 MIHF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단말과 접속점간 또는 접속점들간 또는 접속점과 억세스 라우터간 또는 억세스 라우터들간 MIH 신호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MIH 패킷 포맷과 MIH 신호 메시지 형식을 정의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이벤트(Link Event), MIH 이벤트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MIH 이벤트는 MIH로부터 상위 관리 개체 또는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는 이벤트이며 종래기술에서의 이벤트 트리거들이 이에 해당한다. 링크 이벤트는 하위 계층(MAC 또는 물리계층)으로부터 MIH로 전달되는 이벤트이며 각각의 인터페이스 MAC 계층 또는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리미티브들(primitives)이 사용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링크 이벤트(Remote Link Event)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로컬 스택(local stack) 내에 있는 하위 계층에서 같은 로컬 스택 (local stack) 내에 있는 MIH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상기 로컬 스택의 MIH는 상기 이벤트를 원격 스택의 MIH에게 전달한다. 또한, 원격 스택 내의 하위 계층에서 원격 스택 MIH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격 스택 MIH가 로컬 스택 MIH에게 트리거를 전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MIH 이벤트(Remote MIH Event) 모델의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로컬 스택 내에 있는 MIH는 원격 MIH 이벤트를 발생시켜 원격 스택 내에 있는 상대 MIH에게 전송한다. 상기 원격 스택의 MIH는 전달받은 상기 이벤트를 상기 원격 스택 내의 상위 관리 개체 또는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원격 스택 내의 MIH에서 로컬 스택 MIH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로컬 스택 MIH가 상기 로컬 스택의 상위 계층에 상기 이벤트를 전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MIH 커맨드, 링크 커맨드(link command)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MIH 커맨드는 상위 관리 개체 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발생하여 MIH에게 전달되며, MIH에게 어떤 행위를 지시한다. 링크 커맨드는 MIH로부터 발생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되며, 하위계층에게 어떤 행위를 지시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MIH 커맨드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로컬 스택 내에 있는 상위 관리 개체 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원격 MIH 커맨드가 발생하여 MIH에게 전달되며, MIH는 전달받은 상기 MIH 커맨드를 원격 스택 내의 상대 MIH에게 전달한다. 또한, 원격 스택 내의 상위 계층에서 원격 스택의 MIH로 커맨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격 스택 MIH가 로컬 스택의 MIH에게 커맨드를 전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링크 커맨드(Remote Link Command)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로컬 스택 내의 MIH는 원격 링크 커맨드(Remote Link Command)를 발생시켜 원격 스택 내의 상대 MIH에게 전달한다. 상기 원격 스택 내의 MIH는 전달받은 상기 원격 링크 커맨드를 원격 스택 내의 하위 계층에게 전달한다. 또한, 원격 스택 내의 MIH에서 로컬 스택 MIH로 커맨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로컬 스택 MIH가 상기 로컬 스택 하위계층에 커맨드를 전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11은 이동단말의 매개체 무관 정보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이동단말의 MIH는 정보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자신의 MAC에게 MIH_info.request를 전송한다.
2) 이동단말의 MAC은 기지국으로 Information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한다.
3) 기지국의 MAC은 이동단말의 정보 요청을 MIH_Info.indication을 통해 자신의 MIH에게 전달한다.
4) 기지국의 MIH는 보유하고 있던 매개체 무관 정보 서비스를 MIH_Info.response를 통해 MAC 계층에 전달한다.
5) 기지국의 MAC은 Information Response 프레임을 이동단말에게 응답한다.
6) 이동단말의 MAC은 수신한 정보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MIH_Info.confirm으로 자신의 MIH에게 전달한다.
MIH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1) MIH Capability discovery : 이동단말의 MIH 또는 기지국/억세스 라우터(Access Router)의 MIH가 네트워크상의 어느 개체(entity)가 MIH를 지원하는지에 대해 발견하는 절차이다.
2) MIH Registration: 서로 다른 개체간 MIH는 MIH 프로토콜을 시작하기 위하여 서로에게 등록 절차를 실행한다.
