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859A -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859A
KR20060112859A KR1020050035545A KR20050035545A KR20060112859A KR 20060112859 A KR20060112859 A KR 20060112859A KR 1020050035545 A KR1020050035545 A KR 1020050035545A KR 20050035545 A KR20050035545 A KR 20050035545A KR 20060112859 A KR20060112859 A KR 2006011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nk
nozzle
unit
inkj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귀택
마사히코 하부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859A/en
Publication of KR2006011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Abstract

An ink jet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an image quality deterioration by making an ink to be shakingly impa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nable to distinguish by the naked eye in a moving direction of a paper. In an ink 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 ink jet head(11) includes a nozzle unit(12) of which a length is almost reaching a width of a paper(P). A paper transporting unit transports the paper to the ink jet head. A control unit(30) controls operations of the ink jet head and the paper transporting unit for making an ink jetted from the nozzle unit to be dispersively impacted on the pap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paper.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inting pattern in a conventional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ne print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잉크젯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nozzle unit provided in the inkjet head unit of FIG. 2.

도 4는 도 2의 잉크젯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nozzle unit included in the inkjet head unit of FIG. 2.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잉크가 용지에 착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how the ink landed on th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잉크가 용지에 착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how the ink landed on the p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잉크가 용지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이를 기구적으로 구현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k is mechanically implemented so that ink is dispersed and landed on pap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잉크젯 헤드 유니트 10.......몸체5 ....... Inkjet head unit 10 ....... Body

11......잉크젯 헤드 12.......노즐부11 ...... Inkjet head 12 ....... Nozzle section

13......배지롤러 14.......지지부재13 ...... Medium roller 14 ....... Support member

15......피딩롤러 17.......픽업롤러15 ...... Feeding Roller 17 ....... Pickup Roller

20......급지카세트 30.......제어부20..Feeding cassette 30 ....... Control section

40......적재부 50.......헤드칩40 ...... Loading 50 ....... Head Chip

62......결합부 64.......회전축62 ...... Coupling part 64 ....... Rotary shaft

80......액츄에이터80 ...... actuator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에 의해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 주행되는 잉크젯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이러한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잉크젯 헤드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가 마련되어 있다. In general, th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by ejecting ink from an inkjet head recipr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he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As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inting an image by injecting ink onto the sheet while being convey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heet is called a shuttle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nkjet head of the shuttle-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nozzl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ejecting ink.