3) MIH Message Exchange: 두 MIH는 MIH 페이로드와 MI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IH 메시지를 송 수신 할 수 있다.
도12는 프로토콜 스택 내에서 MIH 기능과 다른 프로토콜 계층간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MIH 패킷의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필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Message Type(1 옥텟) : 타입에 따라서 메시지는 아래의 표8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MIH Message Type MIH Message Name MIH Message Type
1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 Capability Discovery
2 MIH_Capability_Discover.response Capability Discovery
3 MIH_Capability_Discover.advertisement Capability Discovery
4 MIH_Registration.request Registration
5 MIH_Registration.response Registration
6 MIH_Deregistration.request Registration
7 MIH_Deregistration.confirm Registration
8 MIH_Event_Register.request Registration
9 MIH_Event_Register.confirm Registration
10 MIH_Event_Deregister.request Registration
11 MIH_Event_Deregister.confirm Registration
12 MIH_Link_Up.indication Event Service
13 MIH_Link_Down.indication Event Service
14 MIH_Link_Going_Down.indication Event Service
15 MIH_Link_Event_Rollback.indication Event Service
16 MIH_Link_Parameters_Change.indication Event Service
17 MIH_Link_Event_Discover.request Command Service
18 MIH_Link_Event_Discover.confirm Command Service
19 MIH_Network_Address_Information.request Command Service
20 MIH_Network_Address_Information.response Command Service
21 MIH_Handover_Pre-notification.request Command Service
22 MIH_Handover_Pre-notification.response Command Service
..... .....
23+ Reserved Reserved
2) Length (1옥텟) : MIH 메시지를 포함한 전체 헤더의 총 길이를 나타낸다.
3) Sequence Number (1옥텟) : 메시지가 전송된 총 카운트
4) IP (1비트):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IP 주소가 IPv4인지 IPv6인지 나타낸다. (예, 0 : IPv4, 1 : IPv6)
5) F (1비트) : 메시지가 프래그먼테이션(Fragmentation) 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 0 : no fragmentation, 1: fragmentation)
6) Fragmentation Offset (1옥텟) : 메시지가 하나의 패킷으로 불완전 할 경우, 프래그먼테이션은 완전한 메시지가 구성되기 까지 얼마나 많은 패킷이 남아있는지를 나타낸다.
7) XID(Packet ID : 1옥텟) : 각각의 요구(request) 메시지와 확인(confirm) 메시지를 매치(match)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8) Source Hardware Type (4비트) :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측의 하드웨어 타입을 나타낸다. (예, 0000 : IEEE802.3 interface, 0001 : IEEE802.11 interface, 0010 : IEEE802.16 interface, 0011 : 3GPP interface, 0100 : 3GPP2 interface, 0101 -11111 : Reserved)
9) Destination Hardware Type (4비트) : 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의 하드웨어 타입을 나타낸다. (예, 0000 : IEEE802.3 interface, 0001 : IEEE802.11 interface, 0010 : IEEE802.16 interface, 0011 : 3GPP interface, 0100 : 3GPP2 interface, 0101 -11111 : Reserved)
10) Source Hardware Address :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측의 하드웨어 주소 (예, 2계층 주소)를 나타낸다.
11) Source IP Address :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측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12) Destination Hardware Address : 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의 하드웨어 주소 (예, 2계층 주소)를 나타낸다
13) Destination IP Address : 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14) MIH message : 이 필드에는 원격 이벤트 등록, 이벤트, 서비스, 커맨드 서비스의 실질적인 메시지가 TLV 형태로 포함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MIH 패킷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필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Protocol Version : MIH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내며, 기본값은 0x01이다.
2) MIH Service ID : MIH 서비스의 식별자이다. (예, 1:Event Service, 2:Command Service, 3:Information Service)
3) MIH Opcode : 실행되어야 할 오퍼레이션을 정의한다. (예, 1:Request, 2:Response, 3:Indication)
4) Transaction ID : request 메시지와 response message를 매치(match)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트랜잭션 식별자
5) Fr : 프래그먼테이션 플래그 (예, 1:현재 패킷은 하나 이상의 프래그먼테이션을 갖는다. 0:현재 패킷은 프래그먼테이션되지 않았다)
6) Fragment No : 패킷의 프래그먼트 번호
7) Message Length : 전체 메시지의 총 길이
8) MIH Function Identifier Length(MIHFL) : 각각의 Souce/Destination MIH Identifier field의 길이
9) Source MIH Function Identifier : 이것은 송신측 MIH의 식별자로서, 2계층 하드웨어 주소일수도 있으며, IP기반의 3계층 주소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MIH 주소 식별자 일 수 있다.
10) Destination MIH Function Identifier : 이것은 목적지 MIH의 식별자로서, 2계층 하드웨어 주소일 수도 있으며, IP기반의 3계층 주소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MIH 주소 식별자 일 수 있다.
11) MIH Message ID : 실질적인 MIH 메시지 식별자로서, 그 내용은 표 9와 같다.
No MIH Message Identifier MIH Opcode Category
1 MIH Event Discover Request, Response Capability Discovery
2 MIH Event Register Request, Response Registration
3 MIH Event Deregister Request, Response Registration
4 MIH Link Event Configure Request, Response Event Configuration
5 MIH Link Up Indication Event Service
6 MIH Link Going Down Indication Event Service
7 MIH Link Event Rollback Indication Event Service
8 MIH Link Parameters Change Indication Event Service
9 MIH SDU Transmit Success Indication Event Service
10 MIH SDU Transmit Failure Indication Event Service
11 MIH Command Discover Request, Response Command Service
12 MIH Network Address Information Request, Response Command Service
13 MIH Handover Initiate Request, Response Command Service
14 MIH Handover Prepare Request, Response Command Service
15 MIH Handover Complete Request, Response Command Service
16 MIH Information Request Request Information Service
17 MIH Information Response Response Information Service
18 MIH Capability Discovery Request Request MIH Capability Discovery
19 MIH Capability Discovery Response Response MIH Capability Discovery
20+ Reserved Reserved
12) MIH Message Data : MIH 서비스의 특정 데이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IH 패킷의 형태는 도13 또는 도14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MIH간 신호 메시지는 'MIH Capability Discovery', 'MIH Remote Event Registration', 'MIH Remote Event Service', 'MIH Remote Command Service'로 분류할 수 있다.
이동단말, 혹은 접속점 (무선랜 AP, 광대역무선 접속망 BS, 셀룰러 시스템 BS) 혹은 네트워크 엔터티(라우터 , Foreign Agent)가 상대 개체 (이동단말, 접속점, 네트워크 엔터티)의 MIH Capability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MIH 패킷의 형태에 따라 그 방법이 분류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 MIH 패킷이 도 13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와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 메시지가 사용되어 상대의 MIH 용량(MIH Capability)를 발견한다.
(1) 'MIH Capability Discovery' 관련 메시지
1)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
이 메시지는 MIH 메시지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지 않으며, 단지 MIH 헤더만으로 메시지 타입이 1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이 메시지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개체가 정확한 상대 개체의 주소를 알지 못하며, 망 내에 어느 개체가 MIH 기능을 갖고 있는지 발견하고자 할 때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로 전송된다. 또 다른 경우로,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개체가 상대 개체의 주소를 알고는 있지만, 그 개체의 MIH 기능 유무를 알고자 싶을 때, 이 메시지를 유니캐스트 된다.
2)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개체는, 그것이 MIH 기능을 갖고 있다면,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를 응답한다. 이 메시지 또한 MIH 메시지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지 않으며, 단지 MIH 헤더만으로 메시지 타입이 1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이 메시지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이때, MIH 헤더 내에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es)는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의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를 복사하여 채워 넣으며,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e)는 자신의 주소로 채워넣는다. 또한, MIH 기능을 갖고 있는 개체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하여 자신의 MIH 기능을 주기적으로 광고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MIH 패킷이 도 14의 MIH 패킷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대 개체의 MIH Capability를 발견하기 위해서 도 14의 페이로드 부분을 제외하고 MIH 헤더(Header)만 상대 개체에게 전송 할 수 있다. 이때 헤더를 수신한 상대 개체는, 자신이 MIH Capability를 가지고 있다면, 수신한 헤더의 source address 필드를 참조하여 자신의 MIH 헤더를 전송하여 응답한다.