근래에는 용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잉크젯 헤드 대신에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이러한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 헤드가 고정되어 있고, 용지만이 이송된다. 따라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장치가 단순하고 고속 인쇄의 구현이 가능하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high-speed printing by using inkjet heads having nozzle portions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per instead of inkjet heads reciprocally transpor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p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ed in this manner is called a line printing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n such a line print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nkjet head is fixed, and only paper is conveyed. Therefore, the driving device of th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s simple and high speed printing can be realized.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inting pattern in a conventional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노즐부에 분사된 잉크(I)가 건조되어 고화되거나, 외부의 분진 등에 의해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I)의 분사 방향이 어긋나서 원하는 위치에 잉크(I')가 착탄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잉크 즉 도트(dot)들이 정확한 위치에 착탄되지 않으면, 이러한 도트들이 시각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즉, 정확한 위치에 착탄되지 않은 도트들은 시각적으로 눈에 쉽게 띄므로 인쇄 화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nk I sprayed on the nozzle unit is dried and solidified, or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ink I sprayed from the nozzle is shifted to a desired position by external dust or the like. Ink I 'does not reach. As shown, if some of the ink, or dots, do not reach the correct position, these dots are visually protruding. That is, the dots that do not arrive at the correct position are visually easy to see, and thu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int qualit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원하는 위치에 착탄되지 않은 일부 도트들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image quality of some dots not hitting a desire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 부를 갖는 잉크젯 헤드; 상기 용지를 상기 잉크젯 헤드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부; 및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의 소정 간격 이내로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상기 용지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kjet head having a nozzle portion of a length corresponding to a width of a paper; A paper conveying unit which conveys the paper to the inkjet hea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the paper conveying unit such that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is dispersed within the paper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s conveyed.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의 구동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용지에 착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on the paper by changing the drive timing of the nozzle unit.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의 구동 타이밍이 변화되는 것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속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per conveying unit so that the feed speed of the paper is changed as the drive timing of the nozzle unit is changed.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는 일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열을 갖는 복수의 헤드 칩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칩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nozzl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d chips having at least one nozzle row formed in a row, and the controller selectively drives the head chip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칩의 구동 순서를 인쇄되는 상기 용지의 한 페이지 내에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varying the driving order of the head chip within one page of the paper to be printed.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잉크가 분산되어 착탄되는 소정 간격은 1 도트 이내이거나, 0.2 광학밀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interval at which the ink is dispersed and landed is preferably within 1 dot or within 0.2 optical densit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mage forming apparatus)를 상세히 설명한다.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line printing metho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ine print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means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kjet head having a nozzl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a sheet.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ne print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20)와, 픽업롤러(17)와, 잉크젯 헤드 유니트(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4)와, 용지(P)를 잉크젯 헤드 유니트(5) 쪽으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부, 용지(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40), 상기 용지 이송부와 잉크젯 헤드 유니트(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2, a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per feed cassette 20, a pickup roller 17, an inkjet head unit 5, and a support member positioned to face th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14), a paper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paper P toward the inkjet head unit 5, a stacking unit 40 in which the paper P is stacked after being discharged, and operations of the paper conveying unit and the inkjet head unit 5 ar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용지(P)는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20)에 적재된 용지(P)는 후술하는 용지 이송부에 의해 잉크젯 헤드(11)로 이송된다. 여기서, 용지(P)는 x 방향으로 이송되며, y 방향은 용지(P)의 폭 방향을 의미한다.The paper P is load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20. The paper P load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20 is transferred to the inkjet head 11 by a paper conveying unit described later. Here, the paper P is convey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means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per P.

용지 이송부는 용지(P)를 잉크젯 헤드(11)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7)와, 피딩롤러(15), 및 배지롤러(13)를 구비한다. 용지 이송부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The paper conveying section conveys the paper P to the inkjet head 11, and includes a pickup roller 17, a feeding roller 15, and a discharge roller 13 in this embodiment. The paper conveying unit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and provides a conveying force for conveying the paper P. FIG.

픽업롤러(17)는 급지카세트(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이때, 픽업롤러(17)는 용지(P)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용지(P)를 급지카세트(20)의 밖으로 이송시킨다.Pick-up roller 1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per feed cassette 20 to pick up and load the loaded paper (P) one by one. At this time, the pick-up roller 17 rot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P in a pressurized state to convey the paper P out of the paper cassette 20.

피딩롤러(15)는 잉크젯 헤드(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7)에 의해 인출된 용지(P)를 잉크젯 헤드(11)로 이송시킨다. 이때, 피딩롤러(15)는 용지(P)가 잉크젯 헤드(11)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잉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용지(P)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피딩롤러(15)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롤러(15B)로 구성된다. 픽업롤러(17)와 피딩롤러(15) 사이에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보조롤러(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feeding roller 15 is installed at the mouth side of the inkjet head 11, and conveys the paper P drawn out by the pickup roller 17 to the inkjet head 11. In this case, the feeding roller 15 may perform a function of aligning the paper P so that ink may be sprayed onto a desired portion of the paper P before the paper P passes through the inkjet head 11. . The feeding roller 15 is composed of a driving roller 15A that provides a conveying force for conveying the paper P and an idle roller 15B that is elastically engaged thereto. An auxiliary roller 16 for transferring the paper P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pickup roller 17 and the feeding roller 15.