세 번째 방법으로, MIH 패킷이 도 14의 MIH 패킷 형태를 가지는 경우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대 개체의 MIH Capability를 발견하기 위해서 도 14의 MIH Message Data를 제외한 MIH 헤더와 MIH Message Identifier만을 포함하여 상대 개체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와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는 다음과 같다.
1)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
MIH Message Identifer가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로 설정되어 전송된다. 이 메시지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개체가 정확한 상대 개체의 주소를 알지 못하며, 망 내에 어느 개체가 MIH 기능을 갖고 있는지 발견하고자 할 때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로 전송된다. 또 다른 경우로, 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개체가 상대 개체의 주소를 알고는 있지만, 그 개체의 MIH 기능 유무를 알고자 싶을 때, 이 메시지를 유니캐스트 된다.
2)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개체는, 그것이 MIH 기능을 갖고 있다면, MIH_Capability_Discovery.response를 응답한다. 이 메시지는 응답 가능한 경우 아래 표의 파라메터들을 MIH message data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이때, MIH 헤더 내에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es)는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의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를 복사하여 채워 넣으며, 소스 어드레스(source addresse)는 자신의 주소로 채워넣는다. 또한, MIH 기능을 갖고 있는 개체는 2계층 혹은 3계층을 통하여 자신의 MIH 기능을 주기적으로 광고할 수 있다.
Name Length Value
SupportedEventList 4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1 indicates the link event is supported. Bit #0: Link Up Bit #1: Link Down Bit #2: Link Going Down Bit #3: Link Detected Bit #4: Link Parameters Change Bit #5: Link Event Rollback Bit #6: Link SDU Transmit Success Bit #7: Link SDU Transmit Failure Bit #8~31: Reserved
SupportedCommandList 4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1 indicates the link command is supported. Bit #0: Link Power Up Bit #1: Link Power Down Bit #2: Link Configure Bit #3: Link Connect Bit #4: Link Disconnect Bit #5: Link Sleep Bit #6: Link Scan Bit #7: Link Poll Bit #8~31: Reserved
(2) 'MIH Registration' 관련 메시지
1) MIH_Event_Registration.request
이 메시지는 원격 스택에 향후 전달 받기를 원하는 이벤트 서비스(Event Service)를 등록하기를 원하는 MIH 기능에 의하여 사용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RequestedEventList 1 각 bit의 영역에 1로 설정이 되면 해당 서비스가 등록되도록 요청을 하는 것이다. Bit #0: Link Up Bit #1: Link Down Bit #2: Link Going Down Bit #3: Link Detected Bit #4: Link Parameters Change Bit #5: Link Event Rollback 6~7: Reserved
2) MIH_Event_Registration.confirm
이 메시지는 MIH_Evetn_Registration.request의 결과를 리턴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ResponseEventList 1 각 bit의 영역에 1로 설정이 되면 해당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등록된 것이다. Bit #0: Link Up Bit #1: Link Down Bit #2: Link Going Down Bit #3: Link Detected Bit #4: Link Parameters Change Bit #5: Link Event Rollback Bit #6~7: Reserved
3) MIH_Event_Deregistration.request
이 메시지는 원격 스택에 등록한 Event Service를 등록해제하기 위해 전달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RequestedEventList 1 각 bit의 영역에 1로 설정이 되면 해당 서비스를 등록해제하도록 요청을 하는 것이다. 0: Link Up 1: Link Down 2: Link Going Down 3: Link Detected 4: Link Parameters Change 5: Link Event Rollback 6~7: Reserved
4) MIH_Event_Deregistration.confirm
이 메시지는 MIH_Event_Deregistration.request 의 결과를 리턴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ResponseEventList 1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1 indicates the requested link event is de-registered correctly. Bit #0: Link Up Bit #1: Link Down Bit #2: Link Going Down Bit #3: Link Detected Bit #4: Link Parameters Change Bit #5: Link Event Rollback 6~7: Reserved
(3) 'MIH Event Service' 관련 메시지
1) MIH_Link_Up.indication
이 메시지는 원격 스택으로 Link_Up을 전송하기 위해 이동단말 또는 접속점에 의해 사용되며, 원격 스택에게 새로운 링크 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알린다. 이동말 또는 접속점뿐 아니라 이 메시지는 MIH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개체로부터 MIH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모든 개체로도 전달 가능하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MacMobileTerminal Variable MAC Address
MacNewPoA Variable MAC Address of New PoA (AP)
MacOldAccessRouter Variable MAC Address of old Access Router (if any)
MacNewAccessRoute Variable MAC Address of new Access Router
2) MIH_Link_Down.indication
이 메시지는 원격 스택으로 Link_Down을 전송하기 위해 이동단말 또는 접속점에 의해 사용되며, 원격 스택에게 새로운 링크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이동말 또는 접속점뿐 아니라 이 메시지는 MIH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개체로부터 MIH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모든 개체로도 전달 가능하다.