배지롤러(13)는 잉크젯 헤드(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용지(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용지(P)는 적재부(40)에 적재된다. 배지롤러(13)는 용지(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3A)과, 이에 대면되어 용지(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3B)를 구비한다. 노즐부(12)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에 잉크가 분사된 용지(P)는 잉크에 의하여 젖어서 웨이브가 생길 수 있다. 웨이브가 심해지면 용지(P)가 노즐부(12) 또는 몸체(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아직 건조되지 않은 잉크가 번져서 화상이 오염될 수 있다. 또, 웨이브로 인해 용지(P)와 노즐부(12)와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타휠(13A)은 노즐부(12)의 하방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노즐부(12) 또는 몸체(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용지(P)와 노즐부(12)와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은 노즐부(12)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용지(P)의 상면에 점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타휠(13A)은 용지(P)의 상면에 점접촉됨으로써 용지(P)의 상면에 분사되어 아직 마르지 않은 잉크화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P)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복수의 스타휠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스타휠이 용지(P)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스타휠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roller 13 is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inkjet head 11, and discharges the printed paper P ou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paper P discharg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loaded into the stacking unit 40. The discharge roller 13 includes a star wheel 13A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per P, and a support roller 13B facing the support roller 13B. The paper P, into which ink is injected onto the upper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nozzle unit 12, may be wetted by the ink to generate waves. If the wave becomes severe, the paper P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nozzle unit 12 or the body 10 to spread ink which has not been dried yet and contaminate the image.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gap between the paper P and the nozzle unit 12 is not maintained due to the wave. In the star wheel 13A, the paper P conveyed below the nozzle part 12 is in contact with the nozzle part 12 or the bottom of the body 10 or the gap between the paper P and the nozzle part 12 is changed. In order to prevent this, at least a portion is provided to protrude more than the nozzle portion 12 and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P).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star wheel 13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P by being in poin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P and contaminating the ink image which is not yet dry.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ar wheels may be installed to smoothly transport the paper P. When a plurality of star wheel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aper P,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corresponding to each star wheel is further provided.

또한,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mage forming apparatus)는 고속으로 인쇄를 하므로, 용지(P)가 배지되어 적재부(40)에 적재된 후 상면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다음 용지(P)가 적재되어 용지(P)의 배면이 잉크로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printing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s at a high speed, so that after the paper P is discharged and loaded in the stacking portion 40, the next sheet P is dried before the ink on the upper surface dries. May be loade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aper P may be contaminated with ink. In order to prevent this, a separate drying devic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지지부재(14)는 노즐부(12)와 용지(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잉크젯 헤드(11)의 하방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용지(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2)와 용지(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The support member 14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paper P, which is provided below the inkjet head 11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nozzle unit 12 and the paper P.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part 12 and the paper P is about 0.5 to 2.5 mm.

잉크젯 헤드 유니트(5)는 용지(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0)와, 몸체(10)의 저면에 마련되는 잉크젯 헤드(11), 및 잉크젯 헤드(11)에 구비되는 노즐부(12)를 구비한다. 노즐부(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3)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노즐부(12)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열(nozzle array)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부(12)는 용지(P)의 폭에 해당되거나, 용지(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가 아니라, 용지(P)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12)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라인 프린팅 방식 화상형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kjet head unit 5 prints an image by ejecting ink onto the paper P, and the inkjet head unit 5 is provided on the body 10, the inkjet head 11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0, and the inkjet head 11. The nozzle part 12 provided is provided. The feeding roller 15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nozzle unit 12, and the discharge roller 13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The nozzle unit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 arrays for ejecting ink. The nozzle unit 12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paper P or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paper P. That is, th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huttle type inkjet head which prints an image by injecting ink onto the paper while being transfer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aper, but having a nozzl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per P. And a line printing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prints an image by ejecting ink at 12.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0)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몸체(10)에는 노즐부(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분사수단(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에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된다. 챔버, 분사수단, 유로, 매니폴드, 리스트릭터 등은 잉크젯 헤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ink. In addition, the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chamber (e.g., a piezoelectric piezoelectric element, a thermally driven heater) injecting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s of the nozzle unit 12 and providing pressure for ejecting ink. And a flow path (for example, an orifice) for supplying ink contained in the body 10 to the chamber, a manifold which is a common flow path for supplying ink introduced through the flow path to the chamber, and a manifold from the manifold. Further, a restrictor, which is a separate flow path for supplying ink to the chamber, is further provided. Chambers, injection means, flow paths, manifolds, restrictors, etc.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inkjet head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도 2의 잉크젯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잉크젯 헤드 유니트에 구비된 노즐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nozzle unit provided in the inkjet head unit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zzle unit provided in the inkjet head unit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12)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즉 노즐열(nozzle array, 12C, 12M, 12Y, 12K)이 용지(P)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노즐부(12)는 칼라인쇄를 위하여 예를 들면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4개의 노즐열(nozzle array)을 구비할 수 있다. 4개의 노즐열(12C, 12M, 12Y, 12K)은 용지(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10)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잉크를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4개의 저장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노즐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배열된 경우를 예로 들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칼라 잉크젯 방식의 노즐부(12)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노즐부(12)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nozzle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ozzles for injecting ink, that is, nozzle arrays 12C, 12M, 12Y, and 12K have a width of the paper P. Referring to FIG.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That is, the nozzle unit 12 uses four nozzle arrays for injecting ink of, for example, cyan (C), magenta (M), yellow (Y), and black (K) colors for color printing. It can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four nozzle rows 12C, 12M, 12Y, and 12K be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paper P. FIG. Here, the body 10 may be divided into four storage space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o accommodate inks of cyan (C), magenta (M), yellow (Y), and black (K) colors, respectively. ha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nozzle units 12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cyan (C), magenta (M), yellow (Y), and black (K).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unit 12 of the color inkjet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nozzle unit 12 may have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bar shown in FIG. no.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12)는 일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열을 갖는 복수의 헤드 칩(5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 칩(50)은 용지(P)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4 개의 노즐열(50C, 50M, 50Y, 50K)을 구비한다. 복수의 헤드 칩(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헤드 칩(50)에 구비되는 4 개의 노즐열(50C, 50M, 50Y, 50K)은 서로 중복(overlap)되게(d1)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노즐열(50C, 50M, 50Y, 50K)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간격(d3)으로는 각 헤드 칩(50)에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들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노즐부(12)는 1 칩 4 칼라의 일 예이다.Referring to FIG. 4, the nozzle unit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ead chips 50 having at least one nozzle row formed in a row.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d chip 50 includes four nozzle rows 50C, 50M, 50Y, and 50K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per P. As illustrated, the plurality of head chips 50 may b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or may be arranged in a lin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 nozzle rows 50C, 50M, 50Y, and 50K provided in each head chip 5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d 1 ). Meanwhile, a predetermined interval d 3 is formed between the nozzle rows 50C, 50M, 50Y, and 50K, and wirings for applying signals to the head chips 50 are arranged at these intervals d 3 . do. That is, the nozzle part 12 of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1 chip 4 color.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잉크가 용지에 착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잉크가 용지에 착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ure 2,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k landed on th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xample, the drawing shows how the ink landed on the paper.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어 용지 이송부와 잉크젯 헤드 유니트(50),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용지 이송부의 이송 동 작과 잉크젯 헤드(11)에 구비된 노즐부(12)의 잉크(I) 분사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는 용지(P)가 이송되는 방향의 소정 간격 이내로 노즐부(12)에서 분사되는 잉크(I)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잉크젯 헤드(11)와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3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on a motherboard to convey the paper conveying unit and the inkjet head unit 50, more accurately, the conveying operation of the paper conveying unit and the nozzles provided in the inkjet head 11. The ink I ejection operation of the unit 12 is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the inkjet head 11 and the paper conveying part so that the ink I ejected from the nozzle part 12 is dispersed in the paper P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P is conveyed. Control the opera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데이터입력부(35)는 PC(Personal Computer)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페이지 순서대로 입력받는다. 데이터입력부(35)가 한 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외부장치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The data input unit 35 receives image data to be print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digital camera in order of print pages. The time taken by the data input unit 35 to receiv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one page from the external device depends o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ize o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page.