MacMobileTerminal Variable MAC Address
MacNewPoA Variable MAC Address of New PoA (AP)
MacOldAccessRouter Variable MAC Address of old Access Router (if any)
ReasonCode 1 Reason for why the link went down 0: RC_EXPLICIT_DISCONNECT ( 1: RC_PACKET_TIMEOUT 2: RC_FAIL_NORESOURCE 3: 127: Reserved 128~255: RC_VENDOR_SPECIFIC
표16에서 'ReasonCode'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RC_EXPLICIT_DISCONNECT: The link is down because of explicit disconnect procedures initiated either by client or network
-RC_PACKET_TIMEOUT: The link is down because no acknowledgements were received for transmitted packets within the specified time limit.
-RC_FAIL_NORESOURCE: The link is down because there were no resources to maintain the connection
-RC_VENDOR_SPECIFIC: Vendor Specific reason code.
(4) MIH Command Service 관련 메시지
1) MIH_Network_Address_Information.request
이 메시지는 이동단말이 다른 인터페이스 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 하기 전에 현재 연결중인 접속점(AP 혹은 BS)에게 새로운 접속점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전송되며, 이것은 새로운 접속점으로 전달된다. 새로운 접속점은 이 메시지를 수신 한 후,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혹은 억세스 라우터(Access Router)에 대한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동단말의 현재 접속점에게 해당 정보를 응답하며,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않은 경우, 이 메시지를 새로운 외부 에이전트 또는 억세스 라우터에게 전달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MacMobileTerminal Variable MAC Address of Mobile Terminal
MacAccessRouter Variable MAC Address of Access Router
MACNewPoA Variable MAC Address of New PoA
Home Address 4 or 6 Home IP address of Mobile Terminal
CoA 4 or 6 Care of Address of Mobile Terminal
Old FA Address / Old Access Router Address 4 or 6 In case of Mobile IPv4, this parameter represents IP address of old Foreign Agent, and in case of Mobile IPv6, this parameter represents IP address of old Access Router.
2) MIH_Network_Address_Information.response
이 메시지는 이동단말의 새로운 외부 에이전트 또는 억세스 라우터가 MIH_Network_Address_Information.request를 수신 한 후 해당 IP 주소 정보를 응답하기 위해 전송된다.
Name Type (1byte) Length Value
MacMobileTerminal Variable MAC Address of Mobile Terminal
MacAccessRouter Variable MAC Address of Access Router
MACNewPoA Variable MAC Address of New PoA
Home Address 4 or 6 Home IP address of Mobile Terminal
FA Address / Access Router Address 4 or 6 In case of Mobile IPv4, this parameter represents IP address of Foreign Agent, and in case of Mobile IPv6, this parameter represents IP address of Access Router.
Network Address Information Variable In case of Mobile IPv4, Agent Advertisement is encapsulated and in case of Mobile IPv6, Router Advertisement is encapsulated.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로서, 이동 단말이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response 메시지를 방송(broadcasting)하여 망에 있는 객체 중에 MIHF(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를 지원하는 개체를 발견해 내는 일 실시예이다.