제어부(30)는 데이터입력부(35)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7)에 저장시키고, 메모리(37)에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화상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픽업모터(33)를 동작시키고, 픽업모터(33)에 의해 구동되는 픽업롤러(17)에 의해 인쇄 용지가 픽업된다.The controller 30 stores the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35 in the memory 37 and checks whether image data storage of the page to be printed in the memory 37 is completed. When the storing of the image data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0 operates the pickup motor 33, and printing paper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7 driven by the pickup motor 33.

상기 제어부(30)는 피딩모터(31)를 동작시켜, 피딩모터(31)에 의해 구동되는 피딩롤러(15, 16)에 의해 픽업된 용지(P)가 잉크젯 헤드(11) 방향으로 피딩된다. 용지(P)가 잉크젯 헤드(11)로 진입되면 제어부(30)의 제어를 받아 잉크젯 헤드(11)에 구비된 노즐부(12)에서 분사되는 잉크(I)가 용지(P)에 착탄되어 화상을 형성한다. 이때, 제어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가 이송되는 방향의 소정 간격(d) 이내로 잉크(I)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잉크젯 헤드(11)와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노즐부(12)에서 분사되는 잉크, 즉 도트(dot)가 용지(P)의 진행방향(x 방향)으로 흔들려서 착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트(dot)가 착탄되는 위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정렬 에러(alignment error)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0 operates the feeding motor 31, so that the paper P picked up by the feeding rollers 15 and 16 driven by the feeding motor 31 is fed in the inkjet head 11 direction. When the paper P enters the inkjet head 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the ink I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12 provided in the inkjet head 11 reaches the paper P and burns the image. To form.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 the inkjet head 11 so that the ink (I) is dispersed in the paper (P) with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P) is conveyed, as shown in FIG. And the operation of the paper feeder. That is, the ink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12, that is, the dot, is shaken in the advancing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paper P to reach the impact. In this way, the alignment error is distributed so that the alignment error is not noticeable.

상기와 같이 잉크(I)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하는 방법은 노즐부(12)의 형상을 곡선형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노즐부(12)와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를 왕복 주사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k I is dispersed in the paper P so that the impact is made by forming the shape of the nozzle part 12 in a curved shape,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zzle part 12 and the paper conveying part, or The actuator may be implemented using a method of reciprocating scanning the inkjet head using an actuator or the like.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노즐부(12)의 구동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I)를 용지(P)에 착탄시킬 수 있다. 즉, 노즐부(12)에 형성된 노즐열을 복수의 그룹 단위로 제어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 후, 각 그룹 단위로 형성된 노즐에서 잉크가 분사되는 시점을 달리함으로써 잉크(I)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액적(droplet)의 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분사수단으로는 전기-열변환 장치를 이용한 버블젯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ler 30 may impact the ink I on the paper P by chang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nozzle unit 12. That is, after the system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nozzle row formed in the nozzle unit 12 in a plurality of group units, the ink I is dispersed in the paper P by varying the timing at which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s formed in each group unit. Can be impacted. Here, a bubble jet method using an electro-thermal conversion device may be employed as the injection means for generat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ink droplets.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2)는 일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열을 갖는 복수의 헤드 칩(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상기 복수의 헤드 칩(50)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잉크(I)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된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nozzle unit 12 includes a plurality of head chips 50 having at least one nozzle row formed in a row. Here, the controller 30 may selectively drive the plurality of head chips 5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o that the ink I may be dispersed and landed on the paper P. FIG. The figure printed in the above manner is shown in FIG. 7.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상기 복수의 헤드 칩(50)의 구동 순서를 인쇄 되는 용지(P)의 한 페이지 내에서 가변시키며 인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된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보면, 각각의 라인에 착탄된 잉크(I) 간격이 일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30 may change the driving order of the plurality of head chips 50 within one page of the printed paper P and print the same. The printing in the above manner is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ink I spaced on each line is not constant.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잉크(I)가 분산되어 착탄되는 소정 간격(d: 도 6 참조)은 1 도트 이내이거나, 0.2 광학밀도(optical density)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잉크(I)가 분산되어 착탄되는 간격(d)이 1 도트 이내이거나, 0.2 광학밀도 이내면 육안에 의해서는 잉크(I)가 분산되어 착탄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Further,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see Fig. 6) in which the ink I is dispersed and impacted is within 1 dot or within 0.2 optical density.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at the ink I is dispersed and landed by the naked eye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ink I is dispersed and landed as described above is within 1 dot or within 0.2 optical density.