(1) 이동 단말은 L2계층을 이용하여 망의 개체들중에 MIHF를 지원하는 개체를 발견하기 위해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방송(broadcasting)한다. 상기 방송을 하는 방법은 제 2계층을 통하는 방법과, 제 3계층을 이용하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제 2 계층을 이용하는 방법은 도13의 패킷 포맷의 'Destination Hardware Address'를 'broadcast'로 하고 제2계층의 'Destination Address'도 'broadcast'로 하여 전달한다. 이때 MIH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인 새로운 'Ethertype'을 제2계층 메시지 헤더 등에 포함하여 MIH 메시지임을 구분하게 한다. 제3계층을 이용하는 방법은 도13의 패킷 포맷의 'Destination IP Address'를 'broadcast'로 하여 전달한다. 이때 제3계층, 예를 들면 IP계층에서 이를 MIH 메시지임을 구분하게 하기 위해서 'protocol type'을 새로이 MIH 타입으로 정의하여 포함하여 MIH 메시지임을 구분하게 한다.
(2) 이동 단말은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전달하면서 타이머를 설정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타이머 작동 기간 동안에 전달한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에 대한 MIH_Capability_Discover.response 응답이 안 올 경우, 유니캐스트(Unicast)의 경우 그 메시지를 전달한 대상, 브로드캐스트일 경우 브로드캐스트한 영역에 MIHF를 지원하는 개체가 없다고 판단하는데 사용이 된다. 이동 단말이 전달한 메시지가 제2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로 전달이 되는 경우 PoA는 PoA의 제2계층 링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트한다.
(3) 이동 단말이 전달한 메시지가 제3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트하는 경우 PoA는 이 메시지를 전달 받아 제3계층의 브로드캐스트하는 영역(특정 서브넷(subnet)에 브로드캐스트, 전체 영역에 브로드캐스트 등 여러 경우가 있다.)으로 전달하고 제3계층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다. PoA3은 MIHF 기능이 없기 때문에 MIH메시지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전달 받지 못하고 이에 대한 응답도 할 수 없다(4). 반면에, MIHF가 있는 PoA2와 억세스 라우터/외부 에이전트는 이를 전달 받고 이에 대한 MIH_Capability_Discover.response를 응답한다(5). 단말은 이 응답의 주소를 보고 MIHF를 지원하는 개체가 발견하며 이 주소를 상위 관리개체에 알릴 수도 있고 MIHF가 저장하고 있다가 향후 핸드오버할 때 사용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로서, 점속점1(Point of Attachment 1)에 의해 초기화되어 망에 있는 객체 중에 MIHF(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를 지원하는 개체를 발견해 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로서, 상기의 'MIHF capability' 발견 방법 중 실패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1) 이동단말은 이미 알고 있는 PoA3의 주소를 가지고 PoA3가 MIH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서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전송한다. (2) 이동 단말은 이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한다. (3) PoA1은 전달 받은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의 목적 주소를 보고 이 메시지를 PoA3에 전달한다. (4) 이 메시지가 PoA3에 전달된다. 상기 (1)과 (4)의 전달에서 쓰이는 MIH 메시지는 의 MIH 패킷 포맷이 사용된다. (5) PoA3은 MIHF가 없기 때문에 이 MIH패킷을 수신하지 못하고 이에 응답을 할 수 없다. (6) 이동 단말이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전송하면서 구동한 타이머가 만료되어 이동단말이 PoA3가 MIHF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발견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로서, 상기의 'MIHF capability' 발견 방법 중 성공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절차 (1)~(4)는 도16과 유사하다. PoA2는 MIHF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이 전송한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수신할 수 있고(4), 이에 대한 MIH_Capability_Discover.response(5)를 송신한다. 이동 단말은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구동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응답을 수신하였으므로 PoA2가 MIHF를 지원하는 것을 발견해 낼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로서, 제3계층(예 IP 계층)을 통해 통신의 상대 노드가 MIH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발견해 내는 절차를 보여준다.