도 9는 잉크가 용지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이를 기구적으로 구현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k is mechanically implemented so that ink is dispersed and landed on paper.

도 9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 유니트(5)의 일측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62)가 마련된다. 회전축(64)은 중공 형상의 결합부(62)에 삽입되어 잉크젯 헤드(5)를 지지한다. 이때, 결합부(62)와 회전축(64)은 후술하는 액츄에이터(80)의 결합 방식에 따라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a coupling part 62 formed through the inkjet head unit 5 is provided. The rotating shaft 6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ortion 62 to support the inkjet head 5.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62 and the rotation shaft 64 may be fixedly coupled according to the coupling method of the actuator 8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rotatably coupled.

액츄에이터(80)는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 잉크젯 헤드 유니트(5)를 간섭하여 이를 왕복 진자운동시킨다. 액츄에이터(80)는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실린더부(84)와, 상기 실린더부(84)의 내주면으로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피스톤부(82)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부(82)의 일측은 잉크젯 헤드 유니트(5)와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부(82)가 실린더부(84)의 내부면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하면, 잉크젯 헤드 유니트(5)는 회전축(64)을 중심으로 왕복 진자운동하게 된다. 이 때, 잉크젯 헤드 유니트(5)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64)과 결합부(62)가 결합되면 잉크젯 헤드(5)는 회전축(6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왕복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달리, 회전축(64)이 결합부(62)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면 회전축(64)과 잉크젯 헤드 유니트(5)는 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회전축(64)의 회전에 구속되어 잉크젯 헤드(5)가 왕복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잉크젯 헤드 유니트(5)가 왕복 진자운동을 하게 되므로, 잉크는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된다. 또한, 액츄에이터(80)와 잉크젯 헤드 유니트(5) 사이에는 액츄에이터(80)의 왕복 직선운동을 잉크젯 헤드 유니트(5)의 왕복 진자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링크기구(linkage mechanism)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80)로는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한 압전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80) 그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헤드 간섭 수단으로 액츄에이터 이외에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가 채용될 수도 있다.The actuator 80 is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terferes with the inkjet head unit 5 to reciprocate the pendulum. The actuator 80 includes a cylinder portion 84 provided on a main body frame (not shown), and a piston portion 82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84. One side of the piston portion 82 is coupled to the inkjet head unit (5). Therefore, when the piston portion 82 reciprocates linear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84, the inkjet head unit 5 is reciprocated pendulum movement about the rotation axis 64. At this time, when the rotating shaft 64 and the coupling part 62 are coupled so that the inkjet head unit 5 can be freely rotated, the inkjet head 5 has a reciprocating pendulum motion with the rotating shaft 64 as the rotation center. On the contrary, when the rotating shaft 64 is inserted to be fixed to the coupling part 62, the rotating shaft 64 and the inkjet head unit 5 move together, and thus the inkjet head 5 is constrain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64. The reciprocating pendulum movement is performed. Since the inkjet head unit 5 performs the reciprocating pendulum mo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k is dispersed and landed on the paper P. In addition, a linkage mechanism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actuator 80 and the inkjet head unit 5 to convert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actuator 80 into the reciprocating pendulum motion of the inkjet head unit 5. . As the actuator 80, it is preferable to use a piezo actuator capable of precise position control.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actuator 80 itself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may be employed as the head interference means in addition to the actuator.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노즐부(12)의 구동 타이밍이 변화되는 것에 따라 용지(P)의 이송 속도가 변화되도록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는 용지(P)에 분사되는 잉크(I)와 용지(P)의 이송 속도를 동기화시킨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per feeder so that the feed speed of the paper P is changed as the drive timing of the nozzle unit 12 is changed. That is, the controller 30 synchronizes the conveying speeds of the ink I and the paper P sprayed on the paper P. FI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노즐부(12)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용지(P)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12 is dispersed in the paper (P) to be lan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잉크, 즉 도트(dot)가 착탄되는 위치가 용지(P)에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정렬 에러(alignment error)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잉크가 용지(P)의 이송방향으로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는 소정의 간격 이내에서 흔들려서 착탄되도록 함으로써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nvention, by dispersing the ink,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dot (im) is scattered on the paper (P) so that the alignment error (not noticeable) d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by causing ink to shake and reach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which cannot be visually distinguis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aper P. FI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6)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잉크젯 헤드;An inkjet head having a nozzl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width of a sheet; 상기 용지를 상기 잉크젯 헤드로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부; 및A paper conveying unit which conveys the paper to the inkjet head; And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의 소정 간격 이내로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상기 용지에 분산되어 착탄되도록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the paper conveying unit such that ink ejected from the nozzle unit is dispersed and imprinted within the paper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s convey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노즐부의 구동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용지에 착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the ink is impressed on the paper by chang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nozzl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노즐부의 구동 타이밍이 변화되는 것에 따라 상기 용지의 이송 속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용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per feeder to change the feed speed of the paper as the drive timing of the nozzle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노즐부는 일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열을 갖는 복수의 헤드 칩을 구비하고,The nozzl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d chips having at least one nozzle row formed in a row.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칩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the controller selectively drives the head chi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칩의 구동 순서를 인쇄되는 상기 용지의 한 페이지 내에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the control unit varies the driving order of the head chip within one page of the printed pap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잉크가 분산되어 착탄되는 소정 간격은 1 도트 이내이거나, 0.2 광학밀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t which the ink is dispersed and landed is within 1 dot or within 0.2 optical density.
KR1020050035545A 2005-04-28 2005-04-2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112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545A KR20060112859A (en) 2005-04-28 2005-04-2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545A KR20060112859A (en) 2005-04-28 2005-04-2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859A true KR20060112859A (en) 2006-11-02

Family

ID=3765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545A KR20060112859A (en) 2005-04-28 2005-04-2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8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defective nozzle of ink jet image forming device
KR100612026B1 (en) Ink-jet head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issing nozzle
KR100788664B1 (en) Print head and Scann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inting high resolution
KR100833232B1 (en) Ink 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fective nozzle thereof
KR100727955B1 (en) Printing method for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95465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in high quality
KR100694118B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high resolution using multi-pass
KR100728000B1 (en) Ink 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fective nozzle thereof
KR20060122180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issing nozzle
KR20060110489A (en) Shingling printing method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46793B1 (en) Inkjet printer
KR100727986B1 (en) Ink 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fective nozzle thereof
KR20070008226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high resolution
KR100694120B1 (en) Line print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rinted image quality
US7559618B2 (en) Scann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6243B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print head
KR100846801B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KR20060115125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issing nozzle
KR20060112859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46808B1 (en) Scann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4122B1 (en) Compensating method of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4136B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ad nozzles
JP5217777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method
KR100636242B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issing nozzle
KR100851985B1 (en) Inkjet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