이동 단말은 상대 노드와의 통신 연결 설정시 발견한 IP주소로 MIH_Capability_Discover.request를 송신한다(1). 이동단말은 메시지를 송신할 때 타이머를 구동한다(2). 이를 수신한 상대 노드는 MIHF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해 MIH_Capability_Discover.response를 송신한다(3). 응답 메시지가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도착을 하였으므로 이동 단말은 상대노드가 MIHF를 지원하는 것을 발견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통해 멀티모드 이동단말이 매개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첫째, 이동단말의 MIH와 기지국 혹은 AP의 MIH간 통신 및 MIH 기능을 갖고 있는 네트워크 엔터티(기지국, AP 또는 억세스 라우터) 간의 MIH 통신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IH 프로토콜 및 MIH 메시지 포맷을 이용하여 좀 더 명확하고 분명한 MIH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멀티모드 이동단말이 상대 노드 및 네트워크 엔터티들의 MIH Capability를 발견하기 위해서, 또는 네트워크 엔터티간 상대의 'MIH Capability'를 발견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시지와 헤더를 이용하여 그것을 인지 할 수 있다.

Claims (1)

  1. 멀티모드(multi-mode)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접속점3(Point of Attachment)이 MIHF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접속점1이 전달 받은 상기 요구 메시지의 목적 주소를 보고 상기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접속점3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시까지 상기 PoA3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할 경우 상기 PoA3가 MIHF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1020050040497A 2005-05-02 2005-05-16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10108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07013246A MX2007013246A (es) 2005-05-02 2006-05-02 Un metodo para soportar la transferencia en una estacion movil multimodal.
CA2606591A CA2606591C (en) 2005-05-02 2006-05-02 A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EP06732888A EP1878288B1 (en) 2005-05-02 2006-05-02 A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CN2006800151698A CN101189899B (zh) 2005-05-02 2006-05-02 在多模式移动站中支持切换的方法
TW095115642A TWI367009B (en) 2005-05-02 2006-05-02 A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11/416,890 US7649867B2 (en) 2005-05-02 2006-05-02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PCT/KR2006/001646 WO2006118410A2 (en) 2005-05-02 2006-05-02 A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IL186575A IL186575A (en) 2005-05-02 2007-10-11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12/614,360 US8036177B2 (en) 2005-05-02 2009-11-06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6664 2005-05-02
KR1020050036664 2005-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606A true KR20060114606A (ko) 2006-11-07
KR101084137B1 KR101084137B1 (ko) 2011-11-17

Family

ID=3765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97A KR101084137B1 (ko) 2005-05-02 2005-05-16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084137B1 (ko)
CN (1) CN101189899B (ko)
IL (1) IL186575A (ko)
MX (1) MX2007013246A (ko)
TW (1) TWI36700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37B1 (ko) * 2008-09-01 2013-04-25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방법
KR101461948B1 (ko) * 2007-06-06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mih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70B1 (ko) 2007-05-08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mih 프로토콜 메시지전송방법
CN103634896B (zh) * 2012-08-21 2019-02-05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多模终端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10021621B2 (en) * 2015-04-03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UE-to-UE relay list and determination of floor arbit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48B1 (ko) * 2007-06-06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mih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방법
KR101258337B1 (ko) * 2008-09-01 2013-04-25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방법
US8908514B2 (en) 2008-09-01 2014-12-09 Nec Europe Lt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9899A (zh) 2008-05-28
IL186575A (en) 2011-09-27
MX2007013246A (es) 2008-01-21
CN101189899B (zh) 2013-01-23
KR101084137B1 (ko) 2011-11-17
TW200718126A (en) 2007-05-01
TWI367009B (en) 2012-06-21
IL186575A0 (en) 200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177B2 (en) Method of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mode mobile station
EP1869937B1 (en) A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8312134B2 (en) Reporting link layer status information using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modul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1151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주소 선 설정 방법
KR101113860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후 링크 해제 방법 및그 이동단말
KR101216081B1 (ko) 이종망 간 핸드오버 시의 ip 주소 재설정 방법
US20060050674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AN
KR101084137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101084138B1 (ko) Map 도메인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1366270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mih 프로토콜 메시지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